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582B1 -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582B1
KR100861582B1 KR1020080012937A KR20080012937A KR100861582B1 KR 100861582 B1 KR100861582 B1 KR 100861582B1 KR 1020080012937 A KR1020080012937 A KR 1020080012937A KR 20080012937 A KR20080012937 A KR 20080012937A KR 100861582 B1 KR100861582 B1 KR 10086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unit
guide
suppl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가자마 이엔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자마 이엔티 (주) filed Critical 가자마 이엔티 (주)
Priority to KR102008001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10Equipment for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프레이의 사용시 의사의 시술 반경을 제한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환자를 진료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진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버튼부를 누름하는 것에 대응되게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약액 저장부로부터 약액이 노즐부를 통하여 분무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프레이부와, 상기 스프레이부의 약액저장부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압축공기를 저장시킴에 따른 공급가능하게 저장실을 갖는 압축공기 저장부와,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구비된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공급가능하도록 상기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에 대응되게 인터페이스부와 압축공기 공급부를 제어가능하게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에 압축공기가 저장됨에 따른 상기 스프레이부를 무선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이비인후과, 스프레이, 약액저장부, 무선, 압축공기

Description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Wireless Spray Apparatus For Medical}
본 발명은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환부에 약액을 분사시키기 위해 이비인후과에 사용되는 스프레이를 에어공급용 에어호스를 배제한 무선용 스프레이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료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환부에 약액을 분무시키기 위한 의료기구는 다수 찾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비인후과용 진료장치 및, 내시경용 진료장치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비인후과용 진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이비인후과용 진료장치(10)는 테이블(11)의 후단부에 고정바(12)를 통하여 환자 치료시 환부를 비추기 위한 헤드라이트(13) 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11)의 상면에는 진료시에 필요한 약 등을 보관하기 위한 시약병 보관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시약병 보관부(14)의 후단부에는 진료시 사용되는 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기구보관부(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11)의 전면 상부에는 환자의 치료시 발생되는 혈액 및 체액을 흡입하기 위한 석션기(16)가 구비된다.
상기 석션기(16)는 석션기 걸이대(17)에 의해 보관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석션기 걸이대(17)는 상기 석션기(16)를 사용하기 위한 석션기 걸이대(17)로부터 이탈시킴으로 석션기(16)의 동작이 온(on)되는 스위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석션기(16)는 석션호스(18)를 통하여 상기 테이블(11)에 내설된 미도시된 석션용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석션용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오물을 흡입시킴과 아울러 흡입된 오물은 상기 테이블(11)에 내설된 흡입병(미도시)으로 이송되어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1)의 상면 전단부에는 환자 진료시 환자의 환부에 약액을 분사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스프레이(19)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스프레이(1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겸용의 약액저장부(19a)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스프레이 본체(19b)에 연결된 분사관(19c)을 환자의 환부에 근접시켜 상기 스프레이 본체(19b)의 후단에 구비된 버튼(19d)을 누르면 밸브(19e)가 개방되고 에어튜브로부터 스프레이 본체(19b)에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 어 액약이 저장된 약액저장부(19a)와 분사관에 압축공기를 송입함으로써 약액저장부(19a)에 저장된 약액이 분사관을 통하여 공기에 의해 분무상태로 분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는 테이블(11)에 실장된 압축공기 공급펌프로부터 압축공기 공급용 에어튜브(20)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이비인후과용 진료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를 진료 치료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환자가 진료용 의자에 앉게 되면, 시술자 즉, 의사는 헤드라이트(13)를 점등시켜 환자의 환부를 직접 비추면서 상기 스프레이(19)를 이용하여 약액을 환부에 분사시킴과 아울러, 상기 약액 및 치료시에 발생되는 혈액 및 체액을 포함한 오물을 석션기(16)를 사용하여 흡입시키면서 치료를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이비인후과용 진료장치의 스프레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본체에 항상 압축공기 공급용 에어튜브가 연결되어 사용하게 되므로, 시술자(의사)가 환자를 시술함에 있어서, 활동(시술) 반경이 제한되어 환사 치료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스프레이는 스프레이 본체에 항상 압축공기 공급용 에어튜브가 연결되어 사용하게 되므로 1회사용에 따른 테이블에 보관시킨 후 재사용하여야 하므로 스프레이를 사용함에 따른 진료 및 치료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공기 공급용 호스를 배제가능하도록 압축공기를 저장가능한 압축공기 저장부를 일체로 갖춤으로써 스프레이의 사용시 의사의 시술 반경을 제한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환자를 진료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무선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또 다른 목적은, 압축공기 공급용 호스를 배제가능하도록 압축공기를 저장가능한 압축공기 저장부를 일체로 갖춤으로써, 환자 진료에 대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의료용 무선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에 실장된 압축공기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여 약액을 환자의 환부에 분사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스프레이 장치에 있어서, 버튼부를 누름하는 것에 대응되게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약액 저장부로부터 약액이 노즐부를 통하여 분무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프레이부와, 상기 스프레이부의 약액저장부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압축공기를 저장시킴에 따른 공급가능하게 저장실을 갖는 압축공기 저장부와,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구비된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값 에 대응되게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공급가능하도록 상기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에 대응되게 인터페이스부와 압축공기 공급부를 제어가능하게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에 압축공기가 저장됨에 따른 상기 스프레이부를 무선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는, 상기 테이블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인터페이스부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한 이물질 제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압축공기유로 및 약액유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약액을 저장시켜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약액저장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압축공기 유로를 막음시키기 위해 볼과 복원스프링이 내설되어 구비되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압축공기 유로를 누름에 대응되게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버튼부와, 상기 밸브부와 일단이 연통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버튼부의 누름에 대응되게 압축공기 공급에 의해 상기 약액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을 분무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노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는, 상기 스프레이부의 약액저장부를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는 상기 스프레이부의 연결부와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갖는 "U"자 단면형상의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을 내벽과 이격되게 수용 하여 상면은 막음되고 저면에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유입 저장가능하도록 형성된 외부하우징을 갖는 이중관 형상의 저장용 하우징과, 상기 저장용 하우징의 외부하우징 하단부에 오링을 개재시켜 기밀 유지가능하게 결합 연결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삽입 안착됨에 따른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실로 공급 및 저장 완료됨에 따른 저장된 압축공기의 누출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장용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테이블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를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의 인,입출을 감지가능하도록 서로 마주 보게 한 쌍으로 고정 구비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수용부재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를 흡인시킴과 아울러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공기 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에 따르면, 압축공기 공급용 호스를 배제가능하도록 압축공기를 저장가능한 압축공기 저장부를 일체로 갖는 무선(압축공기 공급용 호스 배제)으로 구성된 스프레이의 사용시 의사의 시술 반경을 제한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에 따르면, 압축공기 공급용 호스를 배제가능하도록 압축공기를 저장가능한 압축공기 저장부를 일체로 갖는 무선(압축공기 공급용 호스 배제)으로 구성된 스프레이의 사용시, 환자 진료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스프레이 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리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100)는, 테이블(T)에 실장된 압축공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여 버튼부의 누름에 대응되게 약액을 환자의 환부에 분사가능하도록 에어공급 호스가 배제된 무선화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100)는, 버튼부(114)를 누름하는 것에 대응되게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약액 저장부(112)로부터 약액이 노즐부(116)를 통하여 분무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프레이부(110)와, 상기 스프레이부(110)의 약액저장부(112)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압축공기를 저장시킴에 따른 공급가능하게 저장실(132b)을 갖는 압축공기 저장부(130)와,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구비된 감지센서(153)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압축공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공급가능하도록 상기 테이블(T)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150)와, 상기 감지센서(153)로부터 센싱된 값에 대응되게 인터페이스부(150)와 압축공기 공급부(200)를 제어가능하게 구비되는 제어부(17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100)에는 테이블(T)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대응되게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인터페이스부(150)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한 이물질 제거수단(190)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100)의 스프레이부(1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유로 및 약액유로를 갖는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의 저면에 약액을 저장시켜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약액저장부(112)와, 상기 본체(111)의 외주면에 압축공기 유로를 막음시키기 위해 볼과 복원스프링(미도시)이 내설되어 구비되는 밸브부(113)와, 상기 밸브부(113)에 일단이 삽입되어 압축공기 유로를 누름에 대응되게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버튼부(114)와, 상기 밸브부(113)와 일단이 연통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115)와, 상기 본체(111)의 상단에 버튼부(114)의 누름에 대응되게 압축공기 공급에 의해 상기 약액저장부(112)에 저장된 약액을 분무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노즐부(1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약액저장부(112)와 연결부(115)에는 각각 기밀을 유지하여 약액과 압축공기의 누출을 방지가능하도록 미도시된 오링이 개재되어 구비된다.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는, 상기 스프레이부(110)의 약액저장부(112)를 수용함에 따른 압축공기를 저장 및 공급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는,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중앙부에 상기 스프레이부(110)의 약액저장부(112)를 수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형상의 수용부(131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 선단부에는 외주면 상부와 이격 거리를 갖도록 외향 및 하향 절곡 연장된 연결편(131b)이 형성된 "U"자 단면형상의 내부하우징(131)과, 상기 내부하우징(131)의 연결편(131b) 내주면에 그 외주면 상부가 기밀 유지가능하게 예컨대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삽입 안착됨에 따른 압축공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 및 스프레이부(110)로 공급가능하도록 저면에 유입홀(132a)이 형성된 저장실(132b)을 갖는 외부하우징(132)으로 구성된 이중관 형상의 저장용 하우징(133)과, 상기 저장용 하우징(133)의 외부하우징(132) 저면과 오링을 개재시켜 기밀 유지가능하게 결합 연결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삽입 안착됨에 따른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실(132b)로 공급 및 저장 완료됨에 따른 저장된 압축공기의 누출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장용밸브(134)로 이루어진다(도 6참조).
또한, 상기 내부하우징(131)의 상면에는 일단이 상기 저장실(132b)과 연통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레이부(110)가 내부하우징(131)의 수용부(131a)로 수용됨에 따른 연결부(115)를 기밀 유지가능하게 수용 연결시켜 압축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연결부재(13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하우징(132)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저장용밸브(134)와 오링을 개재시켜 기밀유지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나사부(132c)가 형성된다.
상기 저장용밸브(13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하우징(132)의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32c)와 기밀 유지가능하게 결합 연결되어 인터페이스부(150)에 삽입 안착됨에 따른 압축공기의 공급에 대응되게 유입홀(132a)를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첨부된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밸브(134)는 상기 외부하우징(132)의 저장실(132b) 바닥면에 오링을 개재시켜 삽입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된 개폐용 판(135)과, 상기 개폐용 판(135)의 저면에 상기 유입홀(132a)을 관통함에 따른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중심축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안내가능하도록 압축공기 공급홈(136a)이 요설되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홈(136a)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저장실(132b)로 공급시키도록 상기 개폐용 판(135)의 하단 외주면에 공급홀(136b)이 형성된 공급용 돌기(136)를 갖는 "T"자 단면 형상의 체크부재(137)와, 상기 외부하우징(132)의 나사부(132c)와 나사 결합됨에 따른 상기 체크부재(137)의 공급용 돌기(136)를 중앙부로 관통시켜 상,하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삽입됨에 따른 후술할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부재와 공급용돌기(136)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면 내주면에는 나사부(138a)가 형성된 결합홈(도면부호 생략)을 요설하고, 상기 결합홈의 중앙부에는 연결홀(138b)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재(1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저장용밸브(134)가 결합된 압축공기 저장부(130)가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홀(151d,151e,151f)(감지센서용 고정홀과 지지용홀 및 이물질 제거용 홀)이 일정 간격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T)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재(151)와, 상기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홀(151e)을 통하여 내부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재(151)로 수용되는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외주면을 가압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부재(152)와, 상기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지센서용 고정홀(151d)에 서로 마주 보도록 고정되어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삽입 여부를 감지함에 따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인가하기 위해 구비되는 한 쌍의 감지센서(153)와, 상기 수용부재(151)의 하부에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가 수용됨에 따른 제어부(170)의 제어에 대응되게 자기장에 의한 인력(引力)으로 상기 체크부재(137)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공기 안내부(15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수용부재(151)는 중앙부에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가 삽입됨 에 따른 저장용밸브(134)가 일부 돌출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형상의 수용홀(151a)이 형성되고, 상면 선단부에는 테이블(T)에 삽입 걸림되도록 외향 연장된 걸림부(151b)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도면 부호 생략)가 형성된 고정링(155)을 매개로 상기 테이블(T)에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를 압착 고정시키도록 고정용 나사부(151c)가 형성되며, 그리고 외주면 중앙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감지센서용 고정홀(151d)과, 상기 감지센서용 고정홀(151d)과 서로 직교되는 위치에 지지용홀(151e) 및 이물질 제거용 홀(151f)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151f)은 수용부재(151)의 내부 바닥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52)는 탄성력을 갖는 직사각형의 밴드로 형성되어 스크류를 매개로 상기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판(152a)과, 상기 지지판(152a)의 타단에 구비되어 지지판(152a)이 고정 설치됨에 따른 상기 지지용홀(151e)을 소정량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재(151)로 수용되는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외부하우징(132)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구름 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볼베어링(152b)으로 이루어진다(도 4 및 도 6 참조).
상기 감지센서(153)는,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한 쌍으로 형성된 감지센서용 고정홀(151d)에 각각 고정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재(151)의 수용홀(151a)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를 감지가능하도록 광센서로 구비된다.
상기 압축공기 안내부(154)는, 상기 수용부재(151)의 하부에 일단이 수용되 어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되, 타단 내부면에는 나사부(1541a)가 형성된 중공의 커버(1541)와, 상기 커버(1541)에 내설되어 상기 감지센서(153)가 센싱에 따른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대응되게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중공의 원기둥체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전자코일부(1542)와, 상기 전자코일부(1542)의 중앙부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1541)의 나사부(1541a)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외면에는 고정나사부(1543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저장용밸브(134)의 끝단 일부를 수용가능하도록 홈(1543b)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나사홈(1543c)이 형성되되, 상기 홈(1543b)과 나사홈(1543c)은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에 의해 연통가능하게 형성된 고정체(1543)와, 상기 고정체(1543)의 나사홈(1543c)에 압축공기의 공급 차단 및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유입에 따른 공급을 위한 개방가능하도록 오링을 개재시켜 걸림되게 형성된 안내판(1544)과, 상기 안내판(1544)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을 관통함에 따른 상,하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압축공기를 안내가능하도록 중심축 방향으로 압축공기 안내용 안내홈(1545a)이 요설되고, 상기 압축공기 안내용 안내홈(1545a)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안내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판의 상단 외주면에 안내홀(1545b)이 형성된 공급용 안내돌기(1545)를 갖는 "ㅗ"자 단면 형상의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부재(1546)와, 상기 고정체(1543)의 나사홈(1543c)에 나사 결합되어 압축공기 공급부(200)와 연결된 공급호스(H)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안내부재(1546)로 안내시키도록 외주면 상부에 체결나사부(도면 부호 생략)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외주면에 상기 공급호스(H)와 고정 연결된 홀(1547a)과 연통되도록 중심축 방향으로 홈(1547b)이 형성된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체결부(1547)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19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수용부재(151)의 내측 바닥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로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테이블(T)에 구비되는 온/오프 스위치(191)와, 상기 온/오프 스위치(191)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대응되게 압축공기를 공급 차단시키도록 상기 공급호스(H) 도중에 분기되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밸브(192)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용 홀(151f)에 연결 구비되는 이물질제거용 호스(19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의료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메인 전원용스위치를 온(ON) 시킨다. 상기 전원스위치가 온(ON)됨에 따른 의료장치의 기구들과 함께 압축공기 공급부가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의료장치가 사용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에 고정링(155)에 의해 고정 구비된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스프레이부(110)의 본체(111)를 파지한 후 이탈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레이부(110)가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이탈되면, 의사는 약액저장부(112)를 수용하여 연결부(115)와 연결되어 무선화된 압축공기 저장 부(130)를 파지한 후, 환자의 환부에 스프레이부(110)의 노즐부(116)를 근접시켜 버튼부(114)를 누름시킨다.
상기 버튼부(114)의 누름으로 밸브부(113)가 개방되고 그로 인하여 압축공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연결부재(139)와 연결부(115)를 통하여 스프레이부(110)의 본체(111)로 이송됨으로써 내부하우징(131)에 형성된 수용부(131a)에 수용된 약액저장부(112)의 약액이 노즐부(116)를 통하여 분사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스프레이부(110)를 다수번 사용중에 압축공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모두 소모되면, 테이블(T)에 고정 설치된 인터페이스부(150)의 수용부재(151)에 형성된 수용홀(151a)로 삽입 안착시킨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의 수용부재(151)에 형성된 수용홀(151a)로 상기 스프레이부(110)가 연결된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가 삽입 안착되면, 상기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구비된 감지센서(153)가 수용됨을 감지하여 제어부(170)로 감지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감지센서(153)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대응되게 압축공기 안내부(154)의 전자코일부(1542)로 전원을 인가시킨다.
전원이 인가됨에 따른 상기 전자코일부(1542)에는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수용부재(151)의 수용홀(151a)로 수용되는 압축공기 저장부(130)는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어 수용되어 진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외주면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의 수용부재(151)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판(152a)의 타단에 구비된 볼베어링(152b)에 의 해 가압 지지되면서 보다 안정되게 수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152)의 볼베어링(152b)에 의해 압축공기 저장부(130)가 수용부재(151)의 수용홀(151a)에 안정되게 흡인 수용되면, 저장용 밸브(134)의 체크부재(137)와 압축공기 안내부(154)의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부재(1546)가 연통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저장용 밸브(134)가 압축공기 안내부(154)의 고정체(1543) 상면에 형성된 홈(1543b)에 수용되면,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유입홀(132a)을 개폐가능하도록 체결부재(138)가 연결홀(138b)에 가이드 구비된 체크부재(137)의 공급용 돌기(136)가 고정체(1543)의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을 관통하여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부재(1546)의 공급용 안내돌기(1545) 상면과 접촉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상기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부재(1546)의 공급용 안내돌기(1545)는 하향 이동되고 아울러, 상기 체크부재(137)의 공급용 돌기(136)는 상향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과 유입홀(132a)이 동시에 개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과 유입홀(132a)이 개방됨으로 인해 압축공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체결부(1547)의 홀(1547a)과 홈(1547b)을 통하여 고정체(1543)의 나사홈(1543c)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나사홈(1543c)측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부재(1546)의 안내홀(1545b) 및 안내홈(1545a)과 상기 안내홈(1545a)과 연통되게 연결된 체크부재(137)의 압축공기 공급홈(136a)과 공급홀(136b)을 통하여 수용부재(151)의 수용홀(151a)에 수용된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저장실(132b)로 공급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에 압축공기가 저장된 스프레이부(110)를 사용하고자 사용자 즉, 의사가 인터페이스부(150)의 수용부재(151)에 수용된 압축공기 저장부(130)를 인출시키게 되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된 상기 체크부재(137)의 공급용 돌기(136)와 고정체(1543)의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을 관통하여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부재(1546)의 공급용 안내돌기(1545)가 서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용 안내돌기(1545)는 압축공기 공급부(200)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압축공기로 인하여 상향 이동함으로써 고정체(1543)의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을 막음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의 수용부재(151)로부터 이탈된 스프레이부(110)를 수용하고 있는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유입홀(132a)은 저장된 압축공기에 의해 체크부재(137)의 개폐용판(135)이 막음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저장된 압축공기는 누출되지 않아 스프레이부(110)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측으로 압축공기를 저장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150)의 수용부재(151)에 형성된 수용홀(151a)로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를 수용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압축공기가 저장되어 지며, 압축공기 저장부(130)에 압축공기가 저장된 스프레이부(110)를 사용하고자 인터페이스부(150)의 수용홀(151a)로부터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를 이탈시키게 되면, 체크부재(137)의 개폐용판(135)에 의해 유입홀(132a)이 자동적으로 막음되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압축공기를 저장시킴에 따른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100)로 인하여 보다 자유롭게 스프레이부(11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환자를 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프레이부(110)를 사용하는 중에 인터페이스부(150)의 수용부재(151) 바닥면에 이물질이 적층되면, 테이블(T)에 구비된 이물질 제거수단(190)의 온/오스 스위치(191)를 조작함으로써 압축공기가 이물질 제거용 호스(193)와, 상기 이물질 제거용 호스(193)와 연결된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용 홀(151f)을 통하여 상기 수용부재(151)의 바닥면측으로 분사되므로 간편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비인후과용 진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이비인후과용 진료장치의 스프레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리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의 압축공기 저장부와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7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 스프레이 장치 110 ; 스프레이부
130 ; 압축공기 저장부 150 ; 인터페이스부
170 ; 제어부 190 ; 이물질 제거수단

Claims (15)

  1. 테이블(T)에 실장된 압축공기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여 약액을 환자의 환부에 분사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스프레이 장치에 있어서,
    버튼부(114)를 누름하는 것에 대응되게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약액 저장부(112)로부터 약액이 노즐부(116)를 통하여 분무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프레이부(110)와;
    상기 스프레이부(110)의 약액저장부(112)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압축공기를 저장시킴에 따른 공급가능하게 저장실(132b)을 갖는 압축공기 저장부(130)와;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구비된 감지센서(153)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압축공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공급가능하도록 상기 테이블(T)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150)와;
    상기 감지센서(153)로부터 센싱된 값에 대응되게 인터페이스부(150)와 압축공기 공급부(200)를 제어가능하게 구비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에 압축공기가 저장됨에 따른 상기 스프레이부(110)를 무선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100)는, 상기 테이블(T)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대응되게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인터페이스부(150)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한 이물질 제거수단(19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110)는, 압축공기유로 및 약액유로를 갖는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의 저면에 약액을 저장시켜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약액저장부(112)와, 상기 본체(111)의 외주면에 압축공기 유로를 막음시키기 위해 볼과 복원스프링이 내설되어 구비되는 밸브부(113)와, 상기 밸브부(113)에 일단이 삽입되어 압축공기 유로를 누름에 대응되게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버튼부(114)와, 상기 밸브부(113)와 일단이 연통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115)와, 상기 본체(111)의 상단에 버튼부(114)의 누름에 대응되게 압축공기 공급에 의해 상기 약액저장부(112)에 저장된 약액을 분무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노즐부(1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는, 상기 스프레이부(110)의 약액저장부(112)를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는 상기 스프레이부(110)의 연결부(115)와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139)를 갖는 "U"자 단면형상의 내부하우징(131)과, 상기 내부하우징(131)을 내벽과 이격되게 수용하여 상면은 막음되고 저면에는 유입홀(132a)이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유입 저장가능하도록 형성된 외부하우징(132)을 갖는 이중관 형상의 저장용 하우징(133)과, 상기 저장용 하우징(133)의 외부하우징(132) 하단부에 기밀 유지가능하게 결합 연결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삽입 안착됨에 따른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실(132b)로 공급 및 저장 완료됨에 따른 저장된 압축공기의 누출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장용밸브(1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테이블(T)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를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용부재(151)와, 상기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인,입출을 감지가능하도록 서로 마주 보게 한 쌍으로 고정 구비되는 감지센서(153)와, 상기 수용부재(151)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를 흡인시킴과 아울러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공기 안내부(1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131)은, 상면 중앙부에 상기 스프레이부(110)의 약액저장부(112)를 수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형상의 수용부(131a)가 형성되고, 상면 선단부에는 외주면 상부와 이격 거리를 갖도록 외향 및 하향 절곡 연장된 연결편(131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132)은, 상기 내부하우징(131)의 연결편(131b) 내주면에 그 외주면 상부가 기밀 유지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른 압축공기를 저장가능하도록 저장실(132b)이 형성되고, 외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저장용밸브(134)를 나사 결합 연결시키도록 나사부(132c)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밸브(134)는, 상기 외부하우징(132)에 형성된 유입홀(132a)을 압축공기의 공급에 대응되게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체크부재(137)와, 상기 외부하우징(132)의 나사부(132c)와 나사 결합됨에 따른 상기 체크부재(137)를 중앙부로 관통시켜 상,하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도록 중앙부에는 연결홀(138b)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재(1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재(137)는, 일단이 상기 저장실(132b) 바닥면에 걸림가능하도록개폐용 판(135)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판(135)의 저면에 상기 유입홀(132a)을 관통함에 따른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중심축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안내가능하도록 압축공기 공급홈(136a)이 요설되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홈(136a)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저장실(132b)로 공급시키도록 상기 개폐용 판(135)의 하단 외주면에 공급홀(136b)이 형성된 공급용 돌기(136)를 갖는 "T"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151)는, 중앙부에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가 삽입됨에 따른 저장용밸브(134)가 일부 돌출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형상의 수용홀(151a)이 형성되고, 상면 선단부에는 테이블(T)에 삽입 걸림되도록 외향 연장된 걸림 부(151b)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링(155)을 매개로 상기 테이블(T)에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를 압착 고정시키도록 고정용 나사부(151c)가 형성되며, 외주면 중앙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감지센서용 고정홀(151d)과, 상기 감지센서용 고정홀(151d)과 서로 직교되는 위치에 지지용홀(151e) 및 이물질 제거용 홀(151f)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151f)은 수용부재(151)의 내부 바닥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53)는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한 쌍으로 형성된 감지센서용 고정홀(151d)에 각각 고정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재(151)의 수용홀(151a)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를 감지가능하도록 광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안내부(154)는, 상기 수용부재(151)의 하부에 일단이 수용되어 고정되되, 타단 내부면에는 나사부(1541a)가 형성된 중공의 커버(1541)와, 상기 커버(1541)에 내설되어 상기 감지센서(153)가 센싱에 따른 상기 제어부(170)의 제 어에 대응되게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전자코일부(1542)와, 상기 전자코일부(1542)의 중앙부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1541)의 나사부(1541a)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외면에는 고정나사부(1543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저장용밸브(134)의 끝단 일부를 수용가능하도록 홈(1543b)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나사홈(1543c)이 형성되되, 상기 홈(1543b)과 나사홈(1543c)은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에 의해 연통가능하게 형성된 고정체(1543)와, 상기 고정체(1543)의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을 압축공기 저장부의 수용에 대응되게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부재(1546)와, 상기 고정체(1543)의 나사홈(1543c)에 나사 결합되어 압축공기 공급부(200)와 연결된 공급호스(H)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안내부재(1546)로 안내시키도록 외주면 상부에 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외주면에 상기 공급호스(H)와 고정 연결된 홀(1547a)과 연통되도록 중심축 방향으로 홈(1547b)이 형성된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체결부(154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부재(1546)는, 상기 고정체(1543)의 나사홈(1543c)에 압축공기의 공급 차단 및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유입에 따른 공급을 위한 개방가능하도록 오링을 개재시켜 걸림되게 형성된 안내판(1544)과, 상기 안내판(1544)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공기 공급용 안내홀(1543d)을 관통함 에 따른 상,하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압축공기를 안내가능하도록 중심축 방향으로 압축공기 안내용 안내홈(1545a)이 요설되고, 상기 압축공기 안내용 안내홈(1545a)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안내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판의 상단 외주면에 안내홀(1545b)이 형성된 공급용 안내돌기(1545)를 갖는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151)에는, 수용되는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가능하도록 외주면 하단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력을 갖는 지지판(152a)과, 상기 지지판(152a)의 타단에 구비되어 지지판(152a)이 고정 설치됨에 따른 상기 지지용홀(151e)을 소정량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재(151)로 수용되는 압축공기 저장부(130)의 외부하우징(132)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구름 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볼베어링(152b)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5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190)은,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수용부재(151)의 내측 바닥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로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테이블(T)에 구비되는 온/오프 스위치(191)와, 상기 온/오프 스위치(191)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대응되게 압축공기를 공급 차단시키도록 상기 공급호스(H) 도중에 분기되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밸브(192)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부재(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용 홀(151f)에 연결 구비되는 이물질제거용 호스(19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KR1020080012937A 2008-02-13 2008-02-13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KR10086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937A KR100861582B1 (ko) 2008-02-13 2008-02-13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937A KR100861582B1 (ko) 2008-02-13 2008-02-13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582B1 true KR100861582B1 (ko) 2008-10-14

Family

ID=4015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937A KR100861582B1 (ko) 2008-02-13 2008-02-13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5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75B1 (ko) * 2011-02-10 2013-02-15 (주)참메드 의료용 스프레이 장치
CN104721925A (zh) * 2015-03-17 2015-06-24 吉林大学 一种不易堵塞的便捷式耳鼻喉给药器
KR20210017263A (ko) 2019-08-07 2021-02-17 서문원 감염방지를 위한 의료용 스프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712A (ja) * 1991-12-25 1993-07-02 Nagashima Ika Kikai Kk 医療用ホースレス・スプレーおよびそのエアチャージャー
JPH08280806A (ja) * 1995-04-13 1996-10-29 Nagashima Ika Kikai Kk 医療用ホースレス型スプレー装置
KR970073737A (ko) * 1996-05-22 1997-12-10 나가시마 신로쿠로 호스없는 스프레이 장치
KR20030074037A (ko) * 2002-03-15 2003-09-19 (주)메가메디칼 의료용 스프레이 장치
KR20040066457A (ko) * 2003-01-18 2004-07-27 홍재의 초미립자의 분무기능을 갖는 비염치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712A (ja) * 1991-12-25 1993-07-02 Nagashima Ika Kikai Kk 医療用ホースレス・スプレーおよびそのエアチャージャー
JPH08280806A (ja) * 1995-04-13 1996-10-29 Nagashima Ika Kikai Kk 医療用ホースレス型スプレー装置
KR970073737A (ko) * 1996-05-22 1997-12-10 나가시마 신로쿠로 호스없는 스프레이 장치
KR20030074037A (ko) * 2002-03-15 2003-09-19 (주)메가메디칼 의료용 스프레이 장치
KR20040066457A (ko) * 2003-01-18 2004-07-27 홍재의 초미립자의 분무기능을 갖는 비염치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75B1 (ko) * 2011-02-10 2013-02-15 (주)참메드 의료용 스프레이 장치
CN104721925A (zh) * 2015-03-17 2015-06-24 吉林大学 一种不易堵塞的便捷式耳鼻喉给药器
CN104721925B (zh) * 2015-03-17 2018-05-18 吉林大学 一种不易堵塞的便捷式耳鼻喉给药器
KR20210017263A (ko) 2019-08-07 2021-02-17 서문원 감염방지를 위한 의료용 스프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69B1 (ko) 의료용 세정 석션장치
JP7386926B2 (ja) 流体収集システム
US8182419B2 (en) Endoscope with suctioning means
US8540688B2 (en) Vacuum generation device for vacuum treatment of wounds
JP4730587B2 (ja) 携帯内視鏡
ES2574027T3 (es) Métodos y dispositivos para fluidos de nebulización
KR20150079766A (ko) 진공원을 구비한 이동 카트와 석션 펌프에 결합된 폐기물 컨테이너를 구비한 이동 카트를 포함하는 의료 및 수술 폐기물용 폐기물 수집 시스템
KR100861582B1 (ko) 의료용 무선 스프레이 장치
US20120316395A1 (en) Fluid nozzle unit and endoscope
JP6401423B1 (ja) 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のリーク検知処理方法
JP6002703B2 (ja) 内視鏡用吸引管路切換装置及び内視鏡
US8366834B2 (en)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JP2013233957A (ja) 噴霧装置における液漏れ防止構造
US20120283517A1 (en) Instrument handle for a medical diagnostic light, medical diagnostic light and medical diagnostic device
JP2006280536A (ja) 内視鏡
KR20090087605A (ko) 이비인후과용 의료장치
KR100968276B1 (ko) 벽걸이형 의료장치
JP4199445B2 (ja) 内視鏡用送気・送液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携帯用内視鏡
JP2873295B2 (ja) 医療用ホースレス型スプレー装置
JP4102175B2 (ja) 医療機器用高圧蒸気滅菌システム及びその滅菌装置、並びにその滅菌方法
JP2003284675A (ja) カバー式内視鏡
JP3814174B2 (ja) 携帯内視鏡
JP4074190B2 (ja) 内視鏡装置
WO2019225153A1 (ja) 内視鏡再生処理具
US20210361851A1 (en) Device for cleaning liquid from an eye of a su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