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721B1 -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721B1
KR101599721B1 KR1020140023403A KR20140023403A KR101599721B1 KR 101599721 B1 KR101599721 B1 KR 101599721B1 KR 1020140023403 A KR1020140023403 A KR 1020140023403A KR 20140023403 A KR20140023403 A KR 20140023403A KR 101599721 B1 KR101599721 B1 KR 101599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frared ray
coating layer
housing
fa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747A (ko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김종선
강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선, 강동석 filed Critical 김종선
Priority to KR102014002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72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에 관한 것으로, 철판의 각 테두리를 절곡하여 절곡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지그재그로 열선이 고정 배열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하측을 마감하는 마감지와; 상기 함체의 내부를 충진하는 발포수지와; 상기 함체의 상부 표면에 코팅된 원적외선 코팅층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코팅층이 구비된 전기온돌판넬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코팅층은 중량%로, 황토, 숯, 옥, 맥반석, 운모, 세라믹 및 패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물질 30-40중량%; 산화제2철 분말 6-10중량%; 이트리아 분말 2-4중량%; 파라핀왁스 10-20중량%; 목분 4-6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3중량%; 천연 바인더 10-15중량% 및 나머지 물로 조성된 코팅액이 도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ELECTRICITY ONDOL PANNEL}
본 발명은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체의 상면에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포함한 인체에 유용한 성분들의 방사기능 및 축열기능을 갖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전기온돌판넬이 발열할 때 원적외선 코팅층을 활성화시켜 코팅층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게 하여 건강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판넬표면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난방효과 및 축열에 따른 난방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온돌판넬은 전기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온돌(溫突)로 전원을 온(on)시키면 신속한 시간에 판넬들이 고르게 가열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으로서 근래에는 업소에서 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온돌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전기온돌판넬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부에 전열선 히터가 수납되어 컨트롤박스를 조작하면 전원의 온/오프,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기온돌판넬을 보여 준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전기온돌판넬은 철판의 각 테두리를 절곡하여 절곡부(11)가 형성된 함체(10)를 형성하고, 함체(10)의 저면에는 열선(20)을 지그재그 배선한 후 상기 열선(20)을 테이프(21)로 고정하며, 상기 함체(10)의 개구된 하측을 마감지(30)로 마감한 다음 함체(10)를 발포성형기에 투입하고, 이어 함체(10) 내부로 폴리우레탄수지를 발포 주입하여 함체(10) 내부를 발포수지(40)로 충전 마감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전기온돌판넬은 주거시설이나 상업시설의 바닥에 인접배치한 다음 열선을 서로 연결시켜 시공되는데, 주거나 상업시설의 바닥을 난방시공함에 있어 간편 용이하면서도 저렴하기 때문에 그 활용폭이 매우 넓다.
하지만, 종래 전기온돌판넬은 단순히 발포수지(40)로 채워 넣은 것 밖에 없으므로 축열성이 떨어져 전기가 인가되지 않으면 빨리 식기 때문에 재사용시 발열을 위한 소비전력이 많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열선 히터를 발열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발생되는 등의 단점이 있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의 방출효과는 얻을 수 없었다.
이에,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는 물질들을 함유시킴으로써 전기온도판넬의 유익성을 높인 예들이 많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열 효과를 통해 난방비를 줄이고, 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기온도판넬의 개발은 여전히 미진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 전기온돌판넬은 상면이 단순한 철판이라 도전율이 떨어져 열전도 효과가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열손실이 커 비효율적이라는 단점도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이다.
1. 등록실용 제0170386호(1999.11.26) 2. 등록실용 제0389399호(2005.07.01) 3. 등록특허 제0860373호(2008.09.19) 4. 등록특허 제1017987호(2011.02.2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함체의 상면에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포함한 인체에 유용한 성분들의 방사기능 및 축열기능을 갖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전기온돌판넬이 발열할 때 원적외선 코팅층을 활성화시켜 코팅층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게 하여 건강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판넬표면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난방효과 및 축열에 따른 난방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철판의 각 테두리를 절곡하여 절곡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지그재그로 열선이 고정 배열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하측을 마감하는 마감지와; 상기 함체의 내부를 충진하는 발포수지와; 상기 함체의 상부 표면에 코팅된 원적외선 코팅층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코팅층이 구비된 전기온돌판넬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코팅층은 중량%로, 황토, 숯, 옥, 맥반석, 운모, 세라믹 및 패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물질 30-40중량%; 산화제2철 분말 6-10중량%; 이트리아 분말 2-4중량%; 파라핀왁스 10-20중량%; 목분 4-6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3중량%; 천연 바인더 10-15중량% 및 나머지 물로 조성된 코팅액이 도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근채 분말 10-20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아토피 질환 진정기능을 더 갖춘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바인더는 천연고무(LATEX), 송진(ROSIN), 알긴산, 키토산, 카제인, 전분, 젤라틴, 아교, 밀가루 및 콜로이달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넬 표면에 코팅층을 구비하여 원적외선 방사는 물론 아토피 질환 개선에 효과적인 성분 방사를 통해 인체 유익성 및 자연치유력을 높이고, 축열기능이 구현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열손실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적외선 코팅층으로 인해 판넬 표면 온도가 기존 판넬 대비 5-6℃ 정도 상승되므로 난방효과가 더 뛰어나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기온돌판넬의 예시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층이 구비된 전기온돌판넬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온돌판넬은 함체(110), 마감지(130), 발포수지(140) 및 원적외선 코팅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함체(110)는 철판의 각 테두리를 절곡하여 절곡부(111)가 형성되어 하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상기 함체의 저면에는 발열을 위한 열선(120)이 지그재그로 열선이 배열되고, 배열된 열선은 테이프(121)를 통해 함체의 저면에 고정부착된다.
이와 같이 열선(120)이 함체 저면에 고정한 다음에는 함체의 하측을 마감지(130)로 마감한 다음 함체(110)를 발포성형기에 투입하여 함체 내부를 폴리우레탄수지로 발포함으로써 함체 내부가 발포수지(140)로 충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110)의 표면에는 원적외선 코팅층(15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코팅층(150)은 단순히 원적외선만을 방사하는 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축열기능, 아토피 질환 치료 효과 증대 등 다양한 기능성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대표성을 고려하여 상기 코팅층을 원적외선 코팅층(150)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적외선 코팅층(150)은 황토, 숯, 옥, 맥반석, 운모, 세라믹 및 패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물질 30-40중량%, 산화제2철 분말 6-10중량%, 이트리아 분말 2-4중량%, 파라핀왁스 10-20중량%, 목분 4-6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3중량%, 천연 바인더 10-15중량% 및 나머지 물로 조성된 조성물이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코팅층의 기능성 강화를 위해 아토피 진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코팅층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근채 분말 10-20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근채(Oenanthe decumbens kpol)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가지고 있어 항균·항암·항바이러스·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을 지녀 알레르기 질환, 특히 아토피 질환 개선에 효과를 줄 수 있다.
보고된 바에 따르면, 모든 질병의 원인이 되는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어 본 발명에 첨가시 원적외선에 의한 온열작용과 함께 피부진정 기능을 수반함으로써 아토피를 가라앉히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근채 분말은 가열시 방사물질과 함께 방사되면서 그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데,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게 되면 방사 능력이 떨어지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점성을 증대시켜 도포성을 약화시키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층으로 인해 판넬 표면 온도가 기존 판넬 대비 5-6℃ 정도 상승되므로 난방효과가 더 뛰어나다.
아울러, 원적외선이란 가시광선에 이어지는 0.75㎛에서 1mm 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 중 대체로 4㎛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전자기력선을 일컫는 것으로서, 물체에 닿으면 반사, 투과 및 흡수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에 방사될 경우 여러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널리 알려진 원적외선의 인체에 미치는 대표적인 효과로는, 인체를 포함한 생물체를 균일하고 빠르게 성장시키는 숙성효과, 체온의 강하 또는 상승시 반대로 체온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체온을 적정 상태로 유지해 주는 온열효과, 이온작용으로 체내에 칼슘 및 철분영양에 균형을 유지하여 골격계를 강하게 해주는 자정효과, 적정한 수분을 유지시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습효과,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악취를 제거하는 중화효과, 및 인체의 지방질,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영양물을 분해하여 균형을 유지시키고 분자와 원자를 진동시켜 강인한 체력을 유지시켜주는 공명효과 등이다.
또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소재로서는 점토, 제올라이트, 고령토, 맥반석, 옥, 황토 등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황토, 숯, 옥, 맥반석, 운모, 세라믹 및 패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200-300 메쉬의 입도로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는데, 상기 입도로 한정하는 이유는 코팅성 및 코팅 후 부착유지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이들 원적외선 방사물질 중 황토는 다공질로 이루어진 복합무기물로서 원적외선을 흡수하여 방사하며 인체에 복사되어 신진대사촉진 및 혈액순환을 활성화하여 인체의 노화방지, 만성피로회복, 등 각종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 동의보감, 항약집성방, 증류본초, 본초도경 등의 동양 의서에서는 황토의 약성은 크고 독을 해독시킬수 있는 해독제라고 하였다. 이러한 황토는 다공질의 복층구조와 미생물 및 효소의 작용으로 아무리 심한 악취가나는 물질이라도 1cm두께이상만 덮어놓으면 악취차단은 물론 빠른 시간 안에 분해하여 버리는 대단한 위력을 발휘하며, 생물에 좋은 열 복사력이 우수한 원적외선을 대량 방사하면서 인체에 해로운 냉복사를 방지하는 효력이 아주 좋은 물질이다.
또한, 숯은 나무를 구어 낸 검은 덩어리로서 재가 되기 이전의 탄소덩어리를 말하며 숯 1g당 내부 표면적이 300평방미터나 되는 지구상의 물질 중 최다의 다공질 물질로서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발생은 물론 의학적으로는 흡착제, 해독제, 진통제, 해열제, 항암제,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하며 우리 선조들의 숯 이용은 탁월하였다.
아울러, 옥은 약 45종의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인체에 극히 필요한 칼슘과 마그네슘이 포함되어 있는 천연적인 원적외선 방사체로서 예로부터 옆에 두는 것만으로도 신비한 효험이 있으며 건강에 좋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으며 상서로운 기(氣)의 대명사가 되어있는 물질이다.
뿐만 아니라, 맥반석은 다공질의 암석으로 국내에서도 상당히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에서도 2천여 년 동안 약석으로 이용되어온 자연석으로서, 다공질구조에 의하여 흡착력이 뛰어난 효력을 발휘한다.
그 이외의 성분인 운모, 세라믹 또는 패각 등은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성분에 따른 각기의 특이한 특성으로 인해 이들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활용방법에 따라 우리 인체에 미치는 유익한영향에 크게 기여한다.
이 중에서 세라믹은 예를 들면 거정석, 천매암, 희토류, 규석, 맥반석, 티탄, 지르코니움 등의 혼합물을 200메쉬 이상으로 분쇄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1300℃이상으로 소성하고 다시 300메쉬 이상으로 분쇄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 방사물질 외에 추가로 첨가되는 산화제2철은 색상 및 열전도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6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열전도효율이 떨어지고, 1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혼합용해성을 저해시키므로 코팅시 부착력을 저해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또한, 이트리아는 고온에서의 열간 안정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성이 매우 낮으며, 열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높아 내화보강을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이트리아는 열차단 기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차열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보온성(축열기능 상보)을 강화하게 된다. 다만, 과량 첨가될 경우 공기중 산소와 접했을 때 표면 산화력이 강하므로 반드시 상기 범위인 2-4중량%의 범위로 한정하여 첨가해야 하며, 후술될 목분과 균일하게 교반하여 천연 바인더 속으로 완전히 함침될 수 있도록 10-30㎛의 입도를 갖는 분말 형태로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파라핀왁스는 대표적인 상변화물질이다.
여기에서, 상변화물질(PCM)이란 '잠열저장물질' 또는 '잠열축열물질'로 호칭될 수 있으며, 일정한 온도 범위에서 고상에서 액상으로 또는 액상에서 고상으로 변하며 열에너지를 흡수 또는 방출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변화물질은 액체 또는 고체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존재하며, 외부로 열을 방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할 경우에 소정의 온도에서 그 상(phase)이 가역적으로 서로 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방출되거나 흡수된 열량이 물질의 온도 상승에 기여하지 못하고 상변환에 기여함으로써, 작용한 열량에 비하여 물질의 온도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따라서, 주위의 온도가 떨어지더라도 상전이 물질의 상전이 과정에서 보유하고 있던 열이 모두 방출되어야 온도 변화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짐으로 단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첨가되는 파라핀왁스는 20~50℃ 의 상변화 온도변화대역을 가지므로 난방 후 중지시 잠열을 축열하여 온도를 빼앗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난방효과를 지속시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파라핀 왁스는 공기중 산소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어 도료의 경화 촉진을 유도하고, 태키성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과량첨가되면 좋겠지만, 1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본 발명 코팅층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첨가량이 작아 축열 기능이 떨어지고,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첨가하면 점착성이 너무 커져 경화가 지연될 뿐만 아니라 경화 후에도 이물 묻음 현상이 유발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야 한다.
또한, 목분(Wood flour)은 상기 파라핀왁스의 첨가량이 제한됨으로 인해 축열성을 상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목분에 함유된 송진의 열적 변화를 응용하여 축열성을 보완키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목분은 송진 함유성이 우수한 소나무가 바람직하며, 200메쉬의 입자상이 균일하게 분쇄된 미세분말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분은 배합 조성물과의 마찰을 줄여 컬 현상, 굴곡 현상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도표 표면의 열적 안정성, 즉 내열성과 강도를 향상시키고, 천연재료이므로 친환경성이 증대되는데, 목분의 표면이 상기 파라핀왁스에 의해 코팅되기 때문에 후술될 천연 바인더와의 결합성, 혼합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서는 축열성 상보를 위해 상기 목분을 4-8중량% 범위에서 한정하여야 하는데, 8중량%를 초과하면서 코팅액의 점성이 낮아 도포성을 급격히 떨어뜨리고, 4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상보성이 저해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폴리옥시에틸렌은 양이온 촉매를 이용해 산화에틸렌을 중합한 폴리에테르의 일종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물에 용해된 상태로 함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피막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과량 사용되면 과피막이 형성되어 다른 특성 발현을 억제하고 미량 사용되면 정전기 방지 효과가 없으므로 상기 범위로 첨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천연 바인더는 수용성 결합재로서, 인체 무해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하는데, 천연고무(LATEX), 송진(ROSIN), 알긴산, 키토산, 카제인, 전분, 젤라틴, 아교, 밀가루 및 콜로이달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천연 바인더는 상술한 조성물과의 상호관계성을 고려하여 10-15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어야 하는데, 1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특히, 목분과 산화제2철의 결합성과 고정성을 떨어뜨려 부착안정성을 저해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점성이 높아져 도포성을 급격히 떨어뜨리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층은 물과 혼합되어 도포가능한 용액, 즉 일종의 도료를 구성하게 되며, 전기온열장판의 함체 표면에 코팅되어 일정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가열시 원적외선 방사효과는 물론 상면에 원적외선 코팅층을 형성하여 전기온돌판넬이 발열할 때 원적외선 코팅층을 활성화시켜 코팅층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게 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코팅층은 공지된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가지므로 당연히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구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목적하는 바인 축열성에 대한 평가만을 실시하였다.
축열성 시험을 위해, 중량%로, 250메쉬로 체질된 맥반석 분말 35%, 산화제2철 분말 8%, 이트리아 분말 3중량%, 파라핀왁스:15%, 목분:5%, 폴리옥시에틸렌:2%, 수용성 천연 바인더로 라텍스 12%를 고르게 혼합한 다음, 나머지 물을 첨가하여 수용성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코팅액에 대한 축열성을 평가하기 위해 5cm×5cm×0.1cm 크기의 철판 시료 표면에 상기 코팅액을 0.5mm의 두께로 도포하고, 72시간 동안 상온 건조한 후 시료의 하면에서 히터를 발열시켜 28℃로 10분간 유지한 다음 히터를 오프시켰으며, 테스트는 10℃로 유지되는 항습실에서 실시하였다.
이때, 축열성 여부는 시료 표면에 적외선 온도계를 조사하여 열손실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시험결과 히터 오프 후 1시간 경과시 도료의 표면 온도는 23℃까지 떨어졌고, 2시간 경과시에는 20.1℃, 3시간 경과시에는 18.6℃, 4시간 경과시에는 17.4℃까지 떨어졌다.
이와 같이,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온도가 급격히 떨어짐이 방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축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동일 조건에서 기존 판넬과의 온도 상승분을 적외선 온도계로 검출한 결과, 상기 원적외선 코팅층으로 인해 판넬 표면 온도가 기존 판넬 대비 5-6℃ 정도 상승되므로 열전도율도 우수하여 난방효과가 더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함체 120: 열선
130: 마감지 140: 마감수지
150: 원적외선 코팅층

Claims (3)

  1. 철판의 각 테두리를 절곡하여 절곡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지그재그로 열선이 고정 배열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하측을 마감하는 마감지와; 상기 함체의 내부를 충진하는 발포수지와; 상기 함체의 상부 표면에 코팅된 원적외선 코팅층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코팅층이 구비된 전기온돌판넬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코팅층은 중량%로,
    맥반석 또는 세라믹을 200-300메쉬의 입도로 분쇄한 원적외선 방사물질 30-40중량%; 산화제2철 분말 6-10중량%; 이트리아 분말 2-4중량%; 파라핀왁스 10-20중량%; 목분 4-6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3중량%; 천연 바인더 10-15중량% 및 나머지 물로 조성된 코팅액이 도포 형성되되,
    상기 세라믹은 거정석, 천매암, 희토류, 규석, 맥반석, 티탄, 및 지르코니움을 혼합한 후 200메쉬의 입도로 분쇄하고 1300℃에서 소성한 다음 다시 300메쉬의 입도로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며;
    상기 코팅액에는 상기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근채 분말 10-20중량부가 더 첨가되고;
    상기 천연 바인더는 천연고무(LATEX), 송진(ROSIN), 알긴산, 키토산, 카제인, 전분, 젤라틴, 아교, 밀가루 및 콜로이달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2. 삭제
  3. 삭제
KR1020140023403A 2014-02-27 2014-02-27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KR101599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403A KR101599721B1 (ko) 2014-02-27 2014-02-27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403A KR101599721B1 (ko) 2014-02-27 2014-02-27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747A KR20150101747A (ko) 2015-09-04
KR101599721B1 true KR101599721B1 (ko) 2016-03-04

Family

ID=5424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403A KR101599721B1 (ko) 2014-02-27 2014-02-27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44B1 (ko) * 2019-04-24 2021-07-05 박용범 난방용 온수마루
KR20230174302A (ko) 2022-06-16 2023-12-28 김용율 온열블록
KR20230173242A (ko) 2022-06-16 2023-12-27 김용율 온열블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99Y1 (ko) * 2005-04-11 2005-07-14 김중규 전기온돌판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3387B (de) 1989-10-23 1991-10-10 Boehler Gmbh Kaltarbeitsstahl mit hoher druckfestigkeit und verwendung dieses stahles
KR100700971B1 (ko) * 2004-07-21 2007-03-28 안문효 복합 황토매트
KR100860373B1 (ko) 2007-05-07 2008-09-26 송산영농조합법인 전기온돌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99Y1 (ko) * 2005-04-11 2005-07-14 김중규 전기온돌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747A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381B1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99721B1 (ko)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KR200392271Y1 (ko) 음이온 발생 돌침대
KR101006311B1 (ko) 온수를 이용한 황토 온열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201509955U (zh) 远红外线温热席梦思床垫
KR101204297B1 (ko) 황토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황토 플레이트
KR200172775Y1 (ko) 참숯판재를 이용한 전열 휄스 매트
KR101602564B1 (ko) 건강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77618B1 (ko) 암염 침대
KR200405728Y1 (ko) 돌침대
KR101370307B1 (ko) 참옻 발효진액을 함유하는 온열침대용 한지마감 참숯판재
KR20070096176A (ko) 황토매트 제조방법과 그 매트
KR200436922Y1 (ko) 침대용 보료
KR101523342B1 (ko) 패널형 전열 히터
KR100641652B1 (ko) 황토 발열다다미
KR20040041989A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세라믹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61929B1 (ko) 흙 침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487924B1 (ko) 목재 전열패널
KR100248959B1 (ko) 황토를 이용한 원적외선 복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250509Y1 (ko) 황토 조성물 및 그 황토 조성물로 제작된 황토 매트
KR19990038020U (ko) 황토를 이용한 전기 매트
KR101301236B1 (ko) 참옻 발효진액을 함유하는 온열침대용 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H02145653A (ja) 吸湿性及び脱臭性を有する遠赤外線放射体
KR20040082211A (ko)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찜질방
WO2002096243A1 (en) Loess composite and loess mat made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