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903B1 - 실드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실드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903B1
KR100859903B1 KR1020050026973A KR20050026973A KR100859903B1 KR 100859903 B1 KR100859903 B1 KR 100859903B1 KR 1020050026973 A KR1020050026973 A KR 1020050026973A KR 20050026973 A KR20050026973 A KR 20050026973A KR 100859903 B1 KR100859903 B1 KR 10085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unting
substrate
shell
shield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068A (ko
Inventor
마사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6004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Abstract

실드형 커넥터에 있어서 기판에 대한 취부 다리의 위치 및 형상의 자유도를 높은 것으로 하고, 또한, 실드 셸의 이음매를 보호하여 기판 실장 전에도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기판에 실장한 때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콘택트와, 콘택트를 수용하는 절연하우징과, 절연하우징의 외주를 덮으면서 절연하우징의 일면 상에 이음매를 갖는 금속제 실드 셸을 구비하는 실드형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 셸이 별개의 금속제 취부 부재를 갖고, 취부 부재가 이음매를 덮는 면을 가짐과 함께 실드형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취부 다리를 실드 셸의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갖는다.
Figure R1020050026973
실드 셸, 이음매, 취부 다리, 취부 부재

Description

실드형 커넥터{SHIELDED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실드형 커넥터를 전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드형 커넥터에 사용되는 절연하우징을 포함하는 실드 셸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드형 커넥터에 사용되는 취부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드형 커넥터를 후부에서 본 배면도;
도 5는 도 1의 실드형 커넥터의 저면도;
도 6은 도 1의 실드형 커넥터를 기판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실드형 커넥터를 전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드형 커넥터에 사용되는 절연하우징을 포함하는 실드 셸의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실드형 커넥터에 사용되는 취부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실드형 커넥터를 후부에서 본 배면도;
도 11은 도 7의 실드형 커넥터를 기판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1 : 실드형 커넥터
6, 106 : 절연하우징
8, 108 : 콘택트
10, 110 : 실드 셸
27, 127 : 절결
40, 140 : 측벽
60, 160 : 이음매
70, 170 : 취부 부재
72, 172 : 평탄부(면)
82, 182 : 취부 다리
[특허문헌 1] 미국특허 제5,797,770호 명세서(도 10, 도 11)
[특허문헌 2] 특개2003-187916호 공보(도 1, 도 2)
본 발명은 휴대전화 등의 전기/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실드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좁은 공간 내에 배치되는 기판에 실장되는 실드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실드형 커넥터로서 각종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절연하우징 주위에 1장의 금속제 실드 셸(shield shell)을 절곡하여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실드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실드 셸의 저면에 실드 셸의 테두리끼리 당접하는 이음매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저면에는 상대방 커넥터의 실드 셸로 접촉하는 접촉편이 있고, 또한, 이 저면에서 절개하고 세워 기판으로 취부되는 취부 다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체로 이루어진 실드 셸을 절연하우징의 주위에 배치한 형식의 커넥터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상기 실드 셸은 상하로 분할되어 있고, 하우징 측벽의 부분에서 서로 겹치면서 겹치는 부분에서 상호 계합하여 일체적으로 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실드 셸의 부품수는 적지만 기판에 대한 기판 다리의 위치 및 형상에 대해서는, 접촉편을 같은 저면에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약을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취부 위치로 설정하며 적절한 치수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질 염려가 있다. 또한, 이음매 부분은 단순히 당접하기만 할 뿐이므로 기판 취부 전에 외력을 받으면 넓어져서 실드 셸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하의 실드 셸이 측벽 부분에서 상호 계합하므로, 기판 취부 후의 실드 셸의 강도는 높다. 그러나, 기판 취 부 전에 하측 셸 위에 겹쳐진 상측 셸의 측벽이 외력에 의해 열리고 셸끼리의 상호 계합이 불확실해질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판에 대한 취부 다리를 가장 적절한 형상 및 위치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설계자유도가 높으며 기판에 확실하게 취부 가능한 실드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장의 실드 셸을 절곡하여 형성된 이음매를 보호하고, 기판 실장 전에 외력을 받아도 실드 셸로서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실드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한 때, 커넥터가 기판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실드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부 다리가 연장하는 방향을 상하 2가지로 준비함으로써 기판에 대해 상면측에서부터 실장하는 형식 및 하면측에서부터 실장하는 형식의 어느 것이나 용이하게 대응 가능한 실드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드형 커넥터는 콘택트와, 콘택트를 수용하는 절연하우징과, 절연하우징의 외주를 덮으면서 절연하우징의 일면 상에 이음매를 갖는 금속제 실드 셸을 구비하는 실드형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 셸이 별개의 금속제 취부 부재를 갖 고, 취부 부재가 이음매를 덮는 면을 가지면서 실드형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취부 다리를 실드 셸의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취부 다리는 실드 셸의 측벽에서 이격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실드형 커넥터가 기판에 취부되면, 실드 셸이 기판의 절취부 내에 배치되어, 취부 다리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취부 부재의 양측에는 실드 셸의 측벽 외면에 겹쳐지고 또한, 삽입 인발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제1계지부와 제2계지부가 각각 형성되고, 실드 셸에는 상기 제1계지부와 제2계지부에 계합하여 취부 부재를 고정하는 계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취부 다리는 실드 셸의 각 측에서 제1계지부와 제2계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드형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함)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실드형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함)(1)를 전방부(2) 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는 절연하우징(이하 단순히 하우징이라 함)(6), 절연하우징(6)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8), 하우징(6)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된 차폐 부재, 즉 실드 셸(이하 단순히 셸이라 함)(10) 및 셸(10)의 하부에 배치된 취부 부재(70)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최초로 셸(10)에 대해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하우징(6)을 포함하는 셸(10)의 사시도이다. 셸(10)은 1장의 도전성 금속판으로부터 타발되어 하우징(6)의 외주에 따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 하우징(6)의 전체가 셸(10)에 수용된다. 그리고, 셸(10)의 테두리끼리 당접하여 이음매(60)가 형성된다. 이 이음매(60)가 요철 결합관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테두리끼리 서로 분리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셸(10)의 상벽(28)의 후방부(4)의 양측에는 상벽(28)에 고정단을 갖는 외팔보 형상의 설편(30; tongue piece)이 상대방 커넥터(미도시)의 삽입 인발방향(6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타발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하우징(6)에는 설편(30)과 대응하는 위치에 요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설편(30)이 요부(32)내에 계합하고 있다. 셸(10)의 저벽(36)에도 설편(30)과 유사한 설편(31)이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하우징(6)의 하부에 형성된 요부(33)와 계합하고 있다(도 5). 이들 설편(30, 31)과 요부(32, 33)와의 계합에 의해 셸(10)이 하우징(6)에 고정되어 있다.
셸(10)의 양측벽(40)의 후방부(4)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나아가 수직하강하는 L자형 취부 다리(42, 42)가 하향으로 수직하강하고 있다. 셸(10)의 전방부(2) 근방에는 상벽(28)에서 측벽(40)에 걸쳐 L자형 용수철편(46)이 타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용수철편(46)은 고정단을 상벽(28)에 갖고, 셸(10)의 좌우 측벽(40)에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벽(28)에서 측벽(40)에 걸쳐 연장하는 아암(48)과, 상기 아암(48) 의 선단에서 후방에 직각으로 연출하는 계지편(50)을 갖는다. 상기 계지편(50)에는 내향으로 원호상으로 돌출한 계지 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지 돌기(52)는 도시하지 않은 상대방 커넥터과 감합한 때에 상대방 커넥터와 상호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양측벽(40)의 긴 쪽 방향, 즉 삽입 인발방향(62)의 대략 중간부에는 잘라세워져서 외측 및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계합 돌기(계합부; 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합 돌기(44)가 취부 부재(70)와 계합하지만 계합의 태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양측벽(40)의 전단에는 셸(10)의 외측방향으로 확장 개방하고, 취부 부재(70)의 절결(76a)과 계합하는 돌기편(계합부; 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0)에는 용수철편(46)의 근방에 하방으로 연출하는 설편(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셸(10)의 상벽(28) 및 저벽(36)에는 돌기 즉, 압접 돌기(비드; 54, 5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5). 이들 압접 돌기(54, 56)는 각각 상벽(28), 저벽(36)에서 내측방향으로 쳐내어 형성된 것으로 이들 벽면에서 약간 내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돌출량은 상대방 커넥터와 감합하는 때에 상대방 커넥터의 절연하우징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저벽(36)의 압접 돌기(56, 56)는 각각 대략 원추형상을 갖고 이음매(6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압접 돌기(54)와 압접 돌기(56, 56)는 상대방 커넥터의 하우징에 상하방향에서 부가되는 힘의 밸런스를 취하도록 서로 거의 대향하는 위치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취부 부재(70)에 대해 도 3을 합쳐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취부 부재(70)의 사시도이다. 취부 부재(70)는 도 3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셸(10)의 저벽(36)의 아래에 위치하는 평탄부(면; 72)와 상기 평탄부(72)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과도부(74)와, 상기 과도부(74)를 거쳐 과도부(74)의 전후에서 각각 상방으로 평탄부(72)와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는 설편상의 제1계지부(76)와 제2계지부(78)를 갖는다. 제1계지부(76)는 전방으로 향하는 절결(76a)을 가지며 제2계지부(78)는 사각형의 개구(78)를 갖는다.
그리고, 제1계지부(76)와 제2계지부(78)와의 사이에는 그들 계지부(76, 78)의 간격보다 약간 작은 폭의 취부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취부부(80)는 과도부(74)에서 약간 외측으로 치우친 웨브(web; 84)를 거쳐 상방으로 연장되는 역U자형 단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한 선단부가 취부부(80)보다 약간 좁은 폭의 취부 다리(82)로 되어 있다.
취부 다리(82)는 실드 셸의 이음매(60)나 용수철편(46)의 존재에 상관없이 취부 부재(70)의 비교적 자유로운 위치에 필요에 따라 충분한 폭 및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취부 다리(82)에 인접하여 취부 다리(82)의 삽입 인발방향(62)의 전측 근처 부분에는 하향 돌기(8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80a)는 취부 다리(82)가 기판(26)에 삽입되면, 기판(26)의 표면에 당접하여 적절한 취부 높이로 커넥터(1)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전술한 과도부(74)에는 삽입 인발방향의 대략 중앙에 사각형의 개구(72a)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72)에는 삽입 인발방향(6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사각형 개구(72a)가 취부 부재(70)의 중량 경감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취부 부재(70)를 셸(10)의 아래에 취부하는 양태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합쳐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커넥터(1)를 후방부(4)에서 본 배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커넥터(1)의 저면도이다. 취부 부재(70)를 셸(10)에 취부하기 위해서는 제1계지부(76)의 절결(76a)과, 셸(10)의 돌기편(49)을 계합시키면서 하방으로부터 셸(10)에 취부 부재(70)를 압압하면, 셸(10)의 계합 돌기(44)가 취부 부재(70)의 개구(78a)에 계합한다. 그리고, 셸(10)의 하향 설편(45)이 개구(74a)에 관통 삽입한다. 이에 따라 취부 부재(70)는 셸(10)에, 삽입 인발방향(62),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셸(10)은 취부 부재(70)에 의해 양측에서 유지되면서 저벽(36)에 취부 부재(70)의 평탄부(72)가 밀접하여 이음매(60)를 덮는다. 따라서 셸(10)의 측벽(40)이 확장 개방하여 셸(10)의 이음매(60)가 이격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하우징(6)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양 코너부에 셸의 형상에 맞춰 테이퍼(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에 돌출하는 콘택트 지지판(16)의 상하 양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콘택트 수용홈(18)에 압입되어 콘택트 지지판(16)에 배치된다. 콘택트(8)는 하우징(6)의 후부에 수평으로 연출하고, 후단부에 기판(26)에 접속되는 타인(tine; 8a)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6)의 후부 양단부에는 타인(8a)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출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20)가 타인(8a)의 열보다 약간 위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돌기(20)는 커넥터(1)가 기판(26)에 취부되는 때, 타인(8a)이 기판(26)에 당접하여 우발적으로 과도하게 꺽이려고 하는 때에 기판(26)에 당접하여 타 인(8a)에 과도한 응력이 걸리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1)를 기판(26)에 취부하는 태양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를 기판(26)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1)가 취부되는 기판(26)의 테두리에는 커넥터(1)의 폭보다 약간 넓은 폭의 절결(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27)에는 커넥터(1)가 상방으로부터 배치된다. 절결(27) 근방에는 취부 다리(42, 82)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26a, 2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가 절결(27)에 장착되면 콘택트(8)의 타인(8a)은 기판(26) 상의 도전 패드(미도시)에 표면실장된다. 또한, 취부 다리(42, 82)는 각각 관통공(26a, 26b)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1)는 기판(26) 내에 배치되므로 커넥터(1)의 실장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도 4에는 커넥터(1)가 기판(26)에 취부된 때에 콘택트(8)의 타인(8a)이 기판(26)의 상면에 표면실장되어 있는 것이 명료하게 나타내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하우징을 포함하는 셸의 사시도, 도 9는 취부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커넥터를 후부측에서 본 배면도, 도 11은 커넥터를 기판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101)가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와 크게 다른 점은 커넥터(101)가 기판(126; 도 11)의 하면측에 취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기판(126)으로 취부되는 취부 다리(142, 148)는 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우선 처음으로 셸(110)에 대해 도 8을 합쳐서 참조하여 설명한다. 취부 다리(142)는 셸(110)의 측벽(140)의 후단부에서 수직 강하하고, 더욱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향하는 갈고리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셸(110)에도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음매(160), 계합돌기(144) 및 돌기편(1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부 부재(170)에 대해서는 제1계지부(176)와 제2계지부(178) 사이의 취부부(180)는 외측을 향해 평탄부(면; 172)와 대략 평행하게 연출하고, 또한, 취부 다리(182)가 상방으로 연출하고 있다. 취부부(180)의 평탄부(172)와 평행안 면(182a)은 커넥터(101)가 기판(126)에 취부되는 때에 기판(126)의 하면에 당접한다. 제1계지부(176)에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절결(176a)이 형성되고 제2계지부(178)에는 개구(17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탄부(172)의 전부측에 사각형 개구(172a)가 형성되어 있다. 사각형 개구(172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탄한 영역의 하면은 커넥터(101)를 기판(126)에 실장하는 때에 사용하는 흡착장치의 흡착면이 된다. 셸(110), 취부 부재(170) 및 콘택트(108)를 갖는 하우징(106)을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조립하면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101)가 된다.
상기 커넥터(101)를 기판(126)에 취부하기 이해서는 기판(126)의 절결(127)에 커넥터(101)를 하방부터 장착한다. 취부 다리(142, 182)는 기판의 관통공 (126a, 126b)에 하방부터 삽입되어 납땜된다. 콘택트(108)의 타인(108a)은 기판(126)의 하면에 표면실장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있어서 각종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예를 들면, 취부 다리(42, 142, 82, 182)는 기판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형상의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기판의 도전 패드 상에 표면실장되는 형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취부되는 2종류의 커넥터를 비교적 근소한 금형의 변경 즉, 금형의 부품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설계표준화 및 설비의 공용 등으로 고객의 짧은 납기의 요구에도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더불어 갖는다.
본 발명의 실드형 커넥터에 의하면, 절연하우징의 외주를 덮으면서 절연하우징의 일면 상에 이음매를 갖는 금속제 취부 부재를 갖고, 취부 부재가 이음매를 덮는 면을 가지면서 실드형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취부 다리를 실드 셸의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갖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실드 셸의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기판에 대한 취부 다리를 가장 적절한 형상 및 위치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설계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취부 다리에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취부 다리가 변형될 염 려도 없이 기판에 확실하게 취부할 수 있다. 더욱이 1장의 실드 셸을 절곡하여 테두리끼리의 당접부에 형성된 이음매가 보호되므로, 기판 실장 전에 외력을 받아도 변형하지 않고 실드 셸로서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실드형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드형 커넥터가 기판에 취부되면 실드 셸이 기판의 절결 내에 배치되고, 취부 다리가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한 때, 기판으로부터 커넥터가 돌출하는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좁은 공간 내에 기판과 커넥터의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취부 다리가 연장되는 방향을 상하 2가지로 준비함으로써 기판에 대해 상면측부터 실장하는 형식 및 하면측부터 실장하는 형식의 어느 것이나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드형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는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주를 덮으면서 상기 절연하우징의 일면 상에 이음매를 갖는 금속제 실드 셸을 구비하는 실드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 셸이 다른 금속제 취부 부재를 갖고, 상기 취부 부재가 상기 이음매를 덮는 면을 가지면서 상기 실드형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취부 다리를 상기 실드 셸의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 다리가 상기 실드 셸의 측벽에서 이격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실드형 커넥터가 기판에 취부되면, 상기 실드 셸이 상기 기판의 절결 내에 배치되고, 상기 취부 다리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형 커넥터.
KR1020050026973A 2004-04-07 2005-03-31 실드형 커넥터 KR100859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3080 2004-04-07
JP2004113080A JP4321710B2 (ja) 2004-04-07 2004-04-07 シールド型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068A KR20060045068A (ko) 2006-05-16
KR100859903B1 true KR100859903B1 (ko) 2008-09-23

Family

ID=3506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973A KR100859903B1 (ko) 2004-04-07 2005-03-31 실드형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21710B2 (ko)
KR (1) KR100859903B1 (ko)
CN (1) CN1681167B (ko)
TW (1) TWM28334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2659B2 (ja) * 2007-10-03 2012-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およびシール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8157586B2 (en) * 2010-03-03 2012-04-17 Genesis Technology Usa, Inc. Connector hat with extended mounting posts for securing a connector shell to a circuit board
JP2013063682A (ja) * 2011-09-15 2013-04-11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電子機器
US8480411B1 (en) * 2012-03-01 2013-07-09 Htc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assembly
CN105449401B (zh) * 2014-08-08 2019-02-05 莫列斯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JP6053883B1 (ja) 2015-07-29 2016-12-27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防水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571020B2 (ja) * 2016-01-28 2019-09-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527A (ja) 1999-09-29 2001-04-20 Molex Inc シールド型コネクタ
JP2001176608A (ja) 1999-12-21 2001-06-29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6299487B1 (en) 2000-04-03 2001-10-09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wear-resistant engagement means
JP2003208951A (ja) 2001-12-26 2003-07-2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3258454A (ja) 2002-03-04 2003-09-12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箱形制御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89394U (en) * 1998-10-23 2000-05-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483851Y (zh) * 2001-05-04 2002-03-27 莫列斯公司 电连接器
JP2003187916A (ja) * 2001-12-20 2003-07-04 Tyco Electronics Amp Kk シールド型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527A (ja) 1999-09-29 2001-04-20 Molex Inc シールド型コネクタ
JP2001176608A (ja) 1999-12-21 2001-06-29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6299487B1 (en) 2000-04-03 2001-10-09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wear-resistant engagement means
JP2003208951A (ja) 2001-12-26 2003-07-2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3258454A (ja) 2002-03-04 2003-09-12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箱形制御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068A (ko) 2006-05-16
JP2005302362A (ja) 2005-10-27
TWM283349U (en) 2005-12-11
CN1681167A (zh) 2005-10-12
CN1681167B (zh) 2010-06-09
JP4321710B2 (ja)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7965B2 (ja) 印刷配線板用コネクタ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9350097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859903B1 (ko) 실드형 커넥터
EP1503461B1 (en) Connector assembly
US7252549B2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CN212462084U (zh) 电连接器
KR10165520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실장체
EP2919329B1 (en) Connector
US718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se
EP1124290A2 (en) Electrical connector
EP1930995A2 (en) Electrical connector
US6764339B2 (en) Shielded connector
TW200843215A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EP1950839A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20230032869A (ko) 소켓 커넥터
JP380144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
JP7438076B2 (ja) 相手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375565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
EP4224637A1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5201675A (en) Miniature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JP5805288B2 (ja) プラグコネクタ
CN107069263B (zh) 连接器
JP559703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002297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