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923B1 -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923B1
KR100851923B1 KR20070018355A KR20070018355A KR100851923B1 KR 100851923 B1 KR100851923 B1 KR 100851923B1 KR 20070018355 A KR20070018355 A KR 20070018355A KR 20070018355 A KR20070018355 A KR 20070018355A KR 100851923 B1 KR100851923 B1 KR 100851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am
lake
reservoir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수
Original Assignee
윤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수 filed Critical 윤인수
Priority to KR2007001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ponic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에 유기물을 제거하는 2차처리공정인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을 설치하고, 이에 이어서 동일 수면이나 인근 지상에,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3차처리공정으로 수생식물을 식재한 인공전답을 설치하여, 수중에 함유된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생식물, 유기물, 질소, 인, 인공전답,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

Description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수질정화시설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횡류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향류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A형 인공전답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B형 인공전답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여재 수납기 사시도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저류수중에 함유된 유기물과 영양염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수관거 정비와 확충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리고 하수를 고도처리 해야 한다. 이는 방대한 예산과 시간을 요하는 일이다.
하수를 고도처리 하기 위해서는 3단계 공정을 거친다.
즉 1차 처리로 조립질 입자 제거, 2차 처리로 유기질 입자 제거, 그리고 3차 처리로 영양물질인 질소와 인을 제거 하는 것인데, 이를 고도처리 라고도 한다.
고도처리 공법으로는 S.B.R.공법, A2/0 공정, 수정된 바덴포 공정, UCT 공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들은 시설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운영면에서도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차선책의 하나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에 유입되는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서 당해수계의 하천변에 인공습지를 설치 하는등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꾸준히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으나, 환경용량 등의 문제로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이를 상수원으로 활용하는 상수도 정수장에서는 이들 영양염류를 제거하고 청정수를 만들기 위해서 활성탄 공법, 오존 공법등을 활용하고는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고 본다.
비료의 3대 요소는 질소(N), 인(P), 가리(K) 이다.
질소(N)는 식물의 생육에 가장 중요하며, 비료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며, 효과가 현저하다. 즉 잎, 줄기를 무성하게 하고, 뿌리 열매의 성장에도 꼭 필요하다. 광합성도 왕성하게 하는 작용도 한다.
인(P)은 꽃눈의 형성을 돕고 개화, 결실을 좋게 하며, 수를 증가 시키고, 꽃이나 과실의 생장을 빠르게 하며, 세포분열을 활발하게 하고, 발아력을 왕성하게 하고, 과실속의 산을 줄이고, 단맛을 늘리는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소와 인은 식물이 많이 흡수하는 요소로써 내한성을 높여주고 식물체를 만들고 있는 구성성분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리(K)는 뿌리와 줄기를 튼튼히 하며,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세포막을 두텁게 하며, 줄기 잎을 튼튼하게 할뿐 아니라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 내한성 그리고 산성화된 토양을 알카리성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식물 생장에 꼭 필요한 요소성분이 일단 수중에 용해되면 제거하기가 대단히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으며, 그대로 방치하면 즉각 환경 파괴라는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중에 축적된 상태로 용해되어 있다가 하절기 일사량이 많아지면 수온이 높아지고 수온이 올라가면, 질소와 인은 급격히 수중에 적조나 녹조를 발생시켜 수중의 용존산소를 고갈 시키며, 물고기의 호흡에 장애를 주어 집단 폐사케 하고, 악취를 발생 시키는 등 자연환경을 파괴한다.
종래의 수경재배 방법은 지상에 일정 용기를 거치하고, 그 용기 위에 수경재배 식재판을 장치하고, 이에 관엽 식물, 채소, 알뿌리식물, 아보카드나 파인애플 등을 식재하고, 이들 작물의 뿌리만 용기속의 수경액에 잠기도록, 작물을 식재판으로 받쳐주고, 그리고 적정방법으로 용기에 급수하며, 재배하는 작물에 적합한 배양액을 적당량 공급하는 재배 방법이다.
이러한 수경재배 방법은, 배양액을 공급하지 않으면, 지중에 작물을 식재하는 것과는 달리 작물을 재배할 수 없는 것이 문제이다.
본 발명은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당해수계의 넓고 광활한 수면에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과 부유인공전답을 설치하여, 우선 환경용량 문제를 해결하고, 그리고 2차처리공정인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에서는 BOD를 농업용수수질기준에 적합하게 BOD 8 PPM 이하로 처리하고, 그리고 미 처리된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3차처리(고도처리)공정으로는 수면에 부유인공전답이나, 지상에 인공전답을 설치하여, 이에 2차처리수를 공급하여, 별도의 배양액을 주입하지 않고도 식재된 수경작물이 공급된 물에 함유된 영양염류만을 섭취하여 자라게 하여, 청정야채를 생산할수 있게 함과 동시에, 영양염류가 수경작물에 의해 제거된 청정상태의 물이 다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으로 방류하여, 청정수로 정화되고 유지하게 하는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에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과, 수경재배시설을 수면이나 인근 육상에 설치하여, 우선 무동력으로 농업용수 수질기준에 적합한 용수로 처리하여 수경재배시설에 급수 함으로써, 배양액을 공급하지 않고도 용수속에 함유된 질소와 인만을 흡수하여 수경작물이 성장케 함으로,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술 한다.
임의 형상으로 자체의 부력을 가지는 구체, 또는 역간 접촉산화조 구체(100)의 외부에 부구(110)을 장착하고 (이하 구체로 표기함), 그 위에 난간(155)를, 그 아래로 부구 홀다(156)을 갖춘 작업대(150)을 설치하고, 구체(100)내에 일정 간격으로 사이사이 거리를 두어 복수개의 여재수납기(120)을 거치하여, 여재수납기 (120)내에 여재(127)을 충진하여 유입수가 횡류로 흐르게 하거나, 여재수납기(120)을 거리를 두지 않고 차곡차곡 거치하거나 구체(100)에 여재(127)만으로 채우고 유입관(130 a)를 밑으로 부터 언더드레인으로 위로 상향류가 되도록 연결하는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을 수면에 부상 시킨다.
또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이나 인근 육상에 설치하는 임의 형상의 인공전답(200)은 그 내부의 일정부분을 수중에 잠기게 하여, 전면에는 연결관(140), 후면에는 방류관(230)을 장치하고, 인공전답(200)의 내부 저면에는 화산석을 파쇄하여서 된 경사력(輕沙礫)(260)을 포설하고, 그 위에 복수개의 식재공(250)이 천공된 식재판(240)으로 덮고 고정하여, 작물의 뿌리가 자라서 고착 되도록 한다. 수경작물(220)의 뿌리나 줄기를 그대로 또는 스펀지로 감아 식재공(250)에 삽입하여, 경사력(260)속으로 뿌리가 내리도록 한다.
구체(100)과 인공전답(200)의 구체는 강판, 스텐레스강판, PVC판, 스치로폼, 또는 후레임에 방수포를 결착한것 등으로 제작할수 있다.
여재수납기(120)은 스텐레스 철망, 스텐레스철강 타공판, 또는 스텐레스망 등을 후레임에 결착시키고 이에 여재(127)을 충진 한다.
여재(127)은 경량골재, 화산석을 파쇄한 경사력, 합성수지제 접촉여재, 합성수지제품에 경량골재소립자를 부착 시킨것,또는 망사 등이 사용된다.
여재수납기(120)위에는 식재판(240)을 장치하여 수생식물(220)을 식재 하거나, 수생식물을 식재하지 않고 그대로 노출 시켜도 무방하다.
구체(100)의 전면에는 하천(10)의 수중보(20)에 도수관(130)을 연결 하거나,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중에 수중펌프(131)을 설치하여 도수관(130)에 연결하고, 후면에는 연결관(140)으로 인공전답(200)에 연결하여 급수토록 하고, 수위차로 물을 흐르게 하여, 무동력으로 정화작용이 작동되게 한다.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을 일정 규격으로 제작하여 이를 처리용량에 적합하게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형으로 조합하여 설치 할수 있다.
수면에 설치하는 인공전답은 자체로써 부력을 가지거나 또는 인공전답(200)의 외부에 부구(210)을 장착하고, 그 내,외부 수위는 부구(210)의 부력을 조정하여 수위를 적당하게 조절하며, 육상에 경우에는 부구(210)을 장치하지 않고, 그대로 수평으로 정지한 대지나, 지지대 위에 장치한다.
그리고 연결관(140)으로 공급된 물은 방류관(230)으로 공급된 양 만큼만 방류된다. 따라서 인공전답(200)은 수면 위나 하천부지에 인공하천 및 인공습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수경작물(220)은 별도의 배양액을 공급 받지 않고, 급수된 물에 함유된 질소와 인만을 섭취하여 성장하게 되며, 영양염류가 제거된 청정수가 다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으로 환류 되기 때문에 청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는 인공전답(200)을 부구(210)위에 거치하여 수면위에 위치토록 하고, 복수개의 식재공(250)을 천공한 식재판(240)을 인공전답(200)의 상단에 결착하고, 수경작물의 뿌리나 줄기를 그대로 또는 스펀지로 감싸 식재공(250)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뿌리가 인공전답(200)의 내부 수위 h1 이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경우 연결관(140)으로 공급된 물이 점점 차올라 수위 h1에 이르면, 싸이 폰 방류관(235)는 방류를 시작하여 수위 h2 에 이르면 방류가 차단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수위 h1 일때 식재판(240)에 식재된 수경작물(220)에 수분과 영양분 즉 질소와 인을 공급하고, 수위가 h2 일때 산소를 공급하여 부패나 병충해를 예방하고 청정수로 수경작물(220)이 성장 하게 되며, 영양염류로 오염 되었던 용수는 청정수로 정화 된다.
인공전답(200)은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지형에 따라, 또는 처리용량에 따라 직렬, 병렬 또는 직, 병렬 혼합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호수 저수지 또는 댐에 유입되는 하천수나 저류수에는 유기물이나 영양염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연고로 농업용수 수질 기준에 부적합한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선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로써 유기물을 무동력으로 BOD 5ppm ~ 8ppm 이하로 처리하여 BOD 8ppm 이하인 농업용수수질기준에 적합하게 하고, 배양액 대신 본 2차 처리로 분해되지 아니하는 질소와 인을 함유한 2차 처리수를 인공전답(200)에 공급하여, 수경작물(220)이 자라도록 함과 아울러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창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100)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여재 수납기(120)은, 도수관(130)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수는 일종의 정류벽 역할을 하는 여재수납기(120)을 고루게 통과하게 되며, 유기물이 함유된 유입수가 여재(127)사이를 흐르면, 여재수납기(120)내의 여재(127)의 표면에 미생물이 서식하면서 유기물을 흡수하여 소화 시키면서 유기물이 함유된 물은 정화된다.
개개의 여재수납기(120)을 구체(100)내에 일정간격으로 거치하기 때문에 하나하나의 여재수납기를 통과 할 때마다 흐르는 물은 대기와 접하게 되고 그때마다 대기중의 산소가 물속에 용해되어 용존산소가 증가하게 되고 미생물의 활동은 활발해져 유기물을 제거하게 되며, 유지관리도 편리하다.
여재수납기(120)을 거리를 두지 않고 차곡차곡 거치 하거나 구체(100)에 여재(127)만으로 채우고 유입관(130 a)를 밑으로부터 언더드레인으로 위로 상향류가 되도록 한 경우도 구체(100) 상단에서 대기와 접하기 때문에 용존산소는 항상 미생물 활동에 적합 하도록 공급된다.
하천수나 저류수의 오염물질농도는 매우 낮은 빈부하 상태이기 때문에 활성오니법으로는 처리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그러나 본 발병의 수면상의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은 미생물의 부착생장기반을 조성 하였고, 하천수나 저루수가 흐르는 동안 대기중의 산소가 이에 용해된 용존산소 만으로도 정화작용에 충분함으로, 별도의 폭기시설이 없어도 정화작용은 진행된다. 또한 스럿지의 발생량도 극히 적고, 자산화 작용에 의해 소화됨으로, 별도의 슬러지 배출장치가 불필요 하다.
갈수기에 하천수(10)이 고갈되어 건천화 되거나 유량이 줄어들면,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물만을 수중펌프(131)로 양수하여 급수토록 발브(132)를 조작하여 도수관(130)에 연결하여 급수한다.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에서 유기물이 제거되어 농업용수수질기준인 BOD 8 ppm 이하로 처리된 2차처리수는 연결관(140)을 통해 인공전답(200)으로 유입된다.
A 형 인공전답(200)은 일정부분을 수중에 잠기게 하는 경우이며 동절기 결빙시 아주 유효하고, B 형은 하절기의 수경재배에 유용하게 쓰이나, 계절에 관계없이 작물의 특성을 감안하여 식재 할 수 있다.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은 2차 처리시설로써 주로 유기물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은 처리되지 않고 그대로 남는다. 이러한 2차 처리수를 인공전답(200)에 공급하면, 별도의 배양액을 주입하지 않아도 수경작물(220)은 잘 자라게 된다.
그리고 인공전답(200) 내의 저면에 포설한 화산석 경사력(260)은 가벼워 시설을 장치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며, 수경작물(220)의 뿌리를 결착시켜 작물을 지지하는 생장기반이 되는 동시에, 각종 미량원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수경작물에 이들 미량원소를 공급하는 공급원이 되기도 한다.
육상에도 설치할 경우, 인공전답(200)에는 별도의 펌프를 설치하여 2차처리수를 공급한다. 인공전답(200)에서 자라나는 수경작물(220)에 의해 질소와 인이 흡수 제거된 물은, 수경작물(220)에 의해 3차처리(고도처리)가 된 후 청정수가 되어 호수 저수지 또는 댐으로 환류된다.
뿐만 아니라 인공습지는 수심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아, 많은 양의 물은 저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과 인공전답(220)은 수면에 부유하는 관계로 지형과는 무관하게 당해 시설의 계획저수량에 조금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하천은 대부분 축산폐수나 생활하수에 오염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이렇한 오염물질을 함유한 하천수가 그대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에 흘러들어 오염물질이 축적되고 농축되고 그리고 하절기에 수온이 상승하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고 질소와 인등 영양염류는 적조와 녹조를 발생시켜 수중의 용존산소를 급격히 소모시켜 생태계를 파괴한다.
따라서 수면에 설치한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에서 농업용수수질기준에 적합하게 유기물을 제거하면, 부영양화 물질인 질소와 인이 남게 되는데, 이는 수생식물에 필수 영양물질로, 수면이나, 인근 육상에 설치한 인공전답(200)에 야채를 식재하고 이를 공급하면, 부영양화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청정야채도 생산하는 경제효과도 아울러 거둘 수 있다.
수질정화 수생식물중 꽃창포 박하 이삭물수세미 부들 노랑어리연꽃 생이가래 등은 질소 인 제거하고, 박하는 pH 중화하고, 꽃창포는 COD BOD 저감하며, 미나리는 영양염류 카드뮴 납을, 물옥잠 줄 부들 꽃창포 토란은 축산폐수를, 애기부들 꽃창포 미나리 갈대는 생활하수를 정화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수질정화를 목적으로 가장 흔히 이용하는 수생식물은 부레옥잠이나, 부레옥잠은 열대지역이 원산지이므로 겨울에는 얼어 죽기 때문에 되려 수질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수중식물을 본 발명의 인공전답(200)에서 박하, 미나리, 토란 등을 재배하면, 수질정화와 청정야채 생산 지역경제의 활성화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수 있다.
농업용수 수질 기준인 BOD 8 ppm, 총 질소 1 ppm, 총인 0.1 ppm 을 초과하는 하천이나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물을 우선 2차 처리공정인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로 도수하여, 무동력으로 BOD 3 ppm ~ 8 ppm 이하로 처리하고, 이어서 이를 수경시설인 인공전답(200)으로 급수하여, 이에 잔류하는 질소와 인을 수경작물(220)이 흡수케 함으로, 별도로 비료나 배양액을 주입하지 않고도 청정야채를 재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질소와 인이 수경작물(220)의 흡수로 제거된 청정수를 다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으로 환류 시켜, 청정수질을 유지케 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인공습지는 수심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아, 많은 양의 물은 저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과 인공전답(220)은 수면에 부유하는 관계로 저수량과는 무관하게 당해시설의 계획저수량에 조금도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에, 임의 형상으로 자체의 부력을 가지거나 또는 역간접촉산화조구체(100)의 외부에 부구(110)을 장착하고, 구체(100)내에 일정 간격으로 사이사이 거리를 두어 복수개의 여재 수납기(120)을 거치하고, 여재수납기(120)내에 여재(127)을 충진하여 유입수가 횡류로 흐르게 하거나, 여재 수납기(120)을 거리를 두지 않고 차곡차곡 거치하거나 구체(100)에 여재(127)만으로 채우고 유입관(130 a)를 밑으로 부터 언더드레인으로 위로 상향류가 되도록 연결하는 2차 처리공정인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을 수면에 장치하되, 이를 일정 규격으로 제작하여 이를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형으로 조합하여 설치하고, 구체(100)의 전면에는 하천(10)의 수중보(20)에 도수관(130)을 연결하거나,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중에 수중펌프(131)을 설치하고, 후면에는 연결관(140)으로 인공전답(200)에 연결하여 하여, 무동력으로 유기물을 제거하는 2차처리공정의 수질을 정화하는 단계;
    그리고 동일수면에 자체의 부력을 가지거나 부구(210)을 장착한 임의 형상의 인공전답(200)을 장치하되, 그 내부의 일정부분을 수중에 잠기게 하고, 그 내부 저면에는 화산석을 파쇄하여서 된 경사력(輕沙礫)(260)을 포설하고, 그 위에 복수개의 식재공(250)이 천공된 식재판(240)으로 덮고 고정하여, 작물의 뿌리가 자라서 고착 되도록 하거나, 또는 인공전답(200)을 부구(210)위에 거치하여 수면위에 위치토록 하고, 복수개의 식재공(250)을 천공한 식재판(240)을 인공전답(200)의 상단에 결착하고, 수경작물(220)의 뿌리나 줄기를 그대로 또는 스펀지로 감싸 식재공(250)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뿌리가 인공전답(200)의 내부 수위 h1 이하에 위치하도록 하는 인공전답을 수면에 장치하되,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지형에 따라, 또는 처리용량에 따라 직렬, 병렬 또는 직, 병렬 혼합형으로 조합하여 설치하고,
    또는 육상에 부구(210)을 장착하지 아니한 상기한 인공전답(200)을 설치하여 연결관(140)으로 2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2차 처리공정에서 미처리된 질소와 인을 수경작물(220)이 흡수하고 성장할 수 있게 하여, 배양액을 추가로 공급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3차처리(고도처리)하여 호수 저수지 또는 댐으로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2.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에, 임의 형상으로 자체의 부력을 가지거나 또는 역간접촉산화조구체(100)의 외부에 부구(110)을 장착하고, 구체(100)내에 일정 간격으로 사이사이 거리를 두어 복수개의 여재 수납기(120)을 거치하고, 여재수납기(120)내에 여재(127)을 충진하여 유입수가 횡류로 흐르게 하거나, 여재 수납기(120)을 거리를 두지 않고 차곡차곡 거치하거나 구체(100)에 여재(127)만으로 채우고 유입관(130 a)를 밑으로 부터 언더드레인으로 위로 상향류가 되도록 연결하는 2차 처리공정인 부유역간접촉산화시설을 수면에 장치하되, 이를 일정 규격으로 제작하여 이를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형으로 조합하여 설치하고, 구체(100)의 전면에는 하천(10)의 수중보(20)에 도수관(130)을 연결하거나,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중에 수중펌프(131)을 설치하고, 후면에는 연결관(140)으로 인공전답(200)에 연결하여 하여, 무동력으로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3.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에 자체의 부력을 가지거나 부구(210)을 장착한 임의 형상의 인공전답(200)을 장치하되, 그 내부 저면에는 화산석을 파쇄하여서 된 경사력(輕沙礫)(260)을 포설하고, 그 위에 복수개의 식재공(250)이 천공된 식재판(240)으로 덮고 고정하여, 작물의 뿌리가 자라서 고착 되도록 하거나, 또는 인공전답(200)을 부구(210)위에 거치하여 수면위에 위치토록 하고, 복수개의 식재공(250)을 천공한 식재판(240)을 인공전답(200)의 상단에 결착하고, 수경작물(220)의 뿌리나 줄기를 그대로 또는 스펀지로 감싸 식재공(250)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뿌리가 인공전답(200)의 내부 수위 h1 이하에 위치하도록 하는 인공전답을 수면에 장치하되,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지형에 따라, 또는 처리용량에 따라 직렬, 병렬 또는 직, 병렬 혼합형으로 조합하여 설치하고, 또는 육상에 부구(210)을 장착하지 아니한 상기한 인공전답(200)을 설치하여 연결관(140)으로 2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2차 처리공정에서 미처리된 질소와 인을 수경작물(220)이 흡수하고 성장할 수 있게 하여, 배양액을 추가로 공급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3차처리(고도처리)하여 호수 저수지 또는 댐으로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의 형상의 접촉산화조 구체(100)과 인공전답(200)의 구체는 강판, 스텐레스강판, PVC판, 스치로폼 또는 후레임에 방수포를 결착하여서 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방법
  5.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재수납기(120)은 스텐레스 망, 스텐레스강 타공판, 또는 합성섬유망, 스텐레스망 등을 후레임에 결착시키거나, 구체(100)에 여재수납기(120)은 거치하지 않고 직접 접촉여재(127)을 투입 하여서 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방법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여재(127)은 건비중이 0.1~1.0 g/㎤, 입경이 3~70 ㎜ 의 경량골재 또는 화산석을 파쇄한 경사력260), 임의형상인 상하유공의 중공 합성수지제 접촉여재, 합성수지제품에 경량골재소립자를 부착시켜서 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방법.
KR20070018355A 2007-02-23 2007-02-23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851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8355A KR100851923B1 (ko) 2007-02-23 2007-02-23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8355A KR100851923B1 (ko) 2007-02-23 2007-02-23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923B1 true KR100851923B1 (ko) 2008-08-13

Family

ID=3988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8355A KR100851923B1 (ko) 2007-02-23 2007-02-23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9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06B1 (ko) * 2009-11-27 2010-09-16 이도원 플로팅 정화장치.
CN106630385A (zh) * 2016-11-21 2017-05-10 双鱼(武汉)水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养殖尾水再生利用的水上稻作方法
CZ307519B6 (cs) * 2017-09-08 2018-11-07 Jihočeská Univerzita V Českých Budějovicích, Fakulta Rybářství A Ochrany Vod Zařízení k čištění odpadní vody
KR102075959B1 (ko) * 2019-07-23 2020-02-12 박용준 하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그 고도처리방법
CN112806185A (zh) * 2020-12-31 2021-05-18 绵阳市安州区新民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水稻生态循环养殖系统及养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558Y1 (ko) 2000-05-01 2000-09-15 김준수 뗏목형 인공 식물섬
KR200362639Y1 (ko) 2004-05-21 2004-09-2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558Y1 (ko) 2000-05-01 2000-09-15 김준수 뗏목형 인공 식물섬
KR200362639Y1 (ko) 2004-05-21 2004-09-2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06B1 (ko) * 2009-11-27 2010-09-16 이도원 플로팅 정화장치.
WO2011065740A2 (ko) * 2009-11-27 2011-06-03 Lee Do Won 플로팅 정화장치
WO2011065740A3 (ko) * 2009-11-27 2011-11-17 Lee Do Won 플로팅 정화장치
CN106630385A (zh) * 2016-11-21 2017-05-10 双鱼(武汉)水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养殖尾水再生利用的水上稻作方法
CN106630385B (zh) * 2016-11-21 2019-04-02 双鱼(武汉)水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养殖尾水再生利用的水上稻作方法
CZ307519B6 (cs) * 2017-09-08 2018-11-07 Jihočeská Univerzita V Českých Budějovicích, Fakulta Rybářství A Ochrany Vod Zařízení k čištění odpadní vody
KR102075959B1 (ko) * 2019-07-23 2020-02-12 박용준 하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그 고도처리방법
CN112806185A (zh) * 2020-12-31 2021-05-18 绵阳市安州区新民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水稻生态循环养殖系统及养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6997C (zh) 可调节地浮动的增强型浮岛
CN101333041B (zh) 生态浮岛及其建造方法
KR100818912B1 (ko) 수생초목을 이용한 오수의 자연고도 정화장치
JPWO2008081554A1 (ja) 各種植物および微生物の水質浄化機能を利用した富栄養化汚染水域の総合的水質改善システム。
CN201264948Y (zh) 生态浮岛
CN108314189A (zh) 人工湿地无动力生态系统的构建方法
CN212425588U (zh) 一种利用生态湖提升尾水水质装置
JP2002102884A (ja) 生態系を応用したユニット型廃水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851923B1 (ko)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690177B1 (ko)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수경재배 기능을 갖는 부유식 수질정화장치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CN113754204A (zh) 一种水产养殖污染防控与水资源循环利用系统及操作方法
JP3482619B2 (ja) ヨシを利用するヘドロ処理施設及びヘドロ処理方法
JP6757923B2 (ja) 下水処理水を用いた低カリウム含有植物の栽培装置及び栽培方法
KR100264091B1 (ko) 수상식물 재배장치
GB2477629A (en) Treatment of water pollution utilising plants with aerenchyma tissues
KR20080078354A (ko) 수경재배 방법 및 그 장치
US6841071B2 (en) Symbiotic residual water treatment station
CN110615537B (zh) 一种农业面源污染废水立体阻控生态净化系统及构建方法
KR20010001546A (ko) 수생식물 식생매트
CN112158957A (zh) 一种滨海城市半咸水体污染底泥的沉水植物修复方法
CN101134624A (zh) 一种饮用水源地的水华防控方法
KR100707837B1 (ko) 미생물 증식을 통한 점적 호소정화장치
CN207108605U (zh) 一种用于黑臭水体处理的生物浮岛及生物柱一体化装置
JPH03514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