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103B1 - 휀스 - Google Patents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103B1
KR100860103B1 KR1020060010627A KR20060010627A KR100860103B1 KR 100860103 B1 KR100860103 B1 KR 100860103B1 KR 1020060010627 A KR1020060010627 A KR 1020060010627A KR 20060010627 A KR20060010627 A KR 20060010627A KR 100860103 B1 KR100860103 B1 KR 10086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ence
roller
feed roll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743A (ko
Inventor
나상철
Original Assignee
나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상철 filed Critical 나상철
Priority to KR102006001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1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09F11/2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the elements being flexibl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로와 인도 사이를 구획하거나 또는 추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의 측단에 설치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도로와 교량의 미관을 개선하고, 특히 도시나 도로의 특화된 상징물, 광고물 또는 캠페인물 등을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는 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상호 소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휀스부로 구성된 휀스(10)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0)는 내부에 중공을 갖으며, 전면 및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30)를 갖는 한편, 내부 중공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2개 이상의 게시물 이송롤러(31) 및 게시물이송롤러(31)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수단(32)가 설치되며, 투명한 판으로서 상기 개구부(30)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보호판(23)으로 구성되는 게시물 설치부(21)이 마련되고, 양단부가 상호 접합된 순환시트로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에 팽팽하게 걸쳐져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의 회전에 연동하여 순환되어 개구부(30)를 통하여 게시되는 게시물(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휀스, 도로, 교량, 포스트, 휀스부, 상징물

Description

휀스{A f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설치상태를 일 실시예로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설치상태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휀스부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1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2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3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4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5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6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7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제어부와 다른 전기적 구성요소들의 상호 유기적 연관관계를 예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휀스 20: 포스트
21, 51: 게시물설치부 22, 52: 설치면
23, 53: 보호판 24: 조명구설치공
25: 조명구 30: 개구부
31: 게시물이송롤러 32: 롤러회전수단
33: 중간부재 34: 롤러회전레버
35: 구동모터 50: 휀스부
60: 게시물 70: 조명램프
80: 광감지센서 90: 타이머
100: 제어부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로와 인도 사이를 구획하거나 또는 추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의 측단 및 열차 등의 프랫폼의 측단 에 설치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도로, 교량 및 프랫폼 등의 미관을 개선하고, 특히 도시나 도로의 특화된 상징물, 광고물 또는 캠페인물 등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게시물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도로 및 교량용 휀스는 조명, 게시물 또는 상징물의 설치부 없이 일반적인 휀스용도의 구조만을 갖도록 제작되어 단지 안전사고방지의 기능만을 갖고 있어 도로 또는 교량의 외관을 꾸미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상징물을 설치한 경우에도 주물제작 등을 통하여 휀스를 주문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매우 높고 유지보수비용도 높아 각 지방의 이미지 및 특산품 등을 특화시켜 지방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지방자치행정에 많은 부담을 주고 있으면서도 도로 및 교량의 외관을 장식하는 기능은 매우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차로와 인도 사이를 구획하거나 또는 추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의 측단, 열차 등의 프랫폼에 설치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도로, 교량 및 프랫폼의 미관을 개선하고, 특히 도시나 도로의 특화된 상징물, 광고물 또는 캠페인물 등을 미려하고 용이하게 설치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게시물을 교체할 수 있는 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소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휀스부로 구성된 휀스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내부에 중공을 갖으며, 전면 및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한편, 내부 중공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2개 이상의 게시물 이송롤러 및 게시물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수단가 설치되며, 투명한 판으로서 상기 개구부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보호판으로 구성되는 게시물 설치부이 마련되고, 양단부가 상호 접합된 순환시트로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에 팽팽하게 걸쳐져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순환되어 개구부를 통하여 게시되는 게시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휀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설치상태를 일 실시예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설치상태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휀스부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1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2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3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4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5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6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포스트의 제 7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중 제어부와 다른 전기적 구성요소들의 상호 유기적 연관관계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휀스(10)는 포스트(20)와 휀스부(30)와, 게시물(60)로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20) 및 휀스부(30)는 양측 모두의 전후면 또는 전면 또는 후면중 어느 한 면이나 또는 포스트(20)와 휀스부(30)중 어느 한쪽의 전후면 또는 전면 또는 후면중 어느 한면에 게시물설치부(21)(51)를 갖으며, 상기 게시물(60)은 요구되는 문양 및 문자가 인쇄된 시트로써 상기 설치면(22)(52)과 보호판(23)(53) 사이에 인입되어 게시된다.
상기 포스트(20) 및 휀스부(50) 이거나 또는 둘 중 어느 하나는 전면 및 후면 또는 전후면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게시물설치부(21)(51)와, 상기 게시물 설치부(21)(51)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게시물(60)은 요구되는 문양 및 문자가 인쇄된 시트로써 상기 게시물설치부(21)(51)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게시물설치부(21)(51)는 설치면(22)(52)과 보호판(23)(53)으로 구성되며, 상기 게시물(60)은 상기 설치면(22)(52)과 보호판(23)(53) 사이에 인입되어 게시된다.
상기 설치면(22)(52)은 포스트(20) 및 휀스부의 전후면 또는 일측면에 내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연부를 따라 다수개의 볼트공을 갖는다.
상기 보호판(23)(53)은 투명한 판으로써, 상기 설치면상에 적층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포스트(20)의 게시물설치부(21)는 개구부(30)와, 게시물이송롤러(31)와 롤러회전수단(32)과, 보호판(23)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20)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다.
상기 개구부(30)는 상기 포스트(20)의 전후면 또는 전면 및 후면중 어느 한 면에 고정크기와 형상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는 2개 이상을 구비하는데 상기 포스트(20)의 내부 중공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시물(60)을 이송시켜 상기 개구부(30)로 보여지는 게시물(60)을 교체하며,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구동을 위한 기어부(31a)를 구비한다.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포스트(20)의 내부 중공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기 게시물(60)을 횡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게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롤러회전수단(32)은 요구되는 시기에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를 회전시켜 게시물(60)을 교체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부재(33)와 롤러회전레버(34)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부재(33)는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의 기어부(31a)와 치합되는 기어부(33a)와, 포스트(20)의 외표면에 돌출되는 조립돌기(33b)를 갖고 회전가능하게 포스트(20)의 내측면에 내장된다.
상기 롤러회전레버(34)는 상기 중간부재(33)의 조립돌기(33)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포스트(20)의 외측에서 중간부재(33)를 회전시켜 작업자가 수동으로 게시물(60)을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판(23)은 투명한 판으로써 상기 개구부(30)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된다.
상기 게시물(60)은 양단부가 상호 접합된 순환시트로써 상기 게시물이송롤러 (31)에 팽팽하게 걸쳐져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의 회전에 연동하여 순환되며, 상기 개구부(30)를 통하여 게시되는데 게시물(60)은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서로 다른 내용의 문양 또는 문자가 인쇄되어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의 회전에 의해 게시물(60)이 이송되면서 상기 개구부(30)와 보호판(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게시내용이 교체된다.
상기 휀스(10)는 조명랭프(70)와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램프(70)는 상기 개구부(30)와 보호판(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게시물(60)이 야간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게시물(60)의 후방에서 게시물(60)을 조명하도록 상기 포스트(20)의 내측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조명램프(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램프(70)의 ON/OFF를 제어한다.
상기 포스트(20)는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조명구설치공(24)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구설치공(24)에는 도로 및 교량을 조명할 수 있는 가로등 기능의 조명구(25)가 설치되며, 상기 조명구(25)의 램프(도시되지 않음)도 각기 상기 제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ON/OFF가 제어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롤러회전수단(32)이 상기 기어부(31a)와 치합되는 기어부(35a)를 회전축에 갖고 포스트(20)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35)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롤러회전수단(32)이 구동모터(35)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시로 게시물(60)이 교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으로 조명램프(70), 구동모터(35) 및 조명구(25)의 ON/OFF 를 제어하여 예정된 기간마다 게시물(60)의 내용을 자동으로 교 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램프(70)와 조명구(25)를 낮에는 OFF상태를 유지하고 해가 떨어지는 시간대부터 자동으로 ON시켜 게시물(60)의 조명은 물론 도로 및 교량의 조명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포스트(20)는 내부중공에 설치되는 게시물(60)을 조명하는 조명램프(70)와, 상기 조명램프(70) 및 구동모터(35)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램프(70) 및 구동모터(35)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함으로써 조명램프(70) 및 조명구(25)의 ON/OFF는 물론 구동모터(35)의 ON/OFF를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00)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감지센서(80) 및 타이머(9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광감지센서(80)의 광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램프(70) 및 조명구(25)를 낮과 밤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ON/OFF함은 물론 상기 타이머(90)의 카운팅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5)의 ON/OFF 를 제어하여 예정된 시간마다 게시물(60)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10)는 별도의 주문제작 없이도 각 지방의 특성에 맞는 상징물이나 게시물을 미려하고 용이하게 게시함으로써 각 지방의 특성을 널리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게시물을 예정된 시기마다 교체하고 도로, 교량 및 열차 등의 프랫폼을 함께 조명할 수 있어 휀스의 설치만으로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보다 미려하게 도로, 교량 및 프랫폼 등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10)는 차로와 인도 사이를 구획하거나 또는 추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의 측단 및 열차 등의 프랫폼에 설치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도로, 교량 및 프랫폼의 미관을 개선하고, 특히 도시나 도로의 특화된 상징물, 광고물 또는 캠페인물 등을 미려하고 용이하게 설치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게시물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1. 상호 소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휀스부로 구성된 휀스(10)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0)는 내부에 중공을 갖으며, 전면 및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30)를 갖는 한편, 내부 중공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2개 이상의 게시물 이송롤러(31) 및 게시물이송롤러(31)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수단(32)가 설치되며, 투명한 판으로서 상기 개구부(30)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보호판(23)으로 구성되는 게시물 설치부(21)이 마련되고, 양단부가 상호 접합된 순환시트로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에 팽팽하게 걸쳐져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의 회전에 연동하여 순환되어 개구부(30)를 통하여 게시되는 게시물(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중 어느 하나는 일단부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31a)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회전수단(32)은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의 기어부(31a)와 치합되는 기어부(33a)와, 포스트(20)의 외표면에 돌출되는 조립돌기(33b)를 갖고 회전가능하게 포스트(20)의 내측면에 내장되는 중간부재(33)와, 상기 중간부재(33)의 조립돌기(33b)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포스트(20)의 외측에서 중간부재(33)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레버(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중 어느 하나는 일단부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31a)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회전수단(32)은 상기 기어부(31a)와 치합되는 기어부(35a)를 회전축에 갖고 포스트(20)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0)는 내부중공에 설치되는 게시물(60)을 조명하는 조명램프(70)와, 상기 조명램프(70) 및 구동모터(35)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램프(70) 및 구동모터(35)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감지센서(80)를 구비하고, 상기 광감지센서(80)의 광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램프(70)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머(90)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머(90)의 카운팅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5)의 ON/OFF 를 제어하여 예정된 시간마다 게시물(60)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0)는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조명구설치공(24)과, 상기 조명구설치공(24)에 설치되어 도로 또는 교량을 조명하는 조명구(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이송롤러(31)는 상기 포스트(20)의 내부 중공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KR1020060010627A 2006-02-03 2006-02-03 휀스 KR10086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627A KR100860103B1 (ko) 2006-02-03 2006-02-03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627A KR100860103B1 (ko) 2006-02-03 2006-02-03 휀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581U Division KR200415800Y1 (ko) 2006-02-09 2006-02-09 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743A KR20070079743A (ko) 2007-08-08
KR100860103B1 true KR100860103B1 (ko) 2008-09-29

Family

ID=3860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627A KR100860103B1 (ko) 2006-02-03 2006-02-03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4095A (zh) * 2016-11-14 2017-08-15 元慧玲 一种公路防撞护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125A (ja) * 1995-04-10 1996-10-29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防護柵
KR200262345Y1 (ko) * 2001-11-05 2002-03-18 유정식 그림·광고 교체형 조립식 식재 울타리
KR20040104820A (ko) * 2003-06-04 2004-12-13 김학수 표시장치가 장착된 전화기
KR200400545Y1 (ko) 2005-08-29 2005-11-08 이건수 울타리 지주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125A (ja) * 1995-04-10 1996-10-29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防護柵
KR200262345Y1 (ko) * 2001-11-05 2002-03-18 유정식 그림·광고 교체형 조립식 식재 울타리
KR20040104820A (ko) * 2003-06-04 2004-12-13 김학수 표시장치가 장착된 전화기
KR200400545Y1 (ko) 2005-08-29 2005-11-08 이건수 울타리 지주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743A (ko)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413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경계석
KR20080109432A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KR20200086947A (ko) 날개부가 구비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100712136B1 (ko) 도로표지판
KR100860103B1 (ko) 휀스
DE102009055846A1 (de) LED-Straßenbeleuchtungsvorrichtung
KR200415800Y1 (ko) 휀스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669771B1 (ko) 교통신호등 연계 인도 및 자전거도로 겸용 횡단차단장치
RU122514U1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на нерегулируемом пешеходном переходе
KR20130128831A (ko) 보행자용 안전 신호등
KR101864115B1 (ko) 엠보싱형 투명칼라 방음벽
KR200299276Y1 (ko) 볼라드
KR101881336B1 (ko) 코팅제에 의한 불법부착물 부착이 방지되는 가로등
CN207525666U (zh) 交通警示装置及交通警示系统
KR20130021509A (ko) 횡단보도 표지장치
KR100978177B1 (ko) 도로변 콘트롤러 지지구조물의 케이싱장치
KR101031632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결합된 신호등 지주장치
KR200445686Y1 (ko) 신호등의 잔여시간 표시기
CN219280566U (zh) 一种具有耐腐蚀功能的道路护栏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CN215814525U (zh) 一种交通运行管控设备
CN112695660B (zh) 一种用于提高道路施工安全性的标识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326674Y1 (ko) 다기능 제어반
KR100922239B1 (ko) 광고용 구조물을 갖춘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