KR100861787B1 -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787B1
KR100861787B1 KR1020070033694A KR20070033694A KR100861787B1 KR 100861787 B1 KR100861787 B1 KR 100861787B1 KR 1020070033694 A KR1020070033694 A KR 1020070033694A KR 20070033694 A KR20070033694 A KR 20070033694A KR 100861787 B1 KR100861787 B1 KR 10086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hin film
transparent
heater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주
신홍수
김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템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템,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템
Priority to KR102007003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면적에 걸쳐서 균일하게 발열할 수 있는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면상 히터의 구성은, 나노 입자를 이용한 투명 면상 히터에 있어서, 투명하도록 형성되는 모재; 상기 모재의 전체 표면에 나노 입자 분산액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형성되는 도전성 나노 박막; 상기 모재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과 도통하도록 형성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 및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 전극 및 상기 도선과 전극의 접속부 상에 형성되는 절연 보호막;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전성 나노 박막, 투명 면상 히터, 대면적

Description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TRANSPARENT SHEET HE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면상 히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모재 12: 도전성 나노 박막
14: 전극 16: 도선
18: 절연 보호막
본 발명은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면적에 걸쳐서 균일하게 발열할 수 있는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진열장의 유리 표면, 자동차 유리의 표면, 또는 욕실의 거울 등은 빛의 투과가 필요한 재료나 주변 온도 차이로 인한 김서림으로 인하여 빛의 투과가 방해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해서 온풍을 불어주거나 유리 표면에 부착된 열선을 이용한 직접적인 가열 방식이 사용되거나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일시적인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채택하였을 때 김서림 제거율이 한정되고 열선이나 계면 활성제 같은 별도의 제거 매체를 사용해야 하므로 제거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김서림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투명 도전막을 대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하여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고 보다 낮은 소비전력 소모의 특성을 가지는 투명 면상 히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노 입자를 이용한 투명 면상 히터에 있어서, 투명하도록 형성되는 모재; 상기 모재의 전체 표면에 나노 입자 분산액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형성되는 도전성 나노 박막; 상기 모재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과 도통하도록 형성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 및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 전극 및 상기 도선과 전극의 접속부 상에 형성되는 절연 보호막;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모재 표면에 나노 입자 분산액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형성된 도전성 나노 박막에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에 도선을 구비하므로 상기 도선에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에 전류가 공급되면서 발열되어 간단한 구조로 발열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모재는 직선형 또는 만곡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특정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접목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노 입자를 이용한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나노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모재의 전체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상기 모재를 열처리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모재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과 도통하는 전극을 부착하는 단계; e) 상기 전극에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을 연결하는 단계; 및 f)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 전극 및 상기 도선과 전극의 접속부 상에 절연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의 형성시 모재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실시되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면상 히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0), 도전성 나노 박막(12), 전극(14), 도선(16) 및 절연 보호막(18)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재(10)는 투명하도록 형성되되 욕실 거울, 자동차 앞뒤, 측면 및 외부 후면경 유리, 대형 건축물의 외부 유리,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광투과성을 요하는 면상의 재료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모재(10)가 대면적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며, 반드시 판상인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표면의 형상이 편평하거나 만곡되어 있더라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12)은 나노 입자 분산액을 상기 모재(10)의 전체 표면에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형성되며, 도포 및 열처리 과정이 1회 이상 반복되어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12)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은 메탄올(CH3OH)과 수산화 나트륨(NaOH)이 혼합된 용매 또는 메탄올(CH3OH)과 수산화 칼슘(Ca(OH)2 )이 혼합된 용매 및 수용액 또는 벤젠(benzene) 등에 나노입자를 분산시킴으로써 획득한다. 상술한 메탄올과 수산화 나트륨(NaOH), 수산화 칼슘(Ca(OH)2)와 같은 용매는 50~200℃로 가열한 후 가열된 용매에 전구체로 나노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ZnO 나노 입자 분산액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은 메탄올을 포함하고 있으며 메탄올의 점도는 0.55 내지 0.71 cps로서, 물의 점도인 1 cps 보다 낮으므로 이 나노 입자 분삭액은 낮은 점도로 인하여 상기 모재(10) 상에 용이하게 퍼지게 되며 대면적 상에 균일한 두께로 용이하게 퍼지게 되어 대면적 상에 균일한 두께로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모재(10)를 나노 입자의 녹는점 근처까지 열처리함으로써, 나노 입자 분산액의 용매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열처리 과정에 있어서 나노 입자는 그 입경이 작으므로 열처리 온도는 낮출 수 있다.
즉 나노 입자의 원재료를 나노 입자의 형태가 아닌 종래의 금속 박막 형성 방법에 따라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나노 입자 분산액을 이용한 도전성 나노 박막(1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열처리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재(10)의 표면에 도포된 나노 입자 분산액을 열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재(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발열 플레이트(도면에 미도시) 또는 오븐(도면에 미도시)을 이용하여 200~400 ℃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상술한 열처리시 ZnO 나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하는 경우 250℃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결국, 나노 입자 분산액의 제조, 도포 및 열처리에 의하여 나노 입자를 이용한 도전성 나노 박막(12)이 형성되며 이 도전성 나노 박막(12)은 그 두께가 100㎚ 이하이므로 가시광선에 대하여 광투과성을 가짐에 따라 투명한 도전성 나노 박막(12)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극(14)은 상기 모재(10)의 상부에 도포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12)과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도전성 나노 박막(12)에 공급하므로 도전성 나노 박막(12)은 저항열에 의하여 본 발명의 투명 면상 히터의 발열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전극(14)이 상기 모재(10)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12)과 도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극(14)은 증착, 스크린 프린팅, 솔더링 또는 전도성 필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선(16)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전극(14)을 통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1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선(16)은 상기 전극(14)에 접속되도록 와이어 본딩, 솔더링 방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연 보호막(18)은 상기 모재(10) 상에 형성된 도전성 나노 박막(12), 전극(14) 및 상기 전극(14)과 도선(16)의 접속부(16a) 상에 형성되고 이들을 외부로부터 절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절연 보호막(18)은 유전체 산화물, 페릴린 나노입자, 고분자 필름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나노 입자, 유전체 산화물 또는 페릴린에 의한 절연 보호막(18)은 증착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나노 입자에 의한 절연 보호막(18)은 스프레이 코팅, 스핀 코팅 또는 디핑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특유의 구성에 의하면, 나노 입자는 액체 상태로 용매에 분산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액상의 특성에 의하여 대면적 모재(10)에 도포하기 용이하고 그 두께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동시에 분산액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된 도전성 나노 박막(12)의 도전율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있다.
또한, 가시광선의 파장은 400 내지 700㎚이고, 이러한 파장의 1/4 이하의 두께로 도전성 나노 박막(1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광투과성을 획득할 수 있다. 나노 입자는 대략 100㎚ 이하의 입경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 의한 나노 입자를 이용한 도전성 나노 박막(12)은 용이하게 광투과성을 획득할 수 있다.
더욱이, 투명 도전막은 나노 입자의 분산액을 도포하고 열처리 과정에서 형성되므로 나노 입자의 분산액이 도포되는 모재(10)의 표면 형상(편평한 표면, 만곡된 표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투명 도전막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시 상기 모재(10) 상에 형성될 도전성 나노 박막(12)과 도통될 수 있도록 전극(14)을 형성하고, 상기 나노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킨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상기 모재(10)에서 상기 전극(14)의 형성부분을 제외한 전체 표면에 도포한 후 상기 모재(10)를 열처리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12)을 형성시키고 상기 전극(14)에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16)을 연결한 후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12), 전극(14) 및 상기 도선(16)과 전극(14)의 접속부(16a) 상에 절연 보호막(18)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S100),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모재의 전체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S110),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상기 모재를 열처리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S120), 상기 모재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과 도통하는 전극을 부착하는 단계(S130), 상기 전극에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을 연결하는 단계(S140) 및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 전극 및 상기 도선과 전극의 접속부 상에 절연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S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노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S100)는 메탄올(CH3OH)과 수산화 나트륨(NaOH)이 혼합된 용매 또는 메탄올(CH3OH)과 수산화 칼슘(Ca(OH)2 )이 혼합된 용매 및 수용액 또는 벤젠(benzene) 등에 나노입자를 분산시키며, 상술한 메탄올과 수산화 나트륨(NaOH), 수산화 칼슘(Ca(OH)2)과 같은 용매는 50~200℃로 가열한 후 가열된 용매에 전구체로서 나노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ZnO 나노 입자 분산액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모재의 전체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S110)는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상기 모재(10)의 표면 전체에 도포하는 단계로 이 나노 입자 분산액은 메탄올을 포함하고 있고 낮은 점도로 인하여 상기 모재(10) 상에 용이하게 퍼지게 되면서 대면적 모재(10) 또한 균일한 두께로 용이하게 퍼지게 되므로 대면적 상에 균일한 두께로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모재의 전체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S110) 및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상기 모재를 열처리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S120)는 적어도 1회 이상 반복되어,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12)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상기 모재를 열처리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S120)는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모재(10)를 나노 입자의 녹는점 근처까지 열처리함으로써, 나노 입자 분산액의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러한 열처리 과정에 있어서 나노 입자는 그 입경이 작으므로 열처리 온도는 낮출 수 있다.
즉 나노 입자의 원재료를 나노 입자의 형태가 아닌 종래의 금속 박막 형성 방법에 따라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나노 입자 분산액을 이용하므로 도전성 나노 박막(1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열처리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모재(10)의 표면에 도포된 나노 입자 분산액을 열처리하기 위해서 상기 모재(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발열 플레이트 또는 오븐을 이용하여 200~400℃의 온도에서 실시된다.
상술한 열처리시 ZnO 나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하는 경우 250℃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결국, 나노 입자 분산액의 제조, 도포 및 열처리에 의하여 나노 입자를 이용한 도전성 나노 박막(12)이 형성되며 이 도전성 나노 박막(12)은 그 두께가 100㎚ 이하이므로 가시광선에 대하여 광투과성을 가짐에 따라 투명한 도전성 나노 박막(12)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모재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과 도통하는 전극을 부착하는 단계(S130)는 상기 모재(10)의 상부에 도포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12)과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도전성 나노 박막(12)에 공급하므로 도전성 나노 박막(12)은 저항열에 의하여 본 발명의 투명 면상 히터의 발열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전극(14)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전극(14)을 상기 모재(10)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12)과 도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극(14)은 증착, 스크린 프린팅, 솔더링 또는 전도성 필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에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을 연결하는 단계(S140)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전극(14)을 통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1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도록 도선(16)을 전극(14)에 접속부(16a)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도선(16)이 상기 전극(14)에 접속되도록 와이어 본딩, 솔더링 방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 전극 및 상기 도선과 전극의 접속부 상에 절연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S150)는 상기 모재(10) 상에 형성된 도전성 나노 박막(12), 전극(14) 및 상기 전극(14)과 도선(16)의 접속부(16a) 상에 형성되고 이들을 외부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해 절연 보호막(18)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절연 보호막(18)은 유전체 산화물, 페릴린 나노입자, 고분자 필름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나노 입자, 유전체 산화물 또는 페릴린에 의한 절연 보호막(18)은 증착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나노 입자에 의한 절연 보호막(18)은 스프레이 코팅, 스핀 코팅 또는 디핑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상기 투명 면상 히터는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저비용으로 효율적인 발열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모재(10)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대면적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선 제조방법과 유사하면서 순서가 바뀌며 그 순서는 모재 상에 형성될 도전성 나노 박막과 도통될 수 있도록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상기 모재의 상기 전극 형성부분을 제외한 전체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상기 모재를 열처리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에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 전극 및 상기 도선과 전극의 접속부 상에 절연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의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의 자세한 설명은 앞선 제조방법의 순서가 바뀐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파악되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경을 동반하는 모든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은 투명 발열체로서 나노 입자를 이용한 박막을 이용하게 되므로 그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도 대면적 상에 도전성 나노 박막 발열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면적의 투명 면상 히터를 이용하여 욕실 거울 표면의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고 자동차의 전면, 후면, 측면 유리 또는 후면경의 표면의 수증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유리 벽면의 수증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광투과성을 필요로 하지만 김서림 등에 의하여 광투과성이 방해되는 모재 상에 본 발명의 대면적 투명 면상 히터를 채용하는 경우 광투과성을 유지하면서도 모재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김서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2)

  1. 나노 입자를 이용한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나노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모재의 전체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상기 모재를 열처리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모재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과 도통하는 전극을 부착하는 단계;
    e) 상기 전극에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을 연결하는 단계; 및
    f)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 전극 및 상기 도선과 전극의 접속부 상에 절연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나노 입자는,
    메탄올(CH3OH)과 수산화 나트륨(NaOH) 또는 메탄올(CH3OH)과 수산화 칼슘(Ca(OH)2 )을 혼합하거나 수용액 또는 벤젠(benz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은,
    상기 나노 입자 혼합물이 분산된 용매를 50∼200℃로 가열하고 나노 입자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스핀 코팅(Spin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또는 디핑 코팅(Dipping coating) 중 어느 하나로 도포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열처리는 발열 플레이트 또는 오븐(Oven)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열처리는,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모재를 200∼400 ℃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c) 단계는 1회 이상 반복되어,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전극 형성은 증착,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솔더링(Soldering) 또는 전도성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의 도선은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또는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의 절연 보호막은 유전체 산화물, 페릴린(Phenylene), 나노 입자 박막 또는 고분자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11. 나노 입자를 이용한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모재 상에 형성될 도전성 나노 박막과 도통될 수 있도록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나노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c)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상기 모재의 상기 전극 형성부분을 제외한 전체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상기 모재를 열처리하여 도전성 나노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전극에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을 연결하는 단계; 및
    f)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 전극 및 상기 도선과 전극의 접속부 상에 절연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의 제조방법.
  12. 나노 입자를 이용한 투명 면상 히터에 있어서,
    투명하도록 형성되는 모재;
    상기 모재의 전체 표면에 나노 입자 분산액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형성되는 도전성 나노 박막;
    상기 모재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과 도통하도록 형성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전원을 접속하는 도선; 및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 전극 및 상기 도선과 전극의 접속부 상에 형성되는 절연 보호막;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편평형 또는 만곡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은,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의 나노 입자가 메탄올(CH3OH)과 수산화 나트륨(NaOH) 또는 메탄올(CH3OH)과 수산화 칼슘(Ca(OH)2 )을 혼합하거나 수용액 또는 벤젠(benz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은,
    상기 나노 입자 혼합물이 분산된 용매를 50∼200℃로 가열하고 나노 입자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은 스핀 코팅(Spin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또는 디핑 코팅(Dipping coating) 중 어느 하나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이 도포된 모재를 열처리할 수 있도록 발열 플레이트 또는 오븐(Oven)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의 열처리 온도는 200∼4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 터.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 박막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증착,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솔더링(Soldering) 또는 전도성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또는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보호막은 유전체 산화물, 페릴린(Phenylene), 나노 입자 박막 또 는 고분자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면상 히터.
KR1020070033694A 2007-04-05 2007-04-05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86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694A KR100861787B1 (ko) 2007-04-05 2007-04-05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694A KR100861787B1 (ko) 2007-04-05 2007-04-05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787B1 true KR100861787B1 (ko) 2008-10-08

Family

ID=4015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694A KR100861787B1 (ko) 2007-04-05 2007-04-05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7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08B1 (ko) 2008-11-10 2010-03-03 한국전기연구원 일액형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혼합액을 이용한 투명히터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조방법에 의한 투명히터
CN108251820A (zh) * 2018-03-09 2018-07-06 无锡博硕珈睿科技有限公司 自加热制品/材料的制造方法及制造设备
KR20200022876A (ko) 2018-08-24 2020-03-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나노섬유를 이용한 투명히터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773B1 (ko) 2001-10-18 2006-09-08 내셔날 인스티튜트 오브 어드밴스드 인더스트리얼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광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7094B1 (ko) 2006-09-29 2008-01-22 한국기계연구원 투명 히터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773B1 (ko) 2001-10-18 2006-09-08 내셔날 인스티튜트 오브 어드밴스드 인더스트리얼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광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7094B1 (ko) 2006-09-29 2008-01-22 한국기계연구원 투명 히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08B1 (ko) 2008-11-10 2010-03-03 한국전기연구원 일액형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혼합액을 이용한 투명히터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조방법에 의한 투명히터
CN108251820A (zh) * 2018-03-09 2018-07-06 无锡博硕珈睿科技有限公司 自加热制品/材料的制造方法及制造设备
KR20200022876A (ko) 2018-08-24 2020-03-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나노섬유를 이용한 투명히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540B1 (ko) 발열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6183518B2 (ja) 金属ナノワイヤー含有透明導電膜及びその塗布液
KR101004912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4237322B2 (ja) 導電性層のエッチング法
CN105761774A (zh) 一种可用于智能液晶调光膜的新型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983181A (zh) 加热件及其制备方法
KR102097861B1 (ko) 투명 발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756840A (zh) 一种耐高温柔性透明导电薄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Xian et al. A practical ITO replacement strategy: Sputtering‐free processing of a metallic nanonetwork
CN101983180A (zh) 加热件及其制备方法
WO2014133890A2 (en) Fused metal nanostructured networks, fusing solutions with reducing agents and methods for forming metal networks
US10149349B2 (en) Heat generating body
JP2017536657A (ja) 透明導電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37920B1 (ko) 투명필름히터 및 그의 제조방법
TWI364402B (ko)
KR20070005306A (ko) 면상 발열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면상 발열체
KR100861787B1 (ko) 투명 면상 히터 및 그 제조방법
US20090262175A1 (en) Heat generation shee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9819535B (zh) 一种高温服役银纳米线导电薄膜加热器的制备方法
CN103760695B (zh) 一种采用纳米银导电层的调光玻璃及其制造方法
WO2015010357A1 (zh) 一种自动除雾玻璃及制备方法
KR20100032237A (ko) 발열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26149B1 (ko) 투명 면상 발열체
CN217470312U (zh) 透明薄膜加热器及应用该透明薄膜加热器的产品
CN109805453B (zh) 一种基于金属纳米线的电子烟加热组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