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342B1 - 패널형 전열 히터 - Google Patents

패널형 전열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342B1
KR101523342B1 KR1020140018284A KR20140018284A KR101523342B1 KR 101523342 B1 KR101523342 B1 KR 101523342B1 KR 1020140018284 A KR1020140018284 A KR 1020140018284A KR 20140018284 A KR20140018284 A KR 20140018284A KR 101523342 B1 KR101523342 B1 KR 10152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ttom plate
material layer
functional material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선
Original Assignee
이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선 filed Critical 이정선
Priority to KR102014001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형 전열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면서 에너지 효율과 찜질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패널형 전열 히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되 내측으로 고정턱이 형성된 목재 테두리블록과, 바닥판과 테두리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선되어 전원인가 시 발열하는 전열선과, 이 전열선의 배선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감싸는 배선시트와, 전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축열 및 방열하도록 바닥판과 테두리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충전되되 숯과 황토 및 솔잎의 분말이나 알갱이를 혼합하여 형성된 기능성 물질층과, 테두리블록의 고정턱에 일정 간격을 두고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 개의 목재 상판블록 및 기능성 물질층과 상판블록 사이에 부착되어 기능성 물질층이 상판블록들의 사이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패널형 전열 히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패널형 전열 히터{ELECTRICAL HEATING PANEL}
본 발명은 패널형 전열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면서 에너지 효율과 찜질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패널형 전열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의 건식 반신욕기나 사우나기 또는 전열식 침대 등에 사용하는 패널형 전열 히터는 대개 전열선에서 발열되는 열기만으로 온열작용을 수행하므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전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고, 이로 인해 전력의 소비가 과도하게 높아 에너지 소비효율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생활수준 및 주거문화의 향상과 더불어 이른바 웰빙(Well-being)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온열과 함께 부가적으로 황토, 맥반석, 옥돌 따위를 이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을 방출함으로써 치료 및 찜질효과 등의 기능성을 접목한 전열 히터가 각광받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7450호에 개시되어 있는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패널형 히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인가 시 발열되는 면상발열체(2)와, 이 면상발열체(2)의 이면에 부착되는 제1부직포(4)와, 이 제1부직포(4)의 이면에 접착되어 면상발열체(2)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이면 쪽으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난연보드(6)와, 이 난연보드(6)의 이면에 접착되는 제2부직포(8) 및 황토, 숯,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져 면상발열체(2)의 표면에 부착되는 원적외선 방사보드(1)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전열 히터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열체가 열선필름 형태의 면상발열체(2)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력에 의해 서로 합선되거나 단락될 위험성이 매우 높아 안전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발열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함으로 인해 자칫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매우 높으며, 이는 웰빙(Well-being) 생활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패턴 및 소비경향과 배치되어 전열패널의 사용을 기피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데다 이를 채용하는 물품의 상품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편백나무, 삼나무 등의 상록교목에는 살균, 항균, 진정, 탈취, 스트레스 해소,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의 면역기능 증대, 집먼지진드기 퇴치 및 기피효과, 공기 정화 등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테르펜(Terpene) 계통의 유기화합물이 주성분인 피톤치드(Phytoncide)가 다량으로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5835호(2013.01.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4671호(2012.08.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5413호(2012.08.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1732호(2010.12.2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2284호(2010.03.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5858호(2010.03.0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476호(2011.08.3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7450호(2011.10.04)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에너지 소비효율과 찜질효과를 높으면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이 다량으로 방출되는 새로운 구조의 패널형 전열 히터를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에너지 소비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패널형 전열 히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되 내측으로 고정턱이 형성된 목재 테두리블록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테두리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선되어 전원인가 시 발열하는 전열선과, 상기 전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축열 및 방열하도록 상기 바닥판과 상기 테두리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충전되되 숯과 황토 및 솔잎의 분말이나 알갱이를 혼합한 기능성 물질층과, 상기 전열선의 배선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감싸는 배선시트와, 상기 바닥판과 상기 기능성 물질층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전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바닥판 쪽으로 손실되는 것으로 차단하는 단열시트와, 상기 테두리블록의 고정턱에 일정 간격을 두고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 개의 목재 상판블록 및 상기 기능성 물질층과 상기 상판블록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기능성 물질층이 상기 상판블록들의 사이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전열 히터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이 다량으로 방출됨은 물론 에너지 소비효율과 찜질효과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상판블록은 상하로 개구된 마운트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홀의 내측 테두리 벽면에 받침턱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에 세라믹편이 삽입 부착됨으로써 에너지 소비효율과 찜질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테두리블록과 상기 상판블록은, 함수율이 12% 이내인 편백나무, 삼나무, 잣나무, 향나무, 소나무 및 가문비나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원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능성 물질층은 숯과 황토 및 솔잎의 분말이나 알갱이를 8: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형성됨으로써 목재의 수축 및 팽창 현상에 따른 뒤틀림, 휘어짐, 갈라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피톤치드가 함유된 편백나무, 잣나무, 소나무 등과 같은 목재로 이루어진 테두리블록과 상판블록 사이에 숯, 황토 및 솔잎 소재의 기능성 물질층을 조밀하게 충전한 구조이기 때문에 쾌적한 사용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특성 및 그 고유의 성분이 갖는 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 증진은 물론 항균, 삼림욕, 숙면, 스트레스 해소 등 매우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숯, 황토 및 솔잎 소재의 기능성 물질층과 맥반석 및 게르마늄 소재의 세라믹편이 갖는 고유의 물리적 특성과 축열효과 및 방열작용에 의해 전열선에 일정시간 동안만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더라도 그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온전하면서 골고루 전달받아 축열한 후 발열 상태를 일정시간 이상 유지하여 오랫동안 방열하므로 전력소비가 적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찜질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혈액순환 개선효과로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건강 증진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열 히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형 전열 히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형 전열 히터를 나타낸 온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형 전열 히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형 전열 히터 중 상판블록의 국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형 전열 히터는 크게 바닥판(10), 테두리블록(20), 전열선(30), 배선시트(40), 기능성 물질층(50), 단열시트(60), 상판블록(70) 및 커버시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10)은 테두리블록(20)과 상판블록(70)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저면을 폐쇄하여 전열선(30), 배선시트(40), 기능성 물질층(50) 및 단열시트(60)의 노출을 막는다.
여기서, 바닥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테두리블록(20)은 바닥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어 있고, 내측으로 고정턱(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테두리블록(20)은 상판블록(70)들의 좌우측면과 결합되도록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판블록(70)들의 양단부 또는 측단부와 대향하는 각각의 안쪽 측면에 상판블록(70)들이 테두리블록(20)의 상단보다 돌출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두리블록(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판재 형상의 바닥판(10)의 테두리 상면에 고정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각형 판재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바닥판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테두리블록(20)과 상판블록(70)들은 못이나 타커 핀(tacker pin)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상호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열선(30)은 외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일정 온도로 발열하여 열을 방출하도록 바닥판(10)과 테두리블록(20) 및 상판블록(7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선되어 있다.
즉, 전열선(30)은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 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전열선(30)은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이 상쇄되어 전자파의 발생이 적은 이른바 무자계열선이나 탄소섬유열선 등으로 구비되고, 배선시트(40)에 열이 골고루 전달되어 발열 온도의 분포가 균일하도록 지그재그 모양 등 특정 패턴으로 유동 없이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전열선(30)은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전력소비량에 대응하는 적절한 출력 전압과 전류량을 갖도록 변환하여 공급 및 작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 전원공급부는 교류전원 공급방식이나 직류전원 공급방식의 전원공급장치 중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전자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직류전원 공급방식의 전원공급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공급부에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 시 또는 전열선(30)이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또는 온도센서에 의해 전기접속이 차단된 경우 혹은 가열이 중단 및 완료된 경우 등 여러 상황에 따라 이를 각각 표시하는 램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전원공급부에는 전열선(30)의 작동 및 발열 온도를 조절하고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부호)와 전열선(30)의 과열을 감지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바이메탈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도 값 등을 A/D컨버터에 의해 디지털로 변환시켜 표시하거나 전원의 공급 및 차단 시 또는 전열선(30)이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될 경우, 또는 온도센서(바이메탈)에 의해 전기접속이 차단된 경우 혹은 가열이 완료된 경우 등 상황에 따라 이를 각각 표시하는 표시창이 구비될 수도 있다.
배선시트(40)는 전열선(30)의 배선 상태가 유지되도록 전열선(30)의 상하를 감싸듯이 구비되어 있고, 바닥판(10)과 테두리블록(20) 및 상판블록(7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된 전열선(30)의 배선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외력으로부터 보호한다.
즉, 배선시트(40)는 부직포 등과 같은 극미세 섬유사를 전열선(30)의 상하 양면을 커버하도록 이중으로 겹쳐 재봉한 상태로 바닥판(10)과 테두리블록(20) 및 상판블록(7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삽입 부착함으로써 그 미세한 기공에 의해 기능성 물질층(50)으로 습기가 유통 및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습 기능은 물론 전열선(30)의 발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기능 및 구실을 동시에 수행한다.
기능성 물질층(50)은 전열선(30)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축열 및 방열하도록 바닥판(10)과 테두리블록(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조밀하게 충전되어 있다.
즉, 기능성 물질층(50)은 숯, 황토, 솔잎 분말이나 알갱이 그리고 선택적으로 녹차 분말이나 알갱이 등을 특정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바닥판(10)과 테두리블록(20) 및 상판블록(7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조밀하게 충전되어 전열선(30)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축열 및 고르게 방열함과 동시에 발열효율을 극대화시킨다.
아울러 기능성 물질층(50)은 전열선(30)의 온열 및 발열에 따른 축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 이외에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하며, 전열선(30)의 가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같은 유해파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 및 흡수하는 효능뿐만 아니라 효소의 활성화작용을 통해 공기 중의 독소를 분해 및 정화하여 냄새 제거 등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특히 기능성 물질층(50)에 포함되는 숯은 그 고유의 물질적 특성상 습도조절이 탁월하므로 수분이 함유된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곳에서 포화 상태로 되어 결로현상을 일으키거나 그로 인한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함은 물론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정화하는 등 각별한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숯을 대체하여 활성탄, 백탄, 죽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일정 비율로 섞은 분말을 과립기 또는 볼 성형기를 이용하여 지름이 2~15mm 정도의 알갱이 형태로 성형 및 건조한 후, 고온에서 소성한 것이나 숯을 파쇄하여 구슬 또는 몽돌 형태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능성 물질층(50)에 포함되는 황토는 혈액의 흐름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활성화하며 체내의 노폐물을 분해하고 제독 및 항균작용뿐만 아니라 통증을 완화하며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한다.
여기서, 황토는 소금용액을 첨가함으로써 곰팡이나 벌레의 발생을 막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 물질층(50)에 포함되는 솔잎은 테르펜(terpene)이 혈관벽을 자극해 혈액순환이 원활하도록 하고 강한 항균작용을 하며 항산화 물질과 유기산이 풍부하여 노화를 억제하며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한다.
여기서, 기능성 물질층(50)은 숯, 황토, 솔잎을 8: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체 조성비를 100% 기준으로 할 때 숯 알갱이 80%에 황토 알갱이 및 솔잎 알갱이 각각 10%를 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녹차 분말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이라면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기능성 물질층(50)은 녹차 분말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조성비를 100% 기준으로 할 때 숯 알갱이 80%에 황토 알갱이 및 솔잎 알갱이 각각 8%를 배합하고, 녹차 분말이나 알갱이 4%를 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녹차 분말은 카페인을 함유하여 각성 작용으로 머리를 맑게 하고, 다량의 비타민과 미네랄에 의해 신진대사를 활성화하며, 탄닌, 비타민C, 비타민P(바이오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 영양소는 인체의 세포나 기관의 산화를 억제한다.
또한, 기능성 물질층(50)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의 생체리듬을 활성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게 할 수 있는 맥반석 분말 또는 게르마늄 분말을 소량으로 첨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조성비를 100% 기준으로 할 때 숯 알갱이 78%에 황토 알갱이 및 솔잎 알갱이 각각 8%를 배합하고, 녹차 분말이나 알갱이 4%를 배합하고, 맥반석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을 각각 1%씩 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단열시트(60)는 우레탄폼이나 폴레에틸렌 등과 같은 소재의 단열재로 이루어져 기능성 물질층(50)의 저면과 바닥판(10)의 상면 사이에 부착되어 전열선(30)의 발열 시에 발산되는 열이 바닥판(10) 쪽으로 손실되는 것으로 차단한다.
즉, 별도의 전원공급부의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전열선(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열선(30)에서 발열이 일어나고, 전열선(30)에서 발생되는 열은 단열시트(60)에 의해 하부로의 전이가 차단되어 상부로만 열을 발산하게 된다.
상판블록(70)은 테두리블록의 고정턱(21)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판블록(70)들은 고급스러운 장식미를 구현함은 물론 엉덩이, 발바닥 등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전열선(30)과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화상 등의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판블록(70)들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상 서로 간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기 때문에 사용 시 전열선(3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음은 물론 기능성 물질층(50)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석 및 음이온 등의 다양한 효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판블록(70)의 중심부 상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통하는 타원형 마운트홀(71)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마운트홀(71)의 내측 테두리 벽면에는 세라믹편(73)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받침턱(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세라믹편(73)은 상판블록(70)의 마운트홀(71)에 삽입 부착되도록 그 마운트홀(71)의 내측 둘레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상하로 통하는 에어벤트(74)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라믹편(73)은 인체의 경혈 부위 등을 자극 및 지압하며, 에어벤트(74)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기 때문에 기능성 물질층(50)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석 및 음이온 등의 다양한 효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즉, 세라믹편(73)은 상판블록(70)의 마운트홀(71)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삽입 부착되어 그 내측에 상하로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에어벤트(74)를 통해 기능성 물질층(50)으로부터 발산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함은 물론 전열선(30)에서 발생되는 열 전달에 의해 가열되어 그 자체에서도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함께 발산되므로 찜질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세라믹편(73)은 맥반석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을 1 : 1의 비율로 혼합 및 약 1100~1200℃로 소성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체 조성비를 100% 기준으로 할 때 맥반석 분말 50%에 게르마늄 분말 50%를 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커버시트(80)는 기능성 물질층(50)이 상판블록(70)들의 사이 공간으로 유출 및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기능성 물질층(50)과 상판블록(70)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
즉, 커버시트(80)는 부직포 등과 같은 극미세 섬유사를 일정 크기로 재단하여 상판블록(70)들의 하면에 부착함으로써 그 미세한 기공에 의해 기능성 물질층(50)으로 습기가 유통 및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습 기능은 물론 상판블록(70)들 간의 틈새를 통해 기능성 물질층(50)의 미세한 숯 분말, 황토 분말, 솔잎 분말이나 알갱이 등의 입자가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열선(30)의 발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기능 및 구실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테두리블록(20) 및 상판블록(70)은 편백나무, 삼나무, 잣나무, 소나무 및 가문비나무 등의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함유된 상록교목을 일정 길이를 갖는 판재나 블록 형태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테두리블록(20) 및 상판블록(70)은 자연친화적이면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강력한 항균작용을 하는 등 기능성이 뛰어난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편백나무, 삼나무, 잣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등의 상록교목 중 어느 하나의 원목을 그 두께가 10~20mm 정도로 깎아 제재한 판재나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블록 형태로 제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블록(20) 및 상판블록(70) 목재의 수분함량은 10~20% 범위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12% 이내의 수분함량을 갖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피톤치드의 방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시간이 지나면서 뒤틀리거나 휘거나, 갈라지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블록(20) 및 상판블록(70)의 최적 소재로는 편백나무가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삼나무, 잣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그 중 선택된 둘 이상을 혼합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아울러 테두리블록(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여러 개의 칸으로 분할하고, 이에 기능성 물질층(50)를 분할하여 충전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이동 시 등에 기능성 물질층(50)이 자유롭게 유동되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형 전열 히터는 전열선(30)에 일정시간 동안 외부 전원을 공급하면 그에 의해 발산되는 열을 기능성 물질층(50)이 축열하면서 장시간 동안 방열하기 때문에 전력소비가 매우 적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시에는 계속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성 물질층(50)과 세라믹편(73)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5~6분 정도만 전원을 인가하여도 최대 3시간 정도 고온을 유지하는 축열작용이 가능하므로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층(50)과 세라믹편(73)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더욱이 테두리블록(20) 및 상판블록(70)이 편백나무, 삼나무, 잣나무, 소나무 및 가문비나무 등의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함유된 목재로 가공하여 형성됨으로써 원적외선 및 보온효과와 더불어 쾌적하면서 안락하고 포근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고유의 성분이 갖는 물성 및 활성작용에 의해 인체의 건강 증진은 물론 항균, 삼림욕, 숙면,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테면, 보료나 침대의 상판 또는 건식 사우나부스, 건식 반신욕기, 건식 족욕기 등의 내부 벽면이나 바닥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열식 온열패널이나 발열패널에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바닥판 20: 테두리블록
21: 고정턱 30: 전열선
40: 배선시트 50: 기능성 물질층
60: 단열시트 70: 상판블록
71: 마운트홀 72: 받침턱
73: 세라믹편 74: 에어벤트
80: 커버시트

Claims (4)

  1.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되, 내측으로 고정턱이 형성된 목재 테두리블록;
    상기 바닥판과 상기 테두리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선되어 전원인가 시 발열하는 전열선;
    상기 전열선의 배선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감싸는 배선시트;
    상기 전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축열 및 방열하도록 상기 바닥판과 상기 테두리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충전되되, 숯과 황토 및 솔잎의 분말이나 알갱이를 혼합하여 형성된 기능성 물질층;
    상기 테두리블록의 고정턱에 양단이 고정되되, 상하로 개구된 마운트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홀의 내측 테두리 벽면에 받침턱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에 세라믹편이 삽입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테두리블록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 개의 목재 상판블록; 및
    상기 기능성 물질층과 상기 상판블록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기능성 물질층이 상기 상판블록들의 사이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시트;
    를 포함하는 패널형 전열 히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기능성 물질층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전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바닥판 쪽으로 손실되는 것으로 차단하는 단열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전열 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블록과 상기 상판블록은, 함수율이 12% 이내인 편백나무, 삼나무, 잣나무, 향나무, 소나무 및 가문비나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원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능성 물질층은 숯과 황토 및 솔잎의 분말이나 알갱이를 8: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전열 히터.
KR1020140018284A 2014-02-18 2014-02-18 패널형 전열 히터 KR10152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84A KR101523342B1 (ko) 2014-02-18 2014-02-18 패널형 전열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84A KR101523342B1 (ko) 2014-02-18 2014-02-18 패널형 전열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342B1 true KR101523342B1 (ko) 2015-05-28

Family

ID=5339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284A KR101523342B1 (ko) 2014-02-18 2014-02-18 패널형 전열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763A (ko) 2021-11-08 2023-05-17 주식회사 동림 목재를 이용하는 전기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027Y1 (ko) * 2006-02-06 2006-04-13 박영복 평면형 발열판을 이용한 발열 나무 매트
KR20110021448A (ko) * 2009-08-26 2011-03-04 유유자 온열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027Y1 (ko) * 2006-02-06 2006-04-13 박영복 평면형 발열판을 이용한 발열 나무 매트
KR20110021448A (ko) * 2009-08-26 2011-03-04 유유자 온열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763A (ko) 2021-11-08 2023-05-17 주식회사 동림 목재를 이용하는 전기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079Y1 (ko) 건식 반신욕기
KR20150010488A (ko) 침대형 온열기
KR200392271Y1 (ko) 음이온 발생 돌침대
KR101567526B1 (ko) 온열매트
KR200461634Y1 (ko) 건식 족욕기
KR101523342B1 (ko) 패널형 전열 히터
KR101066259B1 (ko) 천연 한지층을 구비한 침대
CN201509955U (zh) 远红外线温热席梦思床垫
KR101487924B1 (ko) 목재 전열패널
KR100655900B1 (ko) 음이온 및 초장파 발생 흙침대
KR101630399B1 (ko) 온열 찜질 겸용 침대
KR200392273Y1 (ko) 음이온이 방출되는 흙침대
KR20120045205A (ko) 찜질 겸용 건강 적송 사우나 부스
KR100641652B1 (ko) 황토 발열다다미
KR20120043563A (ko) 비장탄을 이용한 침대
KR20160002131A (ko) 건강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46169B1 (ko) 전열식 침대 상판
KR200387026Y1 (ko) 나무 상판을 구비하는 전기매트
KR20080000997U (ko) 침대용 온열보료
KR20150018671A (ko) 기능성 충전재가 내장된 침대매트리스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KR200476458Y1 (ko) 친환경 침대용 온열보료
KR200460760Y1 (ko) 건식 족욕기
KR200339612Y1 (ko) 원적외선방사 나무온열침대
KR102473852B1 (ko) 이동식 건강 찜질기
KR101178163B1 (ko) 황토볼을 이용한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