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285B1 - 토크모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토크모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285B1
KR100857285B1 KR1020060010143A KR20060010143A KR100857285B1 KR 100857285 B1 KR100857285 B1 KR 100857285B1 KR 1020060010143 A KR1020060010143 A KR 1020060010143A KR 20060010143 A KR20060010143 A KR 20060010143A KR 100857285 B1 KR100857285 B1 KR 10085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motor
setting
motor
current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457A (ko
Inventor
추교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영 모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영 모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영 모토닉스
Priority to KR102006001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285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otor parameters, e.g. rotor time constant, flux, speed,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20Controlling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H02P29/027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the fault being an over-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32Preventing damage to the motor, e.g. setting individual current limits for different drive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s
    • H02P2205/07Speed loop, i.e. comparison of the motor speed with a speed re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크모터 구동장치는, 토크모터의 현재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토크모터의 결상상태를 검출하는 결상검출부와, 토크모터가 구동되는 현재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속도검출부와, 토크모터의 사양에 맞는 운전별 조작방식들과 입력전압별 조작방식의 입력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딥스위치 설정부와, 토크모터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 입력 및 상태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털 오퍼레이터와, 디지털 오퍼레이터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모터동작환경 설정모드에서의 설정치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전류검출부 및 회전속도검출부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출력값을 상기 메모리에 설정된 설정치에 비교하여 토크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전류검출부 및 결상검출부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과전류 및 결상상태를 파악하여 모터기동 중지와 함께 디지털오퍼레이터로 에러발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10143
토크모터, 토크모터 구동장치, 디지털제어방식

Description

토크모터 구동장치{TORQUE MOTOR DR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모터구동장치 외관도,
도 2는 도 1의 토크모터 구동장치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3은 토크모터 구동장치의 디지털오퍼레이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모터 구동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흐름도,
도 5는 도 4의 200단계에 해당하는 모터동작 환경설정 서브루틴 제어흐름도,
도 6은 도 4의 400단계에 해당하는 각종 에러검출 서브루틴 제어흐름도,
도 7은 도 4의 500단계에 해당하는 모터속도 조정 서브루틴 제어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모터 구동장치의 모터기동상태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오퍼레이터의 기본화면과 설정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모터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제어가능한 토크모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크모터는 정밀하고 무단변속이 가능한 무단변속용 전동기의 일예로서, 기존 무단변속기인 마찰 유체식과는 다르게 대용량에서의 문제점과 기계 구조상의 마모 등으로 발생한 고정의 원인을 완전히 해소하여 기계적인 고장과 마모부분과 마찰성이 전혀 없는 각종 용도에 부합하는 모터이다.
이러한 토크모터는 일반모터와 작업하는 조건이 다르므로 일반모터와 같이 용량이 선정될 수가 없다. 따라서 토크모터의 용량은 부착되는 기계의 종류와 부하의 종류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의 여러가지 제반조건들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토크모터의 용량이 선정가능하다.
이렇게 현장에서의 여러가지 제반조건들을 고려하여 토크모터의 용량을 선정하게되면 토크모터의 용량에 가장 적합한 모터구동장치를 장착하여야한다.
종래 모터구동장치는 아날로그 타입의 모터구동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아날로그타입의 모터구동장치로는 모터에 고장이 나거나 모터 오작동이 되는 경우 어느 부분이 문제인지 즉, 모터부분 문제인지 아니면 모터구동장치 부분인지를 확인할 수 없어 그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기가 어렵다. 또 모터가 과부하상태인지 특히 과전류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없어 과부하 작동에 의한 제품고장이나 파손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선정된 토크모터의 용량에 가장 적합한 모터구동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종래 아날로그 타입의 모터구동장치를 개선하는 모터구동장치가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정된 토크모터의 용량에 가장 적합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제어방식 모터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실시간 체크 가능한 디지털 제어방식의 모터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내부 조작으로 각종 운전(전압, 주파수, 운전방법 등) 변경이 가능한 디지털제어방식 모터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전류 및 결상 검출이 가능하며 설정치 저장이 가능한 디지털제어방식 모터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하 증가시에도 운전전압 안정시켜 제어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디지털제어방식 모터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토크모터 구동장치에 있어서, 출력전원선들에 끼워져 구동중인 토크모터의 현재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출력전원선들에 끼워져 구동중인 토크모터의 결상상태를 검출하는 결상검출부와, 토크모터가 구동되는 현재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속도검출부와, 토크모터의 사양에 맞는 운전별 조작방식들과 입력전압별 조작방식의 입력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딥스위치 설정부와, 토크모터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 입력 및 상태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털 오퍼레이터와, 상기 디지털 오퍼레이터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모터동작환경 설정모드에서의 설정치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전류검출부 및 회전속도검출부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출력값을 상기 메모리에 설정된 설정치에 비교하여 토크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전류검출부 및 결상검출부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과전류 및 결상상태를 파악하여 모터기동 중지와 함께 디지털오퍼레이터로 에러발생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번호 내지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구동장치는 선정된 토크모터의 용량에 아주 적합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입력 및 기능 설정을 할 수 있는 디지털방식의 모터구동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커버(4) 상부면에는 디지털 오퍼레이터(digital operator)(6)가 설치되고, 본체내부에는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회로부품들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어있다.
도 2에 도시된 토크모터 구동장치(2)는, MCU(Main Control Unit)(10), 메모리(12), 전류검출부(14), 결상검출부(16), 외부제어 입력부(18), 딥스위치 설정부(20), 모터속도 조절부(22), 타코제너레이터(Tacho Generator: TG)(30), 및 디스플레이부(24)와 키패드(26)로 구성된 디지털 오퍼레이터(digital operator)(6)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커버(4)상에 설치된 디지털 오퍼레이터(6)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본체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치된다.
도 2에서, 전류검출부(14)는 출력전원선들(U,V,W)에 끼워져 구동중인 토크모터(28)의 현재 전류량을 검출하여 MCU(10)로 출력한다. 결상 검출부(16)는 출력전원선들(U,V,W)에 끼워져 구동중인 토크모터(28)의 결상상태를 검출하여 MCU(10)로 출력한다. 타코제너레이터(Tacho Generator: TG)(30)는 구동되는 토크모터(28)의 현재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MCU(10)로 출력한다. 딥스위치 설정부(20)는 토크모터(28)의 사양에 맞는 운전별 조작방식들과 입력전압별 조작방식의 입력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딥스위치이다.
외부 제어입력부(18)는 RS-422통신 또는 RS-485통신방식의 통신케이블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작업자가 원격으로 전류값(4∼20mA)의 모터속도 조정하거나 가변저항 조정기 VR을 이용하여 모터속도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단이다.
MCU(10)는 모터구동장치(2)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MCU(10)는 주로 디지털 오퍼레이터(6)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모터동작환경 설정모드에서의 설정치를 메모리(12)에 저장하며, 전류검출부(14)나 타코제너레이터(30)로부터의 출 력값을 메모리(12)에 설정된 설정치에 비교하여 토크모터(28)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전류검출부(14) 및 결상검출부(16)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과전류 및 결상상태를 파악하여 모터기동 중지와 함께 디지털오퍼레이터(6)로 에러발생을 디스플레이 제어한다. 메모리(12)는 동작프로그램을 내장되며, MCU(10)의 제어하에 해당 모터동작환경 설정치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지털 오퍼레이터(6)는 토크모터(28)의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 입력 및 상태 디스플레이한다.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구성은 도 3이 참조되어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토크모터 구동장치(2)는 입력전원으로서 220V, 380V, 440V, 480V 등과 같은 3상 교류전원을 사용하며,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출력인 3상 출력전압선(U,V,W)은 토크모터(28)와 접속된다.
도 2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방식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주요 기능은 하기의 일예와 같다.
1) 1V의 전압별 속도제어 가능
2) 현재의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가능
3) 다양한 제어방식 - 디지털 오퍼레이터, 외부제어 입력을 통한 다양한 속도설정
4) 운용상 문제점 발생시 자동 감지 - 과전류 및 결상 검출
5) 메모리 기능으로 인한 설정치 저장
6) RS-422통신 또는 RS-485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 는 기능(옵션사항)
도 3은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커버(4) 상부면에 부착된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구체 구성도로서, 전원램프 PWR, 시간램프 V, 전류램프 A, 전압램프 V, 기동정지램프 R, 결상램프 P, 과부하램프 OL, 현재값 표시창 PV, 설정값 표시창 SV가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디스플레이부(24)에 해당하고, 모드키 MODE, 설정키 SET, 리셋키 RESET, 설정저장키 SRT, 기동키 RUN, 업/다운키 UP/DOWN, 정지키 STOP가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키패드(26)에 해당한다.
작업자는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키패드(26)상의 각종 버튼들과 디스플레이부(24)를 이용하여 토크모터(28)의 사양에 가장 적합한 운전방법을 설정할 수 있으며, 토크모터 기동중에도 토크모터(28)의 부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즉시로 설정된 모터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토크모터(28)에 맞는 모터동작 환경설정 즉, 전압설정모드, 전류설정모드, 및 가속시간 설정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MCU(10)에서 수행하는 전반적인 제어 흐름도로서, 입력조건 설정단계(100단계), 모터동작 환경설정단계(200단계), 토크모터 기동 후(300단계)의 각종 에러검출단계(400단계), 모터속도조정단계(500단계), 및 현재상태 디스플레이단계(600단계)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4의 200단계에 해당하는 모터동작 환경설정 서브루틴 제어흐름도이고, 도 6은 도 4의 400단계에 해당하는 각종 에러검출 서브루틴 제어흐름도이며, 도 7은 도 4의 500단계에 해당하는 모터속도 조정 서브루틴 제어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모터기동상태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작업자는 초기에 토크모터 구동장치(2)의 딥스위치 설정부(20)를 이용하여 선정된 토크모터(28)의 사양에 가장 적합한 입력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도 4의 100단계). 상기 설정할 수 있는 입력조건으로는 운전별 조작방식과 입력 전압별 조작방식이 있으며, 하기 표 1 및 표 2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딥스위치 설정부(20)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치된 딥스위치(dip switch)로 구현된다. 상기 딥스위치는 모터사양에 맞는 각종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로서, 예컨대 6개의 스위치단 SW1∼SW6로 구성된다. 그중 1번 내지 4번 스위치 SW1∼SW4는 운전별 조작방식에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인 기능은 하기 표 1과 같으며, 5번 및 6번 스위치 SW5,SW6은 입력 전압별 조작방식에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인 기능은 하기 표 2과 같다.
Figure 112006007975435-pat00001
Figure 112006007975435-pat00002
표 1에서, 1번 내지 3번 스위치 SW1,2,3의 "OFF" 선택시에서는 외부제어 입력부(18)를 통해서 원격제어할 수 있는 운전기능으로서, 예컨대 RS-422통신이나 RS-485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4번 스위치의 ON/OFF 선택으로 주파수 선택도 가능하다. 그리고, 표 2에서, 5번 및 6번 스위치 SW5,6의 스위칭 선택 조합으로 200V/220V/230V, 380V, 440V, 480V와 같은 입력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작업자는 딥스위치 설정부(20)를 이용하여 선정된 토크모터(28)의 사양에 최적합한 입력조건 즉, 운전별 및 입력전압별 각종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작업자가 입력조건을 설정한 후에는 토크모터(28)에 맞는 모터동작환경도 설정할 수 있다(도 4의 200단계).
모터동작환경 설정모드는 도 5에 도시된 서브루틴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값 설정모드(도 5의 202단계), 전류제한값 설정모드(도 5의 204단계), 및 모터 가속시간 설정모드(도 5의 206단계)로 구분된다. 모터 가속시간 설정모드는 다수의 부하용 토크모터가 있을 경우 토크모터들과의 작동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동작환경 설정에서, 전압설정모드시의 전압값 설정범위는 1∼SET(220/2380/440/480V)이며, 공장 출하시 설정값(디폴트값)은 주로 많이 사용되는 "380V"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값 설정은 1V단위로 조정가능하다. 그리고, 전류설정모드 시의 전류제한값 설정범위는 0.1∼25A정도이며, 공장 출하시 설정값(디폴트값)은 "15A"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류값 설정은 0.1A단위로 조정 가능하다. 또 가속시간 설정모드시의 가속시간 설정범위는 5∼999초(sec)이며, 공장 출하시 설정값(디폴트값)은 "0초"가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디지털 오퍼레이터(6)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모터동작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기본화면과 설정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작업자는 전압설정화면, 전류설정화면, 가속시간설정화면중의 하나의 설정모드를 선택하고 선택 모드에서 모터동작환경 설정치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모드키 MODE, 설정키 SET, 업/다운키 UP/DOWN, 설정저장키 STR을 이용하여 모터동작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초기화면에서 모드키 MODE를 반복해서 누르면 전압설정모드 화면, 전류설정모드 화면, 가속시간설정모드 화면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원하는 모드화면에서 설정키 SET를 누른 후 업/다운키 UP/DOWN을 이용해서 설정치를 변경하고 설정저장키 STR을 누르면 변경된 설정치가 메모리(12)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디지털 오퍼레이터(6)를 이용하여 모터동작환경모드를 선택하고 그 설정치에 대한 저장을 요구하면, MCU(10)는 해당 모터동작환경 설정모드에서의 설정치를 메모리(12)에 저장한다(도 5의 208단계 및 210단계).
상기한 방법으로 입력조건 설정 및 모터동작환경을 설정한 후에 작업자가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기동키 RUN을 누르게되면, MCU(10)는 이에 응답하여 토크모터(28)를 기동시키고(도 8의 802단계 및 804단계), 전류검출부(14) 및 결상검출부(16)로부터 토크모터(28)의 기동중 결상이나 과전류와 같은 각종 에러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도 4의 400단계에 해당). 전류검출부(14) 및 결상검출부(16)의 구현 일 예로는 3상 출력전원선(U,V,W)중 2선 이상에 끼워져 전류 및 결상을 검출하는 CT(Current Transformer)가 될 수 있다.
도 6의 각종 에러검출 서브루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MPU(10)는 결상검출부(16)의 출력신호로부터 R상 결상인지, S상 결상인지 T상 결상인지를 판단한다(도 6의 402단계 내지 406단계). 만약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상이 발생하면 MPU(10)는 도 6의 408단계로 진행하여 내부 부저를 1초 주기로 울리고 토크모터(28)의 기동을 중지시키며, 아울러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디스플레이부(24)의 결상램프 P와 기동정지램프 R을 발광시킨다.
또한 MPU(10)는 전류검출부(14)로부터 검출되는 전류를 근거로 하여 과전류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MPU(10)는 전류검출부(14)로부터의 검출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전류제한값을 120%를 초과할 경우에 과전류 검출로 판단한다. MPU(10)는 과전류를 검출하게되면 도 6의 408단계로 진행하여 내부 부저를 울리고 토크모터(28)의 기동을 중지시키며, 아울러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디스플레이부(24)의 과부하램프 OL과 기동정지램프 R을 발광시킨다.
한편 결상검출이나 과전류 검출로 인해 부저음이 발생되고 토크모터(28)가 작동중지되며 에러상태가 디스플레이되면, 작업자는 에러상태로 확인하고 바로 고장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고장원인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한 후 작업자가 디지털 오퍼레이터(6)상의 리셋키 RESET를 누르게 되면, MPU(10)는 도 8의 822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824단계로 진행하여 부저음 발생중지 및 에러상태 디스플레이 등의 에러작동을 중지시킨다.
토크모터 기동중 결상검출이나 과전류 검출이 없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토크모터(28)의 부하정도나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 등을 경험적으로 고려하여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키패드(26)나 외부제어입력부(18)를 이용해서 토크모터의 속도를 임의적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자의 조작은 부하 증가시에도 운전전압을 안정시켜 주어 제어 안정성 향상시킨다.
모터 속도조절의 과정은 도 8의 812단계 내지 도 8의 818단계에 해당하고, 또한 도 4의 500단계에 해당하는 모터속도 조정 서브루틴인 도 7의 502단계 내지 도 7의 512단계에 해당한다.
모터기동중에 작업자는 토크모터(28)의 설정속도를 디지털 오퍼레이터(6)의 키패드(26)상의 업/다운키 UP/DOWN을 이용하여 설정속도를 모터동작환경 설정된 단위(전압값 또는 전류제한값)로 업 또는 다운시킬 수 있으며, 설정값은 SV표시창에 볼륨 디지트(전압값)로 표시된다. 또한 작업자는 모터동작환경 단위에 의거하여 외부제어입력부(18)의 원격 가변저항조정부 VR을 이용한 전압값 볼륨 조정이나 외부제어입력부(18)의 4∼20mA범위의 전류제한값 볼륨 조정을 통해 대응된 설정속도를 원격 조정할 수 있으며, MPU(10)는 대응된 설정속도를 다시 셋팅하여 메모리(12)에 저장한다(도 8의 812단계, 도 7의 502, 504, 506단계).
그 후 MPU(10)는 타코제너레이터(30)로부터 검출되는 현재 모터회전속도에 대응된 기동전압과 설정속도에 대응된 설정전압을 비교한다(도 8의 814단계,도 7의 508단계). 만약 상기 설정전압이 기동전압보다 크면 MPU(10)는 모터속도 조절부(22)를 통해 토크모터(28)를 가속제어하고(도 8의 816단계, 도 7의 510단계), 만약 상기 설정전압이 기동전압보다 적으면 모터속도 조절부(22)를 통해 토크모터(28)를 감속제어한다(도 8의 818단계, 도 7의 512단계).
이러한 가속 및 감속제어에 따른 속도에 대응된 각종 상태는 MPU(10)의 제어 하에 디지털 오퍼레이터(6)상에 디스플레이된다(도 8의 820단계). 그래서 궁극적으로는 토크모터(28)의 속도가 설정치와 같아지도록 제어된다.
예컨대, 모터동작환경 설정모드가 전압설정모드이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오퍼레이터(6)의 디스플레이부(24)에는 전원램프 PWR, 전압램프 V가 점등되고 설정값 표시창 SV의 전압볼륨 디지트와 현재값 표시창 PV의 전압볼륨 디지트가 같은 거의 값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토크모터(28)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제어방식을 채용하여 토크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실시간 체크 가능하며, 간단한 내부 조작으로 각종 운전(전압, 주파수, 운전방법 등)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과전류 및 결상 검출이 가능하며 설정치 저장이 가능하고, 부하 증가시에도 운전전압을 안정시켜 제어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삭제
  2. 토크모터 구동장치에 있어서,
    출력전원선들에 끼워져 구동중인 토크모터의 현재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출력전원선들에 끼워져 구동중인 토크모터의 결상상태를 검출하는 결상검출부와,
    토크모터가 구동되는 현재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속도검출부와,
    토크모터의 사양에 맞는 운전별 조작방식들과 입력전압별 조작방식의 입력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딥스위치 설정부와,
    토크모터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 입력 및 상태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털 오퍼레이터와,
    상기 디지털 오퍼레이터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모터동작환경 설정모드에서의 설정치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전류검출부 및 회전속도검출부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출력값을 상기 메모리에 설정된 설정치에 비교하여 토크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전류검출부 및 결상검출부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과전류 및 결상상태를 파악하여 모터기동 중지와 함께 디지털오퍼레이터로 에러발생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장치와,
    외부 통신케이블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작업자가 전류값(4∼20mA)의 모터속도 원격조정 및 가변저항 조정기를 이용한 전압값의 모터속도 원격조정이 가능한 외부 제어입력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모터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딥스위치 설정부는 다수의 스위단들을 포함하는 딥스위치로 구성하되, 주파수 선택기능, 200V/220V/230V, 380V, 440V, 480V의 입력전압 선택기능, 상기 외부제어 입력부에 연결된 외부 통신케이블을 이용하여 외부에서의 원격제어 선택 기능이 포함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모터 구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동작환경 설정모드는 전압 설정모드, 전류 설정모드, 모터 가속시간 설정모드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모터 구동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퍼레이터는,
    상기 토크모터 구동장치의 커버 상부면에 부착되며, 전원램프 PWR, 시간램프 V, 전류램프 A, 전압램프 V, 기동정지램프 R, 결상램프 P, 과부하램프 OL, 현재값 표시창 PV, 설정값 표시창 SV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모드키 MODE, 설정키 SET, 리셋키 RESET, 설정저장키 SRT, 기동키 RUN, 업/다운키 UP/DOWN, 정지키 STOP을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모터 구동장치.
KR1020060010143A 2006-02-02 2006-02-02 토크모터 구동장치 KR10085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143A KR100857285B1 (ko) 2006-02-02 2006-02-02 토크모터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143A KR100857285B1 (ko) 2006-02-02 2006-02-02 토크모터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457A KR20070079457A (ko) 2007-08-07
KR100857285B1 true KR100857285B1 (ko) 2008-09-08

Family

ID=3860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143A KR100857285B1 (ko) 2006-02-02 2006-02-02 토크모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839A1 (ko) * 2013-10-18 2015-04-23 주식회사 프로맥스 방직기용 스마트 인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46B1 (ko) * 2012-02-07 2014-01-09 주식회사성우 동력전달장치의 과부하 차단장치
KR102213784B1 (ko) * 2020-12-07 2021-02-05 김남형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조작부, 및 콘트롤러가 모터에 일체로 장착된 모터 장착형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4886A (ja) * 1987-03-20 1988-09-30 Hitachi Ltd 低速高トルクモ−トル
JPH03279691A (ja) * 1990-03-28 1991-12-10 Hitachi Ltd トルク制御装置
KR19990004743A (ko) * 1997-06-30 1999-01-25 김광호 3상 유동전동기의 속도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4886A (ja) * 1987-03-20 1988-09-30 Hitachi Ltd 低速高トルクモ−トル
JPH03279691A (ja) * 1990-03-28 1991-12-10 Hitachi Ltd トルク制御装置
KR19990004743A (ko) * 1997-06-30 1999-01-25 김광호 3상 유동전동기의 속도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839A1 (ko) * 2013-10-18 2015-04-23 주식회사 프로맥스 방직기용 스마트 인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457A (ko) 200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64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ll detection of a motor
CA2499342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motor controller with an external device
EP2584580B1 (en) An automatic configurable relay
EP2584366B1 (en) A relay with an intermediate alert mechanism
KR100857285B1 (ko) 토크모터 구동장치
WO2013115516A1 (ko)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US200601398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ower supply voltage
CN109510531A (zh) 步进电机的驱动方法及其驱动器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80278302A1 (en) Electric Vehicle, A Display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CN1051189C (zh) 电视接收机
EP2390425B1 (en) Emergency engine rpm control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US68944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ble motor controller settings
CN1744623A (zh) 一种具有相机的移动通信终端的相机控制装置及方法
JPS6348186A (ja) 速度変更装置のための調整/対話装置
US8727661B2 (en) Variable speed boat lift motor controller
US73083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al system monitoring and diagnosis
US20200356079A1 (en) Method of controlling motor control apparatus
KR20160110613A (ko) 그래픽 lcd를 이용한 전압조정시스템
CN216744505U (zh) 吸油烟机的控制系统和吸油烟机
JPH0988871A (ja) 回転機械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606011B2 (en) Motor controller with automated input power determination
GB2432015A (en) A method for comissioning a fan
JP2590958Y2 (ja) チューブラーモータの制御装置
KR100849440B1 (ko)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KR20050119255A (ko)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