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791B1 -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7791B1 KR100857791B1 KR1020060110149A KR20060110149A KR100857791B1 KR 100857791 B1 KR100857791 B1 KR 100857791B1 KR 1020060110149 A KR1020060110149 A KR 1020060110149A KR 20060110149 A KR20060110149 A KR 20060110149A KR 100857791 B1 KR100857791 B1 KR 100857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er
- pipe
- branch pipe
- building
- ga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중 특히 고층의 공동주택에 있어서, 각 세대의 의류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구조는, 입상관; 주방과 상기 입상관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세대 별로 마련되는 주방용 지관; 상기 주방용 지관에 연결되는 건조기용 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동주택, 초고층아파트, 입상관, 지관, 의류건조기, 배기, 배출, 가스, 주방, 공용배기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2는 지관 및 입상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입상관 110 : 외기관
120 : 배수구조 130 : 배수관
140 : 팬 300 : 건조기
310 : 가스배출관 500 : 건조기용 지관
520 : 일산화탄소필터 530 : 린트필터
550 : 정풍량댐퍼 400 : 주방용 지관
410 : 역류방지댐퍼 440 : 방화댐퍼
본 발명은 공동주택 중 특히 고층의 공동주택에 있어서, 각 세대의 의류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입상관과 각 세대와 상기 입상관을 연결하는 지관이 마련되어 있다.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냄새 등은 주방의 환기구를 통해 지관을 거쳐 입상관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주방의 내부 가스는 주방 천정에 있는 환기구를 통해 지관을 거쳐 입상관으로 배출된다.
입상관의 상부에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무동력팬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동력팬은 배출가스가 입상관 내부로부터 건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돕는다.
공동주택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중소도시에서도 보편적인 주거형태가 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공동주택은 종래 15층 미만 정도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20층 이상까지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심지어 30~40층 또는 그 이상의 공동주택도 등장하고 있다.
비교적 낮은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경우에는 종래의 가스 배출 구조로도 큰 문제는 없었다. 그리고, 설사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각 세대에 마련된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방법 등을 통해 해결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사정이 다르다. 저층에서는 지표면과의 마찰 및 건물 등 각종 장애물들에 의해 장애 등 때문에 풍속이 크지 않다. 반면, 고층으로 갈수록 마찰이나 장애물들에 의한 장애 등이 적기 때문에 풍속이 커지게 된다.
또한, 고층으로 갈수록 와류의 정도가 심하다. 고층에서는 주변에 장애물이 적기 때문에 고층건물에 부딪힌 바람은 건물의 측벽을 타거나 또는 건물의 옥상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바람이 건물을 타고 넘어가면서 그 풍속이 더욱 강화되기도 하며, 와류를 형성하기도 한다.
고층의 위와 같은 바람의 현상 때문에 고층에서는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고층 건물의 경우 입상관 상부의 배출구로 불어 닥치는 강한 바람 때문에 입상관을 통한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다.
위와 같이, 고층에서는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입상관을 통한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 때문에 고층 건물의 환기와 관련된 주거환경 문제가 최근 주목을 끌고 있다.
통상, 주방과 주방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위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그 가스의 배출을 위한 입상관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층에서는 풍속이 강하여 베란다 창문을 열어두고 베란다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건조기를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의류건조기는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기계장치인데, 세탁물 건조를 위해 사용된 열풍을 배출하는 건조기가 있다. 이와 같은 건조기는 고층건물의 상술한 주거 환경 문제를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연료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함으로서 열풍을 만들어내는 건조기의 경우에는 통상의 배출 가스 이외에도 연료 연소 시 발생한 가스도 배출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배출 가스에 일산화탄소 등 인체에 유해한 요소가 함유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고층 건물에서는 창문 등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가스의 배출구조는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층 건물에서는 실내 공기의 오염 문제가 심각하다.
또한, 저층에서와 같이 베란다에 세탁물을 널고 창문을 열어 건조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건조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건조기의 배출가스는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또 다른 요인이 된다.
따라서, 건조기의 배출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그런데, 건조기의 배출가스만을 위한 전용의 배출구조를 추가로 마련하게 되면 그만큼 각 세대별 주거 공간이 작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파트의 평당 가격을 고려하면 건조기만을 위한 별도의 배출구조를 마련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의류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수분을 많이 포함한다는 점, 린트(lint) 등 이물질이 많다는 점, 연료를 연소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일산화탄소 등 유해한 요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의류건조기는 비교적 장시간 사용되기 때문에 배출가스가 많다는 점 등등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의류건조기를 위한 배출구조를 마련함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동주택에서 의류건조기에서 발생한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주방의 가스와 함께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조를 제공함으로서 각 세대별 주거 공간을 감소시키지 않고 건조기의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조를 마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구조는, 입상관; 주방과 상기 입상관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세대 별로 마련되는 주방용 지관;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를 상기 입상관으로 안내하도록 세대 별로 마련되는 건조기용 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는 예컨대, 드럼식 건조기의 경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열풍이 된다. 그리고, 연료용 가스를 연소시켜 열풍을 생성하는 건조기의 경우에는 그 연소 시에 발생한 가스를 포함한다.
상기 주방용 지관은 주방과 상기 입상관 사이를 연통시키는 덕트로서 각 세대별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용 지관은 각 세대 내부 중 건조기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입상관 사이를 연통시키기 위해 마련된 지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방용 지관과 건조기용 지관은 함께 연결되어 입상관으로 연결된다.
상기 입상관과 주방용 지관 및 건조기용 지관은 공동주택 건물에 마련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각 세대별로 마련된 지관들을 거친 배출가스는 상기 입상관을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된다.
건조기용 지관과 주방용 지관이 연결된 경우, 상기 주방용 지관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주방용 지관을 역류하여 주방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는 풍량조절댐퍼, 바람직하게는 정풍량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풍량댐퍼는 필요한 경우 닫힘으로서 배출가스가 역류되어 세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정풍량댐퍼는 건조기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건조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즉, 건조기가 오프된 경우 정풍량댐퍼가 닫히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정풍량댐퍼는 건조기의 콘트롤러에 연결되어 건조기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또는, 세탁실에 별도로 콘트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정풍량댐퍼가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제어될 수도 있다.
역류방지댐퍼나 정풍량댐퍼는 입상관을 통한 세대 간의 배출가스 유입도 방지한다. 의류건조기의 사용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세대 간에 의류건조기의 사용시간이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입상관으로 배출된 가스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입상관의 배출가스가 지관을 통해 세대 내부로 유입 될 수 있다. 이때 역류방지댐퍼 및 정풍량댐퍼는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입상관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차가운 입상관 내벽에서 응결되어 입상관 하부로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배수구조는 바람직하게는 물을 수집하는 집수부와 배수펌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펌프의 구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수부에 플로우트가 일정 높이로 부유함에 따라 스위칭되는 플로우트스위치가 설치된다.
상기 플로우트스위치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일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플로우트가 일정높이로 부유함에 따라 상기 플로우트스위치가 스위칭되면 밸브가 열리고, 상기 배수펌프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방용 지관 또는 건조기용 지관에는 방화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관 및 지관을 통해 화재가 다른 세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방화댐퍼는 지관에 설치되되 입상관과 연결되는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관,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 일산화탄소(CO)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건조기는 열풍을 위한 열원의 종류에 따라 전기식도 있지만, 연료용 가스 등과 같은 석탄 연료를 연소시키는 유형도 있다. 이와 같이 연료를 연소시키는 경우에는 일산화탄소를 필터링하여 입상관 으로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일산화탄소를 함유한 배출가스가 세대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이 곤란한 고층 건물의 주거환경을 고려하면 일산화탄소가 세대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더욱 큰 것이다.
또한, 상기 지관,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에 함유된 린트(lint)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린트필터 전방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린트필터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관의 상부에는 팬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이 회전되어 배출가스가 건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상기 팬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방 또는 주방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서는 무동력팬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의류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그 양이 더 많기 때문에 무동력팬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그리고, 의류건조기는 비교적 장시간 사용하게 되고, 또한, 세대간에 생활패턴이 최근 비슷하기 때문에 각 세대의 지관으로부터 입상관으로 배출되는 가스는 그 양이 더 많기 때문에 동력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팬의 회전속도에 따른 입상관 내부의 압력분포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입상관으로부터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속도가 2m/s인 경우, 12m/s인 경우, 22m/s인 경우에 대해 수행되었다.
입상관 내의 압력분포와 건물 외부의 압력분포가 동일한 경우 배출가스의 배출이 건물 외부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높이가 증가함에 따른 건물 외부의 압력 강하량이 4Pa/3m임을 고려할 때(여기서, 3m는 대략 1층 정도의 높이에 해당한다), 가스의 배출되는 속도가 12m/s인 경우 경우의 입상관 압력분포가 건물 외부의 압력분포와 가장 유사하였다.
또한, 상기 동력장치는 배출할 가스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건조기를 사용하는 세대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만큼 큰 구동력을 상기 팬에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상관에는 상기 배출할 가스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입상관 내부의 압력과 의류건조기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양의 상관관계를 실험적 또는 이론적으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관관계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센싱된 압력을 이용하여 배출할 가스의 양을 감지한다.
또한,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되는 조건 중 하나로서 팬의 회전속도와 배출할 가스의 양 사이의 상관관계 또한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고려하여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출할 가스의 양과 팬의 회전속도에 따라 입상관 내부의 압력분포가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서 입상관 내부의 압력분포와 외부의 압력분포 사이의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배출할 가스의 양에 따라 배출이 가장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입상관 내부의 압력분포가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분포가 되도록, 상기 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관은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방용 지관은 입상관에 연결될 때 하향 경사져 연결되고, 건조기용 지관은 주방용 지관에 연결될 때 하향 경사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관에서도 수분의 응결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입상관으로부터 지관으로 역류되는 배출가스의 양을 감소시키는데에도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입상관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외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입상관 상부를 통한 배출가스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각 세대별로 마련된 건조기용 지관 및 주방용 지관은 각 세대의 의류건조기에서 배출된 배출가스 및 주방의 가스를 상기 입상관으로 안내하게 된다.
필요한 경우, 의류건조기와 건조기용 지관 사이를 연결하는 가스배출관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배출관은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 배출구에 연결된다. 가스배출관의 연결을 위해 의류건조기의 배출구에는 연결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지관과 입상관은 건물에 마련되고 가스배출관은 의류건조기와 함께 별도로 마련된다.
상기 가스배출관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거나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가스배출관에는 정풍량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에는 건조기용 지관에 정풍량댐퍼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는 건조기용 지관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가스배출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린트필터 또한 지관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가스배출관에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린트필터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도록 린트필터 전방에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는 의류건조기에 커넥터로 연결되어 그 신호를 의류건조기의 콘트롤러로 전송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면, 콘트롤러는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린트필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한편, 정풍량댐퍼는 의류건조기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열풍 생성을 위해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식 히터를 가지는 의류건조기의 경우에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의류건조기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공동주택 건물에는 입상관(100)과 상기 입상관(100)으로부터 각 세대로 분기되는 복수의 주방용 지관(40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방용 지관(400)에는 건조기용 지관(50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건조기용 지관(500)은 건조기(300) 등이 설치되는 세탁실까지 연장된다.
건조기(300)의 배출구와 상기 건조기용 지관(500)의 입구 사이를 가스배출관(310)이 연결하고 있다.
상기 입상관(100)의 상부에는 팬(14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팬(140)은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140)은 무동력팬(140)일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입상관(100)의 내부 중 상부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미도시)에 센싱된 결과를 전송한다.
상기 입상관(100) 하부에는 입상관(100)을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하는 외기관(1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배수구조(1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방용 지관(400) 내부에는,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역류방지댐퍼(4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용 지관(500)에는 일산화탄소필터(520)와 린트필터(530) 및 정풍량댐퍼(5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방용 지관(400)에는 방화댐퍼(4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건조기용 지관(500)에는 린트필터(530) 전방에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세탁실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콘트롤러(미도시)에 센싱된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는 건조기(300)의 콘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압력센서의 신호선을 건조기(300)에 구비되는 콘트롤러에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건조기(300)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커넥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의류건조기(30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배출구를 나와 가스배출관(310) 및 지관을 거쳐 입상관(100) 내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의류건조기(300)가 연료를 연소시켜 열풍을 생성하는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배출가스에는 일산화탄소가 함유되어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일산화탄소는 지관에 설치되어 있는 일산화탄소필터(520)에 의해 제거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린트는 건조기용 지관(500)에 설치되어 있는 린트필터(530)에 의해 제거된다.
입상관(100)으로 배출된 배출가스는 입상관(100)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입상관(100) 상부에 설치된 팬(140)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모터는 배출할 가스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된다.
입상관(100) 내부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내부 압력이 센싱되면 그로부터 입상관(100) 내부의 배출가스의 양을 감지하고 그 양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결정되도록 제어된다. 그래서, 배출가스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모터는 팬(14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배출가스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입상관(100) 내부의 배출가스의 양에 따라 입상관(100) 내부의 압력분포가 건물 외부의 압력분포와 유사하게 되는 회전속도로 상기 팬(140)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의류건조기(300)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입상관(100) 내벽에서 응결되어 물로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결된 물은 입상관(100) 내벽을 따라 흘러 하부로 향하며, 배수구조(120) 및 배수관(13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 배수구조(120)는 배수펌프, 밸브, 플로우트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상관(100) 하부에는 외기관(110)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입상관(100) 상부에서의 배출가스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입상관(100) 내부에 배출가스가 가득 차고 이로 인해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배출가스가 지관으로 역류될 수 있다. 이때, 주방용 지관(400)에 설치된 역류방지댐퍼(410)에 의해 주방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건조기용 지관(500)에 설치된 정풍량댐퍼(550)에 의해 세탁실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건조기(300)의 배출가스는 역류방지댐퍼(410)에 의해 주방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주방의 배출가스는 정풍량댐퍼(550)에 의해 세탁실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 한편, 건조기용 지관(500)에 설치된 린트필터(530)가 린트에 의해 막히는 경우 그 전방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압력은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그 센싱된 압력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린트필터(530)가 막혀 교체하여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경고음을 발하거나 램프를 온시킨다.
상기 압력센서는 세탁실에 별도로 마련되는 콘트롤러에 연결될 수도 있고, 건조기(300)의 콘트롤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건조기(300)는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도록 구비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방용 지관(400)은 도2과 같이 입상관(100)에 하향 경사져(각도 α) 연결된다. 배출가스에 함유된 수분이 응결되는 경우 그 물이 입상관(100)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건조기용 지관(500)은 상기 주방용 지관(400)에 하향 경사져(각도 β) 연결된다.
각 세대의 사용자는 건조기(300)를 세탁실에 설치할 때 건조기(300)의 배출구와 건조기용 지관(500) 사이를 가스배출관(310)으로 연결한다. 상기 가스배출관(310)은 유연하게 벤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린트필터(530), 일산화탄소필터(520), 및 정풍량댐퍼(550) 등은 실시예에 따라 지관에 설치될 수도 있고, 가스배출관(3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린트필터(530)와 일산화탄소필터(520) 및 정풍량댐퍼(5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스배출관(3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스배출관(310)에 설치되는 경우 동일한 구성이 건조기용 지관(500)에 설치될 필요는 없지만 이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건조기(300) 판매자가 건조기(300)와 함께 가스배출관(310)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가스배출관(310)에는 린트필터(530), 일산화탄소필터(520) 및 정풍량댐퍼(55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배출관(310)은 건조기용 지관(500)의 형태에 따라 필요 없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스배출관(310)은 건조기용 지관(500)에 일체로 연 결되어 건축업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종래 주방과 같은 구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건조기용 지관(500)의 입구에 팬(미도시)이 설치되고 건조기(300)는 그 배출구가 상기 입구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 주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후드 장치와 유사하게 건조기용 지관(500) 입구를 만들 수도 있다.
한편, 린트필터(530)가 막혔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와 같은 압력센서는 상술한 것과는 달리, 건조기(300) 내부 중 배출가스의 배출 유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연료를 연소시켜 열풍을 생성하는 타입의 건조기(300)의 경우 배출가스의 배출유로상에 일산화탄소필터(5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정풍량댐퍼(550)도 건조기(300) 내부의 배출유로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건조기(300)의 배출구와 가스배출관(310)이 연결되고, 가스배출관(310)은 건조기용 지관(500)에 연결된 경우, 입상관(100)으로부터 역류될 수 있는 배출가스는 건조기(30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정풍량댐퍼(550)에 의해 막혀 세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 특히 고층건물에서 의류건조기에서 발생한 배출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적합한 건조기 배출가스의 배출구조를 얻을 수 있으며, 그와 같은 배출 구조에 적합한 의류건조기 등을 얻을 수 있다.
고층 아파트가 가지는 전술한 문제점 등과 관련된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배출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특히,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가 가지는 특성에 적합하고, 또한 주방의 배출가스와 함께 배출하는 배출구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 입상관;상기 입상관과 연통되도록 세대 별로 마련되는 주방용 지관;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를 상기 입상관으로 안내하도록 세대 별로 마련되는 건조기용 지관;상기 입상관 상부에 설치되는 팬;상기 입상관의 압력분포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압력센서;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입상관 내부의 압력분포가 상기 입상관이 설치된 건물의 외부 압력분포와 동일하도록 상기 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용 지관과 상기 주방용 지관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방용 지관에는 역류방지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용 지관에는 정풍량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구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용 지관 또는 상기 주방용 지관에는 방화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용 지관 또는 상기 주방용 지관에는 일산화탄소(CO)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용 지관 또는 상기 주방용 지관에는 린트(lint)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필터 전방에는 필터의 막힘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배출할 가스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삭제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지관 또는 상기 건조기용 지관은 하향 경사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외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의류건조기의 배출가스 배출구에 연결되어 배출가스를 상기 건조기용 지관으로 유도하는 가스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0149A KR100857791B1 (ko) | 2006-11-08 | 2006-11-08 |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
EP07021666A EP1921201A3 (en) | 2006-11-08 | 2007-11-07 |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
US11/979,741 US8024871B2 (en) | 2006-11-08 | 2007-11-07 |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
JP2007290972A JP2008121415A (ja) | 2006-11-08 | 2007-11-08 | 衣類乾燥機を有する集合住宅の排気構造 |
AU2007231878A AU2007231878B2 (en) | 2006-11-08 | 2007-11-08 |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
CN2007101441919A CN101220981B (zh) | 2006-11-08 | 2007-11-08 | 用于公寓楼中的干衣机的排气结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0149A KR100857791B1 (ko) | 2006-11-08 | 2006-11-08 |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1922A KR20080041922A (ko) | 2008-05-14 |
KR100857791B1 true KR100857791B1 (ko) | 2008-09-09 |
Family
ID=3964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0149A KR100857791B1 (ko) | 2006-11-08 | 2006-11-08 |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779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8647A (ko) * | 2001-07-19 | 2003-01-29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건조기의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KR200372149Y1 (ko) | 2004-10-07 | 2005-01-10 | 김송이 |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 |
KR20060014834A (ko) * | 2004-08-12 | 2006-02-16 | (주) 스카이시스템 | 건물 내부 환기 시스템 |
-
2006
- 2006-11-08 KR KR1020060110149A patent/KR10085779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8647A (ko) * | 2001-07-19 | 2003-01-29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건조기의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KR20060014834A (ko) * | 2004-08-12 | 2006-02-16 | (주) 스카이시스템 | 건물 내부 환기 시스템 |
KR200372149Y1 (ko) | 2004-10-07 | 2005-01-10 | 김송이 |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1922A (ko) | 2008-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7231878B2 (en) |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 |
AU2007231880B2 (en) |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 |
KR20080041923A (ko) |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 |
JP2008121414A (ja) | 衣類乾燥機を有する集合住宅の排気構造 | |
KR100808179B1 (ko) |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전용 배출구조 및 그 의류건조기 | |
KR101847426B1 (ko) | 지하공간 환기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배기장치 | |
CN110274282A (zh) | 一种楼宇公用烟道排烟系统及其控制方法 | |
CN110274284A (zh) | 一种楼宇公用烟道排烟系统及其控制方法 | |
KR100857791B1 (ko) |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 |
KR100857792B1 (ko) |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구조 | |
KR100857793B1 (ko) |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 |
CN100585287C (zh) | 从公寓楼中的干衣机排气的结构 | |
KR200435724Y1 (ko) | 복층건물의 국소 배기 입상덕트에 적용되는 배기효율 최적화 제어시스템 | |
KR20090058314A (ko) | 공동주택의 욕실 연동형 세대환기 시스템 | |
CN110274283A (zh) | 一种楼宇公用烟道排烟系统及其控制方法 | |
KR102049659B1 (ko) | 환기용 열교환기 | |
KR102058287B1 (ko) | 건물의 환기시스템 | |
KR101079333B1 (ko) | 주거용 통합 환기 시스템 | |
CN206681313U (zh) | 烟道排烟疏通装置 | |
KR101001731B1 (ko) | 분리형 팬 유니트 | |
KR102404857B1 (ko) | 공동주택 통합 환기 시스템 | |
KR200425261Y1 (ko) | 공동주택 에어덕트의 배기 장치 | |
KR20020037211A (ko) | 주방 환기 시스템 | |
KR20200016109A (ko) | 화장실 냄새 확산 방지 장치 | |
KR20220021116A (ko) | 제연 겸용 주방공용배기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