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736B1 -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736B1
KR100855736B1 KR1020060138396A KR20060138396A KR100855736B1 KR 100855736 B1 KR100855736 B1 KR 100855736B1 KR 1020060138396 A KR1020060138396 A KR 1020060138396A KR 20060138396 A KR20060138396 A KR 20060138396A KR 100855736 B1 KR100855736 B1 KR 10085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lectrode
powe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2498A (ko
Inventor
유일용
고영욱
김선웅
이운규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티 filed Critical (주)케이디티
Priority to KR102006013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7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6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소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빛이 외부로 투사되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 상면에 형성되며 전원이 인가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유기 발광층의 접촉 면적이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상면에 적층되는 절연막;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절연막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인가된 전원에 상응하여 일정한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과 극성이 반대인 전원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휘도의 불균형 및 유기 발광 소자 일부분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 시킬 수 있다.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TO(Indium Tin Oxide)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 패턴 모양.
도 2b는 도2a의 유기 발광 소자에서의 휘도의 균일성을 비교한 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 패턴 모양.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 패턴 모양.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 패턴 모양.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투명 기판 120: 확산방지막
130: 제1 전극 140: 보조 전극
150: 절연막 160: 유기 발광층
170: 제2 전극 100, 200, 300, 400, 500: 유기 발광 소자
210: 개구부 220: 절연막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막이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제2 전극과 제1 전극 사이에 빛을 발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다이오드 패턴으로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말하며, 현재의 주 응용분야는 단말기 내/외부창, 중소형 LCD를 대체하는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이다. 다만, 그 자체의 발광 특성인 고 휘도, 저소비 전력 등으로 인하여 다른 분야로의 적용도 다각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즉, 유기 발광 소자는 넓은 시야각, 고속 응답성, 고명조 대비(contrast)의 특성을 가지므로 텔레비전 영상 디스플레이나 표면 광원의 픽셀로 사용될 수 있고, 얇고 가벼우며 색도가 좋기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기판을 채용할 경우에는 휘어지는 소자를 제작할 수도 있고, 백색광 및 단색광을 방출하는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의 자체 후광, 조명, 액체 결정 디스플레이의 후광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유기 발광 소자에 포함된 제1 전극의 자체적인 면저항값으로 인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측면에서는 높은 휘도의 빛이 방출되지만 인가되는 부분과 멀어질수록 낮은 휘도의 빛이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휘도의 불균형 현상은 2차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열화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전극에 보조전극 을 더 포함하여 전체적인 면저항값을 작게 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전원의 인가되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휘도의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이렇게 휘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유기 발광 소자의 일부분이 먼저 열화되며 전력이 더욱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균일한 발광 휘도를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광을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절연막을 통하여 열화현상을 방지하며 수명이 향상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빛이 외부로 투사되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 상면에 형성되며 전원이 인 가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유기 발광층의 접촉 면적이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상면에 적층되는 절연막;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절연막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인가된 전원에 상응하여 일정한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과 극성이 반대인 전원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막은 일정한 패턴의 n(자연수)의 개구면을 포함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면의 면적은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에 양(+)전원이 인가되는 것도 특징이다.
물론, 상기 전원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단(單)측, 양(兩)측 또는 사(四)측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개구면의 패턴은 다각형 또는 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기판은 알칼리 이온 또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소다라임 기판, 알칼리 이온 및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무알칼리 기판 또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투명 기판이 소다라임 기판인 경우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소다라임 기판에서 발생하는 알칼리 이온이 상기 양전극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 방지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발명을 구체화하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한 예 일 뿐이며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패턴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의 좌측 단면도(구간 AA'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는 투명 기판(110) 위에 확산방지막(120), 확산방지막(120) 위에 제1 전극(130), 보조 전극(140), 절연막(150), 유기 발광층(160), 제2 전극(170) 순으로 진공 증착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기 발광 소자(100)의 경우, 제2 전극(170)으로부터는 전자가 생성되며 제1 전극(130)으로부터는 정공이 생성되어 각각 유기 발광층(160)으로 전달된다. 즉, 유기 발광층(160)으로 각각 이동한 전자와 정공은 쌍을 이루고 이렇게 형성된 엑시톤이 재결합하면서 빛이 방출된다.
물론,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170)의 극성은 서로 변경 가능하다(예를 들어, 제1 전극이 음(-)전극이며 제2 전극이 양(+)전극인 경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전극(130)을 양(+)전극으로 제2 전극(170)을 음(-)전극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특히, 도 1의 우측 평면도는 유기 발광 소자(100)의 적층 구조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절연막(150)과 제1 전극(120) 상면에 적층되는 유기 발광층(160) 및 제2 전극(170)의 일부만 보이게 그려졌다.
투명 기판(110)은 유리 필름 또는 가요성(Flexible) 필름일 수 있다. 특히, 투명 기판(1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칼리 이온 또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소다라임 기판, 소다라임 기판에 포함된 알칼리 이온 및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무알칼리 기판 또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100)에서 생성된 빛은 투명 기판(110)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이 경우, 투명 기판을 구성하는 물질 중에 포함된 알칼리 이온 또는 불순물 성분이 제1 전극(13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산 방지막(1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투명 기판(110)이 소다라임 기판인 경우, 유기 발광 소자(100)는 확산 방지막(120)을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투명 기판(110)이 알칼리 이온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상술한 확산 방지막(120)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전극(130)은 양(+)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투명한 도전막으로 형성된다. 특히, 인듐 주석 산화(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아연 산화(Indium Zinc Oxide: IZO)는 대표적인 제1 전극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30) 상면에 보조 전극(140)을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양(+)전원이 제1 전극(130)에 직접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전압 강하가 커지게 됨으로 인하여 전원의 인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보조 전극(140)은 유기 발광 소자(100)의 특성에 상응하여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보조 전극(140)에 양(+)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양(+)전원에서 주입되는 정공이 더욱 원활하게 유기 발광층(160)으로 전달되어 유기 발광 소자(100)의 발광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170) 또는 보조 전극(140)과 제2 전극(170)간의 단락 현상을 방지, 휘도의 균일성 개선 및 유기 발광 소자(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막(150)을 제1 전극(130) 및 일정한 패턴의 보조 전극(140)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절연막은 유기 발광 소자(100) 모서리에만 구비되어 양(+)전원과 음(-)전원의 단락 현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절연막(150)은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150)은 제1 전극(130) 상면 또는 보조전극(140)이 포함된 제1 전극(130) 상면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상측에서 바라보는 경우 제1 전극이 사각형의 격자 패턴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격자의 모양은 상술한 사각형의 모양일 뿐 아니라 오각형, 육 각형, 원, 팔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자명하다.
특히, 휘도의 균일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유기 발광 소자(100)에 형성되는 절연막(150)은 전원이 인가되는 유기 발광 소자(100)의 측면에서는 넓게 형성되며 인가되는 측과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5에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달리 유기 발광 소자(110)에 보조 전극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라도 절연막(150)을 제1 전극(130)상면에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유기 발광층(160)는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170)에 인가된 전원의 정공과 전자의 결합을 통하여 빛이 생성되는 층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층(160)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 발광층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160)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170)은 음(+)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금속층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2 전극(170)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5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인 유기 발광 소자(200,300,400,500)는 절연막(220,320,420,520)과 절연막의 패턴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개구부(210,310,410,520)만을 표현하였다.
여기서, 개구부(210,310,410)라 함은 절연막(220,320,420)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유기 발광 소자(200,300,400)에서 발생하는 광이 발광되는 부분인 n(자연수) 개의 개구면의 조합을 말한다.
즉, 도 1에서의 설명과 같이 각각의 개구면(210,310,410,510)의 패턴은 다양한 격자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각형 격자, 오각형 격자,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격자 및 원 격자 등).
또한, 개구부(210,310,410,510)는 절연막(220,230,420,520)이 적층된 후 절연막 사이로 보이는 제1 전극의 일부분들의 조합으로 생각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220,320,420,520)은 제1전극과 유기 발광층의 접촉면의 면적이 전원 인가되는 유기 발광 소자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접촉면은 개구면을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만, 개구면의 패턴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인 휘도의 균일성을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격자들(예를 들어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격자 및 원 격자)의 조합으로 개구면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 패턴 모양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의 일측에만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절연막(220)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절연막(220)은 전원이 인가되는 유기 발광 소자(200)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절연막(220)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구분되는 개구부(210)(여기서는 사각형 패턴으로 형성된 개구면의 집합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패턴으로 형성된 개구면들의 집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의 면적이 전원이 인가되는 일측에서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개구면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유기 발광 소자(200)부터 발광되는 광의 휘도를 개구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b는 도2a의 유기 발광 소자에서의 휘도의 균일성을 비교한 표이다.
우선, 도 2a에서 설명한 유기 발광 소자(200)을 전원이 인가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7 등분하여 각 등분에서 발광되는 광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절연막(220)이 일정한 폭을 가지는 경우 유기 발광 소자(200)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휘도와 비교하여 표(230)로 도시하였다.
즉, 표(230)은 절연막(220)을 포함하지 않는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휘도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폭이 변화하며 형성된 절연막(220)이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200)의 발광 휘도를 각 등분에 상응하여 비교한 표이다.
표(230)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제1 등분(231)에서 발광되는 광의 휘도는 비교대상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2200[cd/m2]이며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의 경우 1654[cd/m2]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의 제1 등분(231)에서 휘도값이 작은 이유는 절연막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발광되는 광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제7 등분(237)에서 발광되는 광의 휘도는 비교대상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548[cd/m2]이며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의 경우 680[cd/m2]이다.
비교 대상 유기 발광 소자의 제7 등분에서 휘도값이 오히려 작은 이유는 비교 대상 유기 발광 소자에서의 전력 소모가 전원이 인가되는 일측에 집중되어 타측으로 갈수록 휘도의 값이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는 절연막(220)을 구비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일측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고(예를 들어 일측에서 전달되는 전류가 유기 발광 소자의 면저항에 의하여 소비되는 면적을 줄임으로 인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영역에서의 전류가 타측으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 타측으로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즉, 유기 발광 소자(200)의 절연막(220)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정공 및 전자의 결합을 방해하며 이로 인하여 광을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막(220)은 유기 발광층에서 생성되는 발광 현상을 방해하여 그 영역에서의 휘도값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유기 발광 소자(200) 전체적인 전력 소모 및 휘도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등분(231)과 제7 등분(237)에서의 휘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표현하는 것이 휘도의 분포 균형비(238)이다. 즉, 비교대상 유기 발광 소자의 휘도 분 포 균형비는 24.9% 인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의 휘도 분포 균형비는 41%인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휘도 분포 균형비는 제1 등분에서의 휘도값에 대한 제7 둥분에서의 휘도값의 비이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220)의 패턴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 소자(200)의 휘도 불균형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 패턴 모양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유기 발광 소자(300)는 양(兩)측(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 또는 상측 또는 하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절연막(320)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320)은 유기 발광 소자(300)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양(兩)측에 가까울수록 폭이 좁고 멀어질수록 폭이 넓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2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휘도의 불균형 현상이 개선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 패턴 모양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유기 발광 소자(400)는 사(四)측(예를 들어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절연막(420)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420)은 유기 발광 소자(400)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사(四)측에 가까울수록 폭이 좁고 멀어질수록 폭이 넓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기 발광 소자(420)의 중심부에서 절연막(420)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개구면(410)의 면적이 가장 넓을 수 있다. 이 경 우에도 도 2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휘도의 불균형 현상이 개선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 패턴 모양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a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500)의 일측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형성될 수 있는 또 다른 절연막(520)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전원이 인가되는 유기 발광 소자(5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결되는 절연막(520)으로 인하여 개구면이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휘도의 균일성은 전원이 인가되는 일측으로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측정되어야 하므로 제1 영역(530) 와 제2 영역(540)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즉, 전원이 인가되는 일측에 가까운 제1 영역(530)의 면적은 일측으로부터먼 제2 영역(540)의 면적보다 작도록 절연막이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으로 절연막(520)이 적층됨은 휘도의 절대값이 제1 영역(530)에서는 발광량이 작도록 하며 휘도의 절대값이 작은 제2 영역(540)에서는 발광량을 크도록 하는 원리를 적용한 이유이다.
즉, 절연막(520)을 통하여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유기 발광층의 접촉 면적은 유기 발광 소자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균일한 발광 휘도를 발 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절연막을 통하여 열화현상을 방지하며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유기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빛이 외부로 투사되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 상면에 형성되며 전원이 인가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유기 발광층의 접촉 면적이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상면에 적층되며, 일정한 패턴의 n(자연수)의 개구면을 포함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면의 면적은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넓어지는 절연막;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절연막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인가된 전원에 상응하여 일정한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과 극성이 반대인 전원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에 양(+)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단(單)측, 양(兩)측 또는 사(四)측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면의 패턴은 다각형 또는 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알칼리 이온 또는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는 소다라임 기판, 상기 알칼리 이온 및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무알칼리 기판 또는 가요성(flexible) 기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이 소다라임 기판인 경우,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소다라임 기판에서 발생하는 상기 알칼리 이온 또는 상기 불순물이 상기 제1 전극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 방지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060138396A 2006-12-29 2006-12-29 유기 발광 소자 KR10085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396A KR100855736B1 (ko) 2006-12-29 2006-12-29 유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396A KR100855736B1 (ko) 2006-12-29 2006-12-29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498A KR20080062498A (ko) 2008-07-03
KR100855736B1 true KR100855736B1 (ko) 2008-09-03

Family

ID=3981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396A KR100855736B1 (ko) 2006-12-29 2006-12-29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7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489A (ko) * 2000-01-07 2001-11-15 요트.게.아. 롤페즈 능동 매트릭스 전기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60067495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60091666A (ko) * 2005-02-16 2006-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70050796A (ko) * 2006-08-28 2007-05-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489A (ko) * 2000-01-07 2001-11-15 요트.게.아. 롤페즈 능동 매트릭스 전기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60067495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60091666A (ko) * 2005-02-16 2006-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70050796A (ko) * 2006-08-28 2007-05-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498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53986B (zh) 像素排列结构
US20070222354A1 (en) Carbon nanotube field emitting display
US20060006778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317548A (ja) マルチカラー電子発光ディスプレイ
CN108281469B (zh) 有机发光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40127198A (ko) 유기 전계발광 어레이 기판, 그것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22437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ith different laminated structures
WO2015186741A1 (ja) 有機el素子、及び製造方法
US9704925B2 (en) EL display device
KR100773939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0094534B2 (en) Surface-emitting unit having dimming regions
US20160312964A1 (en) Surface Emitting Unit
KR100855736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849583B1 (ko)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90029007A (ko)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50796A (ko)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1584584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0779943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732429B1 (ko) 유기 발광 소자
US9978812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CN106057862B (zh) 一种高亮度oled显示器
KR100605152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70579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2012204037A (ja) 有機elパネル
JP2002216947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