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145B1 -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145B1
KR100851145B1 KR1020010085079A KR20010085079A KR100851145B1 KR 100851145 B1 KR100851145 B1 KR 100851145B1 KR 1020010085079 A KR1020010085079 A KR 1020010085079A KR 20010085079 A KR20010085079 A KR 20010085079A KR 100851145 B1 KR100851145 B1 KR 100851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tector
unit
cran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4688A (ko
Inventor
이원종
양윤권
시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5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1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8Remote control of electric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크레인의 레일길이축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져 위치검출기와 레일의 폭방향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저 위치검출기를 포함하는 주위치 검출기를 포함하여,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위치검출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신호 변환부; 상기 크레인의 바퀴에 연동하여 회전에 따른 펄스를 발생하는 예비위치검출기; 상기 레일의 설치위치에 설치하여, 레일 통과시 해당 접점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 상기 예비위치검출기로부터의 위치정보로 변환시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신호 입력시 저장값을 리세트한후 해당 접점신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보정 처리부; 상기 주위치 검출기의 감지오류를 검출하는 감지오류 검출부; 상기 감지오류 검출부로부터의 오류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신호 변환부에 의한 위치신호 또는 상기 위치보정 처리부에 의한 위치신호를 선택하는 검출기 선택부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기 선택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신호는 제어부로 입력되어 이 제어부가 입력된 위치신호에 기초해서 크레인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 자동전환, 위치 검출장치

Description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APPARATUS FOR SWITCHING AND POSITION COMPENSATION OF CRANE POSITION DETECTOR}
도 1은 종래의 자동화 크레인의 위치검출기 및 검출방법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위치보정 처리부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 보정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화 크레인 2,7 : 레이져위치검출기의 레이져 반사판
3,4 : 레이져위치 검출기 20a,20b : 예비위치검출기(엔코더)
21a,21b : 절대위치 스위치 22 : 검출신호 변환부
23 : 위치보정 처리부 24 : 감지오류 검출부
25 : 검출기 선택부 231 : 펄스/디지탈 컨버터
232 : 엔코더 초기화부 233 : 단위환산부
234 : 절대위치 입력부 235 : 저장부
236 : 거리단위 환산부 S1 : 주위치 검출기의 위치신호
S2 : 예비위치검출기의 위치신호
본 발명은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간 압연 공정에서 소재를 공급받아 수냉설비에서 수냉을 하여 냉간압연공정에 소재를 공급하는 자동화 크레인에서, 소재위치에 따라 자동 작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검출기를 주위치 검출기와 예비위치검출기를 각각 설치하여, 주위치 검출기가 검출불능시 예비위치검출기로 자동 전환시키도록 함으로서, 위치검출 불능으로 인한 오작동 및 작업중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크레인에 있어 자동화 작업은 상위 컴퓨터에서 작업정보를 지시받아 소재위치를 찾아 자동작업을 함에 있어서 크레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야 하는데 이는 작업소재의 위치와 크레인을 일치시켜 운전자가 다른 작업자의 도움을 필요없이 자동으로 물류 작업을 단독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비로서, 자동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크레인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여야 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화 크레인의 위치검출기 및 검출방법 설명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자동화 크레인에 대한 위치검출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레이저 위치 검출기를 사용하는데, 즉, 레일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 1에서 세로축(레일 길이축)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저 위치검출기(2.3)과, 레일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도 1에서 가로축(레일 폭축)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저 위치 검출기(4,7)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레이져 위치검출기에 대해서 설명하면, 레이져 센서에서 레이져를 방출하여 절대위치(벽면)에 설치된 레이져 반사판에 레이져를 쏘아 반사되어 돌아온 레이져를 감지하여 그 시간을 가지고 크레인과 절대위치(반사판)간 거리를 환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레이 위치검출기를 이용하는 종래 위치검출장치에 있어서, 열연공정과 냉연공정의 사이에 위치한 수냉설비에서는 수냉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증기의 발생이 과대하게 발생되므로, 레이져 센서와 반사판과의 사이에 수증기에 의한 외란이 개입되어 레이져를 이용하여 위치를 감지할 수 없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감지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운전자는 크레인 위 치를 인지할 수 없어 단독으로 물류위치를 찾을 수 없으며, 결국, 크레인 자동화는 불가능한 현상이 발생되어 자동크레인 작업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크레인 자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지속되면 소재 공급이 지연되고 이에 따라 압연공정 및 열연공정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간 압연 공정에서 소재를 공급받아 수냉설비에서 수냉을 하여 냉간압연공정에 소재를 공급하는 자동화 크레인에서, 소재위치에 따라 자동 작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검출기를 주위치 검출기와 예비위치검출기를 각각 설치하여, 주위치 검출기가 검출불능시 예비위치검출기로 자동 전환시키도록 함으로서, 위치검출 불능으로 인한 오작동 및 작업중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작업중인 크레인의 정확한 위치값을 인지하여 작업소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내어 자동으로 상위 컴퓨터와 연계한 작업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화 크레인에 의한 작업지연과 오작업을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크레인의 레일길이축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져 위치검출기와 레일의 폭방향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저 위치검출기를 포함하는 주위치 검출기를 포함하여,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위치검출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신호 변환부; 상기 크레인의 바퀴에 연동하여 회전에 따른 펄스를 발생하는 예비위치검출기; 상기 레일의 설치위치에 설치하여, 레일 통과시 해당 접점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 상기 예비위치검출기로부터의 위치정보로 변환시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신호 입력시 저장값을 리세트한후 해당 접점신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보정 처리부; 상기 주위치 검출기의 감지오류를 검출하는 감지오류 검출부; 상기 감지오류 검출부로부터의 오류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신호 변환부에 의한 위치신호 또는 상기 위치보정 처리부에 의한 위치신호를 선택하는 검출기 선택부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기 선택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신호는 제어부로 입력되어 이 제어부가 입력된 위치신호에 기초해서 크레인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 검출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 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는 크레인의 레일길이축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져 위치검출기(2,3)와 레일의 폭방향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저 위치검출기(4,7)를 포함하는 주위치 검출기를 포함하며, 이는 크레인 위치 제어장치에 적용되어 크레인 위치제어장치(30)가 보다 정확한 위치제어를 할 수 있도록 오류발생없이 보다 정확하고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는 상기 주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위치검출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신호 변환부(22)와, 상기 크레인의 바퀴에 연동하여 회전에 따른 펄스를 발생하는 예비위치검출기(20a,20b)와, 상기 레일의 설치위치에 설치하여, 레일 통과시 해당 접점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21a,21b)와, 상기 예비위치검출기(20a,20b)로부터의 위치정보로 변환시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21a,21b)로부터의 접점신호 입력시 저장값을 리세트한후 해당 접점신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보정 처리부(23)와, 상기 주위치 검출기(23)의 감지오류를 검출하는 감지오류 검출부(24)와, 상기 감지오류 검출부(24)로부터의 오류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신호 변환부(22)에 의한 위치신호(S1) 또는 상기 위치보정 처리부(23)에 의한 위치신호(S2)를 선택하는 검출기 선택부(25)로 구성한다.
도 3은 도 2의 위치보정 처리부 상세 블록 구성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보정 처리부는 상기 예비위치검출기로부터의 펄스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펄스/디지탈 컨버터(231)와,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로부터 접점신호 입력시 상기 펄스/디지탈 컨버터(231)의 디지털신호를 리세트시키는 엔코더 초기화부(232)와, 상기 엔코더 초기화부(232)에 의한 디지털신호를 위치신호로 환산하는 단위환산부(233)와, 상기 단위환산부(233)로부터의 위치신호를,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신호 입력시 해당 절대위치로 교체하여 제공하는 절대위치 입력부(234)와, 상기 절대위치 입력부(234)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단위를 변환하는 거리단위 환산부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 보정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레이져위치검출기(주행(3),횡행(4))가 설치되어 있으나 수냉장 작업여건상 작업중 수증기가 대량 발생되는 현상이 수시로 발생되므로 레이져 센서검 출기와 반사판사이의 수증기로 인한 레이져 검출기가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주행,횡행의 구동부에 엔코더(주행(20a),횡행(20b))을 설치하여 크레인 구동시에 발생되는 펄스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엔코더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절대위치포인트(21a,21b)를 주행과 횡행에 2곳을 선정하여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를 크레인 이동시에 감지하도록 하여 감지시에 해당 절대위치값으로 대체함과 동시에 크레인 이동시에 입력되는 연속적인 엔코더의 위치값을 실시간으로 보상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위치 검출장치는 크레인이 동작중에 크레인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먼저, 레이저 위치검출기(2,3,4,7)가 종래와 같이 크레인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신호 변환부가 상기 주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위치검출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데, 이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예비위치검출기는 상기 크레인의 바퀴에 연동하여 회전에 따른 펄스를 발생하고, 그리고,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는 상기 레일의 설치위치에 설치하여, 레일 통과시 해당 접점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위치보정 처리부는 상기 예비위치검출기로부터의 위치정보로 변환시 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신호 입력시 저장값을 리세트한후 해당 접점신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보정 처리부의 펄스/디지탈 컨버터(231)는 상기 예비위치검출기로부터의 펄스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펄스발생기(PLG)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펄스/디지탈 컨버터(231)에서 정방향시에는 양의 카운트 값으로, 역방향시에는 음의 카운트값으로 변환을 한다.
그리고, 엔코더 초기화부(232)는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로부터 접점신호 입력시 상기 펄스/디지탈 컨버터(231)의 디지털신호를 리세트시키며, 이 값은 엔코더 초기화부(232)로 입력되어 크레인 이동에 따라 값을 변환하고, 이때 리미트 스위치 a,b의 절대위치 포인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있으면 저장값은 펄스발생기(PLG) 에서 입력되는 카운트값으로 가감산되어 저장된다. 하지만 크레인 이동시에 미리 설정된 절대위치 a,b를 지날 때 리미트 신호가 발생되어 절대위치포인트 신호가 들어오게 되면 접점이 바뀌어 지금까지 저장된 모든 카운터 값이 0으로 초기화 되어 설정되게 된다.
다음, 단위환산부(233)는 상기 엔코더 초기화부(232)에 의한 디지털신호를 위치신호로 환산하는데, 이는 저장된 값이 다음의 단위환산부(233)로 가게 되면 카 운터 값이 계산에 의해 거리값으로 환산된다. 이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를 들어, 구동부 바퀴의 지름이 25 Cm, 원주율이 3.14, 엔코더 펄스수가 600 P/ R이고, 지름 * 3.14 하면 원주길이가 78.5 Cm일 경우, 환산된 거리는 78.5 / 600 = 0.1308 Cm가 된다 즉, 펄스 한 개가 0.1308Cm를 의미한다. 또한, 지금까지 카운터한 펄스의 수가 1000개라고 하면 크레인이 움진인 거리는 총 130.8Cm를 움직였다고 볼수 있다.
이후, 절대위치 입력부(234)는 상기 단위환산부(233)로부터의 위치신호를,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신호 입력시 해당 절대위치로 교체하여 제공하는데, 상기와 같이, 계산된 값은 다음의 a,b절대위치 입력부(234)를 거치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크레인의 정지시에 발생하는 슬립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크레인 주행 또는 횡행상에 미리 설정된 특정위치에 리미트 스위치 a,b를 설치하여 크레인이 이동시에 이를 감지하여 물리적으로 설정된 a절대위치 포인트(21a)값 또는 b절대위치 포인트(21b)값을 설정하여 a나b의 신호에 따라 값을 설정하고 또한 지금까지 측정된 모든 거리값은 절대값으로 대체하고 초기화하는 기능을 가진 부분이다. 또한 이때 엔코더 초기화부(232)에서는 엔코더의 입력값을 0로 함께 초기화하여 입력된 절대위치값으로부터 크레인의 위치를 추적할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저장부(235)는 상기 절대위치 입력부(234)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그리고, 거리단위 환산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단위를 변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감지오류 검출부(24)는 상기 주위치 검출기의 감지오류를 검출하는데, 이는 검출신호에 따른 거리가 사전에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오류로 판단한다. 예를들어, 크레인의 레일길이 방향의 정해진 거리 및 레일 폭이 사전에 정해져 있는데, 레이져 위치검출기 사이에 수증기가 존재하여 검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위치검출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검출신호에 해당하는 거리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즉, 레이져 위치검출기(3)의 동작상태를 감지오류 검출부(24)에서 수증기에 의한 레이져 차단이 발생되어 반사판에 레이져가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레이져 송신후 수신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그 오류유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후, 검출기 선택부(25)가 상기 감지오류 검출부로부터의 오류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신호 변환부에 의한 위치신호 또는 상기 위치보정 처리부에 의한 위치신호를 선택하여 크레인의 위치를 제어하는 크레인 위치 제어기로 제공한다. 즉, 검출기 선택부(25)에 입력하여 정상일때는 검출신호 변환부(22)에서 검출한 레이져 위치검출기값(S1)을 사용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있는 예비위치검출기의 위치신호(S2)로 즉시 전환하도록 판단한다. 이상과 같이 실 시간으로 레이져 위치검출기(3)의 상태를 감지오류 검출부(24)에서 측정가능과 불가능을 판단하여 엔코더와 레이져 위치검출기를 자동 전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져 검출기(3)에서는 레이져 검출신호 변환부(22)에서 위치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레이져 감지오류 검출부(24)에서는 레이져 검출기(3) 동작상태를 레이져 송신과 수신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센서 감지오류상태를 판단하여 오류시에는 검출기 선택부(25)에 신호를 전달하여 즉시 엔코더 위치계산부에서 계산된 위치값으로 즉시 자동 전환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크레인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고 엔코더 측정값으로 전환중에 레이져 검출기(3)가 정상적으로 측정되어 정상상태로 돌아오면 레이져 감지오류 검출부(24)는 다시 검출기 선택부(25)에 신호를 전달하여 레이져 위치측정값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이는 레이져는 구동부의 슬립등에 의한 측정오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주 측정원으로 설정한 이유이다.
그리고, 검출기 선택부(25)는 측정원에 관계없이 항상 위치값을 동시에 입력받아 레이져 감지오류 검출부(3)의 신호에 따라 레이져나 엔코더의 위치값으로 선택, 그 값을 크레인 위치제어부(30)으로 전달하여 자동화 크레인에서 크레인 위치와 소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운전자가 연속적인 자동작업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소재 정보를 상위 컴퓨터로 자동으로 전달하여 열연공정과 냉연공정의 물류 흐름이 원할하게 하여 물류 처리의 향상과 오조작에 의한 작업 지연발생을 방 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a를 참조하면, S41-S44에서는 레이져 검출기에서 측정된 값과 레이져 검출기의 감지오류(측정이상)발생과 엔코더에서 펄스에 따른 카운트값 가감과 위치환산 및 절대위치 a,b 대체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고, 도 4b를 참조하면, S51-S55에서는 펄스발생기에 의한 펄스를 계수하고, 절대위치 스위치의 점점시노 입력시 리세트하는 과정과, 이후 절대위치 및 펄스의 계수값으로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4c를 참조하면, S61-S65에서 각 절대위치 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에 점점신호가 입력되어 사전에 정해진 절대위치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의해서, 정상상태의 경우에는 감지오류 검출부(24)에서 정상으로 출력되므로 검출기 선택부(25)의 접점이 주위치 검출기의 위치신호로 연결이 되어 제어부에서 이 값을 사용한다. 비정상 상태에서는 감지오류 검출부가 비정상으로 판정하므로 스위치(25)의 접점이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있는 예비위치검출기의 위치신호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크레인 위치 제어기는 오류없이 정확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크레인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간 압연 공정에서 소재를 공급받아 수냉설비에서 수냉을 하여 냉간압연공정에 소재를 공급하는 자동화 크레인에서, 소재위치에 따라 자동 작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검출기를 주위치 검출기와 예비위치검출기를 각각 설치하여, 주위치 검출기가 검출 불능시 예비위치검출기로 자동 전환시키도록 함으로서, 위치검출 불능으로 인한 오작동 및 작업중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크레인의 레일길이축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져 위치검출기(2,3)와 레일의 폭방향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저 위치검출기(4,7)를 포함하는 주위치 검출기를 포함하여,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위치검출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신호 변환부(22);
    상기 크레인의 바퀴에 연동하여 회전에 따른 펄스를 발생하는 예비위치검출기(20a,20b);
    상기 레일의 설치위치에 설치하여, 레일 통과시 해당 접점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21a,21b);
    상기 예비위치검출기(20a,20b)로부터의 위치정보로 변환시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21a,21b)로부터의 접점신호 입력시 저장값을 리세트한후 해당 접점신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보정 처리부(23);
    상기 주위치 검출기의 감지오류를 검출하는 감지오류 검출부(24);
    상기 감지오류 검출부(24)로부터의 오류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신호 변환부(22)에 의한 위치신호(S1) 또는 상기 위치보정 처리부(23)에 의한 위치신호(S2)를 선택하는 검출기 선택부(25)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기 선택부(25)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신호는 제어부(30)로 입력되어 이 제어부가 입력된 위치신호에 기초해서 크레인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 처리부(23)는
    상기 예비위치검출기로부터의 펄스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펄스/디지탈 컨버터(231);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로부터 접점신호 입력시 상기 펄스/디지탈 컨버터(231)의 디지털신호를 리세트시키는 엔코더 초기화부(232);
    상기 엔코더 초기화부(232)에 의한 디지털신호를 위치신호로 환산하는 단위환산부(233);
    상기 단위환산부(233)로부터의 위치신호를, 상기 복수의 절대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신호 입력시 해당 절대위치로 교체하여 제공하는 절대위치 입력부(234);
    상기 절대위치 입력부(234)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35);
    상기 저장부(235)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단위를 변환하는 거리단위 환산부(23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010085079A 2001-12-26 2001-12-26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KR10085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079A KR100851145B1 (ko) 2001-12-26 2001-12-26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079A KR100851145B1 (ko) 2001-12-26 2001-12-26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688A KR20030054688A (ko) 2003-07-02
KR100851145B1 true KR100851145B1 (ko) 2008-08-08

Family

ID=3221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079A KR100851145B1 (ko) 2001-12-26 2001-12-26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1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862A (ko) * 1996-04-03 1997-11-07 유상부 벡터제어방식과 v/f제어방식을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크레인의 가변구동장치
KR19990002633A (ko) * 1997-06-20 1999-01-15 이대원 크레인 위치감지시스템
KR19990061975A (ko) * 1997-12-31 1999-07-26 이해규 쓰레기소각설비용크레인운전시스템
JP2001240391A (ja) * 2000-03-02 2001-09-04 Daifuku Co Ltd 移動体の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862A (ko) * 1996-04-03 1997-11-07 유상부 벡터제어방식과 v/f제어방식을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크레인의 가변구동장치
KR19990002633A (ko) * 1997-06-20 1999-01-15 이대원 크레인 위치감지시스템
KR19990061975A (ko) * 1997-12-31 1999-07-26 이해규 쓰레기소각설비용크레인운전시스템
JP2001240391A (ja) * 2000-03-02 2001-09-04 Daifuku Co Ltd 移動体の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688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1697B2 (en) Work robot system and work robot
KR100851145B1 (ko) 수냉장 크레인 위치검출기의 자동전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KR20130083338A (ko) 공작 기계의 공구대 위치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066195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 tool of a machine tool in the visual field of a visual system and relative machine tool
US4504917A (en) Device for controlling reversal points of a reciprocating machining member
JP2019136790A (ja) ロボット
KR102033887B1 (ko) 팔렛트 트래킹 및 속도 동기 장치
KR101218960B1 (ko) 근접 센서를 이용한 위치 보정 시스템
US200902710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vement device
US56017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rc welding robot
JP2009300354A (ja) 内部情報出力機能を有するエンコーダ
US666594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touch probe system and a touch probe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0270271B1 (ko) 이동기계장치의정위치제어시스템
KR102378800B1 (ko) 챔버내 로봇추적제어시스템
KR19990002633A (ko) 크레인 위치감지시스템
JP2965816B2 (ja) 窯芯検出装置
KR940008590B1 (ko) 아크용접 로보트의 툴(Tool)선 이상 검출처리방법
JP7277291B2 (ja) サーボモータの制御装置
JP2577885B2 (ja) 搬送装置の走行制御装置
KR890003637B1 (ko) 수치제어기의 오동작 방지법
JP2577886B2 (ja) 搬送装置の走行制御装置
JP2022131839A (ja) 停止位置検知システム
WO2019208758A1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JPH0895621A (ja) 可動部の原点調整方法及び原点調整装置
KR19990060986A (ko)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속도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