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496B1 -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 Google Patents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496B1
KR100857496B1 KR1020080015693A KR20080015693A KR100857496B1 KR 100857496 B1 KR100857496 B1 KR 100857496B1 KR 1020080015693 A KR1020080015693 A KR 1020080015693A KR 20080015693 A KR20080015693 A KR 20080015693A KR 100857496 B1 KR100857496 B1 KR 10085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molecular weight
extract
saturat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동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의바이오 filed Critical (주)동의바이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7Fragrance addi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찜질용팩 수지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찜질용 비닐팩에 관한 것으로, 상기 비닐팩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과 블렌드한 후 여기에 다공성물질인 제올라이트 또는 미세 황토분말과 그 밖의 첨가제를 부가하여 구성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또는 황토성분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효과 뿐만 아니라 항균효과 그리고 인체에 유익한 방향성 물질 발산, 특히 허브향, 솔향, 인진쑥향, 편백나무향, 측백나무향, 삼나무향 또는 석창포향의 발산에 의한 탁월한 향기요법효과를 달성하였다.
찜질팩, 폴리에스테르, 폴라에스테르 우레탄, 다공성물질, 피톤치드, 젖몸살

Description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Hot pack diffusing a aromatic materials}
본 발명은 찜질용팩 수지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허브향, 솔향, 쑥향, 편백나무향, 측백나무향, 삼나무향 또는 석창포향을 발산하는 지하해수를 포함하는 다공성 찜질용 비닐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찜질용 팩은 고무나 비닐합성 수지재 원단으로 이루어진 주머니에 고온의 물 또는 열보온 매체를 넣어 사용토록 하고 있고, 그리고 내부에 전열선을 설치하여서 사용되어 왔다.
또한, 필요에 따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바이오세라믹이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주는 자석 등을 부착하여 구성되어 이러한 팩은 방석과 같은 다른 물품에 다양하게 부착 사용하기도 하였다.
종래기술로는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0-9690호(1990.06.01)는 합성수지 제의 외피내에 열매체를 내장시킨 물리 치료용 핫팩 또는 콜드팩에 있어서, 상기팩을 구성하는 외피표면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무기물질(세라믹)이 함유된 세라믹층을 코팅처리하여 특정한 파장을 갖는 원적외선을 방사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용 팩이 공지되어 있다.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02-83540호(2002.11.04)는 점성축열액체를 충진한 비닐포대 내부에 전열선을 내장한 것에 있어서, 비닐포대내의 전열선간에 적당 갯수의 적외선 발열램프를 장치하여서 된 적외선 전기찜질용팩 기능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흑운모류, 맥반석 및 고령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미네랄 및 무기게르마늄 혼합물의 미분쇄 건조분말이 전체 수지조성물 중에 수지성분과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수지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찜질용 비닐팩은 불투성재질로서 내부에 방향성 물질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찜질효과와 더불어 인체에 유익한 방향성 물질에 의한 향기요법을 달성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많은 노력을 하였고, 기존에 생분해성 또는 가수분해성 수지조성물에 주로 사용되어 왔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들의 치환체(참고;Journal of Macromol. SCI-Chem., A23(3), 1986, 393~409,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2-23688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1-66970호, 일본특허 공개4-189822호 및 4-189823호)들의 물성을 연구 관찰하였고, 그 결과 이들을 특정 비율로 배합한 수지조성물들이 미세한 수분투습률 및 공기투과능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여기에 다공성물질인 제올라이트 또는 황토의 부가에 의해 우수한 방향성 물질발산능력을 가진 찜질용팩 수지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팩 내부충진용 액체로서 허브향, 솔향, 인진쑥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측백나무 추출물, 삼나무 추출물 또는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하해수를 사용하여 손실되는 수분은 지하해수의 염분농도에 의한 삼투압현상에 의해 외부 수분흡수를 통해 대체되어 전체 수분 총량을 보존함으로써, 허브향, 솔향, 인진쑥 추출물, 편백나무향, 측백나무향, 삼나무향 또는 석창포향을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수지를 블렌드하고, 여기에 다공성물질을 혼합하여 시트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찜질용팩 수지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수지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능성 찜질용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수지로 제조한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향성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수지조성물은
1)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글리콜을 에스테르화 반응 및 탈글리콜 반응시켜 제조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2)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을 상기 1)에서 얻어진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블렌드 한 후 여기에 다공성 물질을 부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찜질용팩 수지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허브향, 솔향, 쑥향, 편백나무향, 측백나무향, 삼나무향 또는 석창포향을 발산하는 다공성 찜질용 비닐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닐팩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및 다공성물질인 제올라이트 또는 미세 황토분말과 그 밖의 첨가제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성은 팩 내부충진용 액체로서 허브향, 솔향 또는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시킴으로써, 허브향, 솔향 또는 쑥향을 오랜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산하면서 장기간 사용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성은 팩 내부충진용 액체로서, 편백나무 추출물, 측백나무 추출물, 삼나무 추출물 또는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시킴으로써, 편백나무향, 측백나무향, 삼나무향 또는 석창포향을 오랜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산하면서, 탁월한 향기요법 효과 뿐만 아니라, 살균, 항균, 불면증, 피톤치드, 아토피 및 스트레스 해소 등의 부가적인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또는 황토성분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효과 뿐만 아니라 항균효과 그리고 인체에 유익한 방향성 물질 발산, 특히 허브향, 솔향, 인진쑥향, 편백나무향, 측백나무향, 삼나무향 또는 석창포향의 발산에 의한 탁월한 향기요법효과를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팩 충전물질로, 동결 건조시킨 양배추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동일 부피 대비 10배 이상의 양배추를 함유시킬 수 있으며, 이 양배추가 갖는 열 흡수 효과를 이용하여, 임산부의 출산 후 젖몸살을 해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찜질용팩 수지조성물은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과의 블렌드한 후 여기에 황토분말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성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과 지방족 글리콜; 또는 지방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과 지방족 불포화 글리콜을 사용하여 에스테르화 반응 및 탈글리콜반응시켜 제조된 것이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사용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0∼12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숙신산(succin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이소 프탈산(isophthal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피멜산(pimelic acid), 수베린산(subric acid), 세바신산(sebacic acid), 도데칸디오익산(dodecanedioic acid), 옥살에산, 메틸마론산, 에틸마론산, 디메틸마론산, 메틸호박산, 2,2-디메틸호박산, 2,3-디메틸호박산, 2-에틸-2-메틸호박산, 2-메틸글루타르산, 3-메틸글루타르산, 3-메틸아디핀산, 노난디카르복실산, 디메틸숙시네이트 및 디메틸아디페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불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퓨마르산, 말레인산, 구연산, 1-헥산-1,6-디카르복실산, 3-헵텐-1,7-디카르복실산, 2-펜텐-1,5-디카르복실산, 2,5-디메틸-3-헥센-1,6-디카르복실산, 2-시클로 헥센-1,4-디카르복실산, 알릴말산, 이타콘산 및 무수숙신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또한, 지방족 글리콜도 특별히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탄소수가 2∼20인 글리콜이 바람직하고, 양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글리콜 또는 그 구조 이성질체, 에테르기가 포함된 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디올 또는 그 구조 이성질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트리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1,10-데칸디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에테르기가 포함된 글리콜은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3,000이하) 등이 있다.
또한, 불포화 지방족 글리콜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1의 불포화 글리콜로, 예를 들면, 2-부텐-1,4-디올, 2-펜텐-1,5-디올, 3-헥센-1,6-디올, 2-부텐-1,4-디메틸-1,4-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시, 지방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 또는 지방족 불포화 글리콜은 전체 조성물 중량대비 0.01∼20중량%의 양으로 부가한다.
본 발명의 방향성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조성물에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은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한 수지이다.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분자량이 1,000∼3,000이고, 점도(cps/60℃)가 100∼5,000인 수지를 사용한다.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의 제조에 사용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nate), 1,4-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1,4-tolylene diisocynate),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nate),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1,5- naphthylene diisocynate), 디페닐메타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imethane diisocynate),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nate),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2,4-toluenediisocyanate), 2,6-디이소시아네이트(2,6-toluenediisocyanate),4,4-메틸렌디펜닐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diphenylisocyanate)및 4,8-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4,8-naphthalwnwdiisocyanate)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한다, 한편,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첨가량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에 대해 5∼100%이며, 몰비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1:1의 비율로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융점이 30 내지 200℃이고, 수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150,00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300,000이고,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은 융점이 120 내지 200℃이고, 수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300,000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찜질용팩 수지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60중량%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35 내지 89중량%를 블렌드한 후 1 내지 5중량%의 다공성물질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공성물질로는 제올라이트 또는 황토분말을 사용할 수 있고, 제올라이트는 입자크기 0.1 내지 10 ㎛ 천연 또는 제올라이트로서 합성제올라이트는 실키라 또는 알루미나 계열모두 사용할 수 있고, 황토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입자크기 1 내지 50 ㎛ 를 갖는 황토분말을 사용한다.
이때 얻어진 수지 조성물은 인장강도 1020Kg/cm2, 투습도 1500g/m2 24h(ASTM E96-1995)이고, 공기투과도 0.2cfm 이하(ASTM D 737-1996)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찜질용팩 수지조성물에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의 블렌드 비율은 20~99:80~1이고, 바람직하게는 10~60:89~35이고, 여기에 다공성물질 1 내지 5중량%를 부가한다.
특히,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이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의 융점보다 낮기 때문에, 지방족폴리에스테르를 과량사용하면 블렌딩이 되지 않으므로, 상기한 범위로 블렌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수지는 블렌드하기 전에 오븐, 열풍 또는 진공 건조기로 3∼4시간 동안 건조한다음, 상기한 비율로 배합하고 사출기 또는 압출기에서 블렌드를 한다.
이때 블렌드되는 성형 조건은 기계의 특성에 따라 온도를 콘트롤할 수 있는 장치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성형 온도는 배합비에 따라 조절한다.
[참고예 1]
교반기, 가스도입관, 수분 등의 저비점 화합물 유출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분류콘덴서가 설치된 대용량 250㎖의 경질유리제 4구 분리플라스크에 아디프산 43.8g과 1,4-디부탄디올 35.7g을 투입한 후, 온도를 180~200℃로 조절하여 질소기류중에서 탈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켰다.
물 유출이 종료된 후에, 생성된 올리고머에 탈글리콜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2.12×10 -4 몰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투입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215℃로 상승, 감압하여 탈글리콜 반응을 시켜 융점 60℃, 인장강도 350kgf/㎠, 신장률 600%, MI 15g/10min인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참고예 2]
교반기, 가스도입관, 수분 등의 저비점 화합물 유출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분류콘덴서가 설치된 대용량 250㎖의 경질유리제 4구 분리플라스크에 숙신산 28.3g, 아디프산 8.77g 및 1,4-디부탄디올 35.7g을 투입한 후, 온도를 180~200℃로 조절하여 질소기류 중에서 탈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켰다.
물 유출이 종료된 후에, 생성된 올리고머에 탈글리콜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2.12×10 -4 몰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투입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215℃로 상승, 감압하여 탈글리콜 반응을 시켜 융점 80℃, 인장강도 400kgf/㎠, 신장률 700%, MI 20g/10min인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참고예 3]
교반기, 가스도입관, 수분 등의 저비점 화합물 유출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분류콘덴서가 설치된 대용량 250㎖의 경질유리제 4구 분리플라스크에 숙신산 31.88g, 아디프산 4.38g 및 1,4-디부탄디올 35.7g을 투입한 후, 온도를 180~200℃로 조절하여 질소기류중에서 탈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켰다.
물 유출이 종료된 후에, 생성된 올리고머에 탈글리콜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2.12×10 -4 몰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투입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215℃로 상승, 감압하여 탈글리콜 반응을 시켜 융점 100℃, 인장강도 450kgf/㎠, 신장률 750%, MI 20g/10min인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참고예 4]
교반기, 가스도입관, 수분 등의 저비점 화합물 유출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분류콘덴서가 설치된 대용량 250㎖의 경질유리제 4구 분리플라스크에 숙신산 35.4g과 1,4-디부탄디올 35.7g을 투입한 후, 온도를 180~200℃로 조절하여 질소기 류중에서 탈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켰다.
물 유출이 종료된 후에, 생성된 올리고머에 탈글리콜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2.12×10 -4 몰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투입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215℃로 상승, 감압하여 탈글리콜 반응을 시켜 융점 114℃, 인장강도 450kgf/㎠, 신장률 650%, MI 20g/10min인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1]
질소 가스로 50,000g 용량의 진공 건조기를 60℃의 온도에서 세팅을 한 후, 참고예 1의 폴리에스테르 1,000g과 융점180℃, 인장강도 400kgf/㎠, 신장률 800%, 표면경도 75A(타입)인 폴리에스테르 우레탄(호성 케믹스 NEOTHANE 5075AP®) 9,000g을 혼합하여 잘 섞은 후, 여기에 200g의 알루미나계 제올라이트를 가하고 회전식 진공건조기에 투입하고, 3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이 중, 5,000g을 호퍼 드라이가 장착된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압출기 L/D24인 성형 기계에서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을 하여 175℃로 세팅하고, 스크류 RPM은 40으로 회전시켜 필름을 성형하였다.
한편, 나머지 5,000g은 호퍼 드라이기가 장착된 사출기계의 호퍼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하였다. 이때 사출기의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으로 하여 1차 160℃, 2차 175℃, 3차 185℃, 4차 180℃로 세팅한다.
[실시예 2]
질소 가스로 50,000g 용량의 진공 건조기를 60℃의 온도에서 세팅을 한 후, 참고예 1의 폴리에스테르 2,000g과 융점 180℃, 인장강도 400kgf/㎠, 신장률 800%, 표면경도 75A(타입)인 폴리에스테르 우레탄(호성 케믹스 NEOTHANE 5075AP®) 8,000g을 혼합하여 잘 섞은 후, 여기에 250g의 실리카계 제올라이트를 가하고 회전식 진공건조기에 투입하고, 3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이 중, 5,000g을 호퍼 드라이가 장착된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압출기 L/D24인 성형 기계에서 온도는 호퍼쪽을 기 준을 하여 175℃로 세팅하고, 스크류 RPM은 40으로 회전시켜 필름을 성형하였다.
한편, 나머지 5,000g은 호퍼 드라이기가 장착된 사출기계의 호퍼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하였다. 이때 사출기의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으로 하여 180℃로 세팅한다.
[실시예 3]
질소 가스로 50,000g 용량의 진공 건조기를 60℃의 온도에서 세팅을 한 후, 참고예 1의 폴리에스테르 3,000g과 융점 180℃, 인장강도 400kgf/㎠, 신장률 800%, 표면경도 75A(타입)인 폴리에스테르 우레탄(호성 케믹스 NEOTHANE 5075AP®) 7,000g을 혼합하여 잘 섞은 후, 여기에 200g의 황토분말을 가하고 회전식 진공건조기에 투입하고, 3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이 중, 5,000g을 호퍼 드라이가 장착된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압출기 L/D24인 성형 기계에서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을 하여 175℃로 세팅하고, 스크류 RPM은 40으로 회전시켜 필름을 성형하였다.
한편, 나머지 5,000g은 호퍼 드라이기가 장착된 사출기계의 호퍼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하였다. 이때 사출기의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으로 하여 180℃로 세팅한다.
[실시예 4]
질소 가스로 50,000g 용량의 진공 건조기를 60℃의 온도에서 세팅을 한 후, 참고예 1의 폴리에스테르 4,000g과 융점 180℃, 인장강도 400kgf/㎠, 신장률 800%, 표면경도 75A(타입)인 폴리에스테르 우레탄(호성 케믹스 NEOTHANE 5075AP®) 6,000g을 혼합하여 잘 섞은 후, 여기에 150g의 황토분말을 가하고 회전식 진공건조기에 투입하고, 3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이 중, 5,000g을 호퍼 드라이가 장착된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압출기 L/D24인 성형 기계에서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을 하여 175℃로 세팅하고, 스크류 RPM은 40으로 회전시켜 필름을 성형하였다.
한편, 나머지 5,000g은 호퍼 드라이기가 장착된 사출기계의 호퍼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하였다. 이때 사출기의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으로 하여 180℃로 세팅한다.
[실시예 5]
질소 가스로 50,000g 용량의 진공 건조기를 60℃의 온도에서 세팅을 한 후, 참고예 1의 폴리에스테르 6,000g과 융점 180℃, 인장강도 400kgf/㎠, 신장률 800%, 표면경도 75A(타입)인 폴리에스테르 우레탄(호성 케믹스 NEOTHANE 5등록특허 10-0396937- 6 -075AP® )4,000g을 혼합하여 잘 섞은 후, 여기에 450g의 황토분말을 가하고 회전식 진공건조기에 투입하고, 3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이 중, 5,000g을 호퍼 드라이가 장착된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압출기 L/D24인 성형 기계에서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을 하여 175℃로 세팅하고, 스크류 RPM은 40으로 회전시켜 필름을 성형하였다.
한편, 나머지 5,000g은 호퍼 드라이기가 장착된 사출기계의 호퍼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하였다. 이때 사출기의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으로 하여 180℃로 세팅한다.
[실시예 6]
질소 가스로 50,000g 용량의 진공 건조기를 60℃의 온도에서 세팅을 한 후, 참고예 2의 폴리에스테르 1,000g과 융점 180℃, 인장강도 450kgf/㎠, 신장률 650%, 표면경도 85A(타입)인 폴리에스테르 우레탄(호성 케믹스 NEOTHANE 5085AP®) 9,000g을 혼합하여 잘 섞은 후, 여기에 400g의 알루미나계 제올라이트를 가하고 회전식 진공건조기에 투입하고, 3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이 중, 5,000g을 호퍼 드라이가 장착된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압출기 L/D24인 성형 기계에서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을 하여 175℃로 세팅하고, 스크류 RPM은 40으로 회전시켜 필름을 성형하였다.
한편, 나머지 5,000g은 호퍼 드라이기가 장착된 사출기계의 호퍼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하였다. 이때 사출기의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으로 하여 180℃로 세팅한다.
[실시예 7]
질소 가스로 50,000g 용량의 진공 건조기를 60℃의 온도에서 세팅을 한 후, 참고예 2의 폴리에스테르 2,000g과 융점 180℃, 인장강도 450kgf/㎠, 신장률 650%, 표면경도 85A(타입)인 폴리에스테르 우레탄(호성 케믹스 NEOTHANE 5085AP®) 8,000g을 혼합하여 잘 섞은 후, 여기에 450g의 실리카계 제올라이트를 가하고회전식 진공건조기에 투입하고, 3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이 중, 5,000g을 호퍼 드라이가 장착된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압출기 L/D24인 성형 기계에서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을 하여 175℃로 세팅하고, 스크류 RPM은 40으로 회전시켜 필름을 성형하였다.
한편, 나머지 5,000g은 호퍼 드라이기가 장착된 사출기계의 호퍼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하였다. 이때 사출기의 온도는 호퍼쪽을 기준으로 하여 180℃로 세팅한다.
상술한 바에 따라 얻어진 찜질용팩 수지 조성물은 그 내부 물질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찜질용팩 내부 물질에 다음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구성으로서, 찜질팩에 사용하는 어떠한 액체(겔, 젤, 젤라틴, 지하수, 정제수, 지하해수 등)에 스트레스성 질환, 정신안정 및 소화 장애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허브향, 솔향 또는 인진쑥 향을 사용할 수 있다.
팩 내부충진용 액체로서 기존의 액체 대신에 지하해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지하해수는 해수에 존재하는 염의 삼투압현상으로 인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팩의 사용기간이 오래 경과됨에 따라 내부의 수분이 손실되어 팩이 주름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 및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구성으로서, 찜질팩에 사용하는 어떠한 액체(겔, 젤, 젤라틴, 지하수, 정제수, 지하해수 등)에 피톤치드, 아토피, 불면증, 살균 효과, 스트레스성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편백나무 추출물, 측백나무 추출물, 삼나무 추출물 또는 석창포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찜질용팩 내부 물질에 양배추 추출물을 포함(제3구성)하여 임산부의 출산 후 젖몸살(젖의 분비로 인해 생기는 몸살)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하, 본원발명의 제1구성, 제2구성 및 제3구성에 따른 제조예를 설명한다.
[제조예 1]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조예는 상기와 같은 찜질용 팩 수지 조성물에 팩 내부 충진용 액체로서, 허브향, 솔향 또는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한다. 팩 내부 충진용 액체는 허브향, 솔향 또는 인진쑥 추출물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겔 또는 젤라틴 등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찜질팩의 고유 촉감을 유지할 수 있고, 허브향, 솔향 또는 쑥향을 오랜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산하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팩 내부 충진용 액체로서 기존의 액체 대신에 지하해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지하해수를 사용하면 해수에 존재하는 염의 삼투압현상으로 인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팩의 사용기간이 오래 경과됨에 따라 내부의 수분이 손실되어 팩이 주름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 및 특징을 갖고 있다.
[제조예 2]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조예는 상기와 같은 찜질용 팩 수지 조성물에 팩 내부 충진용 액체로서, 편백나무 추출물, 측백나무 추출물, 삼나무 추출물 또는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시켜 사용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팩 내부 충진용 액체로서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한다. 편백나무 추출물은 살균 효과가 뛰어나 피톤치드로서 사용되기에 효과가 좋으며, 아토피, 불면증, 살균, 비염 및 스트레스 해소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왔으나. 편백나무 가루를 바로 사용하게되면 피부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팩 내부 충진용 액체로서 포함되기 때문에 이러한 알레르기 유발 등의 단점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나무의 잎, 줄기, 뿌리 등을 80 내지 100℃ 에서 적어도 2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상 끓여서 얻은 추출물을 말한다. 팩 내부 충진용 액체로서는 편백나무 추출물만을 포함시킬 수도 있으나, 편백나무 가루와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편백나무 가루와 편백나무 추출물 및 젤라틴 또는 겔을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편백나무 가루, 편백나무 추출물 및 겔을 포함시킨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팩 내부충진용 액체에 지하해수를 사용하여 손실되는 수분을 지하해수의 염분농도에 의한 삼투압현상에 의해 외부 수분흡수를 통해 전체 수분 총량을 보존함으로써 허브향, 솔향 또는 쑥향을 오랜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산하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팩 내부충진용 액체로서 기존의 액체 대신에 지하해수를 사용하면 해수에 존재하는 염의 삼투압현상으로 인해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팩의 사용기간이 오래 경과됨에 따라 내부의 수분이 손실되어 팩이 주름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 및 특징을 갖고 있다.
[제조예 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제조예는 상기와 같은 찜질용 팩 수지 조성물에 팩 내부 충진용 액체로서, 양배추 추출물을 포함시켜 사용한다.
임산부가 출산 후 젖몸살로 고생할 때, 양배추가 효과가 있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많은 임산부들은 양배추 잎을 가슴에 놓아두거나 또는 양배추 젤 등을 가슴에 바름으로써, 가슴의 열을 내리고, 고통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양배추 찜질팩은 사용되지 않고 있어,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 팩 수지 조성물 내에 팩 내부 충진용 액체로서 양배추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양배추 추출물은 양배추를 동결 건조시켜서 얻은 양배추 가루에 겔 또는 젤라틴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배추를 동결 건조시켜서 얻은 순수 양배추 가루만을 사용하였다.
팩 내부에 양배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배추 찜찔팩은 그 팩 수지 조성물이 한 면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20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이고, 피부에 닿게되어 찜질하게 되는 다른 한 면은 50 내지 150㎛이다.
참고로, 양배추 찜질팩을 사용시에는 냉장 보관하여 시원하게 사용하면, 가슴의 열을 내리는데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배추 찜질팩은 임산부가 출산 후 젖몸살로 고생할 때, 큰 효과를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Claims (8)

  1.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글리콜을 에스테르화 반응 및 탈글리콜 반응시켜 제조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분자량이 1,000∼3,000이고, 점도(cps/60℃)가 100∼5,000인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 몰비로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및 황토 분말로 이루어지는 찜질용팩 수지조성물과 팩 내부 충진용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팩 내부 충진용 물질은 허브향, 솔향 또는 인진쑥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방향성 물질을 함유하는 지하 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2.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글리콜을 에스테르화 반응 및 탈글리콜 반응시켜 제조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분자량이 1,000∼3,000이고, 점도(cps/60℃)가 100∼5,000인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 몰비로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및 황토 분말로 이루어지는 찜질용팩 수지조성물과 팩 내부 충진용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팩 내부 충진용 물질은 편백나무 추출물, 측백나무 추출물, 삼나무 추출물 또는 석창포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방향성 물질을 함유하는 지하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용팩.
  3.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글리콜을 에스테르화 반응 및 탈글리콜 반응시켜 제조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분자량이 1,000∼3,000이고, 점도(cps/60℃)가 100∼5,000인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 몰비로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및 황토 분말로 이루어지는 찜질용팩 수지조성물과 팩 내부 충진용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팩 내부 충진용 물질은 방향성 물질로서,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며, 상기 양배추 추출물은 양배추를 동결건조시켜서 얻은 양배추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찜질용팩 수지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60중량%;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35 내지 89중량%; 및 상기 황토 분말 1 내지 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융점이 30 내지 200℃이고, 수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150,00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300,000이고, 그리고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은 융점이 120 내지 200℃이고, 수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300,000를 갖는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 분말은 입자크기가 1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7. 삭제
  8. 삭제
KR1020080015693A 2007-09-28 2008-02-21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KR100857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043 2007-09-28
KR20070098043 2007-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496B1 true KR100857496B1 (ko) 2008-09-08

Family

ID=4002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693A KR100857496B1 (ko) 2007-09-28 2008-02-21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980B1 (ko) * 2017-09-28 2019-01-30 신선 폴리에스테르 발향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493B1 (ko) * 1998-10-29 2003-08-1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장식용 폴리에스테르필름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96937B1 (ko) * 2000-07-29 2003-09-02 정효식 생분해성 및 가수분해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
JP2004244553A (ja) 2003-02-14 2004-09-02 Daicel Chem Ind Ltd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フィルム及び包装袋
KR100457436B1 (ko) * 2002-03-15 2004-12-03 김태근 찜질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493B1 (ko) * 1998-10-29 2003-08-1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장식용 폴리에스테르필름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96937B1 (ko) * 2000-07-29 2003-09-02 정효식 생분해성 및 가수분해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
KR100457436B1 (ko) * 2002-03-15 2004-12-03 김태근 찜질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용방법
JP2004244553A (ja) 2003-02-14 2004-09-02 Daicel Chem Ind Ltd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フィルム及び包装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980B1 (ko) * 2017-09-28 2019-01-30 신선 폴리에스테르 발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59190B (ko)
US8034740B2 (en) Adsorptivity imparting agent containing porous silica
CN104684513B (zh) 发热器具
US20130230431A1 (en) Moisture and Malodor Control System
KR101610679B1 (ko)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재와 그 제조방법
JP3286298B2 (ja) 陰イオン放出用液状組成物、風味改質材、風味改質方法、送風材、建築用内外装材、鮮度保持材、保存用器材、室内用品、及び装備、装着材
KR20190131848A (ko) 주거 및 생활용품 코팅용 조성물
KR100857496B1 (ko)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찜질용팩
KR101742143B1 (ko) 기능성 온열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5815B1 (ko) 항균필름이 결합된 가구 제작용 패널
KR101599721B1 (ko)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KR101817935B1 (ko) 천연물 함유 다층구조 항균인솔
JP2004230040A (ja) 環境雰囲気改善用の機能性成形体
CN110509626A (zh) 一种凉感防水凉席及其制造工艺
KR101610348B1 (ko) 항균 및 항취성이 우수한 베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16385B1 (ko)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JP2000308678A (ja) 機能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法
CN107593970A (zh) 一种芳香茶的制备方法
KR20180060069A (ko) 고형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918649B1 (ko)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매트리스용 통기성 시트지 및 그제조방법
KR200340230Y1 (ko) 황토볼을 이용한 흡착탈취제
KR20040088765A (ko) 기능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메모리폼 침구의 제조방법
KR102310166B1 (ko) 순지트 성분이 포함된 실리콘 전기 장판
KR100398027B1 (ko) 숯방향제를 이용한 누에고치베갯속과 그 제조방법
JP2004201810A (ja) 芳香性および/または消臭性に優れる寝具充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