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682B1 - 목재 파쇄기 - Google Patents
목재 파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4682B1 KR100854682B1 KR1020070107993A KR20070107993A KR100854682B1 KR 100854682 B1 KR100854682 B1 KR 100854682B1 KR 1020070107993 A KR1020070107993 A KR 1020070107993A KR 20070107993 A KR20070107993 A KR 20070107993A KR 100854682 B1 KR100854682 B1 KR 1008546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od
- blade
- housing
- conical
- conical cru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추형 파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나무 형태의 목재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원추형 파쇄부로 형성하고, 상기 원추형 파쇄부에 나선형 칼날을 형성하며, 원추형 파쇄부의 반경부분 내에 목재의 공급구가 형성된 하우징에 상기 원추형 파쇄부를 내장하여, 상기 원추형 파쇄부에 의해 목재가 한쪽 끝에서부터 비스듬히 잘라지는 형태로 절삭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목재 파쇄기에 하우징의 공급구로 목재를 공급하는 롤러컨베이어, 상기 목재의 가지를 절단하는 가지절단기, 상기 원추형 파쇄부의 바깥둘레면에 근접하여 절단된 목재찌꺼기를 긁어내거나 칼날을 가는 청소 및 연마부재 등을 더 구비하며, 나선형 칼날을 일정거리마다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파손되거나 마모된 칼날 부위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목재, 파쇄기, 원추형 파쇄부, 나선형 칼날.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추형 파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나선형 칼날이 형성된 원추형 파쇄부와 이를 내장하는 하우징 및 상기 원추형 파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목재 패쇠기에 관한 것이다.
톱밥이나 칩 형태로 목재를 파쇄하는 목재 파쇄기로 대표적인 것으로는 드럼통에 칼날이 부착되거나, 바깥둘레면의 일부가 아예 칼날로 된 드럼 커터를 사용하는 것이 있는바, 사용형태에 따라 드럼 커터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두 개의 드럼 커터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드럼 커터 하나만을 사용하는 목재 파쇄기의 경우에는, 회전하는 드럼 커터의 밑으로 통나무 형태의 목재를 길이방향의 한쪽에서부터 밀어넣어 파쇄하게 되고, 2개의 드럼 커터를 사용하는 목재 파쇄기의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면서 회전하는 각 드럼 커터의 사이로 통나무 형태의 목재를 길이방향의 한쪽에서부터 밀어넣어 파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드럼 커터를 사용하는 종래 목재 파쇄기는 통나무와 같은 목재의 길이방향 한쪽 끝단부의 위 또는 아래에서부터 드럼 커터의 칼날이 찍어 누 르면서 깎는 형태로 절삭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자르는 것이 아닌 찍어 눌러 깎는 방식으로 목재를 절삭하게 되면, 드럼 커터에 절삭에 필요한 부하가 많이 걸려 절삭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절삭의 진행 중에 상기 목재의 한쪽 끝단부가 계속해서 단번에 절삭될 수 없어서 절삭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로 인해 회전하는 드럼 커터로 끊임없이 공급되는 목재가 상기 드럼 커터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면서 계속 부딪쳐 제동을 가함으로써 부하 증가로 인하여 드럼 커터에 마찰열이 심하게 발생함으로 인해 드럼 커터의 칼날이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그 수명이 단축됨에 따라, 칼날의 교체 또는 수리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한편, 동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며 소음도 심하게 발생된다. 아울러, 목재가 드럼 커터를 통과하면서 중복파쇄로 인하여 미분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목재와 드럼 커터 사이 또는 드럼 커터와 드럼 커터의 사이에 파쇄된 목재의 일부가 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드럼 커터의 회전이 멈춰 버리게 되면, 절삭이 중단될 뿐만 아니라, 계속 회전하려는 드럼 커터에 과부하가 걸려 동력수단에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드럼 커터를 사용하는 종래 목재 파쇄기는 드럼 커터측으로 목재를 밀어 넣어야 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공급장치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목재 파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통나무 형태의 목재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원추형 파쇄부로 형성하고, 상기 원추형 파쇄부에 나선형 칼날을 형성하며, 원추형 파쇄부의 반경부분 내에 목재의 공급구가 형성된 하우징에 상기 원추형 파쇄부를 내장하여, 상기 원추형 파쇄부에 의해 목재가 한쪽 끝에서부터 비스듬히 잘라지는 형태로 절삭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한 목재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나선형 칼날을 해당하는 부위별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칼날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목재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목재 파쇄기에 하우징의 공급구로 목재를 공급하는 롤러컨베이어, 상기 목재의 가지를 절단하는 가지절단기, 상기 원추형 파쇄부의 바깥둘레면에 근접하여 절단된 목재찌꺼기를 긁어내거나 칼날을 가는 청소 및 연마부재 등을 더 구비하는 목재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는, 목재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과,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바깥둘레면을 따라 칼날이 형성되며, 중심부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내의 부분이 상기 공급구와 마주보고 있는 원추형 파쇄부와, 상기 원추형 파쇄부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원추형 파쇄부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우징 일측과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와 연동수단에 의해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추형 파쇄부는 나선형으로 칼날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회전축 방향을 따라 분리되는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체의 중심에는 회전축이 키 결합되도록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끝부위는 베어링에 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추형 파쇄부는 나선형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선형 몸체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칼날이 일정길이마다 분리되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추형 파쇄부의 칼날 바깥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측면이 칼날접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칼날에 접촉되면서 상기 칼날에 부착된 목재찌꺼기를 긁어내거나 상기 칼날을 연마하는 청소 및 연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소 및 연마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통해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그 몸체의 일측에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결합된 스프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공급부로 목재를 공급하는 롤러컨베이어 및 상기 롤러컨베이어가 결합되는 컨베이어 하우징와,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벽에는 목재의 가지를 절단하는 가지절단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가지절단기는 상기 컨베이 어 하우징의 내벽 사방에서 목재에 근접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칼날이 부착되고, 상기 칼날의 양쪽으로 힌지축이 각각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며, 상기 각 힌지축에는 스프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재 파쇄기에 의하면, 목재의 한쪽 끝단에서부터 사선 면으로 단번에 비스듬히 잘라지는 형태로 절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삭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절삭효율이 좋아지고, 이로 인해 원추형 파쇄부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절삭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나선형 칼날이 이루는 피치 또는/및 원추형의 형상에 따라 원추형 파쇄부에 의해 파쇄되는 우드칩의 크기 및 형태를 사용하는 목적에 맞게 생산이 가능하고, 칼날의 절삭면이 나선형으로 연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목재를 파쇄하면서 소음이 적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미분발생이 최소화되고, 우드칩의 크기 및 형태에 있어서도 균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칼날들이 이루는 피치를 알맞게 조절하여 제작함으로써 목재를 파쇄하면서 칼날을 비롯하여 구동부에 걸리게 되는 부하의 변동범위를 효과적으로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목재의 가지를 절단하는 가지절단기가 구비되어 있고, 원추형 파쇄부에 끼인 목재찌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나선형 칼날을 연마하는 청소 및 연마부재 를 구비함으로써, 목재 파쇄기를 경제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칼날이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형태를 이루므로,파손, 손상되거나 마모된 부위에 해당하는 칼날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원추형 파쇄부의 나선형 칼날이 목재를 파고들면서 파쇄하게 되므로, 목재는 반작용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원추형 파쇄부 안쪽으로 끌어당겨지면서 파쇄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목재를 원추형 파쇄부 쪽으로 밀어주지 않아도 되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2)에 의해 구성되어, 그 위에서 목재(1)를 이송하는 롤러컨베이어(3)가 컨베이 어 하우징(4) 내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컨베이어(3)에 의해 공급되는 목재(1)와 마주보면서 상기 목재를 투입하는 공급구(5)가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6)이 작업테이블(7) 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6) 내에는 원추형 파쇄부(8)가 설치되고, 원추형 파쇄부(8)의 회전축(9)에 연결되어 상기 원추형 파쇄부(8)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0)가 작업테이블(7) 위에 배치된다.
상기 원추형 파쇄부(8)는 전체적인 몸체 형상이 원추형이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바깥둘레면을 따라 칼날(8a)이 형성되며, 그 중심부는 회전축(9)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9)의 끝부위는 하우징(6)에 고정된 베어링(9a)에 축결합되고 회전축(9)의 타측은 상기 원추형 파쇄부(8)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6)의 일측에는 원추형 파쇄부(8)에 의해 파쇄된 목재(1)가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목재(1)가 투입되는 하우징(6)의 공급구(5)가 회전축(9)을 중심으로 하여 원추형 파쇄부(8) 아래의 반경 부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원추형 파쇄부(8)의 위 또는 양옆의 반경 부분 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10)는 원추형 파쇄부(8)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하우징(6)의 바깥으로 연장된 회전축(9)에 연결된 감속기(14)와, 상기 감속기(14)의 축(15)에 연결된 풀리(16a)와, 모터축(17)에 풀리(16b)가 연결된 모터(18) 및 상기 감속 기(14)의 풀리(16a)와 모터(18)의 풀리(16b)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모터(18)의 구동을 감속기(14)에 전달하는 구동벨트(1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풀리(16a)(16b)와 구동벨트(19)로 이루어지는 연동수단은 스프로켓과 구동체인, 또는 상기 감속기(14)의 축(15)과 모터축(17)에 연결되어 서로 맞물리는 기어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표기되어 있는 미설명 부호 (1a)는 목재의 가지이고, 부호 (30)은 가지(1a)를 절단하는 가지절단기이며, 상기 가지절단기(30)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목재 파쇄기에 의해 롤러컨베이어(3)로부터 공급구(5)를 통하여 하우징(6) 내로 공급되는 통나무 형태의 목재(1)는, 회전축(9)에 연결된 구동부(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원추형 파쇄부(8)의 밑으로 들어가면서 원추형 파쇄부(8)의 칼날(8a)에 의해 파쇄된 후, 하우징(6)의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평단면도로서, 청소 및 연마부재를 부착한 것을 보인 실시예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1)의 공급구(5)와 배출구(13)가 형성된 하우징(6) 내에 설치되는 원추형 파쇄부(8)에서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칼날(8a)을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또한, 원추형 파쇄부(8)의 바깥둘레면과 마주보는 하우징(6)의 내벽에는 청소 및 연마부재(20)를 부착할 수 있는데, 상기 청소 및 연마부재(20)는 판재 형태 로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 파쇄부(8)의 칼날(8a) 바깥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측면이 칼날접촉면(21)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6)의 내벽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청소 및 연마부재(2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서 장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22)을 통해 체결된 볼트(23)에 의해 상기 하우징(6)에서 장공(22)의 길이만큼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청소 및 연마부재(20)는 목재(1)를 절삭하면서 원추형 파쇄부(8)의 칼날(8a)에 목재찌꺼기가 붙거나 칼날(8a)이 무뎌지는 경우, 장공(22)에 체결된 볼트(23)를 풀어 청소 및 연마부재(20)를 원추형 파쇄부(8)의 칼날(8a)에 접촉되도록 이동시킨 후, 풀어진 볼트(23)를 다시 조여 고정한 상태에서 원추형 파쇄부(8)를 회전시켜 칼날(8a)에 붙거나 칼날과 칼날 사이에 끼어있는 목재찌꺼기를 긁어낼 수 있으며, 무뎌진 칼날(8a)을 연마할 수 있다.
한편, 청소 및 연마부재(20)에 의하여 칼날(8a)을 연마함에 있어서, 칼날접촉면(21)이 계속적으로 연마되어지는 칼날(8a)에 밀착되어야 한다. 즉 칼날(8a)에 밀착되도록 미는 힘이 작용하여야 칼날(8a)의 연마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청소 및 연마부재(20) 몸체의 일측에 지지편(2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24)에는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5)에 결합된 스프링(26)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26)이 상기 지지편(24)을 밀어줌에 따라 상기 청소 및 연마부재(20)의 칼날접촉면(21)이 칼날(8a)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 및 연마부재(20)는 장공(22)에 볼트(23)을 너무 꽉 조여서 고 정하지 않아야 하며, 도 5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장공(22)을 따라서 이동이 되면서 칼날접촉면(21)이 칼날(8a)에 계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연마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통나무 형태의 목재(1)가 회전하는 원추형 파쇄부(8)에 진입하면, 원추형 파쇄부(8)의 나선형 칼날(8a)에 의해서 즉, 맨앞에 위치한 지름이 작은 나선형 칼날(8a) 부위에 의해 목재(1)의 모서리부터 사선 면으로 계속해서 비스듬히 잘려나가면서 목재(1)가 파쇄되고, 이와 같은 형태로 절단되어 목재(1)가 파쇄되면, 상기 목재(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단번에 비스듬히 잘려나가면서 파쇄되어 가므로, 상기 목재(1)의 파쇄작업이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원추형 파쇄부(8)의 나선형 칼날(8a)이 목재(1)를 파고들면서 파쇄하게 되므로, 다시 말해서 원추형 파쇄부(8)가 일종의 나사못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나무에 나사못이 박히는 것과 같게 되어, 목재(1)는 반작용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원추형 파쇄부(8) 안쪽의 지름이 점점 커지는 나선형 칼날(8a)로 끌어당겨지면서 파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목재(1)를 원추형 파쇄부(8) 쪽으로 밀어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원추형 파쇄부(8)를 제작함에 있어서, 맨앞에 위치하는 지름이 제일 작은 칼날(8a)과 맨뒤에 위치하는 지름이 제일 큰 칼날(8a)의 사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그 지름을 달리하고 있는 칼날(8a)들이 이루고 있는 피치(P; pitck, 서로 근접하는 나사산의 거리를 말함.)를 넓게 하거나 좁게 제작할 수 있으며, 맨앞에 위치하는 지름이 제일 작은 칼날(8a)과 맨뒤에 위치하는 지름이 제일 큰 칼날(8a)의 바깥둘레를 잇는 선이 만나서 이루는 각도(R)를 크게 하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원추형의 형상이 뾰족하게 형성되면서 칼날(8a)들이 이루는 피치(P)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칼날(8a)들이 이루는 피치(P) 또는/및 원추형의 형상에 따라 원추형 파쇄부(8)에 의해 파쇄되는 우드칩의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지게 되므로, 사용하는 목적에 맞는 우드칩의 생산이 가능하고, 칼날(8a)의 절삭면이 나선형으로 연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목재를 파쇄하면서 소음이 적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미분발생이 최소화되고, 우드칩의 크기 및 형태에 있어서도 균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칼날(8a)들이 이루는 피치(P)를 알맞게 조절하여 제작함으로써 목재(1)를 파쇄하면서 칼날(8a)을 비롯하여 구동부(10)에 걸리게 되는 부하의 변동범위를 효과적으로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절단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1)의 가지(1a)를 절단하는 가지절단기(30)는 목재(1)의 둥근 바깥둘레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칼날(31)이 형성되고, 상기 칼날(31)의 몸체에는 목재(1)를 향하여 장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32)에는 볼트(33)가 삽입되어 컨베이어 하우징(4)의 내벽에 고정된 브라켓(4a)에 고정된다.
상기 칼날(31)에는 폭방향을 가로질러 힌지축(34)이 장착되어 양옆으로 돌출 되고, 양옆으로 돌출된 상기 힌지축(34)에는 스프링(35)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지절단기(30)는 목재(1)의 바깥둘레면 사방에 각각 설치되는데, 볼트(33)를 풀어 장공(32) 내에서 목재(1)의 바깥둘레면에 근접하는 위치로 칼날(31)을 각각 이동시킨 후, 풀어진 볼트(33)를 다시 조여 체결한 상태에서, 이송되는 목재(1)를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칼날(31)이 비스듬히 바라보면서 목재(1)의 가지(1a)에 닿으면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지절단기(30)는 목재(1)를 향해 비스듬히 바라보고 있으므로, 목재(1)의 가지(1a)에 닿으면서 비스듬히 파고들 때에는 부하가 걸리게 되어 양옆의 힌지축(34)에 결합된 스프링(35)이 압축되면서 가지(1a)가 절단되고, 가지(1a)를 절단한 후에는 부하가 해제되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5)이 풀리면서 튕겨 오르게 됨으로써, 가지(1a)의 절단작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구성된 원추형 파쇄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구성된 원추형 파쇄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가)도면은 좌측면도이고 (나)도면은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원추형 파쇄부(80A)(80B)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파쇄부(8)는 그 몸체에 일체적으로 칼날(8a)이 형성된 것이므로, 칼날(8a)의 일부분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원추형 파쇄부(8)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손상되거나 파손된 칼날(8a) 부분만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원추형 파쇄부(80A)는 나선형으로 칼날(81)이 연속적으로 형 성되는데, 즉 지름이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상호간의 칼날(81)이 이어지도록 형성되면서 회전축(83) 방향을 따라 분리되는 조립체(82)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체(82)의 중심에는 분리되는 회전축(83)을 키(84) 결합시킬 수 있도록 키홈이 형성되며, 회전축(83)의 끝부위는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하우징(6)에 고정하는 베어링(9a)에 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체(82)는 도 8에서 1피치마다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아니며 도시한 조립체(82) 2개가 일체로 된 형태로 즉, 2피치에 해당하는 칼날(81)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칼날(81)을 가지는 조립체(82)는 회전축(83) 방향을 따라 결합할 수 있고 분리할 수 있으므로, 손상되거나 파손된 칼날(81)이 있는 부위에 해당하는 조립체(82)를 회전축(83)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맨앞에 위치하는 지름이 제일 작은 칼날(81)의 경우에는 진입하는 목재와 처음으로 맞닿게 되므로 칼날(81)의 마모가 가장 빨리 생기게 됨과 동시에 지름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된 칼날(81)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마모되어서 전체적으로 보아서는 원래 가지고 있던 원추형 형상이 작아지게 되면서 적정한 크기의 우드칩을 얻을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칼날(81)의 마모 정도가 심한 지름이 제일 작은 칼날(81)을 가지는 조립체(82)는 회전축(83)에서 분리하여 제거하고 그 뒤에 있는 모든 조립체(82)을 회전축(83)에서 빼내어서 맨 뒤에 가장 지름이 큰 칼날(81)을 가지는 새로운 조립체(82)로 교체하고 원래 맨 뒤에 위치해 있던 순서대로 기존의 조립체(82)를 회 전축(83)에 재결합하면, 교체한 조립체(82)의 바로 뒤에 위치해 있던 조립체(82)가 맨앞에 위치하여 제거한 지름이 제일 작은 칼날(81)을 가지고 있던 조립체(82)를 대신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체(82)들을 결합한 다음에는 청소 및 연마부재(20)를 이용하여 마모된 칼날(81)을 연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후에도 맨 앞에 위치한 조립체(82)를 제거하고 맨 뒤에 새로운 조립체(82)를 결합할 수 있는데, 최종적으로는 원래 맨 뒤에 있던 지름이 제일 큰 칼날(81)을 가지는 조립체(82)가 맨 앞으로 이동한 다음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칼날(81)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원추형 파쇄부(80B)는 회전축(83)과 일체적으로 나선형 몸체(86)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선형 몸체(86)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칼날(85)이 일정길이마다 분리되어 부착된 것이다.
즉, 칼날(85)을 일정 길이별로 제작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된 칼날(85)만을 선택하여 나사(87)를 풀어서 분리하고, 분리된 칼날(85)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일부 절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평단면도로서, 청소 및 연마부재를 부착한 것을 보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파쇄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절단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구성된 원추형 파쇄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구성된 원추형 파쇄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가)도면은 좌측면도이고 (나)도면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목재 2 : 롤러
3 : 롤러컨베이어 4 : 컨베이어 하우징
5 : 공급구 6 : 하우징
7 : 작업테이블 8, 80A, 80B : 원추형 파쇄부
8a, 31, 81, 85 : 칼날 9, 83 : 회전축
9a : 베어링 10 : 구동부
13 : 배출구 14 : 감속기
15 : 감속기의 축 16a, 16b : 풀리
17 : 모터축 18 : 모터
19 : 구동벨트 20 : 청소 및 연마부재
21 : 칼날접촉면 22, 32 : 장공
23, 33 : 볼트 24 : 지지편
25 : 고정브라켓 26, 35 : 스프링
30 : 가지절단기 34 : 힌지축
82 : 조립체 84 : 키
86 : 나선형 몸체 87 : 나사
P : 피치 R : 원추형 각도
Claims (7)
- 삭제
- 삭제
- 목재가 공급되는 공급구(5)가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6)과;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바깥둘레면을 따라 칼날(81)이 형성되며, 중심부에 회전축(83)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내의 부분이 상기 공급구(5)와 마주보고 있는 원추형 파쇄부(80A)와;상기 원추형 파쇄부(80A)의 회전축(83)과 연결되어 원추형 파쇄부(80A)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상기 원추형 파쇄부(80A)는 나선형으로 칼날(81)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회전축(83) 방향을 따라 분리되는 조립체(82)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체(82)의 중심에는 회전축(83)이 키(84) 결합되도록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83)의 끝부위는 베어링(9a)에 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 목재가 공급되는 공급구(5)가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6)과;중심부에 회전축(83)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내의 부분이 상기 공급구(5)와 마주보고 있는 원추형 파쇄부(80B)와;상기 원추형 파쇄부(80B)의 회전축(83)과 연결되어 원추형 파쇄부(80B)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상기 원추형 파쇄부(80B)는 나선형 몸체(86)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선형 몸체(86)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칼날(85)이 일정길이마다 분리가능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원추형 파쇄부(80A)(80B)의 칼날(81)(85) 바깥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측면이 칼날접촉면(21)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6)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칼날에 접촉되면서 상기 칼날에 부착된 목재찌꺼기를 긁어내거나 상기 칼날을 연마하는 청소 및 연마부재(20)를 더 포함하는 목재 파쇄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청소 및 연마부재(20)는 길이방향으로 장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장 공(22)을 통해 볼트(23)로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6)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그 몸체의 일측에 지지편(2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24)에는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5)에 결합된 스프링(26)이 연결된 목재 파쇄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6)의 공급부(5)로 목재(1)를 공급하는 롤러컨베이어(3) 및 상기 롤러컨베이어가 결합되는 컨베이어 하우징(4)와,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4)의 내벽에는 목재(1)의 가지(1a)를 절단하는 가지절단기(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상기 가지절단기(30)는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4)의 내벽 사방에서 목재(1)에 근접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칼날(31)이 부착되고, 상기 칼날(31)의 양쪽으로 힌지축(34)이 각각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며, 상기 각 힌지축(34)에는 스프링(35)이 결합된 목재 파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993A KR100854682B1 (ko) | 2007-10-25 | 2007-10-25 | 목재 파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993A KR100854682B1 (ko) | 2007-10-25 | 2007-10-25 | 목재 파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4682B1 true KR100854682B1 (ko) | 2008-09-04 |
Family
ID=4002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7993A KR100854682B1 (ko) | 2007-10-25 | 2007-10-25 | 목재 파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468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9949B1 (ko) | 2013-04-03 | 2013-09-17 | 박진옥 | 공중목재파쇄기 |
CN112121968A (zh) * | 2020-09-08 | 2020-12-25 | 罗运荣 | 一种可多方位破碎的碳石墨用筛分式自动化破碎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4437Y1 (ko) * | 1988-02-08 | 1990-05-21 | 김재관 | 초경바이트가 삽입용착된 원추형 분쇄기 |
JPH0686944A (ja) * | 1992-09-08 | 1994-03-29 | Sumitomo Seika Chem Co Ltd | 植物繊維質素材の微粉末化方法および装置 |
KR940026330U (ko) * | 1993-05-07 | 1994-12-08 | 김종선 | 분쇄기 |
US5772131A (en) | 1995-06-05 | 1998-06-30 | Comer Spa | Kneader for paper stuff |
JP2003181407A (ja) * | 2001-12-14 | 2003-07-02 | Sanyo Electric Co Ltd | 有機物処理装置 |
-
2007
- 2007-10-25 KR KR1020070107993A patent/KR1008546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4437Y1 (ko) * | 1988-02-08 | 1990-05-21 | 김재관 | 초경바이트가 삽입용착된 원추형 분쇄기 |
JPH0686944A (ja) * | 1992-09-08 | 1994-03-29 | Sumitomo Seika Chem Co Ltd | 植物繊維質素材の微粉末化方法および装置 |
KR940026330U (ko) * | 1993-05-07 | 1994-12-08 | 김종선 | 분쇄기 |
US5772131A (en) | 1995-06-05 | 1998-06-30 | Comer Spa | Kneader for paper stuff |
JP2003181407A (ja) * | 2001-12-14 | 2003-07-02 | Sanyo Electric Co Ltd | 有機物処理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9949B1 (ko) | 2013-04-03 | 2013-09-17 | 박진옥 | 공중목재파쇄기 |
CN112121968A (zh) * | 2020-09-08 | 2020-12-25 | 罗运荣 | 一种可多方位破碎的碳石墨用筛分式自动化破碎装置 |
CN112121968B (zh) * | 2020-09-08 | 2021-12-07 | 江西科态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可多方位破碎的碳石墨用筛分式自动化破碎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34556A (en) | Tire shredder | |
JP6714712B2 (ja) | 骨肉分離機 | |
KR100516510B1 (ko) | 샌드 크러셔용 로터 | |
KR100584918B1 (ko) | 플라스틱 폐기물용 파쇄기 | |
CN108435334A (zh) | 一种废钢破碎机的主轴辊及采用其的废钢破碎机 | |
US7004413B2 (en) | Grinder cutter tooth and anvil assembly | |
JP2006289840A (ja) | オガ粉製造装置及び同オガ粉製造装置に用いられるスパイラルカッター | |
KR200426412Y1 (ko) | 압축 파쇄기 | |
CN107930812A (zh) | 一种双轴撕碎机刀片 | |
JP5023104B2 (ja) | 破砕処理装置 | |
KR200445561Y1 (ko) | 폐 고무용 분쇄기 | |
KR20200087586A (ko) | 폐지류 파쇄장치 | |
US5649578A (en) | Wood pulverizer with improved hammers and anvils | |
KR100892308B1 (ko) | 음식물 쓰레기 분쇄 탈수장치 | |
KR100854682B1 (ko) | 목재 파쇄기 | |
KR100526953B1 (ko) | 목재 분쇄 장치 | |
KR20130103491A (ko) | 교환 가능한 절단 날 세트를 가진 2-축 파쇄기 | |
KR200405320Y1 (ko) | 폐비닐 분쇄기 | |
KR100387079B1 (ko) | 목재파쇄기용 파쇄드럼 | |
US6196284B1 (en) | Wood pulverizer with improved grates and grate components | |
KR200433588Y1 (ko) | 다용도 분쇄 장치 | |
KR100200949B1 (ko) | 곡물 및 고추 분쇄기와 그 분쇄방법 | |
JPH0938515A (ja) | 破砕機 | |
KR100642253B1 (ko) | 압축 파쇄기 | |
JP2007105712A (ja) | 木廃材粉砕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