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608A -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608A
KR20210053608A KR1020190139412A KR20190139412A KR20210053608A KR 20210053608 A KR20210053608 A KR 20210053608A KR 1020190139412 A KR1020190139412 A KR 1020190139412A KR 20190139412 A KR20190139412 A KR 20190139412A KR 20210053608 A KR20210053608 A KR 2021005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mination step
exhaust system
humidity
determined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644B1 (ko
Inventor
김길태
곽병창
박정하
김성용
홍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9013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6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대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실내 상대습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기준점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이나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이나 비난방공간의 배기시스템이나 주방의 배기시스템을 가동하여 급격히 발생된 습기를 실외로 강제로 배출하여 빠르게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동주택 세대 내에서 습기가 급격히 발생되어 실내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실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자동제어를 통한 배기시스템의 운전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습도를 안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HUMIDITY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있어서 외벽 단열이 잘 되지 않는 구조적 요인, 복잡한 실내공간 구획으로 인해 공기 순환이 잘 되지 않는 설계적 요인, 고온 다습한 여름이 길어지는 계절적 요인 등으로 인해 세대 내에 습기 발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를 바로 제거해주지 못할 경우 곰팡이나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고온 다습한 실내공기나 곰팡이 등으로 인해 피부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동절기에는 결로에 의한 동파로 잦은 민원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결로 현상은 상기한 여러 요인으로 인해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거주자들은 신발장이나 붙박이장 내에 제습제를 놓아두거나 습기나 결로가 발생한 벽면을 난방기나 전열기를 이용해 공기를 건조시키고 있으나, 이는 임시 방편적인 방법에 지나지 않아 근본적인 해결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발코니에는 세탁물과 같이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물건이 자주 놓여지게 되어 건물의 다른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게 되며, 특히 겨울철에는 발코니 벽면 등이 내측보다 심하게 냉각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외벽의 실내 쪽 면에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결로를 방지하려면 발코니의 창문 등을 개방하여 환기나 공기의 유통이 잘 되도록 하여 습도가 높은 공기가 정체되는 것을 피해야 하며 세탁물, 물주전자 등 수증기 발산의 근원이 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강제적인 배기를 해주어야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창문의 개방에 따른 환기나 제습은 실내·외의 온도 차이에 따른 적정한 실내 온도의 유지 및 조절이 어려우며, 열손실을 많이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코니 등에 설치된 전열교환기(기계식, 자동식), 환기유닛 및 냉난방기 등의 환기설비를 통해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노점온도를 표면온도 이하로 낮추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습기 저감보다는 환기가 주목적이 있어 결로방지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계식 환기설비는 세대 전체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에너지 낭비가 심하게 되어 24시간 또는 장기간 가동하기에는 전기료가 많은 부담이 될 뿐 아니라, 냉난방손실과 소음 등 사유로 인하여 재실자(거주자)의 약 68% (기계식)가 환기장치를 미운영(연구결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동식 환기설비는 센서의 위치가 결로취약부위가 아닌 실내 전체환기목적의 실내중앙, 실내 콘트롤러 등에 위치하고 있어, 실제 결로 취약부위의 온·습도 조건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즉, 습기는 발생원으로부터 넓게 분포하면서 가장 차가운 부위에서 결로가 발생되나, 종래의 자동환기시스템의 센서는 대부분 실내중앙에 설치되어 있어, 환기에 대한 효과는 있으나 결로방지효과는 기대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실내 결로발생여부는 온도 및 습도변화에 따라 변동이 크나, 종래의 자동식 환기설비는 센서에 의해 결로 취약부위에 대한 고려 없이 표면온도만을 또는 상대습도만을 측정하여 비교하도록 되어 있어, 결로발생여부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결로방지방법은 기계에 의존하거나, 재실자(거주자)가 결로발생을 임의적으로 예측하여 직접 환기시스템을 구동시켜야 하므로, 결로발생의 방지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재실자의 잘못된 생활패턴에 의해 결로발생현상이 가중될 경우, 이를 개선할 수 없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환기시스템은 천장에 덕트를 설치하여 덕트를 통해 각 실에 급기 및 배기를 실시하기 때문에 신축 건물의 경우에도 그에 따른 비용 상승이 발생한다. 아울러 기존 건물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천장을 전부 또는 일부 해체해서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 덕트형 환기시스템은 발코니나 실외기실에 위치한 급배기 장치의 팬을 가동하여 덕트를 통해 전체 실에 공기를 급기 또는 배기하는 장치로 실제 공동주택의 간헐적인 재실 특성에 따라 거실이나 침실에 국소적인 환기가 필요한 상황에서도 전체 실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기함으로써 팬동력의 소비, 실내 냉난방 에너지의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아울러 기존 대부분의 많은 건물들은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또는 환기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화장실 사용시 배기시스템이 가동되거나 조리 시 주방후드 시스템이 가동되며, 실내 발생 휘발성 화학물질, 라돈, 미세먼지 등 인체에 유해한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환기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유해한 환경에 노출된 상황이다.
또한, 주방후드 시스템을 통해 조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유해가스, 냄새 및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적인 급기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주거건물에서 일시에 많은 풍량을 배출해야 하는 주방후드 시스템에 압력손실이 발생하여 배기가 원활하게 정격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조리 시 적정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불완전 연소에 의한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 발생하여 조리자 및 실내 거주자에게 유해한 환경이 조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4338호 (2008년07월0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3436호 (2016년04월2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7204호 (2017년11월1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배기시스템을 적용한 공동주택 세대 내에서 습기가 급격히 발생되어 실내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실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실내 상대습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기준점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배기시스템을 가동하여 급격히 발생된 습기를 실외로 강제로 배출하여 빠르게 실내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제어를 통한 배기 시스템 운전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습도를 안정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습도 센서를 기반으로 한 자동제어 로직을 구축함으로써, 배기 장치를 통해 세대 내 습기 및 오염물질을 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안방 욕실의 배기버튼의 ON 여부를 판단하는 ON 판단 단계; 상기 ON 판단 단계에서 ON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 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안방 욕실의 배기버튼의 OFF 여부를 판단하는 OFF 판단 단계; 상기 OFF 판단 단계에서 OFF로 판단하면, 타이머를 ON 하여 소정시간동안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운전하는 지속 운전 단계; 및 상기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소정시간동안 가동시킨 후 또는 상기 ON 판단 단계에서 ON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안방 욕실의 자동 운전 스위치의 ON/OFF를 판단하는 ON/OFF 판단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N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자동 운전하는 자동 운전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FF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수동 운전하는 수동 운전 단계; 상기 자동 운전 단계의 이후에 안방 욕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1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상기 배기 운전 단계의 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소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 단계;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2 습도 판단 단계; 및 상기 안방 욕실의 상대습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초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공용 욕실의 결로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ON/OFF 판단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N으로 판단하면, 공동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자동 운전하는 자동 운전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FF로 판단하면, 공동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수동 운전하는 수동 운전 단계; 상기 자동 운전 단계의 이후에 거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1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로 판단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상기 배기 운전 단계의 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소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 단계;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으로 판단하면, 거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2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과운전 방지 배기시스템을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는 일시 정지 단계; 및 상기 거실의 상대습도가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비난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1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로 판단하면, 비난방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1 온도 판단 단계; 비난방공간의 절대습도를 계산하여 기준점으로 선정하는 기준점 선정 단계; 배기시스템을 ON 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상기 배기 운전 단계 이후에 비난방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2 온도 판단 단계; 제2 온도 판단 단계에서 비난방공간의 온도가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비난방공간의 절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점의 이하여부를 판단하는 제2 습도 판단 단계; 제2 습도 판단 단계에서 비난방공간의 절대습도가 기준점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비난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이하여부를 판단하는 제3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제3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이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과운전 방지용 배기시스템을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는 일시 정지 단계; 및 상기 제3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주방의 자동 운전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ON/OFF 판단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N으로 판단하면, 주방 실내의 온도와 레인지후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FF로 판단하면, 주방의 배기시스템을 수동 운전하는 수동 운전 단계; 상기 온도 측정 단계의 이후에 레인지후드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제1 온도 판단 단계; 상기 제1 온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이상으로 판단하면, 주방 후드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상기 배기 운전 단계의 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운전시간에 따라 풍량을 변화시키는 풍량 변화 단계; 상기 풍량 변화 단계의 이후에 운전시간이 소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 단계;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으로 판단하면, 레인지후드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미만여부를 판단하는 제2 온도 판단 단계; 상기 제2 온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미만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제1 온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주방 후드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속 운전 단계에서는 10∼20분 동안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지속해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는 운전시간이 1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습도 판단 단계에서는 상대습도의 기준값을 65∼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기시스템은, 습도센서와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결과에 따라 개폐되는 댐퍼에 의해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시스템을 적용한 공동주택 세대 내에서 습기가 급격히 발생되어 실내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실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대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실내 상대습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기준점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배기시스템을 가동하여 급격히 발생된 습기를 실외로 강제로 배출하여 빠르게 실내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제어를 통한 배기 시스템 운전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습도를 안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습도 센서를 기반으로 한 자동제어 로직을 구축함으로써, 배기 장치를 통해 세대 내 습기 및 오염물질을 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적용하는 공동주택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적용하는 공동주택의 주방을 나타내는 확대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적용하는 공동주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을 적용하는 공동주택의 주방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은, ON 판단 단계(S11), 배기 운전 단계(S12), OFF 판단 단계(S13), 지속 운전 단계(S14), 배기 정지 단계(S1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동주택의 안방 욕실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이다.
ON 판단 단계(S11)는, 안방 욕실의 배기버튼의 ON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이 수동 및 자동의 두 가지 버전의 운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습도센서를 바탕으로 자동제어가 되기를 원하는지를 자동운전의 배기버튼의 선택여부로 판정하게 된다.
배기 운전 단계(S12)는, ON 판단 단계(S11)에서 ON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 하여 운전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안방 욕실을 사용하면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배기버튼을 동작시키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동작시키는 동시에 댐퍼를 개방하게 된다.
OFF 판단 단계(S13)는, 안방 욕실의 배기버튼의 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안방 욕실을 사용하면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배기버튼을 동작시키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시켜 동작시키게 된다.
지속 운전 단계(S14)는, OFF 판단 단계(S13)에서 OFF로 판단하면, 타이머를 ON 하여 소정시간동안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운전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지속 운전 단계에서는 10∼20분 동안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지속해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방 욕실 사용하면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배기버튼을 동작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배기버튼을 해제하여도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은 해제된 시점부터 10분간 운전이 지속되도록 하게 된다.
배기 정지 단계(S15)는, 지속 운전 단계(S14)에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소정시간동안 가동시킨 후 또는 ON 판단 단계(S11)에서 ON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여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안방 욕실에서 샤워 후 안방 욕실의 문을 열었을 때 습기가 안방으로 급격히 확산되는 시간이 10분 동안의 지연 운전을 통해 급격하게 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안방과 안방 욕실의 습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20)은, 습도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각 세대의 실내공간인 안방 욕실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기시스템은,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를 공동주택의 배기시스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배기시스템의 습기 자동제어 방식은 각 세대에서 직접 외부로 배기하는 직배기 방식과, 각 세대의 배기시스템이 수직 공동구와 연결되어 외부로 배기하는 입상 덕트 방식의 양쪽 방식 모두에 포괄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배기시스템은, 습도센서와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결과에 따라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은, ON/OFF 판단 단계(S21), 자동 운전 단계(S22), 수동 운전 단계(S23), 제1 습도 판단 단계(S24), 배기 운전 단계(S25), 시간 판단 단계(S26), 제2 습도 판단 단계(S27), 배기 정지 단계(S28)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동주택의 안방 욕실, 공용 욕실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이다.
ON/OFF 판단 단계(S21)는, 안방 욕실의 자동 운전 스위치의 ON/OFF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이 수동 및 자동의 두 가지 버전의 운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습도센서를 바탕으로 자동제어가 되기를 원하는지를 안방 욕실의 자동 운전 스위치의 ON/OFF의 선택여부로 판정하게 된다.
자동 운전 단계(S22)는, ON/OFF 판단 단계(S21)에서 ON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자동 운전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안방 욕실을 사용하면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자동 운전 스위치를 ON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자동운전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수동 운전 단계(S23)는, ON/OFF 판단 단계(S21)에서 OFF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수동 운전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안방 욕실을 사용하면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자동 운전 스위치를 OFF 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수동운전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제1 습도 판단 단계(S24)는, 자동 운전 단계(S22)의 이후에 안방 욕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습도 판단 단계(S24)에서는 상대습도의 기준값을 65∼7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 운전 단계(S25)는, 제1 습도 판단 단계(S24)에서 기준값의 초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운전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안방 욕실을 사용하면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자동 운전 스위치를 ON하면 습도센서를 통해 발생되는 습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동작시키게 된다.
시간 판단 단계(S26)는, 배기 운전 단계(S25)의 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소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시간 판단 단계(S26)에서는 운전시간이 1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습도 판단 단계(S27)는, 시간 판단 단계(S26)에서 운전시간이 1시간 미만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해서 기준값의 초과시 배기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전하도록 배기 운전 단계(S25)으로 진행시키는 단계로서, 이러한 습도 판단 단계(S27)에서는 상대습도의 기준값을 65∼7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 정지 단계(S28)는, 제2 습도 판단 단계(S27)에서 안방 욕실의 상대습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제1 습도 판단 단계(S24)에서 기준값의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시간 판단 단계(S26)에서 운전시간이 1시간이상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FF하여 정지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배기 정지 단계(S28)에서는, 실험 결과 자동운전을 통해 욕실 및 안방의 습도가 초기 수준으로 도달되는데 1시간 미만으로 걸리는 것을 확인해서, 배기시스템의 운전시간이 1시간 이상인 경우에 배기시스템을 정지시켜, 이를 통해 욕실 및 안방 외벽의 결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기시스템은,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를 공동주택의 배기시스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배기시스템의 습기 자동제어 방식은 각 세대에서 직접 외부로 배기하는 직배기 방식과, 각 세대의 배기시스템이 수직 공동구와 연결되어 외부로 배기하는 입상 덕트 방식의 양쪽 방식 모두에 포괄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배기시스템은, 습도센서와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결과에 따라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은, ON/OFF 판단 단계(S31), 자동 운전 단계(S32), 수동 운전 단계(S33), 제1 습도 판단 단계(S34), 배기 운전 단계(S35), 시간 판단 단계(S36), 제2 습도 판단 단계(S37), 일시 정지 단계(S38), 배기 정지 단계(S3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동주택의 공용 욕실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이다.
ON/OFF 판단 단계(S31)는, 공용 욕실에서 샤워 또는 주방에서 조리 시 발생되는 습기가 거실, 현관, 각 방 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세대 내 결로를 방지하도록 결로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이 수동 및 자동의 두 가지 버전의 운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습도센서를 바탕으로 자동제어가 되기를 원하는지를 조명 스위치(10a) 및 팬 스위치(10b)와 함께 설치된 결로 스위치(10c)의 ON/OFF의 선택여부로 판정하게 된다.
또한, 팬 스위치(10b)는 결로 스위치의 On 상태에서도 팬 스위치에 의해 필요에 따라 수동 운전이 가능하며, 결로 스위치(10c)는 습도 센서와 연동하여 습기 감지 시 배기 시스템 자동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특히, 여름철 고온 다습한 외기상태로 인하여 자동배기시스템의 과운전을 방지하기 원하거나 사용자가 자동제어를 원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수동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결로 스위치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자동 운전 단계(S32)는, ON/OFF 판단 단계(S31)에서 ON으로 판단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자동 운전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공용 욕실을 사용하면서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결로 스위치를 ON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자동운전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수동 운전 단계(S33)는, ON/OFF 판단 단계(S31)에서 OFF로 판단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수동 운전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공용 욕실을 사용하면서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결로 스위치를 OFF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수동운전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제1 습도 판단 단계(S34)는, 자동 운전 단계(S33)의 이후에 거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제1 습도 판단 단계(S34)에서는 상대습도의 기준값을 65∼7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 운전 단계(S35)는, 제1 습도 판단 단계(S34)에서 기준값의 초과로 판단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운전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공용 욕실을 사용하면서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의 결로 스위치를 ON하면 공용 욕실에서 발생된 습기 또는 주방 및 세대 내에서 발생된 습기가 확산되어 공용욕실 앞에 위치한 습도 센서가 습도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동작시키게 된다.
시간 판단 단계(S36)는, 배기 운전 단계(S35)의 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소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시간 판단 단계(S36)에서는 배기시스템의 과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의 운전시간이 1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습도 판단 단계(S37)는, 시간 판단 단계(S36)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으로 판단하면, 거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제2 습도 판단 단계(S37)에서는 상대습도의 기준값을 65∼7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시 정지 단계(S38)는, 시간 판단 단계(S36)에서 최대 운전시간이 1시간의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과운전 방지 배기시스템을 5분 내지 10분 동안의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로서, 여름철 외기의 높은 상대습도로 세대 내 자동 배기시스템의 과운전방지를 위해 결로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여름철에 수동 운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배기 정지 단계(S39)는, 제2 습도 판단 단계(S37)에서 거실의 상대습도가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제1 습도 판단 단계(S34)에서 기준값의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여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배기 정지 단계(S39)에서는 습도센서가 세대 내에 확산되는 습기 감지를 하여 자동으로 배기시스템 동작시켜 최대 동작시간이 1시간 미만으로 습도가 안정화하게 된다.
비난방공간의 배기시스템은, 비난방공간에 설치된 배기장치를 통하여 각 세대의 비난방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비난방공간의 배기시스템은, 습도센서와 온도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각 세대의 실내공간인 비난방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기시스템은,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를 공동주택의 배기시스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배기시스템의 습기 자동제어 방식은 각 세대에서 직접 외부로 배기하는 직배기 방식과, 각 세대의 배기시스템이 수직 공동구와 연결되어 외부로 배기하는 입상 덕트 방식의 양쪽 방식 모두에 포괄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배기시스템은, 습도센서와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결과에 따라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은, 제1 습도 판단 단계(S41), 제1 온도 판단 단계(S42), 기준점 선정 단계(S43), 배기 운전 단계(S44), 제2 온도 판단 단계(S45), 제2 습도 판단 단계(S46), 제3 습도 판단 단계(S47), 일시 정지 단계(S48), 배기 정지 단계(S4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동주택의 세탁실, 발코니, 창고 등과 같은 비난방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이다.
제1 습도 판단 단계(S41)는, 세탁실, 발코니, 창고 등과 같은 비난방공간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비난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제1 습도 판단 단계(S41)에서는 상대습도의 기준값을 65∼7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온도 판단 단계(S42)는, 제1 습도 판단 단계(S41)에서 기준값의 초과로 판단하면, 비난방공간의 온도를 온도센서로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비난방공간인 세탁실의 온도를 온도센서로 측정하여 동결을 방지하도록 0℃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점 선정 단계(S43)는, 비난방공간의 절대습도를 계산하여 기준점으로 선정하는 단계로서, 비난방공간에서 급격히 습도가 증가될 때, 발생된 습기 제거 및 습도 안정화를 위해 비난방공간의 상대습도가 증가하여 배기시스템이 자동으로 작동되면, 온도와 상대습도를 통해 절대습도 값을 계산하여 기준점으로 설정하게 된다.
배기 운전 단계(S44)는, 배기시스템을 ON 하여 운전하는 단계로서, 비난방공간인 세탁실에서 세탁기 동작이나 빨래 자연건조 등으로 비난방공간에서 급격히 습도가 증가될 때, 발생된 습기 제거 및 습도 안정화를 위해 비난방공간의 상대습도가 증가하여 배기 시스템을 자동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제2 온도 판단 단계(S45)는, 배기 운전 단계(S44)의 이후에 비난방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배기시스템의 운전후에 비난방공간의 온도가 0℃의 초과여부를 다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습도 판단 단계(S46)는, 제2 온도 판단 단계(S45)에서 비난방공간의 온도가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비난방공간의 절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점의 이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기준점 이하가 아니면 배기 운전 단계(S44)로 복귀하여 지속적으로 배기시스템을 운전시키게 된다.
제3 습도 판단 단계(S47)는, 제2 습도 판단 단계(S46)에서 비난방공간의 절대습도가 기준점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비난방공간인 세탁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이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제3 습도 판단 단계(S47)에서는 상대습도의 기준값을 65∼7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기시스템이 작동되면서 절대습도와 상대습도를 모니터링하여 현재 절대습도가 기준점 이상인 경우 배기시스템을 지속 운전하며, 기준점 이하인 경우 상대습도가 목표치 이하인 경우 배기시스템이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시 정지 단계(S48)는, 제3 습도 판단 단계(S47)에서 기준값의 이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과운전 방지용 배기시스템을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로서, 절대습도가 기준점 이하이지만, 상대습도가 목표치 이상인 경우에 배기시스템 과운전 방지를 위해 5분 정지 후 온도, 절대습도, 상대습도를 관찰하여 배기시스템의 재가동 유무 판단하도록 배기시스템의 과운전 발생 예방 로직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배기 정지 단계(S49)는, 제3 습도 판단 단계(S47)에서 상대습도가 기준값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제1 습도 판단 단계(S41)에서 상대습도가 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제1 온도 판단 단계(S42)와 제2 온도 판단 단계(S45)에서 온도가 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배기시스템을 OFF 하여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겨울철 낮은 온도의 외기 유입으로 낮은 절대습도임에도 높은 상대습도를 유지함으로써 배기시스템이 과운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대습도와 상대습도를 같이 고려하면서 과운전 방지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주방의 배기시스템(30)은, 주방의 배기용 레인지후드를 이용하여 각 세대의 실내공간인 주방에서 배출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비난방공간의 배기시스템(30)은, 온도센서에 따라 각 세대의 실내공간인 주방에서 조리 중에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기시스템은,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를 공동주택의 배기시스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배기시스템의 습기 자동제어 방식은 각 세대에서 직접 외부로 배기하는 직배기 방식과, 각 세대의 배기시스템이 수직 공동구와 연결되어 외부로 배기하는 입상 덕트 방식의 양쪽 방식 모두에 포괄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배기시스템은, 습도센서와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결과에 따라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은, ON/OFF 판단 단계(S51), 온도 측정 단계(S52), 수동 운전 단계(S53), 제1 온도 판단 단계(S54), 배기 운전 단계(S55), 풍량 변화 단계(S56), 시간 판단 단계(S57), 제2 온도 판단 단계(S58), 배기 정지 단계(S5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동주택의 주방 같은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이다.
ON/OFF 판단 단계(S51)는, 주방의 배기시스템의 자동 운전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주방의 배기시스템이 수동 및 자동의 두 가지 버전의 운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습도센서를 바탕으로 자동제어가 되기를 원하는지를 주빙의 자동 운전 스위치의 ON/OFF의 선택여부로 판정하게 된다.
온도 측정 단계(S52)는, ON/OFF 판단 단계(S51)에서 ON으로 판단하면, 주방 실내의 온도와 레인지후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주방 조리 시 습기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어 주방의 배기시스템의 자동 운전 스위치를 ON하면 주방의 배기시스템을 통해 자동운전 모드로 배기되도록 전환되면서 온도센서에 의해 주방의 실내온도(T1)와 초기의 주방후드의 배기온도(T2)를 측정하게 된다.
수동 운전 단계(S53)는, ON/OFF 판단 단계(S51)에서 OFF로 판단하면, 주방의 배기시스템을 수동 운전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주방 조리 시 습기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어 주방의 배기시스템의 자동 운전 스위치를 OFF하면 주방의 공용 배기시스템을 통해 수동운전 모드로 배기되도록 전환된다.
제1 온도 판단 단계(S54)는, 온도 측정 단계(S52)의 이후에 레인지후드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주방의 실내온도(T1)와 초기의 주방후드 배기온도(T2) 사이의 온도변화(ΔTRA=T2-T1)가 기준값인 3℃이상 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배기 운전 단계(S55)는, 제1 온도 판단 단계(S54)에서 기준값의 이상으로 판단하면, 주방 후드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운전하는 단계로서, 온도변화(ΔTRA=T2-T1)가 기준값인 3℃이상이면 주방의 배기시스템을 ON 하여 주방의 배기시스템을 자동운전시키면서 댐퍼를 개방하여 조리시 발생된 습기 제거 및 실내 습기, 미세먼지를 배출시키게 된다.
풍량 변화 단계(S56)는, 배기 운전 단계(S55)의 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운전시간에 따라 풍량을 변화시키는 단계로서, 이전의 주방후드의 배기온도(T2,i)와 현재의 주방후드의 배기온도(T2,w) 사이의 온도변화(ΔTEA=T2,w-T2,i)가 기준값인 3℃에 도달하는 운전시간(t)을 측정하여, 운전시간(t)이 60초 이상이면 풍량 1단계를 유지하고, 운전시간(t)이 30초 이하이면 풍량 2단계로 변화하고, 운전시간(t)이 20초 이하이면 풍량 3단계로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주방 실내 온도와 레인지후드 배기구 사이의 온도차이가 3℃에 도달하는 순간에 이를 감지하여 자동배기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자동배기의 작동시 1단계 풍량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후에 배기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차가 33℃에 걸리는 시간 측정하여 풍량을 단계별로 조절하게 된다.
시간 판단 단계(S57)는, 풍량 변화 단계(S56)의 이후에 운전시간이 소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시간 판단 단계(S57)에서는 과운전방지를 위해 사용자가 최대 운전시간을 기본적으로 최대 1시간으로 설정하여 운전시간이 1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온도 판단 단계(S58)는, 시간 판단 단계(S57)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으로 판단하면, 레인지후드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미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주방의 실내온도(T1)와 초기의 주방후드 배기온도(T2) 사이의 온도변화(ΔTRA=T2-T1)가 기준값인 3℃이상 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배기 정지 단계(S59)는, 제2 온도 판단 단계(S58)에서 기준값의 미만으로 판단하거나 시간 판단 단계(S57)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거나 제1 온도 판단 단계(S54)에서 기준값의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주방 후드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여 정지시키고 댐퍼를 폐쇄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주방후드의 풍량이 최대 200cmh로 다른 배기 풍량보다 높으며, 습기 발생지역 상단에 위치함으로써, 생성되는 습기를 즉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주방의 배기시스템(30)은, 각 세대의 실내공간인 주방에서 배출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주방의 배기시스템(30)은, 온도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각 세대의 실내공간인 주방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기시스템은,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를 공동주택의 배기시스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배기시스템의 습기 자동제어 방식은 각 세대에서 직접 외부로 배기하는 직배기 방식과, 각 세대의 배기시스템이 수직 공동구와 연결되어 외부로 배기하는 입상 덕트 방식의 양쪽 방식 모두에 포괄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배기시스템은, 습도센서와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결과에 따라 각 세대의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 각 세대의 배기시스템에 의하여 공동주택 세대 내에서 습기가 급격히 발생되어 실내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실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대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실내 상대습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기준점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배기시스템을 가동하여 급격히 발생된 습기를 실외로 강제로 배출하여 빠르게 실내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제어를 통한 배기시스템 운전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습도를 안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습도 센서를 기반으로 한 자동제어 로직을 구축함으로써, 배기 장치를 통해 세대 내 습기 및 오염물질을 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
20: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
30: 주방의 배기시스템
50: 비난방공간의 배기시스템

Claims (8)

  1.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안방 욕실의 배기버튼의 ON 여부를 판단하는 ON 판단 단계;
    상기 ON 판단 단계에서 ON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 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안방 욕실의 배기버튼의 OFF 여부를 판단하는 OFF 판단 단계;
    상기 OFF 판단 단계에서 OFF로 판단하면, 타이머를 ON 하여 소정시간동안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운전하는 지속 운전 단계; 및
    상기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소정시간동안 가동시킨 후 또는 상기 ON 판단 단계에서 ON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2.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안방 욕실의 자동 운전 스위치의 ON/OFF를 판단하는 ON/OFF 판단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N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자동 운전하는 자동 운전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FF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수동 운전하는 수동 운전 단계;
    상기 자동 운전 단계의 이후에 안방 욕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1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상기 배기 운전 단계의 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소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 단계;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2 습도 판단 단계; 및
    상기 안방 욕실의 상대습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초과로 판단하면,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3.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공용 욕실의 결로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ON/OFF 판단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N으로 판단하면, 공동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자동 운전하는 자동 운전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FF로 판단하면, 공동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수동 운전하는 수동 운전 단계;
    상기 자동 운전 단계의 이후에 거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1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로 판단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상기 배기 운전 단계의 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소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 단계;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으로 판단하면, 거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2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과운전 방지 배기시스템을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는 일시 정지 단계; 및
    상기 거실의 상대습도가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공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4.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비난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1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제1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초과로 판단하면, 비난방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1 온도 판단 단계;
    비난방공간의 절대습도를 계산하여 기준점으로 선정하는 기준점 선정 단계;
    배기시스템을 ON 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상기 배기 운전 단계 이후에 비난방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2 온도 판단 단계;
    제2 온도 판단 단계에서 비난방공간의 온도가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비난방공간의 절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점의 이하여부를 판단하는 제2 습도 판단 단계;
    제2 습도 판단 단계에서 비난방공간의 절대습도가 기준점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비난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이하여부를 판단하는 제3 습도 판단 단계;
    상기 제3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이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과운전 방지용 배기시스템을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는 일시 정지 단계; 및
    상기 제3 습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5.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에 대한 습기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으로서,
    주방의 자동 운전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ON/OFF 판단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N으로 판단하면, 주방 실내의 온도와 레인지후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상기 ON/OFF 판단 단계에서 OFF로 판단하면, 주방의 배기시스템을 수동 운전하는 수동 운전 단계;
    상기 온도 측정 단계의 이후에 레인지후드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제1 온도 판단 단계;
    상기 제1 온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이상으로 판단하면, 주방 후드의 배기시스템을 ON하여 운전하는 배기 운전 단계;
    상기 배기 운전 단계의 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운전시간에 따라 풍량을 변화시키는 풍량 변화 단계;
    상기 풍량 변화 단계의 이후에 운전시간이 소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 단계;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으로 판단하면, 레인지후드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기준값의 미만여부를 판단하는 제2 온도 판단 단계;
    상기 제2 온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미만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 소정시간의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제1 온도 판단 단계에서 기준값의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주방 후드의 배기시스템을 OFF 하는 배기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 운전 단계에서는 10∼20분 동안 안방 욕실의 배기시스템을 지속해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7. 제 2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판단 단계에서는 운전시간이 1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판단 단계에서는 상대습도의 기준값을 65∼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KR1020190139412A 2019-11-04 2019-11-04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KR10229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12A KR102290644B1 (ko) 2019-11-04 2019-11-04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12A KR102290644B1 (ko) 2019-11-04 2019-11-04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08A true KR20210053608A (ko) 2021-05-12
KR102290644B1 KR102290644B1 (ko) 2021-08-17

Family

ID=7591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12A KR102290644B1 (ko) 2019-11-04 2019-11-04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6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38B1 (ko) 2007-07-25 2008-07-07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생활 리듬 적응형 실내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1647B1 (ko) * 2011-06-24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욕실 통합형 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3436B1 (ko) 2014-10-28 2016-04-20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용 결로현상 방지방법
KR101797204B1 (ko) 2016-06-10 2017-11-15 주식회사 랩죤 실시간 환경 감응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38B1 (ko) 2007-07-25 2008-07-07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생활 리듬 적응형 실내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1647B1 (ko) * 2011-06-24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욕실 통합형 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3436B1 (ko) 2014-10-28 2016-04-20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용 결로현상 방지방법
KR101797204B1 (ko) 2016-06-10 2017-11-15 주식회사 랩죤 실시간 환경 감응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644B1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436B1 (ko) 공동주택용 결로현상 방지방법
WO2008138149A1 (en) Temperature ventilation control
JP2008121415A (ja) 衣類乾燥機を有する集合住宅の排気構造
JP2008122069A (ja) 衣類乾燥機を有する集合住宅の排気構造
KR102159704B1 (ko)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JP7403669B2 (ja) 換気報知装置および換気報知プログラム
JP2008121414A (ja) 衣類乾燥機を有する集合住宅の排気構造
KR102290644B1 (ko) 공동주택의 습기제어방법
KR20080041923A (ko)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JP2012180953A (ja) 建物用換気システム
JP5375214B2 (ja) 浴室暖房装置
KR101259055B1 (ko) 발코니 결로방지 및 제습장치
KR101596360B1 (ko) 스마트 환풍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2277020A (ja)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方法
JP2005009796A (ja) 換気量制御方法
KR100694845B1 (ko) 베이크아웃 시스템
JPH05240464A (ja) 空気調和装置
KR101143416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JP6060374B2 (ja) 浴室暖房乾燥機
JP2013061106A (ja) 浴室暖房乾燥機
JP2005016936A (ja) 戸建住宅用自然換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90108742A (ko) 환기용 열교환기
KR102479077B1 (ko) 이동식 스마트 간이구조물
KR20020037211A (ko) 주방 환기 시스템
JPH09318139A (ja) 全館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