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276B1 - 의료용 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276B1
KR100857276B1 KR1020060017840A KR20060017840A KR100857276B1 KR 100857276 B1 KR100857276 B1 KR 100857276B1 KR 1020060017840 A KR1020060017840 A KR 1020060017840A KR 20060017840 A KR20060017840 A KR 20060017840A KR 100857276 B1 KR100857276 B1 KR 10085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nit
diagnosis
input
diagno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436A (ko
Inventor
이우영
Original Assignee
이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영 filed Critical 이우영
Priority to KR1020060017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2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8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진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환자의 병변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촬영된 자료를 환자의 정보와 매칭시키도록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어부;
제어부의 환자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어부의 환자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수정하도록 설치되는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하거나 제어부에 직접연결되어 환자데이터를 진단하도록 설치되는 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데이터를 인가자가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도록 되어 다수의 진단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단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서버, 진단시스템, 사용자컴퓨터, 의료기관

Description

의료용 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 DIANOSI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4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의 촬영부와 진단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진단시스템 105...제어부
130...저장부 150...촬영부
170...입.출력부 190...진단부
200...서버 300...의료기관
400...회원컴퓨터
본 발명은 의료용 진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 게로는, 환자의 병변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와 촬영된 자료를 환자의 정보와 매칭시키도록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환자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어부의 환자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수정하도록 설치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통하거나 제어부에 직접연결되어 환자데이터를 진단하도록 설치되는 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으로 환자의 데이터를 인가자가 어느곳에서나 볼수 있도록 되어 다수자의 진단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단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질병이 발생하면, 환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한 후 의사와 면담하면서 각종 진료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병원의 진료시간이 직장인들의 근무시간과 일치하기 때문에 직장에 매여있는 직장인들은 병원을 찾지 못하여 병이 진행된 후에 찾아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원 거리에 있는 콘도, 고속도로 휴게소, 항공기 및 선박 내에서 병원이 없으면, 이러한 곳에서 발생한 환자는 아픈 몸을 이끌고 원 거리에 위치한 병원까지 찾아가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에 많은 제약이 따랐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병원의 담당 의사와 게시판 또는 이메일 등을 이용하여 질의하고, 이에 대하여 의사가 진료하는 방법이 인터넷 상에서 운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진료방법은 컴퓨터 및 인터넷을 모르는 노약자 등이 이용하기에는 컴퓨터의 조작이나 복잡한 기기 조작이 어려운 점과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전문적인 진료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도록 원격진단시스템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격진단시스템은 환자가 직접병원을 방문하지 않아도 원격지에서 휴대용 측정장비로 각각 측정되는 사용자의 체온, 맥박, 혈압, 혈당, 심전도, 체지방 등의 생체정보를 제공받아 진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원격진단시스템의 한 종류로서 등록특허 제366158에 자가감진장치, 원격진료 시스템및 원격진료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자가감진장치, 원격진료 시스템 및 원격진료방법은, 환자가 실시간으로 대화하면서 생체정보를 체크하는 측정기를 통한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신 주치의가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 진료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격진료방법은, 사용자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확인한다는 점에서 특이점이 있으나, 주기적으로 체크 된 자신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정보의 공유가 힘들어 한 사람의 주치의만이 진단토록 됨으로써 오진의 염려가 있고, 다수의 진단자가 각자의 원하는 상태를 측정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촬영 및 진단 데이터를 다수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진단자가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진단자가 원격지에서 원하는 촬영을 수행하도록 하고, 환 자가 자신의 진행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동화상 및 정지화상의 촬영으로 정확한 진단이 가능토록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의 병변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촬영된 자료를 환자의 정보와 매칭시키도록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제어부;
제어부의 환자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어부의 환자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수정하도록 설치되는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하거나 제어부에 직접연결되어 환자데이터를 진단하도록 설치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그인 하는 단계;
환자 데이터입력 모드를 선택하여 환자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주치의가 로그인 후 입력 서명하는 단계;
병변을 촬영한 후 환자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환자데이터를 출력시켜 진단한 후 진단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환자 및 복수 주치의가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구성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시스템(100)은, 환자의 병변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50)가 구비되고, 상기에서 환자 병변의 촬영은, 영상촬영에 의한 진단이 가능한 병변 촬영에 주로 적용된다.
상기 촬영부(150)는, 원격지에서의 음성통신이 가능한 헤드셋이 더 구비된다.
상기 촬영부(150)는,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카메라와 고휘도 LED램프로서 구성된다.
상기 촬영부(150)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관절로봇의 팔에 카메라를 부착하는 구성이면 원격지에서 무인화에 의해 자동촬영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150)에 의해 촬영된 자료를 환자의 정보와 매칭시키도록 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되는 제어부(10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환자의 병변에 대한 영상자료, 입.출력부를 통하여 진단의가 입력한 환자의 인적사항및 문진자료로 이루어진 환자정보등을 출력화면에서 볼 수 있도록 매칭시키는 프로그램이 내장된다.
상기 제어부(105)는, 원격지에서 수신되는 제어신호로서 촬영부(150)의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도 더 내장되고, 규격화 되는 환자용 차트작성 프로그램이 내장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105)의 일측에는 저장되는 복수 환자의 환자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30)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105)를 통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환자데이터를 입.출력하거나, 수정하도록 설치되는 입.출력부(170)가 설치된다.
상기 입.출력부(170)는, 환자의 차트가 출력되는 모니터와 정보를 저장하거나 모드를 선택하는 키이로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170)를 통하거나 제어부(105)에 직접연결되어 환자데이터를 원격지및 현장에서 진단하도록 설치되는 진단부(19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진단부(190)는, 상기 환자데이터에 포함된 환자 병변에 대한 영상자료 및 문진자료등의 환자정보를 입.출력부를 통하여 원격지 및 현장에서 출력한 후 영상자료 및 환자정보로서 진단한다.
상기 진단부는, 입.출력부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차트가 출력되는 모니터와 정보를 저장하거나 모드를 선택하는 키이로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진단부(190) 및 진단시스템(100)은, 서버(200)에 직접연결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의료기관이나 회원컴퓨터(300)(400)로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입.출력부(170)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의료기관이나 회원컴퓨터(300)(4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진단시스템을 본 발명의 진단방법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의료기관컴퓨터(300)나 회원컴퓨터(400)에 연결되는 입.출력부및 제어부(105)에 직접연결되는 입.출력부를 통하여 주치의나 다른 복수의 진단의가 진단시스템(100)을 로그인 한다.
상기와 같이 진단시스템(100)이 로그인 되면 자동적으로 환자정보입력모드로 전환되나, 환자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모드선택창이 설정되어 모드를 선택하 고, 선택되는 모드는 환자별 진단자료입력 및 수정, 환자별 진단결과 출력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자정보입력모드를 선택하면 각 환자별 차트가 모니터상에 출력되어 각 환자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환자정보의 입력 및 수정시에는 주치의 및 복수의 진단의에 미리 부여되는 인증시스템에 따라 입력 및 수정작업이 가능하고, 환자는 상기 모드에서 작업이 불가능하고, 저장된 데이터의 출력만이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환자정보 입력모드는, 환자의 인적사항과, 병변의 촬영 및 저장, 주치의의 진단자료 입력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환자정보 입력모드에서 병변의 촬영을 선택하면 촬영된 병변이 환자정보가 미리 입력되는 차트의 소정위치에 정지화면 및 동화상으로 저장된다.
더하여, 상기의 병변촬영은, 차트상의 화면에 촬영된 영상을 먼저 출력하여 이를 확인 한 후 영상의 선명도에 따라 재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촬영된 환자데이터는, 인증시스템에 의해 접촉이 가능한 회원컴퓨터(400)를 통하여 환자본인이나, 현장의 주치의는 물론 원격지에 있는 복수의 진단의, 의료기관(300)에서 출력시켜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환자데이터는, 입.출력부(170)를 통하여 출력시켜 주치의 및 원격지의 복수 진단의가 촬영된 병변을 통하여 진단한 후 진단정보를 입력한다.
한편, 상기 촬영부(150)는, 수동 조작자가 헤드셋의 착용시 원격지의 진단자 가 명령을 음성통신을 통하여 수신 수동조작하게 되고, 자동조작의 경우 각 진단자가 입,출력부의 키이조작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로봇의 모터를 조작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필요한 부분의 촬영이 가능토록 된다.
마지막으로, 주치의 및 복수 진단의의 진단결과가 입력된 진단정보를 환자가 출력시켜 볼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동작하는 출력화면에는 각각의 시간단위로 촬영된 복수의 화면이나 복수의 진단의에 의해 기록된 진단결과는 각 의료기관이나 주치의별 및 환자별로 각각 저장되거나 환자를 선택할 경우 복수의 진단결과가 동시에 출력시킬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회원 컴퓨터(400)및 의료기관(30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통신은 RS232등과 같은 통신 포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환자의 촬영데이터를 복수의 진단자가 공유하여 각각 진단함으로써 오진을 방지하고, 복수의 진단자가 실시간으로 진단하여 정확한 진단을 신속하게 내릴 수 있으며, 복수의 진단자가 원격지에서 원하는 촬영을 수행하여 정확한 진단이 다각도에서 이루어 지고, 환자가 자신의 진행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15)

  1. 환자의 병변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50); 상기 촬영부(150)를 조작하면서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환자의 병변에 대한 영상자료를 하기의 입.출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환자의 인적사항과 문진자료로 이루어진 환자정보와 매칭시키도록 프로그램이 미리내장되는 제어부(105); 상기 제어부(105)의 일측에 연결되어 복수 환자의 환자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저장부(130); 상기 제어부(105)를 통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환자데이터를 입.출력하거나, 수정하도록 설치되는 입.출력부(170); 및, 상기 입.출력부(170)를 통하거나 제어부(105)에 직접연결되어 환자데이터에 포함된 영상자료 및 문진자료를 통하여 원격지 및 현장에서 진단하도록 설치되는 진단부(1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5)는, 원격지에서 수신되는 제어신호로서 촬영부(150)의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규격화 되는 환자용 차트작성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원격지에서의 음성통신이 가능한 헤드셋이 더 구비되고,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카메라와 고휘도 LED램프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50)는, 복수 모터로서 이루어져 여러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관절로봇의 팔에 카메라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170)는, 환자의 차트가 출력되는 모니터와 정보를 저장하거나 모드를 선택하는 키이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170)는, 인터넷으로 서버(200)와 연결될 때 의료기관컴퓨터(300)및 회원컴퓨터(400)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입.출력부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차트가 출력되는 모니터와 정보를 저장하거나 모드를 선택하는 키이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190)는, 서버(200)에 연결되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의료기관이나 회원컴퓨터(300)(400)의 진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
  9. 진단의가 진단시스템을 로그인 하는 단계; 진단의가 진단시스템의 로그인 후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진단의가 환자정보 입력모드에서 환자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환자정보를 출력한 후 한 사람 이상의 진단의가 병변을 촬영 저장하는 단계; 인증시스템에 의해 접촉이 가능한 회원컴퓨터 및 의료기관컴퓨터를 통하여 환자본인이나, 한 사람 이상의 진단의가 촬영된 환자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환자데이터를 한 사람 이상의 진단의가 진단한 후 진단결과를 각각 입력 저장하는 단계; 진단의가 저장된 환자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이루어 진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를 출력한 후 한 사람 이상의 진단의가 병변을 촬영 저장하는 단계는, 수동 조작자가 헤드셋의 착용시 원격지의 진단자가 명령을 음성통신을 통하여 수신 수동조작하게 되고, 자동조작의 경우 각 진단자가 입,출력부의 키이조작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로봇의 모터를 조작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필요한 부분의 촬영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은, 자동적으로 환자정보입력모드로 자동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은, 환자별 진단자료입력 및 수정, 환자별 진단결과 출력모드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입력은, 주치의 및 복수의 진단의가 미리 부 여되는 인증시스템에 따라 입력 및 수정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환자본인은 진단결과의 출력만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병변촬영은, 차트상의 화면에 촬영영상을 먼저 출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데이터의 출력은, 각 시간단위로 촬영된 복수의 화면이나 복수의 진단의에 의해 기록된 진단결과는 각 의료기관이나 주치의별 및 환자별로 각각 저장되거나 환자를 선택할 경우 복수의 진단결과가 동시에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60017840A 2006-02-23 2006-02-23 의료용 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840A KR100857276B1 (ko) 2006-02-23 2006-02-23 의료용 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840A KR100857276B1 (ko) 2006-02-23 2006-02-23 의료용 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436A KR20070087436A (ko) 2007-08-28
KR100857276B1 true KR100857276B1 (ko) 2008-09-08

Family

ID=3861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840A KR100857276B1 (ko) 2006-02-23 2006-02-23 의료용 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225B1 (ko) * 2019-03-12 2020-01-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능의 스마트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904A (ko) * 2002-07-12 2002-07-31 (주)디지털컴닥터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JP2003044592A (ja) 2001-07-27 2003-02-14 Roisu.Com Kk 介護支援システムおよび保護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592A (ja) 2001-07-27 2003-02-14 Roisu.Com Kk 介護支援システムおよび保護支援システム
KR20020062904A (ko) * 2002-07-12 2002-07-31 (주)디지털컴닥터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KR100366158B1 (ko) * 2002-07-12 2002-12-31 (주)디지털컴닥터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436A (ko) 200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5790A1 (en) Location and surgical procedure specific data storage and retrieval
US20090203986A1 (en) Medical data collection device
JP2023544035A (ja) ど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が一次情報を表示するかを制御するためのユーザの視覚的凝視の監視
US20030046109A1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clinical record creating operations
AU2016321233A1 (en) Integrated medical device and home based system to measure and report vital patient physiological data via telemedicine
JP6716628B2 (ja) 医療支援システム、情報端末装置、医療支援方法、情報端末装置作動方法、情報端末装置作動プログラム
US20050043970A1 (en) Electronic imaging dental record management system
WO2003094768A1 (fr) Systeme de visualisation medicale
EP26753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utomatic and remote trained personnel guided medical examination
CN104840198A (zh) 用于操作成像模态的方法和成像模态
US20120130739A1 (en) Unsupervised Telemedical Office for Remote &/or Autonomous & Automated Medical Care of Patients
US20230277265A1 (en) Device interoperation
JP4802883B2 (ja) 医用画像システム
CN114520048A (zh) 远程通信装置、手术和治疗系统和远程通信方法
KR100857276B1 (ko) 의료용 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716604A (zh) 一种ar荧光远程医疗手术导航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366158B1 (ko)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WO20121110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utomatic and remote trained personnel guided medical examination
WO2023002661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36834A (ja) 病院情報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065822A (ja) 遠隔診断システム
CN215273283U (zh) 一种ar荧光远程医疗手术导航系统
US20230372012A1 (en) Detecting failure mitigation associated with autonomous surgical task
US20230397969A1 (en) Autonomous Adaptation of Surgical Device Control Algorithm
RU2796594C2 (ru) Хирургическая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анализа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хирургической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й систем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