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870B1 -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870B1
KR100850870B1 KR1020070062049A KR20070062049A KR100850870B1 KR 100850870 B1 KR100850870 B1 KR 100850870B1 KR 1020070062049 A KR1020070062049 A KR 1020070062049A KR 20070062049 A KR20070062049 A KR 20070062049A KR 100850870 B1 KR100850870 B1 KR 100850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
shift
detent
groove
manu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6Selector shaft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elector or shift shaft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은 물론 셀렉트 조작 시에도 절도감을 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동변속기에 고정된 몸체(10)를 관통하여 축설되어,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시프트 조작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셀렉트 로드(100)를 포함한 디텐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절입 형성된 셀렉트 그루브(200)가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축방향으로 절입 형성된 시프트 그루브(300)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둘레에는 그 중앙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 또는 상기 시프트 그루브(300) 내에 위치하는 원추 형상의 디텐트(400)가 마련되어, 운전자의 조작감을 향상시켜 감성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디텐트, 시프트, 셀렉트, 그루브, 변속기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Detent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일반적인 변속기구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일반적인 수동변속기의 어퍼 커버 몸체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도 3의 C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00 : 셀렉트 로드
200 : 셀렉트 그루브 300 : 시프트 그루브
400 : 디텐트 500 : 실린더
510 : 탄성체 520 : 볼트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은 물론 셀렉트 조작 시에도 절도감을 주기 위한 장치로써, 운전자의 조작감을 향상시켜 감성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속기구를 도시하는 도로서, 일반적으로 차량에 마련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레버(2)의 조작에 따라 그 조작력이 케이블(3)을 통하여 수동변속기(1)에 전달되어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변속레버(2)의 좌우 방향 셀렉트 조작과 전후 방향 시프트 조작을 각각 수동변속기(1)에 전달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케이블(3)이 마련되며, 이러한 케이블(3)은 수동변속기(1) 상부에 마련된 어퍼 커버(upper cover) 몸체(10)의 셀렉트 레버(11) 및 시프트 레버(1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수동변속기의 어퍼 커버 몸체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레버(2)의 셀렉트 조작은 셀렉트 레버(11)를 도면상 a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그 저부에 위치하는 컨트롤 핑거(control finger)(13) 및 셀렉트 로드(100)를 도면상 A방향(다시 말해, 셀렉트 로드(100)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변속레버(2)의 시프트 조작은 시프트 레버(12)를 도면상 b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셀렉트 로드(100)가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컨트롤 핑거(13)는 도면상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4는 도 3의 C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상기 컨트롤 핑거(13)는 셀렉트 조작과 시프트 조작(B방향)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일(21)의 위치를 제어하여 변속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변속레버(2)의 시프트 조작 시 절도감을 발생시키는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detent) 장치로는 도 4와 같이, 시프트 레일(21)의 외주면 상측에 원주방향으로 절입 형성된 그루브(groove)(21a)가 축방향(도면상 B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그루브(21a) 내에 탄성체(23)에 의하여 탄지 되는 볼(22)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시프트 조작 시 상기 시프트 레일(21)이 도면상 B방향으로 이동할 때 볼(22)이 그루브(21a) 내에 탄력적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절도감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는 오직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 시에만 절도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 시에는 절도감을 줄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조작감 및 감성품질이 떨어지고 있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변속기에 있어서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은 물론 셀렉트 조작 시에도 절도감을 줄 수 있음으로써 운전자의 조작감을 향상시켜 감성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변속기의 디텐 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에 고정된 몸체를 관통하여 축설되어,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시프트 조작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셀렉트 로드를 포함한 디텐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로드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절입 형성된 셀렉트 그루브가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축방향으로 절입 형성된 시프트 그루브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셀렉트 로드의 둘레에는 그 중앙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상기 셀렉트 그루브 또는 상기 시프트 그루브 내에 위치하는 원추 형상의 디텐트가 마련된 것으로써 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의 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에 따라 셀렉트 로드(100)가 각각 축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및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이용하여, 이 셀렉트 로드(100) 상에 셀렉트 그루브(200) 및 시프트 그루브(300)를 모두 형성하고,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 및 시프트 그루브(300) 내에 탄력적으로 위치하는 디텐트(400)를 마련함으로써,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은 물론 셀렉트 조작 시에도 절도감을 부여할 수 있 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셀렉트 로드(100)는 수동변속기 상부에 고정된 몸체(10)(어퍼 커버 몸체, 도 1 참조)를 관통하여 축설된 것으로, 운전석에 마련된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에 따라 축방향(도 2의 A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변속레버의 시프트 및 셀렉트 조작에 따라 상기 셀렉트 로드(100)가 동작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외주면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셀렉트 그루브(200) 및 시프트 그루브(300)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는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절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축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그루브(300)는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축방향으로 따라서 절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위치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둘레에는 원추 형상의 디텐트(400)가 다수 위치하여 그 중앙을 향하여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디텐트(400)의 첨단(尖端)은 각각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 또는 상기 시프트 그루브(30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 시 상기 셀렉트 로드(100)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어느 한 셀렉트 그루브(200) 내에 그 첨단이 위치하는 디텐트(400)는 그 이웃하는 다른 셀렉트 그루브(200)로 옮겨짐에 따라 탄력적으로 절도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시프트 그루브(300) 내에 그 첨단이 위치하는 다른 디텐트(400)는 현재 위치한 시프트 그루브(300) 내에서 빠져 나오지 않고 셀렉트 로드(10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 시 상기 셀렉트 로드(10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어느 한 시프트 그루브(300) 내에 그 첨단이 위치하는 디텐트(400)는 그 이웃하는 다른 시프트 그루브(300)로 옮겨짐에 따라 탄력적으로 절도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셀렉트 그루브(200) 내에 그 첨단이 위치하는 다른 디텐트(400)는 현재 위치한 셀렉트 그루브(200) 내에서 빠져 나오지 않고 셀렉트 로드(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시프트 조작할 때는 물론 셀렉트 조작을 할 때에도 절도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400)의 첨단은 소정 곡률로 라운딩 처리되며,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 및 시프트 그루브(300)는 상기 디텐트(400)의 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딩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추 형상의 디텐트(400) 첨단을 비교적 작은 곡률로 뾰족하게 성형할 경우 보다 큰 절도감을 줄 수 있으며, 비교적 큰 곡률로 성형할 경우 보다 부드러운 절도감을 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 및 시프트 그루브(300)는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외주면 상에 3개가 한 조를 이루어 2조씩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는 현재 수동변속기가 통상 전진 5속과 후진 1속을 포함 총 6속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에 대응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에 위치한 변속레버를 전후방으로 시프트 할 수 있도록 총 3개의 시프트 그루브(300)와 상기 변속레버를 좌우로 셀렉트 할 수 있도록 총 3개의 셀렉트 그루브(200)가 각각 한 조를 이루어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상기 셀렉트 로드(100) 상에 성형될 수도 있지만, 만약 시프트나 셀렉트 단수가 많아지거나 적어진다면 그에 따라 상기 시프트 그루브(300)나 셀렉트 그루브(200)의 개수를 증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는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외주면 상에 32°의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프트 그루브(300)는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외주면 상에 16°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변속레버의 절도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의 폭이 32°이고 상기 시프트 그루브(300)의 간격이 16°이므로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 시, 소정 시프트 그루 브(300) 내에 위치하던 디텐트(400)의 첨단은 그 이웃하는 다른 시프트 그루브(300)로 이동하지만, 소정 셀렉트 그루브(200) 내에 위치하는 디텐트(400)는 다른 셀렉트 그루브(200)로 이동하지는 않게 된다.
이뿐 아니라, 상기와 같이 2조의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와 시프트 그루브(300)는 상기 셀렉트 로드(100) 상에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되, 서로 직각의 위상차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디텐트(400)는 상기 셀렉트 로드(100)를 중심으로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네 개가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셀렉트 로드(100)의 외주면 상에 한 쌍의 셀렉트 그루브(200)와 한 쌍의 시프트 그루브(300)가 각각 교번 하여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위치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 개의 디텐트(400)가 90도의 위상차를 상기 셀렉트 로드(100) 둘레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디텐트(400)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실린더(500) 내에 위치하여 탄성체(510)에 의하여 탄지 되며, 상기 실린더(500)는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10)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다수의 디텐트(400)에 대한 설치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린더(500)는 디텐트(400)가 위치하는 반대측 개구가 볼트(520)에 의하여 밀폐되어, 상기 탄성체(510)는 이 볼트(52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트(520)의 체결 깊이에 따라 디텐트(40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절도감을 증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지 보수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는 변속레버의 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에 따라 셀렉트 로드(100)가 각각 축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및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이용하여, 이 셀렉트 로드(100) 상에 셀렉트 그루브(200) 및 시프트 그루브(300)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고, 상기 셀렉트 그루브(200) 및 시프트 그루브(300) 내에 그 첨단이 탄력적으로 위치하는 디텐트(400)를 마련함으로써,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 시에는 물론 셀렉트 조작 시에도 절도감을 부여할 수 있음으로써, 운전자의 감성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에 있어서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은 물론 셀렉트 조작 시에도 절도감을 줄 수 있음으로써 운전자의 조작감을 향상시켜 감성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수동변속기에 고정된 몸체를 관통하여 축설되어,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시프트 조작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셀렉트 로드를 포함한 디텐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로드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절입 형성된 셀렉트 그루브가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축방향으로 절입 형성된 시프트 그루브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셀렉트 로드의 둘레에는 그 중앙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상기 셀렉트 그루브 또는 상기 시프트 그루브 내에 위치하는 원추 형상의 디텐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의 첨단은 소정 곡률로 라운딩 처리되며, 상기 셀렉트 그루브 및 시프트 그루브는 상기 디텐트의 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그루브 및 시프트 그루브는 상기 셀렉트 로드의 외주면 상에 3개가 한 조를 이루어 2조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 속기의 디텐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그루브는 상기 셀렉트 로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외주면 상에 32°의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프트 그루브는 상기 셀렉트 로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외주면 상에 16°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그루브와 시프트 그루브는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되, 서로 직각의 위상차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디텐트는 상기 셀렉트 로드를 중심으로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네 개가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실린더 내에 위치하여 탄성체에 의하여 탄지 되며, 상기 실린더는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디텐트가 위치하는 반대측 개구가 볼트에 의하여 밀폐되어, 상기 탄성체는 이 볼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KR1020070062049A 2007-06-25 2007-06-25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KR100850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049A KR100850870B1 (ko) 2007-06-25 2007-06-25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049A KR100850870B1 (ko) 2007-06-25 2007-06-25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870B1 true KR100850870B1 (ko) 2008-08-07

Family

ID=3988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049A KR100850870B1 (ko) 2007-06-25 2007-06-25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1378A1 (fr) * 2015-01-06 2016-07-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mmande de boite de vitesses
KR20180133587A (ko) * 2017-06-07 2018-12-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변속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285A (ja) * 2000-05-05 2002-01-09 Eaton Corp ギア係合及びニュートラルのデテント機能を備える組合せ体
JP2002267013A (ja) * 2001-03-13 2002-09-18 Denso Corp シフト切替装置
KR20020083791A (ko)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US6658959B2 (en) * 2000-02-15 2003-12-09 Ina Schaeffler Kg Shifting device for a speed change gearbox, with a damping component and a shift path limit
KR100680795B1 (ko) 2005-12-10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건식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핸드 쉬프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8959B2 (en) * 2000-02-15 2003-12-09 Ina Schaeffler Kg Shifting device for a speed change gearbox, with a damping component and a shift path limit
JP2002005285A (ja) * 2000-05-05 2002-01-09 Eaton Corp ギア係合及びニュートラルのデテント機能を備える組合せ体
JP2002267013A (ja) * 2001-03-13 2002-09-18 Denso Corp シフト切替装置
KR20020083791A (ko)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KR100680795B1 (ko) 2005-12-10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건식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핸드 쉬프트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1378A1 (fr) * 2015-01-06 2016-07-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mmande de boite de vitesses
KR20180133587A (ko) * 2017-06-07 2018-12-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변속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KR102230290B1 (ko) 2017-06-07 2021-03-2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변속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5203987B4 (de) Bedienvorrichtung für Grätschsitz-Fahrzeug
US9528598B2 (en) Shifter assembly having a device for coupling a shroud to a lever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509940B1 (ko) 차량용 전자식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치
KR100850870B1 (ko)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JP7262240B2 (ja) 作業機械の操作装置、および作業機械
KR101181748B1 (ko) 콘 링 타입 무단변속기
US20150226317A1 (en) Mono-stable rotary transmission selector
KR20150002106A (ko) 회전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
DE102015115044A1 (de) System zur Eingabe von Befehlen und zur Bedienung unterschiedlicher Funktionen
EP3214341B1 (en) Transmission
KR101905950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US10422423B2 (en) Operating element of a motor vehicle
KR101637693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장치
CN105917148B (zh) 用于机动车变速器的变速鼓以及具有该变速鼓的变速器
KR20180106758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KR10165695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20110023320A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작동기
DE102016203531A1 (de) Fahrzeugbedienungssystem
JP6387283B2 (ja) 二重シフトフォーク構造
KR101806711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CN208093410U (zh) 一种旋转开关
KR100951798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CN201747916U (zh) 行驶模式切换装置
KR101406517B1 (ko) 차량용 변속 조작기구
CN203571021U (zh) 电动工具齿轮箱速度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