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528B1 - 고체연료보일러 - Google Patents

고체연료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528B1
KR100857528B1 KR1020070125870A KR20070125870A KR100857528B1 KR 100857528 B1 KR100857528 B1 KR 100857528B1 KR 1020070125870 A KR1020070125870 A KR 1020070125870A KR 20070125870 A KR20070125870 A KR 20070125870A KR 100857528 B1 KR100857528 B1 KR 100857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case
solid fuel
rostol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복
Original Assignee
신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복 filed Critical 신성복
Priority to KR102007012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08Travelling-grates with several individually-movable grat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0Travelling-grat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supply of air from below and for controlling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8Details
    • F23H11/24Removal of ashes; Removal of clink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고체연료보일러(100)는 통형상인 바디(110)와, 상기 바디 (110) 내부에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예열되는 배관형으로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크게 형성되는 예열통(120)과, 상기 예열통(120) 하방에 형성된 배관형의 연소실 (160)과, 상기 연소실(160) 하방에 장착되어 바디(110)에 회동하도록 형성된 로스톨(170)과, 상기 로스톨(170)이 회동하도록 작동시키는 로스톨구동부(180)와, 상기 예열통(120)의 둘레에 감기어 바디(110) 외측으로 관통되어 보일러수를 가열하는 가열관(150)으로 구성됨으로써, 온수 및 보일러수의 가열이 가능하여 가정용으로서 사용 가능하며, 연도(119)에 팬을 장착할 경우, 연소실(160)의 매연을 신속하게 배출 가능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폐구(117)를 통해서 산소가 연소실(160)로 공급되고, 상기 로스톨(170)의 회동에 의해 고체연료를 흔들어줄 수 있음으로써, 열효율이 우수하게 되며, 재수거통(190)이 구비되어 연소된 재의 처리가 편리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고체연료보일러

Description

고체연료보일러{Boiler for solid fuel}
본 발명은 고체연료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난방 및 온수 공급이 가능한 고체연료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면서 석탄, 갈탄, 괴탄, 조개탄, 나무 등의 고체연료가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고체연료를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는 비닐 하우스 등에 열풍을 공급하는 온풍기나 실외 현장용 스토브가 있다.
상기 온풍기나 스토브는 모두 상방이 개방된 용기형의 본체 내부에 로스톨을 장착하고, 상기 본체의 상방을 덮는 커버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고체연료를 지지하는 로스톨이 저면에서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로스톨 하방에 위치하는 측방에 여닫이 도어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연도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하여 내부의 매연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처럼, 고체연료는 소형의 난방장치에 사용될 뿐, 온수 공급 및 보일러수를 가열하여 난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가정용 보일러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가정용 보일러로 사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고체연료의 특성상, 매연이 많이 발생하고, 열효율이 낮으며, 연소 후 잔류하는 재를 처리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체연료용 보일러를 제작하더라도 상기 고체연료의 단점을 해결할 수 없으므로 비닐하우스 등에 열풍을 건조하는 열풍기나 공장 현장 등 실외 난방용인 스토브로 사용될 뿐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형상인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예열되는 배관형으로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크게 형성되는 예열통과, 상기 예열통 하방에 형성된 배관형의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하방에 장착되어 바디에 회동하도록 형성된 로스톨과, 상기 로스톨을 회동하도록 작동시키는 로스톨구동부와, 상기 예열통의 둘레에 감기어 바디 외측으로 관통되어 보일러수를 가열하는 가열관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 및 보일러수의 가열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가정용 보일러로서 사용 가능하며, 연도에 팬을 장착할 경우, 연소실의 매연을 신속하게 배출 가능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폐구를 통해서 산소가 연소실로 공급되고, 상기 로스톨의 회동에 의해 고체연료를 흔들어줄 수 있음으로써, 연소되는 고체연료에 원활하게 산소가 공급되어 열효율이 우수하게 되며, 재수거통이 구비되어 연소된 재의 처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례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체연료보일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체연료보일러에서 로스톨구동부에 의해 로스톨이 회동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체연료보일러에 구성되는 로스톨과 로스톨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석탄, 갈탄, 괴탄, 조개탄, 나무 등의 고체연료를 사용하면서도 매연의 제거가 용이하고, 열효율이 높으며, 연소된 재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통형상인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 내부에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예열되는 배관형으로서 고체연료의 하강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크게 형성되는 예열통(120)과 상기 예열통(120) 하방에 예열통(120) 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어 고 체연료가 연소하는 배관형의 연소실(160)과 상기 연소실(160) 하방에 장착되어 바디(110)에 회동하도록 형성된 로스톨(170)과 상기 로스톨(170)을 회동하도록 작동시키는 로스톨구동부(180)와 상기 예열통(120)의 둘레에 감기어 바디(110) 외측으로 관통되어 보일러수가 유입된 후 가열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가열관(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10)는 통형상의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115)이 상기 예열통(120)과 연통되는 오목부(114)가 구성되고, 상기 연소실(160)의 하단을 받치면서 하방으로 연소실(160)이 연통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11)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재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케이스 (111)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분리판(116)이 구성된다. 상기 분리판(116)을 다시 설명하면, 연소실(160)의 하단과 케이스(111)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판(116) 하방으로 관통구가 형성되어 서랍형의 재수거통 (190)이 상기 관통구로 삽입되어 연소실 하방으로 받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예열통(120), 연소실(160), 분리판(116)과 케이스(111)의 사이에는 물이 충전되는 수실(W)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실(160)의 매연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연소실(160)과 오목부(114)에 연결되는 배기관(118)과 상기 오목부(114)에 연통되어 케이스(111)를 관통하여 밖으로 연장되는 연도(119)와 상기 연소실(160)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케이스(111) 측면의 하방에 개폐구(117)가 구성된다. 상기 개폐구(117)는 통상적으로 스토브 등에 사용되어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1)에는 온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데워진 온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구성된다.
상기 연소실(160)은 연소실덮개(130)로 커버되어 매연의 유출을 방지하며, 배기관(118)을 통해서 배출되는 매연이 연도(119)로만 빠져나가도록 오목부(114)의 상단에서 예열통(120)까지 둘레를 따라 커버하는 깔때기 형의 배기관덮개(140)가 오목부(114)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스톨(170)은 케이스(111)에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에서처럼 2개가 마주 접하도록 케이스(111)에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로스톨구동부(180)는 상기 로스톨(170)에 링크이음된 가동바(181)와 상기 가동바(181)를 전후진 시키도록 힌지연결되며 케이스(111)의 측면에 돌출된 브래킷(185)에 또한 힌지연결된 레버(182)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이음은 케이스(111)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링크(183)가 구성되고 상기 링크(183)의 하방이 상기 가동바(181)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링크(183)의 상방에 관통한 핀(186)이 로스톨의 일측에 형성된 슬로트홈(184)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 및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예열통덮개 (130)를 오픈한 후, 고체연료를 투입하여 연소실(160)에 고체연료가 충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예열통덮개(130)를 닫고 로스톨(170) 하방에서 점화를 하면 고체연료가 연소하기 시작하면서, 예열통(120)으로 열기가 전달되어 데워지게 된다. 이때 연소실(160)에서 발생하는 매연은 배기관(118)을 통해 오목부(114)에 도달한 후, 연도 (119)로 효율적으로 배출됨으로써, 연소실(160)에 매연이 충전되어 바디(110) 밖으 로 누기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배기관덮개(140)는 매연이 연도 (119)로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배기관덮개(140)를 이탈시킨 후, 배기관(118) 청소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로스톨구동부(180)의 레버(182)를 전후로 왕복시키면 가동바 (181)가 전후진하게 되고, 따라서 링크(183)의 회동에 의해 로스톨(170)이 회동하게 되면서 연소실(160)의 고체연료를 흔들어주게 되어 개폐구(117)를 통해 유입된 산소가 원활하게 로스톨(170)을 통해 고체연료 내부로 공급되어 화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도(119)에 팬을 장착하게 되면 산소가 개폐구(117)를 통해 연소실(160)로 신속하게 공급되어 보다 높은 화력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 상태에서 고체연료는 재가 되어 로스톨(170)을 관통하여 재수거통(190)에 모이게 되어 상기 재수거통(190)을 분리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재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로스톨(170)의 회동에 의해 재가 원활하게 로스톨(170)을 관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예열통(120)이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커지므로써 고체연료가 막히지 않고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1)와 예열통(120), 연소실(160) 사이에는 수실(W)이 형성됨으로써, 유입구(112)로 공급된 냉수는 온수로 데워져서 배출구(113)로 나가게 되며, 상기 가열관(150)을 통해서 보일러수가 순환하게 되어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체연료보일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체연료보일러에서 로스톨구동부에 의해 로스톨이 회동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체연료보일러에 구성되는 로스톨과 로스톨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0: 바디 111: 케이스
112: 유입구 113: 배출구
114: 오목부 118: 배기관
119: 연도 120: 예열통
130: 예열통덮개 140: 배기관덮개
160: 연소실 170: 로스톨
180: 로스톨구동부 190: 재수거통

Claims (3)

  1. 고체연료보일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통형상인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 내부에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예열되는 배관형으로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크게 형성되는 예열통(120)과,
    상기 예열통(120) 하방에 형성된 배관형의 연소실(160)과,
    상기 연소실(160) 하방에 장착되어 바디(110)에 회동하도록 형성된 로스톨(170)과,
    상기 로스톨(170)이 회동하도록 작동시키는 로스톨구동부(180)와,
    상기 예열통(120)의 둘레에 감기어 바디(110) 외측으로 관통되어 보일러수를 가열하는 가열관(1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는 통형상의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115)이 상기 예열통(120)과 연통되는 오목부(114)와,
    상기 연소실(160)의 하단과 케이스(111)의 내측면을 연결하여 연소실(160)을 지지하는 분리판(116)과,
    상기 분리판(116) 하방으로 케이스(111)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끼워지는 서랍형의 재수거통(190)과,
    상기 연소실(160)의 매연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연소실(160)과 오목부(114)에 연통되는 배기관(118)과,
    상기 오목부(114)에 연통되어 케이스(111)를 관통하여 밖으로 연장되는 연도 (119)와,
    상기 연소실(160)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케이스(111) 측면의 하방에 형성된 개폐구 (117)와,
    상기 케이스(111)에 구성되어 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2) 및 온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3)와,
    상기 연소실(160)을 커버하는 연소실덮개(130)와,
    상기 배기관(118)을 커버하도록 오목부(114)에 안착되는 깔때기 형의 배기관덮개(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보일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톨구동부(180)는 상기 로스톨(170)에 링크이음된 가동바(181)와,
    상기 가동바(181)를 전후진 시키도록 힌지연결되며 케이스(111)의 측면에 돌출된 브래킷(185)에 힌지연결된 레버(18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보일러.
KR1020070125870A 2007-12-06 2007-12-06 고체연료보일러 KR10085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870A KR100857528B1 (ko) 2007-12-06 2007-12-06 고체연료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870A KR100857528B1 (ko) 2007-12-06 2007-12-06 고체연료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528B1 true KR100857528B1 (ko) 2008-09-08

Family

ID=4002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870A KR100857528B1 (ko) 2007-12-06 2007-12-06 고체연료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91296A (zh) * 2023-09-07 2023-11-21 上海卡维迪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热回收燃气热水器冷凝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945U (ko) * 1998-04-01 1999-11-05 김종민 목재 보일러
KR20040042276A (ko) * 2002-11-13 2004-05-20 주식회사 커라텍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0386233Y1 (ko) 2005-03-03 2005-06-08 배은수 2차 가열식 화목 보일러
KR20070081264A (ko) * 2006-02-10 2007-08-16 이병연 다목적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945U (ko) * 1998-04-01 1999-11-05 김종민 목재 보일러
KR20040042276A (ko) * 2002-11-13 2004-05-20 주식회사 커라텍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0386233Y1 (ko) 2005-03-03 2005-06-08 배은수 2차 가열식 화목 보일러
KR20070081264A (ko) * 2006-02-10 2007-08-16 이병연 다목적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91296A (zh) * 2023-09-07 2023-11-21 上海卡维迪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热回收燃气热水器冷凝装置
CN117091296B (zh) * 2023-09-07 2024-04-30 上海卡维迪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热回收燃气热水器冷凝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3873B2 (en) Incinerating commode
JP4588628B2 (ja) バイオマス燃料給湯器
KR200225845Y1 (ko) 목재용 온수보일러
KR100857528B1 (ko) 고체연료보일러
WO2006086915A1 (fr) Four de combustion multifunction
KR101542350B1 (ko) 축열식 화목 난방장치
KR100766469B1 (ko) 보일러 겸용 벽난로
KR101312963B1 (ko) 화목연소장치
KR20090123167A (ko) 전자동 석탄보일러
KR100926653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070117065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070047970A (ko) 고체연료의 연소에 따른 열원 회수장치
KR20140099595A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120130920A (ko) 펠렛보일러용 버너
KR20140071589A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0891187B1 (ko) 고체연료 겸용 화목보일러
JP3144474U (ja) 薪燃焼機能を兼備したペレットボイラ−
JP3130641U (ja) 暖房装置
KR101681306B1 (ko) 복합 보일러
KR20160060300A (ko) 난로 장치
KR100464682B1 (ko) 쌍둥이 코크스 보일러
KR100260720B1 (ko) 다목적 보일러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20110105186A (ko) 고형연료 연소장치
CN210117359U (zh) 一种新型气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