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186B1 -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186B1
KR100858186B1 KR1020070052617A KR20070052617A KR100858186B1 KR 100858186 B1 KR100858186 B1 KR 100858186B1 KR 1020070052617 A KR1020070052617 A KR 1020070052617A KR 20070052617 A KR20070052617 A KR 20070052617A KR 100858186 B1 KR100858186 B1 KR 10085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ust cover
front axle
vehicl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13Hub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스틸 소재 대비,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자유로운 형상 설계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조립설비 없이 수작업으로 드라이브 샤프트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수직항력과 접촉면의 마찰계수에 비례하는 마찰력을 통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더스트 커버를 적용함으로써, 실링 성능의 향상은 물론 원가 절감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프론트 액슬부, 더스트 커버, 커버부, 플랜지부, 이탈방지부

Description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Dust cover of front axle assembly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의 이탈방지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더스트 커버 11 : 커버부
12 : 플랜지부 13 : 이탈방지부
14 : 돌출부 20 : 너클
30 : 드라이브 샤프트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둘레면과 조립부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이탈 방지 형상이면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액슬부는 내측에 구동축이 스플라인 결합되고, 외측에 구동 바퀴와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바퀴에 전달함과 아울러 차의 무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한 도 6은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프론트 액슬부는 허브(102)의 일측으로 드라이브 샤프트(104)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같이 회전되고, 허브(102)의 일측 둘레면에 차의 무게를 지지하는 너클(106)이 장착되며, 허브(102)의 타측으로 구동바퀴가 볼트(108)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허브(102)의 외주면과 너클(106) 사이에는 베어링(110)이 개재되어 허브(10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드라이브 샤프트(104)의 외주면에는 이물질의 대량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112)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더스트 커버(112)는 차량 주행 중 외부 이물질이 너클(106)과 드라이브 샤프트(104)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어 베어링(110)과 접촉하게 될 경우, 실링 구조를 가지고 있는 베어링(110)이더라도 내구 후 실링 성능이 저하 되면 이물질이 베어링(110) 내부로 유입되어 베어링(110) 습동면을 손상시켜 소음 및 파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핵심 부품이다.
그런데, 종래의 더스트 커버(112)는 스틸 프레스 가공을 통해 성형한 것으로서, 방청 성능의 확보를 위하여 고가의 지오멧 도금 처리를 추가로 실시해야 하며, 드라이브 샤프트(104)의 외주면에 강제로 압입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별도의 조립 설비가 필요하므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조립/취급 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실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BS 차량의 각 구동바퀴의 회전수를 센싱하기 위하여 드라이브 샤프트(104)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톤휠을 이용하여 더스트 커버(112)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 또한 이물질 차단을 위한 형상의 변경으로 인하여 크기/중량/원가 증대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종래의 스틸 소재 대비,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자유로운 형상 설계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조립설비 없이 수작업으로 드라이브 샤프트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수직항력과 접촉면의 마찰계수에 비례하는 마찰력을 통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더스트 커버를 적용함으로써, 실링 성능의 향상은 물론 원가 절감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프론 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링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진 커버부(10)와;
상기 커버부(11) 일측의 내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와;
상기 커버부(11)의 둘레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커버부(11)와 내측면의 플랜지부(12)가 일정 크기로 절개되면서 상기 커버부(11)가 구동바퀴쪽으로 경사진 채로 플랜지부(12)에 연장·형성된 이탈방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부(11)는 너클(2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너클(20)과 드라이브 샤프트(3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차단 가능토록 그 외주면 상부에 돌출부(1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의 이탈방지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 주행 중 외부 이물질이 너클(20)과 드라이브 샤프트(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10)는 종래의 스틸 소재 대비,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되, 나일론 재질(nylon 66)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스틸재 더스트 커버(112)는 드라이브 샤프트(104)의 외주면에 강제 압입하여 조립하므로 별도의 조립설비가 필요하며, 조립/취급 시에 충격에 의해 실링 성능의 저하를 유발하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의 조립설비 없이 수작업으로 드라이브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쉽게 설치 가능하다.
즉, 상기 더스트 커버(10)는 별도의 조립설비 없이, 드라이브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쉽게 수조립이 가능하도록 탄력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0)에 더스트 커버(10)를 강제 압입하여 조립할 경우,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용이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더스트 커버(10)는 링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진 커버부(11)와, 상기 커버부(11) 일측의 내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로 구성되어 있는 바, 그 둘레면에 수직항력과 접촉면의 마찰계수에 비례하는 마찰력을 통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3)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형상으 로 이루어진 커버부(11)의 둘레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커버부(11)와 내측면의 플랜지부(12)가 일정 크기로 절개되면서 상기 커버부(11)가 구동바퀴쪽으로 경사진 채로 플랜지부(12)에 연장·형성되어 있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더스트 커버(10)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쪽으로 이탈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압입 조립되어 있는 더스트 커버(10)의 이탈방지부(13)에 수직항력과 접촉면의 마찰계수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더스트 커버(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이탈력에 의해 더스트 커버(10)가 탄성 변형을 하게 되면 탄성 변형에 따른 복원력은 수직항력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수직항력이 그만큼 증대하게 되고, 마찰력도 증가하게 되어 더스트 커버(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탈방지부(13) 형상의 개수, 길이, 두께, 내경(조립압입량)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원하는 이탈력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더스트 커버(10) 형상의 변형이 스틸 재질에서 플라스틱 재질로의 변경으로 기인한 바, 외부 이물질이 너클(20)과 드라이브 샤프트(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하여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도 2의 실시예에서, 더스트 커버(10)의 커버부(11) 외주면 상부에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어 이 돌출부(14)가 너클(20)의 일측면에 확실하게 밀착되므로 너클(20)과 드라이브 샤프트(3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차단 가능하여 실링 성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는 실링 성능의 향상은 물론 원가 절감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에 의하면, 종래의 스틸재 대비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는 동시에 별도의 조립설비 없이 수조립이 가능하므로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자유로운 형상 설계로 인해 이물질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링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진 커버부(10)와;
    상기 커버부(11) 일측의 내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와;
    상기 커버부(11)의 둘레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커버부(11)와 내측면의 플랜지부(12)가 일정 크기로 절개되면서 상기 커버부(11)가 구동바퀴쪽으로 경사진 채로 플랜지부(12)에 연장·형성된 이탈방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1)는 너클(2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너클(20)과 드라이브 샤프트(3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차단 가능토록 그 외주면 상부에 돌출부(1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KR1020070052617A 2007-05-30 2007-05-30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KR10085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617A KR100858186B1 (ko) 2007-05-30 2007-05-30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617A KR100858186B1 (ko) 2007-05-30 2007-05-30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186B1 true KR100858186B1 (ko) 2008-09-10

Family

ID=4002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617A KR100858186B1 (ko) 2007-05-30 2007-05-30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176A (ko) * 2013-07-10 2015-0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액슬장치
KR101739488B1 (ko) 2016-03-30 2017-05-2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허브 베어링 소음 저감 기능과 먼지 차단 기능을 겸비한 통합형 커버 및 그것의 드라이브 샤프트 설치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735A (ko) * 2004-05-17 2005-11-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슬릿이 형성된 베어링용 더스트 커버
KR20060017305A (ko) * 2004-08-20 2006-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735A (ko) * 2004-05-17 2005-11-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슬릿이 형성된 베어링용 더스트 커버
KR20060017305A (ko) * 2004-08-20 2006-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176A (ko) * 2013-07-10 2015-0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액슬장치
KR102071219B1 (ko) 2013-07-10 2020-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액슬장치
KR101739488B1 (ko) 2016-03-30 2017-05-2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허브 베어링 소음 저감 기능과 먼지 차단 기능을 겸비한 통합형 커버 및 그것의 드라이브 샤프트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1649B2 (ja) 環状密封装置
KR101384933B1 (ko) 풀리 어셈블리용 베어링 시일로서의 편향 베어링 쉴드 및 조립 방법
JP2010236568A (ja) 密封装置
JP2011514862A5 (ko)
US20110148182A1 (en) Steering knuckle with pre-sealing
US20110182538A1 (en) Wheel bearing arrangement having gasket
JP2018176990A (ja) 全方向車輪
KR10085818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KR100742027B1 (ko) 허브가 일체화된 브레이크 디스크의 차축 결합 구조
JP5935974B2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5640304B2 (ja) 密封装置
JP5492629B2 (ja) ソリッドタイヤ
KR100642549B1 (ko)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JP4280903B2 (ja) 密封装置
KR101739488B1 (ko) 허브 베어링 소음 저감 기능과 먼지 차단 기능을 겸비한 통합형 커버 및 그것의 드라이브 샤프트 설치 구조
JP2012087901A (ja) 密封装置および転がり軸受装置
US20210115973A1 (en) Sealing device
US20080018169A1 (en) Wheel for a vehicle
US7784876B2 (en) Motorcycle wheel assembly and method for protecting bearings and for providing security for mounting bolts
KR101919322B1 (ko)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KR100863647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CN110371179B (zh) 转向传动轴护罩
JP2015209954A (ja) プーリユニット
KR101404789B1 (ko) 더스트캡을 갖는 베어링
CN117072552B (zh) 一种轮毂轴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