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332B1 - 건조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332B1
KR100856332B1 KR1020070049274A KR20070049274A KR100856332B1 KR 100856332 B1 KR100856332 B1 KR 100856332B1 KR 1020070049274 A KR1020070049274 A KR 1020070049274A KR 20070049274 A KR20070049274 A KR 20070049274A KR 100856332 B1 KR100856332 B1 KR 100856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gas
isopropyl alcohol
reg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to KR102007004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3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건조제의 기화(vaporizing)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제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건조제 공급장치는 내부에 액상 건조제가 수용된 저장조, 액상 건조제의 수면 하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진동자, 액상 건조제의 내부에서 분출되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한다.
건조제, 저장조, 진동자, 가스공급부, 격벽

Description

건조제 공급장치{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DRYING AG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가 적용된 습식세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로서, 진동자의 구조 및 출력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정조 20 : 리프트부재
30 : 건조 챔버 40 : 공급라인
50 : 건조제 공급장치 60 : 저장조
62 : 방수부재 64 : 격벽
66 : 관통공 70 : 진동자
80 : 가스공급부 92 : 감지센서
94 : 액상 건조제 공급부 96 : 제어부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건조제의 기화(vaporizing)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리소그래피, 증착 및 에칭 등의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공정들을 거치는 동안 기판(예를 들어 실리콘 웨이퍼) 상에는 각종 파티클, 금속 불순물, 유기물 등이 잔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오염 물질은 제품의 수율 및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기판에 잔존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공정이 수행되고, 세정 공정 후에는 웨이퍼에 대한 건조 공정이 수행된다.
종래 알려진 건조 방식으로서는 스핀 건조방식, 이소프로필 알콜(IPA : Iso-Propyl Alcohol)에 의한 마란고니 효과(Marangoni effect)를 이용한 건조방식 등이 있다. 그 중 이소프로필 알콜을 이용한 건조방식은 웨이퍼를 순수(DIW : Distilled Water) 안에서 수직 방향으로 끌어올림과 동시에 이소프로필 알콜 및 질소가스를 웨이퍼 표면의 기액(氣液)계면 부근에 불어 넣는 것에 의해 마란고니 효과를 발생시켜 웨이퍼를 건조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건조 공정시 사용되는 이소프로필 알콜은 이소프로필 알콜 공급장치로부터 기체 상태로 제공된다. 일반적인 이소프로필 알콜 공급장치는 히터를 이용한 직/간접 가열 방식 또는 가스를 공급함에 따른 버블링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이소프로필 알콜 공급장치는 이소프로필 알콜의 기화효율을 일정 이상 향상 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가열 방식의 이소프로필 알콜 공급장치는 히터를 사용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히터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시간을 필요로 했고, 이에 따라 처리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처리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 처리량 또한 일정 이상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블링 방식의 이소프로필 알콜 공급장치는 단순히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내부에서 분출되는 가스에 의한 버블에 의해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이소프로필 알콜의 기화 효율을 일정 이상 향상시키기 어렵고, 이소프로필 알콜의 기화 농도를 일정 이상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소프로필 알콜의 기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부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건조제의 기화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건조제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초음파에 의한 무화현상 및 가스가 공급됨에 따른 버블링현상을 이용한 두가지 처리 방식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고농도의 미세한 상태로 기화될 수 있도록 한 건조제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되는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제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건조제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제 공급장치는 내부에 액상 건조제가 수용된 저장조, 액상 건조제의 수면 하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진동자, 액상 건조제의 내부에서 분출되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한다.
진동자는 저장조에 수용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면 하부에 인접하도록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내부에 제공되며,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 상에 초음파를 방사함으로써 무화현상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무화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진동자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건조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진동자로서는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통상의 진동자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진동자로서 출력이 중심 부위에 집중되는 특징을 갖는 원형 진동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조의 내부에는 진동자의 방수처리를 위한 방수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진동자가 별도의 방수부재를 배제하고 직접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소프로필 알콜은 폭발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등이 연결되는 진동자를 방수처리하기 위한 방수부재가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수부재는 진동자의 방수처리를 위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 에 진동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방수부재의 구조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방수부재와 함께 또는 단독적으로 별도의 지지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가스공급부는 저장조에 수용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내부에서 분출되도록 가스를 공급하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한 버블링 현상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스공급부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가스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로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가스가 사용될 수 있지만, 가스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됨과 동시에 기화된 이소프로필 알콜이 운반될 수 있도록 질소(N2)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한 버블링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되는 영역, 및 각 진동자에 의한 초음파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무화되는 영역의 배치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건조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 각각의 영역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둘 중 어느 하나가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부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 및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의 구조 및 배열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건조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가스공급부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은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가스공급부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은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과 겹쳐지지 않도록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공급부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 및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이 서로 번갈아가며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저장조의 내부에는 각 진동자에 대응되게 방수부재의 상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은 진동자의 출력이 집중될 수 있게 하며 진동자에 의한 무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격벽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공은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연결하며 저장조 내부에 수용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위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관통공의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액상 건조제의 낮은 수위까지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관통공은 방수부재에 인접하게 격벽의 하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진동자에 의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무화가 최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저장조의 일측에는 수용된 액상 건조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조에 액상 건조제를 공급하는 액상 건조제 공급부가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신호에 따라 액상 건조제를 공급하는 액상 건조제 공급부의 제어는 통상의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가 적용된 습식세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로서, 진동자의 구조 및 출력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가 적용된 습식세정장치는 세정조(10), 건조 챔버(30), 공급라인(40) 및 건조제 공급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조(10)는 세정액(S)이 수용되는 용기로서 세정하기 위한 피처리물을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세정조(10)의 형태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세정조(10)는 세정액과 반응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며, 이러한 세정조(10)의 재질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조(10)는 통상의 석영(quartz)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외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처리물이라 함은 세정 및 건조 처리가 이루어지는 대상물로서, 통상의 실리콘 웨이퍼(W)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외 다른 반도체 장치 등이 포 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세정액(S)이라 함은 기판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화학 용액으로서 단일 또는 복수개의 화학 용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챔버(30)는 세정조(1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정 공정이 완료된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공간을 정의한다. 건조 챔버(30)의 형태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건조 챔버(30)의 내측 상부에는 건조 챔버(30)의 내부공간으로 유동성 건조제를 제공하기 위한 노즐(32)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습식세정장치에는 피처리물을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한 리프트부재(2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재(20)는 피처리물을 수납한 상태로 승하강하며 피처리물이 선택적으로 세정조(10) 또는 건조 챔버(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급라인(40)은 건조 챔버(30)에 연결되어 건조를 위한 건조제가 건조 챔버(30)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공급라인(40)의 일단은 건조 챔버(3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건조제 공급장치에 연결되어 건조제 공급장치에서 생성된 건조제를 건조 챔버(30)로 안내한다.
상기 공급라인(40) 상에는 건조제의 공급 여부 및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및 각종 제어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라인(40)을 통해서는 건조제와 함께 건조제를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 가스(예를 들어 질소(N2))가 함께 공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캐리어 가스는 캐리어 가스 공급부(미도시)로부터 별도의 독립적인 라인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제 공급장치는 건조에 필요한 건조제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바, 초음파에 의한 무화현상 및 가스가 공급됨에 따른 버블링현상을 이용한 두가지 처리 방식에 의해 액상 건조제가 기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건조제 공급장치(50)는 저장조(60), 복수개의 진동자(70), 가스공급부(8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제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건조 환경에 따라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조제로서 마란고니 효과(Marangoni effect)를 유도하기 위한 이소프로필 알콜(IPA : Iso-Propyl Alcohol)이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조(60)는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수용되는 용기로서 그 형태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조(60)의 내부에는 소정 수위를 이루도록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 진동자(70)는 저장조에 수용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면 하부에 인접하도록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내부에 제공되며, 진동자(70)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건조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각 진동자(70)는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 상에 초음파를 방사함으로써 무화현상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무화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무화현상이라 함은 초음파를 액체에 투과시켰을 때 대량의 기포가 물속에서 발생하며 액체가 상온에서 기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아울러 상기 각 진동자(70)는 통상의 지지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면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수단의 구조 및 방식으로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진동자는 저장조의 내측면 또는 저면에 결합되거나, 저장조의 내측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진동자(70)가 별도의 지지부재를 배제하고 후술할 방수부재(62)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방수부재(62)와 함께 별도의 지지부재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저장조(60)는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면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내부에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방수부재(6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진동자(70)는 방수부재(62)와 밀착되게 방수부재(6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수부재(62)는 저장조(60)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부재(62)의 내부에 수용되는 각 진동자(70) 역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면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수부재(62)는 각 진동자(70)의 방수처리를 위해 제공된다. 물론 상기 각 진동자(70)가 별도의 방수부재(62)를 배제하고 직접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소프로필 알콜은 폭발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등이 연결되는 각 진동자를 방수처리하 기 위한 방수부재(62)가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수부재(62)가 각 진동자(70)의 방수처리를 위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각 진동자(7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종의 케이스 형태로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튜브, 관 등의 형태로 방수부재를 구성할 수 있으며, 방수부재의 구조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동자(70)로서는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통상의 진동자가 적용될 수 있으며, 진동자(70)의 종류 및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진동자(70)로서 도 4와 같은 통상의 원형 진동자(70)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원형 진동자(70)의 경우 그 출력이 중심 부위에 집중되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진동자에 의한 무화현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진동자(70)를 이용한 무화방식은 히터를 이용하는 가열 방식에 비해 기화 효율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그 크기 또한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자(70)는 히터와 같이 별도의 예열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무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처리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초음파 무화방식에 의해 무화된 이소프로필 알콜 입자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기화된 이소프로필 알콜 입자에 비해 매우 세세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피처리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자(70)가 방수부재(62)의 내부 상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됨에 따라 방수부재(62)의 상면은 초음파를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매질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진동자(70)로부터 발생된 초음파가 공기가 아닌 매질층 즉, 방수부재(62)의 상면을 통해 방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진동자(70)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진동자(70)가 별도의 방수부재(62)를 배제하고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 내부에 직접 수용될 경우에도, 진동자(70)의 둘레가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라는 매질에 의해 둘러 쌓이기 때문에 진동자(70)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80)는 저장조에 수용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내부에서 분출되도록 가스를 공급하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한 버블링 현상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스공급부(80)는 가스가 저장되는 통상의 가스저장부(도시하지 않음) 및 가스저장부와 저장조(60)를 연결하는 공급유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가스공급부(80)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8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로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공급부(8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됨과 동시에 기화된 이소프로필 알콜이 운반될 수 있도록 질소(N2)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진동자(70) 및 가스공급부(80)에 의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 의 기화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동시에 진행되거나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 진동자(70) 및 가스공급부(8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기화가 진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초음파에 의한 무화현상 및 가스가 공급됨에 따른 버블링현상을 이용한 두가지 처리 방식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기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각 처리 방식에 따라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할 필요없이 각 처리 방식에 필요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 역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원가를 절감하고 구조 및 조립공수를 간소화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가스공급부(80)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한 버블링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되는 영역(이하 버블링 영역이라 한다), 및 각 진동자(70)에 의한 초음파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무화되는 영역(이하 초음파 영역이라 한다)의 배치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건조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 상기 버블링 영역과 초음파 영역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둘 중 어느 하나가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블링 영역은 저장조(6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초음파 영역은 버블링 영역의 중앙부에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 및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의 구조 및 배열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건조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가스공급부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은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은 저장조(6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 역시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과 평면 투영시 서로 겹쳐지게 저장조(6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이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경우에는 가스공급부(80) 및 진동자(70)의 설계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제품을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저장조(60)의 내부에는 각 진동자(70)에 대응되게 방수부재(62)의 상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6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격벽(64)은 각 진동자(70)에 대응되게 방수부재(62)의 상부공간을 구획하며 각 진동자(70)에 의한 무화가 독립적으로 구획된 공간 내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진동자(70)의 출력이 진동자(70) 외측 영역으로 누설됨이 없이 집중될 수 있게 하며 진동자(70)에 의한 무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격벽(64)은 방수부재(6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수부재(62)와 별도로 형성된 후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6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격벽(64)에는 관통공(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66)은 격벽(6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연결하며 저장조(60) 내부에 수용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위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위가 일정 이상 내려갈 경우, 격벽(64)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각각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공급할 필요없이 저장조(60)의 일측에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공급하게 되면, 관통공(66)을 통해 저장조(60) 내부에 수용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위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올라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관통공(66)은 방수부재(62)에 인접하게 격벽(64)의 하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관통공이 격벽의 중앙부분 및 여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낮은 수위까지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관통공(66)은 방수부재(62)에 인접하게 격벽(64)의 하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진동자(70)에 의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무화가 최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저장조(60)의 일측에는 수용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92) 및 상기 감지센서(92)에서 측정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조(60)에 액상 건조제를 공급하는 액상 건조제 공급부(94)가 제공 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92)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92)의 종류 및 감지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상 건조제 공급부(94)는 액상 건조제가 저장되는 통상의 액상 건조제 저장부(도시하지 않음) 및 액상 건조제 저장부와 저장조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액상 건조제 공급부(94)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센서(92)에서 측정된 신호에 따라 액상 건조제를 공급하는 액상 건조제 공급부(94)의 제어는 통상의 제어부(96)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스공급부(80)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한 버블링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되는 영역(이하 버블링 영역이라 한다)이 저장조(6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각 진동자(70)에 의한 초음파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무화되는 영역(이하 초음파 영역이라 한다)이 버블링 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초음파 영역이 저장조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버블링 영역이 초음파 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은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과 겹쳐지지 않도록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은 저장조(6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은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과 평면 투영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저장조(6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6과 같이, 전술한 초음파 영역 및 버블링 영역이 서로 번갈아가며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 및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 역시 서로 번갈아가며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스공급부는 하나로 연결된 분기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 버블링 영역에 대응되게 각각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 및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이 각각 대략 직선 형태로 서로 번갈아가며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공급부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 및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이 각각 절곡된 형태로 서로 번갈아가며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이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거나, 가스공급부(80)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 및 상기 각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이 서로 번갈아가며 형성될 경우에는 가스공급부(80)로부터 분출된 가스가 진동자(70)가 배치되는 영역을 거치지 않고 바로 분출될 수 있기 때문에 분출된 가스에 의한 버블링 현상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포에 의한 충격이 진동자(70)에 전달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신뢰성 및 안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제 공급장치에 의하면 건조제의 기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웨이퍼의 건조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자 및 가스공급부를 동시에 이용한 두가지 처리 방식에 의해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의 기화 효율 및 기화 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웨이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처리 방식에 따라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할 필요없이 각 처리 방식에 필요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 역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에 의한 무화현상이 공기가 아닌 매질층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진동자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처리 방식으로 액상 이소프로필 알콜을 기화시키는 진동자 및 가스공급부가 상호간에 방해없이 최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소프로필 알콜이 기화되는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하고, 제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내부에 액상 건조제가 수용된 저장조;
    상기 액상 건조제의 내부에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방수부재;
    상기 액상 건조제의 수면 하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진동자; 및
    상기 액상 건조제의 내부에서 분출되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진동자는 상기 방수부재와 밀착되게 상기 방수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진동자에 대응되게 상기 방수부재의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방수부재에 인접하게 상기 격벽의 하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상기 액상 건조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조에 액상 건조제를 공급하는 액상 건조제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제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원형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은 상기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은 상기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가스가 분출되는 영역 및 상기 각 진동자가 배치되는 영역은 서로 번갈아가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공급장치.
KR1020070049274A 2007-05-21 2007-05-21 건조제 공급장치 KR100856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74A KR100856332B1 (ko) 2007-05-21 2007-05-21 건조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74A KR100856332B1 (ko) 2007-05-21 2007-05-21 건조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332B1 true KR100856332B1 (ko) 2008-09-04

Family

ID=4002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274A KR100856332B1 (ko) 2007-05-21 2007-05-21 건조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3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481A (ko) * 2004-04-14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건조장치
KR20060082339A (ko) * 2005-01-12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060096806A (ko) * 2005-03-04 2006-09-13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481A (ko) * 2004-04-14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건조장치
KR20060082339A (ko) * 2005-01-12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060096806A (ko) * 2005-03-04 2006-09-13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6090B2 (ja) 枚葉式のウエハ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KR100678467B1 (ko) 기판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JP2005064252A (ja) 基板処理方法及び基板処理装置
KR101579507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055465B1 (ko) 기판 처리법 및 기판 처리 장치
CN101073146A (zh) 衬底处理设备
JP2003297796A (ja) マランゴニ効果を増大させるための乾燥装備及び乾燥方法
KR100481858B1 (ko) 공비혼합 효과를 이용하여 반도체기판을 건조시키는 장비및 상기 장비를 사용하는 건조방법
KR100856332B1 (ko) 건조제 공급장치
KR100854930B1 (ko)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0648455B1 (ko) 기판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10465A (ko) 개선된 샤워헤드를 구비한 반도체 제조장치
JP4007980B2 (ja) 基板乾燥方法及び基板乾燥装置
KR100856331B1 (ko) 건조제 공급장치
KR101003305B1 (ko) 퍼니스형 반도체 설비
CN108878324A (zh) 基板处理装置
KR100836660B1 (ko) 건조제 공급장치
JP5173874B2 (ja) 塗布装置及びノズルの待機方法
KR20050022099A (ko) 반도체 기판 세정 장치 및 세정 방법
KR100430474B1 (ko) 이소프로필 알콜 버블러
JPH08141526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処理槽
US20240087918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0785454B1 (ko) 반도체 웨이퍼 건조를 위한 아이.피.에이 증발장치
KR100693248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에 사용되는 건조 장치
JP2023081858A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