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793B1 -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793B1
KR100857793B1 KR1020060110193A KR20060110193A KR100857793B1 KR 100857793 B1 KR100857793 B1 KR 100857793B1 KR 1020060110193 A KR1020060110193 A KR 1020060110193A KR 20060110193 A KR20060110193 A KR 20060110193A KR 100857793 B1 KR100857793 B1 KR 100857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pipe
exhaust gas
building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944A (ko
Inventor
한인희
손원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793B1/ko
Priority to EP07021665A priority patent/EP1921200A3/en
Priority to US11/979,742 priority patent/US7987615B2/en
Priority to JP2007290879A priority patent/JP2008122069A/ja
Priority to AU2007231880A priority patent/AU2007231880B2/en
Publication of KR2008004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중 특히 고층의 공동주택에 있어서, 각 세대의 의류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건조기 배기부와 건물 외부가 연통되도록 세대 별로 마련되는 건조기용 지관; 그리고 상기 의류건조기 내부 또는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구조가 제공된다.
공동주택, 초고층아파트, 입상관, 지관, 의류건조기, 배기, 배출, 필터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EXHAUSTING STRUCTURE FOR EXHAUSTED GAS OF A CLOTHES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상관과 지관의 연결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입상관 110 : 외기관
130 : 배수배관 140 : 팬
150 : 배수밸브 200 : 건조기용 지관
300 : 건조기 550 : 건물 외벽
본 발명은 공동주택 중 특히 고층의 공동주택에 있어서, 각 세대의 의류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입상관과 각 세대와 상기 입상관을 연결하는 지관이 마련되어 있다.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냄새 등은 주방의 환기구를 통해 지관을 거쳐 입상관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욕실의 내부 가스는 욕실 천정에 있는 환기구를 통해 지관을 거쳐 입상관으로 배출된다.
입상관의 상부에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무동력팬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동력팬은 배출가스가 입상관 내부로부터 건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돕는다.
공동주택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중소도시에서도 보편적인 주거형태가 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공동주택은 종래 15층 미만 정도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20층 이상까지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심지어 30~40층 또는 그 이상의 공동주택이나 주상복합아파트 등도 등장하고 있다.
비교적 낮은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경우에는 종래의 가스 배출 구조로도 큰 문제는 없었다. 그리고, 설사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각 세대에 마련된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방법 등을 통해 해결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사정이 다르다. 저층에서는 지표면과의 마찰 및 건물 등 각종 장애물들에 의해 장애 등 때문에 풍속이 크지 않다. 반면, 고층으로 갈수록 마찰이나 장애물들에 의한 장애 등이 적기 때문에 풍속이 커지게 된다.
또한, 고층으로 갈수록 와류의 정도가 심하다. 고층에서는 주변에 장애물이 적기 때문에 고층건물에 부딪힌 바람은 건물의 측벽을 타거나 또는 건물의 옥상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바람이 건물을 타고 넘어가면서 그 풍속이 더욱 강화되기도 하며, 와류를 형성하기도 한다.
고층의 위와 같은 바람의 현상 때문에 고층에서는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고층 건물의 경우 입상관 상부의 배출구로 불어 닥치는 강한 바람 때문에 입상관을 통한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다.
위와 같이, 고층에서는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입상관을 통한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 때문에 고층 건물의 환기와 관련된 주거환경 문제가 최근 주목을 끌고 있다.
통상, 주방과 욕실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위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그 가스의 배출을 위한 입상관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층에서는 풍속이 강하여 베란다 창문을 열어두고 베란다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다른 형태의 주거 환경과는 달리 고층 건물에서의 주거 환경에서는 더더욱 건조기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크다.
의류건조기는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기계장치인데, 세탁물 건조를 위해 사용된 열풍을 배출하는 건조기가 있다. 이러한 건조기들은 건조기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식 건조기(예를 들어 응축식 건조기)와 달리 배기식 건조기라 한다.
이러한 배기식 건조기는 가열원을 전기 히터나 가스 히터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배기되는 공기는 필연적으로 습기를 머금게 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린트(lint) 등도 배출된다. 따라서, 배기되는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 지양되어야 한다.
더욱이, 연료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함으로서 열풍을 만들어내는 건조기의 경우에는 통상의 배출 가스 이외에도 연료 연소 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배출 가스에 일산화탄소 등 인체에 유해한 요소가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배기되는 공기는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 지양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고층 건물에서는 창문 등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가스의 배출구조는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저층에서와 같이 베란다에 세탁물을 널고 창문을 열어 건조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건조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조기의 배출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의류건조기에서 발생한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배출구조에 적합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구조는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를 상기 입상관으로 안내하도록 세대 별로 마련되는 건조기용 지관을 포함 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기용 지관은 입상관과 연결된다.
상기 입상관은 복수 세대가 공용하는 공용 입상관으로서 주방 공용 입상 배기관, 화장실 공용 입상 배기관, 또는 건조기 배출가스 전용 입상 배기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 공용 입상 배기관인 경우에는 주방용 지관이 아울러 연결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구조는 의류건조기 내부 또는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는 배출가스에 함유된 일산화탄소나 린트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는 예컨대, 드럼식 건조기의 경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열풍이 된다. 그리고, 연료용 가스를 연소시켜 열풍을 생성하는 건조기의 경우에는 그 연소 시에 발생한 가스를 포함한다.
상기 주방용 지관은 주방과 상기 입상관 사이를 연통시키는 덕트로서 각 세대별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용 지관은 각 세대 내부 중 건조기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입상관 사이를 연통시키기 위해 마련된 지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방용 지관과 건조기용 지관은 함께 연결되어 입상관으로 연결된다.
상기 입상관과 주방용 지관 및 건조기용 지관은 공동주택 건물에 마련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각 세대별로 마련된 지관들을 거친 배출가스는 상기 입상관을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된다.
건조기용 지관과 주방용 지관이 연결된 경우, 상기 주방용 지관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주방용 지관을 역류하여 주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는 정풍량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풍량댐퍼는 필요한 경우 닫힘으로서 배출가스가 역류되어 세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정풍량댐퍼는 건조기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건조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즉, 건조기가 오프된 경우 정풍량댐퍼가 닫히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정풍량댐퍼는 건조기의 콘트롤러에 연결되어 건조기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또는, 세탁실에 별도로 콘트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정풍량댐퍼가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제어될 수도 있다.
역류방지댐퍼나 정풍량댐퍼는 입상관을 통한 세대 간의 배출가스 유입도 방지한다. 의류건조기의 사용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세대 간에 의류건조기의 사용시간이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입상관으로 배출된 가스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입상관의 배출가스가 지관을 통해 세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역류방지댐퍼 및 정풍량댐퍼는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입상관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차가운 입상관 내벽에서 응결되어 입상관 하부로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주방용 지관 또는 건조기용 지관에는 방화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관 및 지관을 통해 화재가 다른 세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방화댐퍼는 지관에 설치되되 입상관과 연결되는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관,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 일산화탄소(CO)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건조기는 열풍을 위한 열원의 종류에 따라 전기식도 있지만, 연료용 가스 등과 같은 석탄 연료를 연소시키는 유형도 있다. 이와 같이 연료를 연소시키는 경우에는 일산화탄소를 필터링하여 입상관으로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일산화탄소를 함유한 배출가스가 세대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이 곤란한 고층 건물의 주거환경을 고려하면 일산화탄소가 세대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더욱 큰 것이다.
또한, 상기 지관,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에 함유된 린트(lint)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린트필터 전방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린트필터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관의 상부에는 팬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이 회전되 어 배출가스가 건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상기 팬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방 또는 욕실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서는 무동력팬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의류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그 양이 더 많기 때문에 무동력팬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그리고, 의류건조기는 비교적 장시간 사용하게 되고, 또한, 세대간에 생활패턴이 최근 비슷하기 때문에 각 세대의 지관으로부터 입상관으로 배출되는 가스는 더 많기 때문에 동력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물 외부와 연통되어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배관;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배기팬; 그리고 상기 배기배관을 통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구조가 제공된다. 즉, 각 세대 별로 별도로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팬은 건조기 내부에 구비되는 건조기 배기팬이며, 사용 환경에 따라 용량이 가변되는 용량 가변팬임이 바람직하다. 즉, 세대 별 층 높이에 따른 용량을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기팬은 상기 배기배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배기팬은 건조기 내부에 구비되는 건조기 배기팬과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건조기 배기팬과 별도로 구비되는 배기팬은 사용 환경에 따라 용량이 가변되는 용량 가변팬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는 건물 외벽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기팬과 상기 댐퍼의 작동은 상기 건조기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댐퍼는 상기 의류건조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는 비교적 상기 배기배관이 짧은 경우 더욱 바람직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배관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이 건물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배기식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건물 외부와 연통되어 배출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배관과 연결되는 배기구; 상기 건조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배기팬; 그리고 상기 건조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배관을 통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이나 고층주택 등의 배기 시설을 설계하는 경우 건물 높이에 따른 건물 외부의 압력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입상관 내의 압력분포와 건물 외부의 압력분포가 동일한 경우 배출가스의 배출이 건물 외부로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입상관 내의 압력분포를 건물 외부의 압력분포와 동일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동력장치는 배출할 가스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건조기를 사용하는 세대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만큼 큰 구동력을 상기 팬에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상관에는 상기 배출할 가스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입상관 내부의 압력과 의류건조기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양의 상관관계를 실험적 또는 이론적으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관관계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센싱된 압력을 이용하여 배출할 가스의 양을 감지한다.
또한,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되는 조건 중 하나로서 팬의 회전속도와 배출할 가스의 양 사이의 상관관계 또한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고려하여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출할 가스의 양과 팬의 회전속도에 따라 입상관 내부의 압력분포가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서 입상관 내부의 압력분포와 외부의 압력분포 사이의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배출할 가스의 양에 따라 배출이 가장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입상관 내부의 압력분포가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분포가 되도록, 상기 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관은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방용 지관은 입상관에 연결될 때 하향 경사져 연결되고, 건조기용 지관은 주방용 지관에 연결될 때 하향 경사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관에서도 수분의 응결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입상관으로부터 지관으로 역류되는 배출가스의 양을 감소시키는데에도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입상관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외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입상관 상부를 통한 배출가스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 다.
각 세대별로 마련된 건조기용 지관 및 주방용 지관은 각 세대의 의류건조기에서 배출된 배출가스 및 주방의 배출가스를 상기 입상관으로 안내하게 된다.
필요한 경우, 의류건조기와 건조기용 지관 사이를 연결하는 가스배출관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배출관은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 배출구에 연결된다. 가스배출관의 연결을 위해 의류건조기의 배출구에는 연결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지관과 입상관은 건물에 마련되고 가스배출관은 의류건조기와 함께 별도로 마련된다.
상기 가스배출관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거나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가스배출관에는 정풍량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에는 건조기용 지관에 정풍량댐퍼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는 건조기용 지관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가스배출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린트필터 또한 지관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가스배출관에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린트필터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도록 린트필터 전방에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센서는 상기 필터의 막힘을 아울러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는 의류건조기에 커넥터로 연결되어 그 신호를 의류건 조기의 콘트롤러로 전송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면, 콘트롤러는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린트필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한편, 정풍량댐퍼는 의류건조기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열풍 생성을 위해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식 히터를 가지는 의류건조기의 경우에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의류건조기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공동주택 건물에는 입상관(100)과 상기 입상관으로부터 각 세대로 분기되는 복수의 지관(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이러한 지관은 주방용 지관이나 화장실용 지관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입상관은 주방 공용 입상 배기관이거나 화장실 공용 입상 배기관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상관은 건조기 배기가스 전용 입상 배기관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건조기 배기가스 전용 입상 배기관에는 건조기용 지관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건조기의 배출가스를 주방 전용 입상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시킬 경우에, 상기 주방용 지관에는 건조기용 지관(200)이 연결될 것이다. 상기 건조기용 지관은 건조기(300) 등이 설치되는 세탁실까지 연장된다.
건조기의 배출구와 상기 건조기용 지관의 입구 사이를 가스배출관(310)이 연결하고 있다.
상기 입상관(100)의 상부에는 팬(14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팬은 모터와 연결되어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은 무동력팬일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입상관의 내부 중 상부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에 센싱된 결과를 전송한다.
상기 입상관 하부에는 입상관을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하는 외기관(1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배수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부는 배수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배수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사용자가 입상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사용자가 입상관 내부에 얼마나 물이 많이 차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수부는 결국 배수배관(130)과 연결되어 입상관 내부에 누적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기용 지관(200)에는,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역류방지댐퍼(2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용 지관(200)에는 배출가스를 필터링 하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필터는 일산화탄소필터(220)와 린트필터(2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는 정풍량댐퍼(21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는 린트필터(230) 전방에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세탁실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콘 트롤러에 센싱된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는 건조기의 콘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압력센서의 신호선을 건조기에 구비되는 콘트롤러에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건조기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커넥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의류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배출구를 나와 가스배출관 및 지관을 거쳐 입상관 내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의류건조기가 연료를 연소시켜 열풍을 생성하는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배출가스에는 일산화탄소가 함유되어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일산화탄소는 지관에 설치되어 있는 일산화탄소필터에 의해 제거되게 된다. 이러한 일산화탄소필터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어야 하므로 탄소(carbon)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린트는 건조기용 지관에 설치되어 있는 린트필터에 의해 제거된다.
입상관(100)으로 배출된 배출가스는 입상관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입상관 상부에 설치된 팬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모터는 배출할 가스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된다.
입상관 내부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내부 압력이 센싱되면 그로부터 입상관 내부의 배출가스의 양을 감지하고 그 양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결정되도록 제어된다. 그래서, 배출가스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모터는 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배출가스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의류건조기(300)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입상관 내벽에서 응결되어 물로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결된 물은 입상관(100) 내벽을 따라 흘러 하부로 향하며, 배수부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 배수부는 배수밸브(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데, 이러한 배수밸브는 배수할 물의 양에 따라 조절되는 밸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상관 하부에는 외기관(110)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입상관 상부에서의 배출가스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입상관 내부에 배출가스가 가득 차고 이로 인해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배출가스가 지관(200)으로 역류될 수 있다. 이때, 역류방지댐퍼(240)이나 정풍량댐퍼(210)에 의해 세탁실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건조기용 지관에 설치된 린트필터가 린트에 의해 막히는 경우 그 전방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압력은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그 센싱된 압력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린트필터가 막혀 교체하여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경고음을 발하거나 램프를 온시킨다.
상기 압력센서는 세탁실에 별도로 마련되는 콘트롤러에 연결될 수도 있고, 건조기의 콘트롤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건조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도록 구비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용 지관(200)은 입상관(100)에 하향 경사져 연결된다. 배출가스에 함유된 수분이 응결되는 경우 그 물이 입상관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린트필터, 일산화탄소필터, 및 정풍량댐퍼 등은 실시예에 따라 지관(2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가스배출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린트필터와 일산화탄소필터 및 정풍량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스배출관(3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스배출관에 설치되는 경우 동일한 구성이 건조기용 지관에 설치될 필요는 없지만 이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 린트필터와 일산화탄소는 유지보수를 위해 동일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건조기 판매자가 건조기와 함께 가스배출관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가스배출관에는 린트필터, 일산화탄소필터 및 정풍량댐퍼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배출관(310)은 건조기용 지관의 형태에 따라 필요 없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스배출관은 건조기용 지관에 일체로 연결되어 건축업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종래 주방이나 욕실과 같은 구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건조기용 지관의 입구에 팬이 설치되고 건조기는 그 배출구가 상기 입구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 주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후드 장치와 유사하게 건조기용 지관 입구를 만들 수도 있다.
한편, 린트필터가 막혔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와 같은 압력센서는 상술한 것과는 달리, 건조기 내부 중 배출가스의 배출 유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연료를 연소시켜 열풍을 생성하는 타입의 건조기의 경우 배출가스의 배출유로상에 일산화탄소필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정풍량댐퍼도 건조기 내부의 배출유로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건조기 의 배출구와 가스배출관이 연결되고, 가스배출관은 건조기용 지관에 연결된 경우, 입상관으로부터 역류될 수 있는 배출가스는 건조기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정풍량댐퍼에 의해 막혀 세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각 세대별로 독자적으로 건조기의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3에는 특정 세대의 건조기의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건물 외부와 연통되어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배관(500),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배기팬(520), 그리고 상기 배기배관을 통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댐퍼(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배기배관(5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가스배관(310)이나 건조기용 지관(200)과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 등에서 원활히 건조기의 배출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배기팬(520)은 이러한 사용환경에 따라 용량이 가변되는 용량 가변팬임이 바람직하다. 즉, 높은 세대일 수록 이러한 배기팬은 더욱 높은 용량으로 운전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용량 가변팬은 넓은 용량 폭을 갖고 선형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팬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기팬은 건조기 내부에 구비되는 건조기 배기팬일 수도 있으며, 상기 배기배관에 구비되는 배기팬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를 위한 팬은 전체적으 로 2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댐퍼는 건물 외벽(55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댐퍼는 의류건조기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댐퍼(510)와 배기팬(520)의 작동은 상기 건조기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기의 배출가스를 위하여 건조기의 작동 중 댐퍼(510)를 열고 배기팬(520)을 작동시키며,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댐퍼(510)을 닫아 역류를 방지하고 배기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배기팬(520)과 댐퍼(510)은 모두 건조기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건조기 자체에서 충분히 사용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원활히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댐퍼를 통하여 역류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배관(500)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이 건물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필터에 대한 사항도 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식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건물 외부와 연통되어 배출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배관과 연결되는 배기구(540); 상기 건조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배기팬; 그리고 상기 건조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배관을 통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 특히 고층건물에서 의류건조기에서 발생한 배출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적합한 건조기 배출가스의 배출구조를 얻을 수 있으며, 그와 같은 배출 구조에 적합한 의류건조기 등을 얻을 수 있다.
고층 아파트가 가지는 전술한 문제점 등과 관련된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배출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특히,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가 가지는 특성에 적합하고, 또한 주방의 배출가스와 함께 배출하는 배출구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건물의 외부와 연통되는 입상관;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를 상기 입상관으로 안내하도록 세대별로 마련되는 건조기용 지관;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되는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지관을 통과하는 배출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린트필터의 막힘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가스의 풍량을 조절하는 정풍량댐퍼; 그리고,
    상기 지관에 연결되는 의류건조기에 구비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린트필터의 막힘 여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며, 상기 정풍량댐퍼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외부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의 상부에는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10. 삭제
KR1020060110193A 2006-11-08 2006-11-08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KR100857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93A KR100857793B1 (ko) 2006-11-08 2006-11-08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EP07021665A EP1921200A3 (en) 2006-11-08 2007-11-07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US11/979,742 US7987615B2 (en) 2006-11-08 2007-11-07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JP2007290879A JP2008122069A (ja) 2006-11-08 2007-11-08 衣類乾燥機を有する集合住宅の排気構造
AU2007231880A AU2007231880B2 (en) 2006-11-08 2007-11-08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93A KR100857793B1 (ko) 2006-11-08 2006-11-08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944A KR20080041944A (ko) 2008-05-14
KR100857793B1 true KR100857793B1 (ko) 2008-09-09

Family

ID=3964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193A KR100857793B1 (ko) 2006-11-08 2006-11-08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06B1 (ko) * 2009-02-03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배기관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2808A (en) * 1989-02-16 1990-05-08 Smith Stephen D Radon and other gas ventilator
KR20030008647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KR20060014834A (ko) * 2004-08-12 2006-02-16 (주) 스카이시스템 건물 내부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2808A (en) * 1989-02-16 1990-05-08 Smith Stephen D Radon and other gas ventilator
KR20030008647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KR20060014834A (ko) * 2004-08-12 2006-02-16 (주) 스카이시스템 건물 내부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944A (ko)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615B2 (en)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US8024871B2 (en)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JP2008121414A (ja) 衣類乾燥機を有する集合住宅の排気構造
KR20080041923A (ko)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KR100808179B1 (ko)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전용 배출구조 및 그 의류건조기
CN110274284A (zh) 一种楼宇公用烟道排烟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274282A (zh) 一种楼宇公用烟道排烟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847426B1 (ko) 지하공간 환기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배기장치
KR100857793B1 (ko)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KR100857792B1 (ko)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구조
KR100857791B1 (ko)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KR200435724Y1 (ko) 복층건물의 국소 배기 입상덕트에 적용되는 배기효율 최적화 제어시스템
CN100585287C (zh) 从公寓楼中的干衣机排气的结构
KR20090058314A (ko) 공동주택의 욕실 연동형 세대환기 시스템
KR102049659B1 (ko) 환기용 열교환기
KR102058287B1 (ko) 건물의 환기시스템
KR20080108708A (ko) 수직 덕트 연결용 분배 배기장치
JP3998112B2 (ja) 衣類乾燥機の排湿装置
KR101079333B1 (ko) 주거용 통합 환기 시스템
KR101001731B1 (ko) 분리형 팬 유니트
KR102058285B1 (ko) 건물의 환기시스템
KR102260499B1 (ko) 급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16109A (ko) 화장실 냄새 확산 방지 장치
KR20210053608A (ko)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KR20120077003A (ko) 수직입상 환기덕트에 연결되는 배기관상의 댐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