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322B1 - 넓은 농도 범위에 사용할 수 있는 흡착등온식을 도입한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 Google Patents

넓은 농도 범위에 사용할 수 있는 흡착등온식을 도입한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322B1
KR100852322B1 KR1020070029696A KR20070029696A KR100852322B1 KR 100852322 B1 KR100852322 B1 KR 100852322B1 KR 1020070029696 A KR1020070029696 A KR 1020070029696A KR 20070029696 A KR20070029696 A KR 20070029696A KR 100852322 B1 KR100852322 B1 KR 10085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adsorption isotherm
separation process
simulation method
adsorptiv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석
신남철
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01D15/1842Simulated moving beds characterized by apparatus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67C8H10 hydrocarbons
    • C07C15/08X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등온식을 사용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흡착등온식의 흡착평형상수가 흡착상의 농도 함수 형태인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넓은 농도 범위에 사용할 수 있는 흡착등온식을 도입한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A SIMULATION METHOD USED AN AVAILABLE ADSORPTION ISOTHERM IN A WIDE CONCENTRATION RANGE FOR A SIMULATED MOVING BED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본 발명은 흡착등온식을 사용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흡착등온식의 흡착평형상수가 흡착상의 농도 함수 형태인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파라-자일렌 분리 공정은 SMB법(UOP사의 파렉스(Parex) 공정, IFP사의 엘룩실(Eluxyl) 공정)과 결정화법에 의한 공정으로 대별된다. 최근에는 이 두 가지 방법을 적절히 결합하여 사용하는 공정도 소개된 사례가 있다.
SMB법에 의한 파라-자일렌 분리공정은 다단으로 구성된 흡착챔버의 각 단마다 위치하는 밸브의 개폐를 주기적으로 제어하여 흡착제와 유체가 마치 향류 접촉하고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둠으로써 연속식으로 자일렌 이성질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공정이다.
도 1에는 개략적인 파렉스 공정이 나타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렉스공정은 흡착챔버(1, 2) 내에 베드가 다층으로 구성되며, 각 베드에는 흡착제가 충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사 이동층 분리 장치의 흡착챔버(1, 2) 내의 각 베드는 베드 라인(bed line)(B1~B24)을 통해 로터리 밸브(rotary valve)(3)에 연결되어 있다. 베드의 개수는 통상적으로 각 챔버 별 12개, 총 24개를 사용한다.
파렉스 공정의 로터리 밸브(3)는 유체 혼합물 유입 포트(32), 라피네이트 유출 포트(33), 탈착제 유입 포트(34), 추출물 유출 포트(35) 및 2차 세척제(secondary flush) 유입 포트(36)와 같이 3개의 유입 포트와 2개의 유출 포트 각각을 베드 라인(B1~B24)에 연결시켜 준다. 로터리 밸브(3)의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파렉스 공정의 라피네이트 칼럼(4)은 라피네이트 유출 포트(33)를 통해 인출된 라피네이트를 다시 제1 분리기를 통해 분리해내고, 일부를 다시 탈착제로서 탈착제 유입 포트(34)로 돌려보낸다.
파렉스 공정의 추출물 칼럼(5)은 추출물 유출 포트(35)를 통해 인출된 추출물을 다시 제2 분리기를 통해 분리해내고, 일부를 다시 탈착제로서 탈착제 유입 포트(34)로 돌려보낸다.
파렉스 공정은 두 개의 긴 흡착챔버(1, 2)를 여러 개의 베드(Bed 1~24)로 분할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파렉스 공정과 같은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에서는 실제로 고정상의 흐름이 없으며, 일정시간의 스위칭 간격에 따라 탈착제(desorbent), 추출물(extract), 유체 혼합물(feed), 라피네이트(raffinate), 2차 세척제(secondary flush), 라인 세척제 등의 유입 및 유출 포트 위치를 이동상이 흐르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면, 각 포트를 중심으로 칼럼이 상대적으로 이동상이 흐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이렇게 가상의 고정상의 흐름을 만들어 이동상과 향류 흐름을 모사할 수 있다. 고정상으로 사용되는 흡착제는 상기 베드 내에 충전된다.
상기 탈착제, 추출물, 공급물 및 라피네이트의 각 포트(32, 33, 34, 35)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없지만, 도 1에서와 같이 베드 라인(B1~B24)을 설치하여 로터리 밸브(3)를 통해 일정 스위칭 타임(switching time) 간격을 주어 주기적으로 각각의 흐름을 이웃한 라인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유체 혼합물 유입 포트를 통해 주입된 물질 중 흡착력이 약한 물질은 이동상을 따라 라피네이트 유출 포트로 나오게 되며, 흡착력이 강한 물질은 흡착챔버(1, 2)의 각 베드(Bed 1~24) 내에서 흡착제에 흡착되어 일정시간의 스위칭에 따라 상대적으로 칼럼이 움직이게 되므로 추출물 유출 포트(35)로 나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파렉스 공정은 그 특성상 원료 및 탈착제의 주입 및 추출물, 라피네이트의 배출이 모두 동일 배관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흡착챔버와 로터리 밸브를 연결하여 주는 이 배관이 베드 라인(B1~B24)이며, 흡착챔버의 베드 개수만큼 존재한다.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장치의 운전 절차에 따르면 어느 특정 배관은 원료 주입용(도 1의 경우에는 B1 라인이 사용 중인 상태)으로 사용된 후, 일정한 시간 경과 이후에 최종 제품의 배출용으로 사용되게 된다. 이때 스위칭 타임 동안 배출되는 최종 제품 중 초기 제품은 배관 내에 채워져 있던 원료가 섞여 나오므로 최종 제품의 순도를 다소 떨어뜨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서 라인 세척과 2차 세척이라는 절차가 추가되었다. 라인 세척이란 탈착제가 주입되는 베드의 바로 아래 베드로부터 소량의 흡착챔버 내의 액체를 끌어 와(도 1의 경우에는 B12 라인이 사용 중인 상태) 원료 주입에 사용되었던 배관을 통하여 다시 흡착챔버 내부로 돌려 보냄으로써(도 1의 경우에는 B23 라인이 사용 중인 상태) 배관 내부를 씻어 주는 절차이다. 도 4의 농도분포 곡선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라인 세척에 사용되는 액체는 순수한 탈착제가 아니라 약간의 다른 액체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시 한 번 이 배관을 씻어 주기 위해서 2차 세척 절차가 추가된다. 2차 세척 절차는 최종 제품을 배출하기 직전에 순수한 탈착제를 해당 배관을 통해서 흡착챔버 내부로 주입하여 배관 내부를 최종적으로 씻어 주는 절차이다(도 1의 경우에는 B16 라인이 사용 중인 상태). 이와 같은 세척 방법은 기본적으로 탈착제는 추출물에 섞여도 최종제품을 얻기 이전에 증류 공정을 거치면서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도 1에서 각 베드 라인 중 화살표가 있는 실선은 현재 사용 중인 베드 라인을 의미하고, 화살표 없이 점선으로 표현된 것은 현재 사용 중이지 않는 베드 라인을 의미한다.
각 베드는 액체의 흐름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특별하게 제작된 그리드로 구분되는데, 도 2a 및 도 2b에 그리드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그리드는 두 겹의 스크린(screen)으로 되어 있어 액상의 유체만 통과시킴으로 흡착 베드의 격막 역할을 수행하며, 파이 모양의 24개 조각으로 되어 하나의 층을 구성한다. 원료의 출입통로인 베드 라인은 흡착챔버 내 유체의 유입 및 유출 경로이며, 흡착챔버과 로터리 밸브를 연결하고, 그리드의 두 겹의 스크린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파라-자일렌(para-xylene) 상업공장의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경우, 적정 수준 이상의 제품 순도를 확보하면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운전조건의 최적화는 대단히 어렵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공정 모사 방법을 활용하여 흡착챔버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라-자일렌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구축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적절한 흡착등온식의 탑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도 3의 흡착챔버 축방향 농도분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파라-자일렌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경우, 여러 가지 다양한 성분들이 존재하고 각 성분별로 넓은 농도 범위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중 성분에 대해서 잘 맞으면서 넓은 농도 범위에 걸쳐서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는 흡착등온식의 채택이 대단히 중요하다.
종래에는 다중성분의 흡착등온식으로서 도 4와 같은 단일 성분의 흡착등온식을 단순 결합한 형태의 연장흡착등온식(extended adsorption isotherm) 형태의 흡착등온식이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연장흡착등온식은 다중 성분에 대해서 잘 맞으면서 넓은 농도 범위에 걸쳐서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파라-자일렌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에 사용되는 흡착등온식으로서는 부적합하여, 종래의 흡착등온식을 탑재한 파라-자일렌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으로는 정확한 흡착챔버의 성능 예측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에 사용되던 종래의 흡착등온식을 개선하여, 더 정확한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은, 흡착등온식을 사용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착등온식의 흡착평형상수가 다음의 식 (1)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여기에서 K는 흡착평형상수(Ki , 0는 i성분 단독의 흡착평형상수), ω는 상호작용 에너지, q*는 흡착량이다.
흡착등온식은 일정한 온도에서 흡착제의 흡착능력을 표현한 식으로서, 흡착평형상태에서 특정성분의 흡착량 qi * 및 액상농도 Ci의 관계식으로 표현된다. 일반적으로 프로인틀리히(Freundlich) 흡착등온식, 랭뮤어(Langmuir) 흡착등온식이 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랭뮤어 흡착등온식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랭뮤어 흡착등온식은 다음의 식 (2)로 표시할 수 있다.
(2)
여기에서, qmi * 는 i성분의 최대흡착량이며, K는 흡착평형상수이다.
상기 랭뮤어 흡착등온식에 있어서, 종래에는 Ki는 상수로서 취급되어 왔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중성분 흡착계에 있어서, 흡착평형상수는 상수 형태가 아니라, 흡착상에서의 다른 성분들의 농도에 영향을 받을 것에 착안하여, 상기 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착평형상수를 흡착상의 다른 성분들의 농도의 함수 형태로 표현하였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흡착장치를 통해, 하기 표 1의 기재된 바와 같이, 파라-자일렌과 PDEB의 농도변화에 따른 흡착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 1]
농도(중량%) 흡착량(g/g흡착제)
파라-자일렌 PDEB 파라-자일렌 PDEB
0 37.72 0 0.14023
10.82 25.85 0.02298 0.11818
20.16 16.54 0.05711 0.08363
28.25 8.33 0.09966 0.04153
37.02 0 0.13719 0
상기 측정한 실험 데이터를 근거로, 본 발명에 따른 흡착평형상수를 구하여, 이중성분 흡착등온식에 대입하여 상기 흡착실험을 모사하였다. 여기에서, 파라-자일렌과 PDEB의 최대 흡착량은 상기 실험 데이터와 같고, KPX = 2.6211L/g, KPDEB = 6.4733L/g, ωPX , PDEB = 0.7, ωPDEB , PX = 6.9이다.
상기 실험 데이터와 본 발명에 따른 모사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종래의 흡착평형상수(즉, ωPX , PDEB = 0, ωPDEB , PX = 0)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표 1에 나타난 흡착실험을 모사하였다. 상기 실험데이터와 비교예에 따른 모사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살펴보면, 넓은 농도 범위에 걸쳐 모사결과가 실험데이터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는 반면, 도 6을 살펴보면 좋지 못한 모사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사방법은 다중 성분계에서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흡착평형상수를 흡착상의 농도의 함수 형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등온식을 파라-자일렌 분리를 위한 액상 유사 이동층 흡착분리공정의 모사 방법에 적용하면 분리코자 하는 각 성분의 넓은 농도 범위에 걸쳐서 신뢰도 있는 모사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적정 수준 이상의 제품 순도를 확보하면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운전조건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상 시스템인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흡착챔버 그리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파라-자일렌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 흡착챔버의 전형적인 축방향에 따른 각 성분 별 농도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단일 성분의 흡착등온식을 구하기 위한 실험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이중 성분의 흡착등온식을 구하기 위한 실험데이터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흡착등온식에 의한 모사 결과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이중 성분의 흡착등온식을 구하기 위한 실험데이터와 종래 기술에 의한 흡착등온식에 의한 모사 결과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3)

  1. 흡착등온식을 사용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착등온식의 흡착평형상수가 다음의 식 (1)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1)
    여기에서 K는 흡착평형상수(Ki , 0는 i성분 단독의 흡착평형상수), ω는 상호작용 에너지, q*는 흡착량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등온식은 랭뮤어 흡착등온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은 파라-자일렌의 분리를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KR1020070029696A 2007-03-27 2007-03-27 넓은 농도 범위에 사용할 수 있는 흡착등온식을 도입한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KR10085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696A KR100852322B1 (ko) 2007-03-27 2007-03-27 넓은 농도 범위에 사용할 수 있는 흡착등온식을 도입한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696A KR100852322B1 (ko) 2007-03-27 2007-03-27 넓은 농도 범위에 사용할 수 있는 흡착등온식을 도입한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322B1 true KR100852322B1 (ko) 2008-08-14

Family

ID=3988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696A KR100852322B1 (ko) 2007-03-27 2007-03-27 넓은 농도 범위에 사용할 수 있는 흡착등온식을 도입한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6587A2 (en) * 2009-02-19 2010-08-26 Primafuel, Inc. High efficiency separations method and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IChE Journal
Chem. Eng. J.
Sep. & Puri.Te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6587A2 (en) * 2009-02-19 2010-08-26 Primafuel, Inc. High efficiency separations method and apparatus
WO2010096587A3 (en) * 2009-02-19 2010-12-16 Primafuel, Inc. High efficiency separations method and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753B1 (ko) 복수의 병렬 흡착 챔버 및 결정화기를 사용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0741752B1 (ko) 단일 흡착 챔버를 사용하여 공급물을 전처리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1164239B1 (ko) 개선된 모의 이동상 분리 방법 및 장치
KR100963746B1 (ko) 유사 이동층 분리법에 의한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방법
KR20080013819A (ko) 감소된 수의 밸브를 갖는 유사 이동층 분리 공정 및 장치
KR20100014458A (ko) 감소된 수의 밸브 및 라인을 갖는 모사이동층 분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44340A (ko) 모의 이동상 흡착 분리 방법 및 장치
KR100741749B1 (ko) 최종 제품을 2차 세척 액체로 사용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방법
KR20110043768A (ko) 조절된 바이패스 유체 유동에 의한 모사 이동층 분리 방법 및 장치
US20130153500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9045384B2 (en) Product recovery from adsorption-separation purge fluids
KR101615467B1 (ko) 모사 이동층 흡착을 사용한 생성물을 회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496609B (zh) 使用模擬移動床吸附進行產品回收之系統及流程
KR100852322B1 (ko) 넓은 농도 범위에 사용할 수 있는 흡착등온식을 도입한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공정의 모사 방법
KR20150132251A (ko) 모의 가동 베드 흡착부에서 전달 라인으로부터 잔류 유체를 플러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741751B1 (ko) 2개의 흡착 챔버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0741750B1 (ko) 로터리 밸브의 스위칭 타임이 비균일한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방법
KR101226844B1 (ko) 혼합물 분리향상을 위한 유사 이동층 흡착 분리 장치에서의 부분 버림 재사용 공정 운전 방법
US2013015350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KR100929115B1 (ko) 추출액을 2차 세척용 액체로 사용하는 유사 이동층 흡착분리 방법
US9090523B1 (en) Process for flushing top and bottom heads of a vessel
WO2013089920A2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JP6240466B2 (ja) 総数が22以下の床を有する直列した2基の吸着器により構成される、疑似向流によるパラキシレン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RU2576431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продук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дсорбции в имитированном движущемся слое
KR101106004B1 (ko) 유사 이동층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분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