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541B1 - 제모장치 - Google Patents

제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541B1
KR100852541B1 KR1020070028698A KR20070028698A KR100852541B1 KR 100852541 B1 KR100852541 B1 KR 100852541B1 KR 1020070028698 A KR1020070028698 A KR 1020070028698A KR 20070028698 A KR20070028698 A KR 20070028698A KR 100852541 B1 KR100852541 B1 KR 10085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hair removal
frame
skin surfac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325A (ko
Inventor
히데카즈 스에요시
웨이 왕
테츠로 하시구치
신지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23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rotating clamping elements
    • A45D26/0033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rotating clamping elements with rollers
    • A45D26/0038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rotating clamping elements with roller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23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rotating clamping elements
    • A45D26/0028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rotating clamping elements with rotating disc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40Lubric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osmetic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비누를 사용하여 제모를 행하기 위한 제모장치에 있어서, 체모를 제거하기 위한 제모부(9)를 포함하는 제모헤드(1H)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41a)를 포함하고 방수구조를 갖는 본체 케이싱(41)에 부착되며, 제모 후에 피부표면(6)에 달라붙은 거품을 닦아내기 위한 와이퍼(2)는 제모부(9)를 둘러싸는 헤드프레임(head frame, 5)상에 설치된다.
제모장치, 비누거품, 와이퍼, 체모, 제모, 친화성, 회전실린더

Description

제모장치{DEPILA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퍼(wiper)를 포함하는 제모(除毛)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모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모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모장치를 사용하여 제모를 행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제모장치의 측면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퍼를 포함하는 헤드프레임(head frame)의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모헤드를 부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버튼(button)을 포함하는 제모유닛(unit)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제모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은 비누를 사용하여 체모(體毛)를 제거할 수 있는 제모장치(depilat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6년 3월 28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6-08957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 주장을 한 것으로서, 그 전체의 내용은 본 인용에 의해 본 발명에 합체된다.
종래에는, 제모장치가 구동원을 포함하는 본체에 착탈되도록 구성된 제모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제모장치로서는, 제모유닛(depilating unit)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실린더(rotary cylinder) 및 이 회전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동되며 체모를 잡고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제모손톱부(depilating claw)를 갖는 제모헤드(depilating head)를 포함하는 제모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1-149135호 참조)
한편, 제모시에 피부표면과 회전실린더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비누를 사용하여 제모를 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비누를 사용하면 피부표면에 대하여 안전한 제모를 확실하게 할 수 있지만, 본체 케이싱(casing)이 방수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1-149135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하면, 방수부재는 본체 케이싱내의 구동원으로부터 회전실린더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부를 통하여 중간에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구동원과 회전실린더 사이에 방수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비누를 사용하는 제모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비누를 사용 하여 체모를 제거할 때, 회전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비누거품이 퍼지고 제모 후에 피부표면이 그 거품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된다. 이는 제거되지 않은 체모가 남아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피부표면이 보이지 않게 될 때마다 스스로 거품을 닦아내지 않으면 안 되어, 상당한 번거로움이 수반되고 제모장치의 사용자 친화성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누를 사용하여 제모할 때에, 제거되지 않은 체모가 사용자의 피부표면에 달라붙은 비누거품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거품을 닦아내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 사용자 친화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제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grip)를 포함하고 방수구조를 갖는 본체 케이싱; 체모를 제거하기 위한 제모부와 이 제모부를 둘러싸는 헤드프레임(head frame)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에 부착되는 제모헤드; 및 헤드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제모부에 의한 제모 후에 피부표면에 달라붙은 비누거품을 닦아내는 와이퍼(wiper)를 포함하는 제모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비누를 사용하여 제모를 행하기 위해 제모헤드를 이동시킬 때, 와이퍼는 그 제모헤드를 따라가도록 이동된다. 이 때문에, 제모시에 비누거품이 퍼지더라도, 와이퍼가 제모 후에 피부표면에 달라붙은 거품을 닦아낸다. 이는 제모영역내의 피부표면이 거품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체모를 바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모헤드가 피부표면에 눌려지는 동안에 와이퍼가 피부표면에 거의 평행하게 뻗도록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플레이트 형상의 와이퍼는 제모영역내에 있는 비누거품을 완전히 닦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제거되지 않은 체모를 더 명확히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제모장치의 사용자 친화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와이퍼가 피부표면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피부표면의 불규칙한 부분에 대하여도 와이퍼의 추종(follow-u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부표면의 어느 쪽의 부분에 있든지 그 부분에 있는 비누거품을 닦아내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가 피부표면에 부상(浮上)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부상가능한 와이퍼는 피부에 대한 자극을 제거할 수 있고, 피부표면의 골질(骨質)부분과 같은 볼록부분에 대하여도 와이퍼의 추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퍼가 본체 케이싱의 정면측과 후면측의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제모헤드 후방에서 본체 케이싱의 정면측(또는 후면측)을 그 측면상에 와이퍼가 구비되도록 배열하여, 본체 케이싱의 정면과 후면을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와이퍼가 제모헤드를 사용하여 제모한 후에 피부표면에 달라붙은 거품을 닦아내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와 헤드프레임이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와이퍼는 물론 헤드프레임을 분리함으로써, 와이퍼와 헤드프레임에 달라붙거나 제모헤드로 들어가는 거품 뭉치(flocks) 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세정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가 헤드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비누를 사용하지 않는 건조상태에서 건조 제모가 행하지면, 와이퍼를 헤드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는 비누를 사용하는 제모와 건조제모 사이로의 제모작업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모장치의 사용자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또한 와이퍼가 열화(劣化)되면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가 피부표면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헤드프레임에 대하여 높이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와이퍼의 높이는 피부표면에 거의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전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누를 사용하여 제모를 행하는 경우, 와이퍼는 그것이 피부표면에 접촉되는 위치에서 들어 올려져 지지된다. 이때에, 와이퍼를 수직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표면상에 와이퍼의 누름 하중(pressing load)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자극을 더 약하게 할 수 있다. 그 밖에, 피부표면상에의 와이퍼의 적당한 누름 하중에 의해 와이퍼를 사용하여 피부를 잡아늘이는 동안에 체모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비누 없이 제모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와이퍼는 그것이 피부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내려가서 지지된다. 따라서, 건조제모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가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엘라스토머 와이퍼를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자극을 제거하여 피부표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 피부표면의 골질부분과 같은 볼록부분에 대하여도 와이퍼의 추종성능을 충분할 정도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모장치는 미용목적을 위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체모를 제거하는 데에 이용되는 제모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모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41a)를 포함하고 내부에 모터(구동유닛, 42)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싱(41), 및 제모헤드(1H)를 포함하고 본체 케이싱(41)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모유닛(1)을 포함한다. 제모헤드(1H)는 회전실린더(4) 및 이 회전실린더(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동되는 복수의 제모손톱부(예컨대, 가동손톱부와 고정손톱부)를 갖고 이 제모손톱부들 사이에 체모를 잡아두는 제모부(9)를 포함한다. 제모헤드(1H)는, 제모손톱부들 사이에 체모를 놓아 회전실린더(4)의 축방향 회전에 따라 체모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1-149135호에 개시되어 있는 주지기술은 회전실린더(4)의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제모손톱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 대하여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체 케이싱(41)은 방수구조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41)은, 전방과 후방 반부(半部)로 분할된 2개의 케이싱이 함께 결합되고 본체 케이싱(41)의 상단부(上端部)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터(42)와, 내부에 구동전달부로서 기능하는 기어열(gear train)을 포함하는 베이스(base, 43) 등은 본체 케이싱(41)내에 통합된다. 또한, 모터(42)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전지 또 는 충전부(44)도 본체 케이싱(41)내에 통합된다. 베이스(43)의 상단부(43a)는 본체 케이싱(41)의 상단 개구를 폐쇄하고, 후크 부착부(hook attachments, 45)는 베이스(43)의 상면에 설치되며, 한 쌍의 후크(19)는 제모유닛(1)의 하면에 설치된다. 후크(19)를 후크 부착부(45)에 분리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제모유닛(1)은 본체 케이싱(41)과 결합될 수 있고 이 제모유닛(1)은 탈부착유닛(36)을 사용하여 본체 케이싱(4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베이스(43)의 상단부(43a)의 외형은 본체 케이싱(41)의 상단 개구의 외형과 거의 동일하며, 링(ring)형상이고 탄성을 갖는 제1 방수부재(46)는 베이스(43)의 외주(外周)에서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모터(42)의 출력축(42a)이 관통되는 개구(47)는 베이스(43)의 상단부(43a)의 중앙에 마련되며, M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 방수부재(48)는 개구(47)내에 끼워 맞추어지고, 이에 의해 물이 외측에서 모터(42)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 참조부호 49는 플러그 단자핀(plug terminal pin)을 표시한 것이고, 50은 플러그 베이스(plug base)를 표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참조부호 52는 방수나사 O링을 표시한 것이고, 53은 필터를, 54는 전환용 O링을, 55는 램프 커버(lamp cover)를 표시한 것이다.
제모유닛(1)은, 체모를 제거하기 위해 제모부(9)를 구동하기 위한 2개의 원통형 회전실린더(4)를 일체로 포함하는 제모헤드(1H), 회전실린더(4)에 모터의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달부로서 기능하는 기어열(8a∼8g), 및 본체 케이싱(41)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본체 측면부착부(7)에 의해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회전 지레받침(rotating fulcrum, 3)은 제 모헤드(1H)내의 2개의 회전실린더(4)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의해 제모헤드(1H)가 회전 지레받침(3)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모헤드(1H)의 회전 지레받침(3)을 2개의 회전실린더(4) 사이의 중간위치에 배치하고, 이와 같이 2개의 회전실린더(4)를 구성하여 피부표면(6)(도 4 참조)에 항시 밀착 접촉시킨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실린더(4)의 회전은 본체 케이싱(41)내에서 모터(42)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즉, 모터(42)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은 도 2에 도시된 기어열(8a∼8g)을 거쳐 2개의 각각의 회전실린더(4)로 전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모헤드(1H)의 하단면은 본체 측면부착부(7)를 향하여 아치(arch)형태로 돌출하는 볼록곡선(convex curve, 13)이고, 본체 측면부착부(7)의 상단면은 볼록곡선(13)이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곡선(concave curve, 14)이다. 볼록곡선(13)과 오목곡선(14)이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sliding)가능하게 인접되지만, 제모헤드(1H)의 회전 지레받침(3)은 본체 측면부착부(7)의 한 쌍의 좌우지지편(6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제모헤드(1H)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지레받침(3) 주위로 본체 측면부착부(7)에 대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모헤드(1H)를 회전방향 A로 소정의 위치(제1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위치)쪽으로 편심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11)(도 2 참조)은 볼록곡선(13)과 표면이 볼록곡선(13)에 대향되는 오목곡선(14)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1)을 배치함으로써, 2개의 회전실린더(4)가 회전하는 동안에 제모헤드(1H)가 피부표면(6)에 눌 려질 때, 제모헤드(1H)는 불규칙적인 피부표면(6)을 따라 1개의 회전 지레받침(3) 주위로 회전할 수 있고, 제모손톱부는 제모헤드(1H)와 함께 회전한다. 이에 의해 2개의 회전실린더(4)를 사용하여 많은 체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모헤드(1H)가 불규칙적인 피부표면을 따라 완전히 회전하더라도, 회전실린더(4)의 제모위치는 바꾸지 않는다. 따라서, 자극을 줄이면서 체모를 제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제모손톱부들 사이에 체모가 놓여지는 위치는 피부표면(6)에 더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모손톱부는 모근(毛根)을 잡아 체모를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러한 제모작업은 특히 제모손톱부들 사이에 짧은 체모를 놓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제모로 인한 자극을 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모헤드(1H)는 제모부(9)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헤드프레임(5)를 포함한다. 헤드프레임(5)는 일반적으로 관형(管形)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실린더(4)의 상부측을 그 상부개구로부터 노출하기 위한 내부 프레임(5A)과 와이퍼(2)를 포함하는 외부 프레임(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와이어(wire 22)는 내부 프레임(5A)의 상부개구를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와이어(22)는 회전실린더(4)의 회전운동을 저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평방향(회전실린더(4)의 회전축의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각각의 와이어(22)는 탄성재료로 형성된다. 회전실린더(4)가 체모를 제거하기 위해 피부표면(6)에 눌려질 때, 탄성 와이어(22)는 구부려져 피부표면(6)과 회전실린더(4) 사 이에 놓여진다. 이는, 피부표면(6)과 회전실린더(4) 사이에 와이어(22)가 있는 부분에 있는 각각의 와이어(22)의 직경 만큼까지 피부표면(6)을 회전실린더(4)의 노출된 외부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피부표면(6)은 회전실린더(4)의 노출된 외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이에 의해 피부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22)의 중앙 오목부분에는 빗형상부재(comb, 10)가 설치되어 있다. 빗형상부재(10)가 피부에 부딪히도록 하게 함으로써, 회전실린더(4)는 피부상에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5A)의 상부 좌우측에는 각각 끼움결합 슬릿(fitting slits, 28)이 설치되며, 내부 프레임(5A)의 하부 정면과 후면측 각각에는 복수의 프레임 탈부착 볼록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5B)의 상부 좌우측에는 각각 끼움결합 가교부(fitting bridges, 24)가 설치되며, 외부 프레임(5B)의 하부 정면과 후면측 각각에는 복수의 프레임 탈부착 오목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프레임(5A)이 외부 프레임(5B)내에 끼워 맞추어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5B)의 끼움결합 가교부(24)가 내부 프레임(5A)의 각각의 끼움결합 슬릿(28)내로 끼워 맞추어지며, 외부 프레임(5B)의 프레임 탈부착 볼록부(23)가 내부 프레임(5A)의 각각의 프레임 탈부착 오목부(25)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제모 후에 피부표면에 달라붙은 비누거품을 닦아내기 위한 와이퍼(2)는 외부 프레임(5B)의 정면측(F)(후면측(D)에 의해 교체될 수 있음)상에 설치된다.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와이퍼(2)는, 제모헤드(1H)가 피부표면(6)에 눌려지는 상태에서 피부표면(6)에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2)의 상단 모서리(upper end edge)는 제모헤드(1H)에 대한 폭과 높이가 거의 같도록 배치된다. 와이퍼(2)는 예컨대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엘라스토머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스티렌 엘라스토머와 올레핀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와이퍼(2)의 재료는 엘라스토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고무 혹은 연질 발포재료일 수도 있다.
비누를 사용하여 체모를 제거하기 위해 제모헤드(1H)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와이퍼(2)는 제모헤드(1H)를 따라가도록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비누거품이 회전실린더(4)의 회전에 의해 퍼지더라도, 와이퍼(2)가 체모의 제거와 동시에 피부표면(6)에 달라붙은 거품을 닦아낸다. 이는 제모 후에 피부표면(6)이 거품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체모를 바로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또한, 비누를 사용하면 피부표면(6)과 회전실린더(4) 사이의 마찰을 약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피부표면(6)에 대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제모를 확실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그 밖에,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와이퍼(2)는 그 플레이트 형상 때문에 제모영역내에 있는 비누거품을 완전히 닦아낼 수 있고, 이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체모를 명확히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또한, 와이퍼(2)가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와이퍼의 자극을 제거하여 피부표면(6)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고, 피부표면의 골질부분과 같은 볼록부에 대하여도 와이퍼(2)의 추종성능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와이퍼(2)는 본체 케이싱(41)의 후면측(D)(정면 측(F)으로 교체될 수 있음)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41)의 정면과 후면을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본체 케이싱(41)의 정면측(F)을 전방으로 향하게 하여 제모헤드(1H)를 이동함으로써, 와이퍼(2)는 제모헤드(1H)를 사용하여 제모를 행한 후에 피부표면(6)에 달라붙은 거품을 닦아내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모장치의 사용자 친화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2)를 포함하는 외부 프레임(5B)은 내부 프레임(5A)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이에 의해 와이퍼(2)가 열화될 때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또한, 와이퍼(2)와 헤드프레임(5)은 본체 케이싱(41)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모유닛(1)의 좌측면상에는 버튼(button, 7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버튼(70)을 누름으로써, 제모유닛(1)의 후크(도시하지 않음)는 헤드프레임(5)으로부터 분리되어 본체 케이싱(41)으로부터 헤드프레임(5)은 물론 와이퍼(2)를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이에 의해, 와이퍼(2) 혹은 헤드프레임(5)에 달라붙거나 또는 제모헤드(1H)내의 회전실린더(4)로 들어가는 거품 뭉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정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모장치에 있어서 와이퍼(2)가 피부표면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헤드프레임(5)에 대하여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모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유사하다. 도 8에서,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같은 참조부호로 표기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이퍼(2)를 포함하는 리프팅 플레이트(lifting plate, 33)는 수직방향(G)으로 외부 프레임(5B)상에 슬라이딩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33)의 하부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각각 한 쌍의 탄성 후크(32)가 설치된다. 외부 프레임(5B)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각각 복수의 결합돌기의 수직단차부(vertical steps, 31)가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후크(32)는 결합돌기의 수직단차부(31)들 중 하나와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33)의 외면상에는 높이전환버튼(29)이 마련되어 있다. 높이전환버튼(29)의 후면상에는 그로부터 돌출하는 후크(29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29a)는 리프팅 플레이트(33)에 형성된 측면 보어(lateral bore, 34)와 결합되고, 이에 의해 높이전환버튼(29)이 리프팅 플레이트(33)에 고정된다. 외부 프레임(5B)에는 측면구멍(lateral hole, 30)이 형성되어 있다. 높이전환버튼(29)은 외부 프레임(5B)의 외측을 향하여 측면구멍(30)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사용자가 높이전환버튼(29)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쪽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각각의 후크(32)는 바닥 위로부터 결합돌기의 수직단차부(31)와 연속적으로 결합되고, 이에 의해 와이퍼(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2개의 와이퍼가 각각 외부 프레임(5B)의 정면측과 후면측에 설치되는 예(이후에 설명하는 도 10에 대응함)를 도시한 것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와이퍼(2)의 갯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퍼(2)가 외부 프레임(5B)의 정면측과 후면측 중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 다(도 1∼도 7에 대응하는 경우).
제모장치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높이전환버튼(29)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와이퍼(2)의 높이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체모를 제거하기 위해 비누를 사용하는 경우, 와이퍼(2)는 그것을 들어올림으로써 피부표면(6)에 부딪히는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때에, 와이퍼(2)를 수직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표면(6)상에의 와이퍼(2)의 누름 하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자극을 더 약화시킬 수 있다. 그 밖에, 피부표면(6)상에의 와이퍼(2)의 적당한 누름 하중에 의해 와이퍼(2)를 사용하여 피부를 잡아 늘이는 동안에 체모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비누없이 제모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와이퍼(2)는 피부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하강되어 그 위치에 지지된다. 따라서, 건조상태에서 제모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모장치의 사용자 친화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제모장치에 있어서 와이퍼(2)가 피부상에 부상할 수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제모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유사하다. 도 9에서,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같은 참조부호로 표기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이퍼(2)를 포함하는 리프팅 플레이트(33)는 외부 프레임(5B)의 내면상에 설치되어 그로부터 돌출하는 지지후크(retaining hook, 35)에 의해 외부 프레임(5B)의 내면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반면, 와이퍼(2)는 지지후크(35)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후크(35)는 리프팅 플레이트(33)에 형성된 측면 보어(34)와 결합된다. 제3 실시형태 에 있어서, 리프팅 플레이트(33)의 측면 보어(34)는 지지후크(35)를 위쪽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리프팅 플레이트(33)의 하부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각각 다리(leg, 33a)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5B)의 내면상에는, 각각 돌기(37a)를 갖고 그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 지지부(spring bearings, 37)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33)의 각각의 다리(33a)는 플로팅 스프링(floating spring, 39)를 거쳐 돌기(37a)를 갖는 각각의 스프링 지지부(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와이퍼(2)를 포함하는 리프팅 플레이트(33)는, 와이퍼가 피부에 근접하거나 그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플로팅 스프링(39)에 의해 부상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2)가 피부에 강하게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에 대한 와이퍼(2)의 자극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와이퍼(2)는 피부표면(6)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플로팅 스프링(6)에 의해 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부표면의 불규칙한 부분 또는 피부표면의 골질부분과 같은 볼록부분에 대하여도 와이퍼(2)의 추종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부표면(6)의 어느 쪽 부분에 있든지 비누거품을 닦아내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제모장치에 있어서 와이퍼(2)가 본체 케이싱(41)의 정면측(F)과 후면측(D)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본체 케이싱(41)이 정면측(F) 혹은 후면측(D)의 어느 한 쪽 방향으로 이동되는지 간에 와이퍼(2)에 의해 생기는 닦아내기 효과(wiping effect)를 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모장치는 제모헤드(1H)에 비누물을 공 급하기 위해 본체 케이싱(41)내에 비누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tank)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모 후에 피부표면에 달라붙은 비누거품을 닦아내기 위한 와이퍼를, 제모부를 둘러싸는 헤드프레임상에 설치함으로써, 비누를 사용하여 제모를 행할 때 와이퍼가 제모 후에 피부표면에 달라붙은 거품을 닦아낸다. 따라서, 제거되지 않은 체모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거품을 닦아내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키며, 비누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제모를 행하면서 고품질의 사용자 친화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모장치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의 요지범위내에서 각종의 변화와 변경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누를 사용하여 제모를 행하기 위해 제모헤드를 이동시킬 때, 와이퍼가 그 제모헤드를 따라가도록 이동되기 때문에, 제모시에 비누거품이 퍼지더라도, 와이퍼가 제모 후에 피부표면에 달라붙은 거품을 닦아낼 수 있고, 이에 의해 제모영역의 피부표면이 거품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거되지 않은 체모를 바로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제모장치의 사용자 친화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41a)를 포함하고 방수구조를 갖는 본체 케이싱(41);
    체모를 제거하기 위한 제모부(depilating portion, 9)와, 이 제모부(9)를 둘러싸는 헤드프레임(head frame, 5)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41)에 부착되는 제모헤드(1H); 및
    헤드프레임(5)상에 설치되어, 제모부(9)에 의해 제모한 후에 피부표면(6)에 달라붙은 비누거품을 닦아내는 와이퍼(wiper, 2)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2)는, 상기 제모헤드(1H)가 피부표면에 눌려지는 동안에 피부표면(6)에 평행하게 뻗도록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5)은, 각각의 회전실린더(4)의 상부측을 그 상부개구로부터 노출시키기 위한 내부 프레임(5A)과, 상기 내부 프레임(5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5B)으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퍼(2)를 포함하는 리프팅 플레이트(33)는 외부 프레임(5B)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5B)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후크(retaining hook, 35)가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33)에 형성된 측면 보어(34)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2)가 피부표면(6)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2)는, 하부 좌측단과 우측단에 각각 다리(leg, 33a)가 설치된 리프팅 플레이트(33)이고,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33)의 각 다리(33a)가 플로팅 스프링(floating spring, 39)을 거쳐 돌기(37a)를 갖는 각각의 스프링 지지부(37)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2)가 피부표면(6)상에 부상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2)는 본체 케이싱(41)의 정면측과 후면측 중 한 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5)은 상기 본체 케이싱(41)에 구비된 버튼의 후크에 의해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41)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퍼(2)는 상기 본체 케이싱(41)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5)은, 각각의 회전실린더(4)의 상부측을 그 상부개구로부터 노출시키기 위한 내부 프레임(5A)과, 상기 내부 프레임(5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5B)으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퍼(2)를 포함하는 리프팅 플레이트(33)가 상기 외부 프레임(5B)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2)가 상기 헤드프레임(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5)은, 각각의 회전실린더(4)의 상부측을 그 상부개구로부터 노출시키기 위한 내부 프레임(5A)과, 상기 내부 프레임(5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5B)으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퍼(2)를 포함하는 리프팅 플레이트(33)의 하부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각각 한 쌍의 탄성 후크(32)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5B)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각각 복수의 결합돌기의 수직단차부(vertical steps, 31)가 대칭적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후크(32)가 결합돌기의 수직단차부(31)들 중 하나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2)는 피부표면(6)에 수직한 방향으로 헤드프레임(5)에 대하여 높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장치.
  9.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2)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장치.
KR1020070028698A 2006-03-28 2007-03-23 제모장치 KR100852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9576 2006-03-28
JP2006089576A JP2007260172A (ja) 2006-03-28 2006-03-28 脱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325A KR20070097325A (ko) 2007-10-04
KR100852541B1 true KR100852541B1 (ko) 2008-08-18

Family

ID=3809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698A KR100852541B1 (ko) 2006-03-28 2007-03-23 제모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33159A1 (ko)
EP (1) EP1839522A1 (ko)
JP (1) JP2007260172A (ko)
KR (1) KR100852541B1 (ko)
CN (2) CN100594819C (ko)
HK (1) HK1105845A1 (ko)
RU (1) RU235223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5666B2 (ja) * 2007-02-23 2009-05-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JP4816571B2 (ja) * 2007-05-28 2011-11-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光脱毛機器
JP4720886B2 (ja) * 2008-09-22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ES2571877T3 (es) 2012-01-31 2016-05-27 Babyliss Faco Sprl Depiladora con dos cabezales
FR3019449B1 (fr) * 2014-04-04 2016-03-11 Seb Sa Epilateur magnetique
CN108330225B (zh) * 2018-03-09 2020-06-30 山东省农业科学院农产品研究所 一种鲜羊皮脱毛感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927A (ja) * 1993-12-22 1995-07-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美容器具
JP2001149135A (ja) 1999-11-25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JP2004519297A (ja) 2001-03-27 2004-07-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ノイズ防止キャップを備えたパーソナルケ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6855A (en) * 1946-08-06 1952-02-26 William Isler Hair extracting device
US3895437A (en) * 1974-08-19 1975-07-22 Frank M Dibuono Shaving moisturizer
US4473944A (en) * 1981-12-16 1984-10-02 Carroll Patrick M Squeegee for razor
CN1098146C (zh) * 1996-06-25 2003-01-08 松下电工株式会社 电动剃须刀
DE19809436A1 (de) * 1998-03-05 1999-09-09 Braun Gmbh Aufsatz für ein Gerät zum Auszupfen von Haaren der menschlichen Haut
JP4151292B2 (ja) * 2001-04-27 2008-09-17 松下電工株式会社 ローション供給機能付き除毛装置
DE602004017065D1 (de) * 2004-07-06 2008-11-20 Radiancy Inc Elektrischer rasierer mit element zur entfernung von haarabfall und seine anwendung
JP2006175072A (ja) * 2004-12-22 2006-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927A (ja) * 1993-12-22 1995-07-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美容器具
JP2001149135A (ja) 1999-11-25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JP2004519297A (ja) 2001-03-27 2004-07-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ノイズ防止キャップを備えたパーソナルケ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9522A1 (en) 2007-10-03
CN201055074Y (zh) 2008-05-07
CN101044932A (zh) 2007-10-03
HK1105845A1 (en) 2008-02-29
RU2352231C2 (ru) 2009-04-20
US20070233159A1 (en) 2007-10-04
CN100594819C (zh) 2010-03-24
JP2007260172A (ja) 2007-10-11
KR20070097325A (ko) 2007-10-04
RU2007111288A (ru) 200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541B1 (ko) 제모장치
US4512077A (en) Electric shaver having improved shaving characteristics
US8663240B2 (en) Hybrid hair removal device
RU2434737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бритва
JP2008516645A (ja) マスカラ液除去装置
JP2009508546A (ja) 毛除去方法、毛除去装置、及び毛除去装置に用いられるアタッチメント
KR200409341Y1 (ko) 헤드무빙 전기면도기
CN117279754A (zh) 具有可互换工作头的轮廓毛发修剪器
KR20140007149A (ko) 화장제거용 자동 크린싱 브러쉬장치
RU235427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волос
US7717925B2 (en) Epilating apparatus
KR101637162B1 (ko) 비산방지 구조를 갖는 손톱깍기
WO2005096880A1 (en) Device and method
JP3271938B2 (ja) 美容器具
WO2005096877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 composition from the skin
CN110785102A (zh) 脱毛器
KR101022248B1 (ko) 면도기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면도기
EP2243605B1 (en) Hybrid hair removal device
JP3807063B2 (ja) 脱毛装置
KR102174904B1 (ko) 마스카라액 클렌징 장치
CN114434500B (zh) 个人护理装置的头部和个人护理装置
JP5259364B2 (ja) 安全カミソリ
JPS6324707B2 (ko)
JP4086916B2 (ja) 電気バリカン
KR200437789Y1 (ko) 코털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