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793B1 - 열전도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광 반사용 발포 시트 - Google Patents

열전도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광 반사용 발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793B1
KR100850793B1 KR1020060041318A KR20060041318A KR100850793B1 KR 100850793 B1 KR100850793 B1 KR 100850793B1 KR 1020060041318 A KR1020060041318 A KR 1020060041318A KR 20060041318 A KR20060041318 A KR 20060041318A KR 100850793 B1 KR100850793 B1 KR 10085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et
thermoplastic
foam
thermal con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8971A (ko
Inventor
곽민한
이명세
최기덕
박종성
남경구
이봉근
손선모
이헌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4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79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28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025Other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 평균 셀 크기가 0.5 내지 100μm의 미세 발포체를 포함하는 광 반사용 발포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 시트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광반사율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사판, 열전도성, 광반사율, 미세 발포체,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니트

Description

열전도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광 반사용 발포 시트{Foamed sheet for light reflection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and light reflectance}
도 1은 본 발명의 배치식 발포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의 미세 발포체에 대한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식 발포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의 미세 발포체에 대한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열전도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광 반사용 발포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 평균 셀 크기가 0.5 내지 100μm의 미세 발포체를 포함하는 광 반사용 발포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 시트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며, 광반사율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화학적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광 반사용 발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 반사용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컴퓨터, 텔레비전, 및 휴대 전화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수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하 "LCD 소자")는 일반적으로 음극선관과는 달리 자체 발광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화면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발광장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LCD는 광원의 방식에 따라, 별도의 광원과 백라이트 유니트를 사 용하는 투과형 방식과 외부의 빛을 광원으로 이용하는 반사형 방식으로 나뉘는데, 이중 반사형 LCD의 경우 백라이트 유니트가 필요 없고 전력의 소모가 적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부 광원의 밝기가 충분치 못할 경우 그 시인성이 낮아서 충분한 활용이 이뤄지지는 않고 있다. 현재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투과형 LCD의 경우, 백라이트 유니트를 통한 균일한 밝기의 광원 공급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백라이트 유니트는 광원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광원이 액정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는 직하 방식(Direct-lighting)과 광원이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하는 에지-라이트 방식(Edge-light method)으로 구분된다.
우선 에지-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 유니트를 사용한 LCD는 휘도가 균일하고 소비전력이 적기 때문에 주로 소형의 LCD 모니터나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이 되며, 측면의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기 위해 도광판, 광원부, 반사 시트 및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는 소정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광원 및 광원 반사판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은 반사체로 구성된 상기 광원 반사판 및 반사 시트에 의해 반사된다. 그 후 반사된 광은 상기 도광판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확산된다.
상기 광학 필름은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보호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광판 내에서 균일하게 확산된 광은 상기 확산 시트 통과한다. 상기 확산 시트는 상기 도광판을 통과한 광을 확산 또는 집광시켜 휘도를 균일하게 하고, 시야각을 넓혀준다. 상기 확산 시트를 통과한 광은 휘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리즘 시트가 사용된다. 상기 프리즘 시트는 상기 확산 시트에서 출사된 광을 굴절시키고 낮은 각도로 입사되는 광을 정면 쪽으로 집중시켜 유효 시야각 범위에서 휘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프리즘 시트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프리즘 시트의 흠집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프리즘 시트에 의해 좁아진 시야각을 넓혀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의 광원으로는 주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가 액정 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LCD 소자가 발광함에 따라, 상기 LCD 소자의 내부 온도가 증가하고, 상기 CCFL의 온도가 80℃ 내지 90℃까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의 효율이 저하되고, 상기 LCD 소자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니트를 사용하는 LCD는 광원이 직접 기판을 조명하므로 광이용율이 높고 사이즈의 제한이 없어 대형의 LCD TV, 모니터에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 광원의 하부에 반사 시트가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열의 대부분이 상기 반사 시트로 전달된다. 전달된 열에 의하여 상기 반사 시트가 과열됨으로써 상기 반사 시트의 변형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니트의 구조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CCFL에서 발생한 열은 백라이트 유니트의 전면에 배치된 액정 패널에 불균일하게 전달되어 액정 셀간에 온도 편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액정 셀간의 온도 편차는 액정 셀간의 응답속도의 차이를 유발하여 상기 LCD 소자의 휘도 편차의 원인이 되며, LCD 패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LCD의 대형화, 박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니트의 발열은 꼭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에 사용되는 반사판에 대한 관련 기술은 하기와 같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39540호는 반사판 소재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반사판의 황변에 의한 색조의 변화와 휘도의 감소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98811호, 제2002-138150호 및 제2001-305321호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첨가제 및 구조 변화에 관련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7-1648호, 제2002-050222호, 제2002-040214호, 제2005-10773호, 및 제2001-225433호는 반사필름의 소재로서 백색의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고, 광반사율 및 내광성의 향상을 위해 표면 코팅기술 및 다층구조의 도입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145657호 및 제2003-121616호는 반사판의 소재로서 초미세 발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2003-049018호는 폴리실록산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초미세 발포 시트를 이용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4-317818호는 반사필름의 소재로서 백색의 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837,757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242781호 및 평9-176471호는 백색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광반사율, 내충격성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9-181267호 및 제2005-037590호는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반사시트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반사판 제조 기술에는 반사판 소재의 광반사율, 내열성, 및 내충격성 등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이 되어 있으나, 백라이트 유니트의 발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특히 반사판의 소재에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을 적용하여 발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411848호는 액정 표시장치나 조명 장치 등의 발열량이 많은 표시 장치에 적합한 방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 반사판을 적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품가격이 비싸고 광반사율이 95% 이하로서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반사용 시트에 있어서,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미세 발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광반사율을 유지하면서도 광원에 의한 발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광 반사용 발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화학적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광 반사용 발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 반사용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니트용 반사판에 있어서,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 평균 셀 크기가 0.5 내지 100μm의 미세 발포체를 포함하는 광 반사용 발포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 시트의 높은 광반사율은 열가소성 수지와 미세 발포체에 따른 마이크론 크기의 셀 간의 굴절률 차이에 기인하며, 또한 상기 광 반사용 발포 시트의 높은 발열 특성은 열전도성 열가소성 수지의 높은 열전도도에 기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광 반사용 시트는 스테인레스(SUS: Steel Use Stainless), 황동(brass),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t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시트를 사용하며, 상기 시트 상에 은(silver) 또는 티타늄 금속 등을 코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열전도도는 상온에서 0.2 W/m·K로 매우 낮아서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가 없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특허 제45022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이며, 열전도성, 가공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하므로 광원에서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 시트는 내부에 수 평균 셀 크기가 0.5 내지 100μ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μm의 미세 발포체를 포함한다. 상기 수 평균 셀 크기가 0.5μm 미만이거나 100μm을 초과하는 경우 광반사율이 충분히 높지 못해 반사판 소재로서 적당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 시트는 하기에 의하여 구체화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 시트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및 열전도성 수지는
a) 열가소성 수지 1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중량%, 및
b) 상온에서의 열전도도가 300 W/m·K 이상인 세라믹 고체 90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고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방열 특성을 얻을 수 없고, 9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발포 시트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거나 가공상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열가소성 수지 a)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로마틱폴리아마이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열방성액정고분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1,4-부탄디올 공중합체, 스타이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SBR: styrene-butadiene rubber),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SBS: styrene-butadiene-styrene),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ASA: acrylonitrile-styrene-acrylate), 불소계수지,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 fluoro ethylene), 또는 플루오르 에틸렌 프로필렌(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세라믹 고체 b)는 상온에서 0.35 W/m·K 이상의 높은 열전도도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적어도 300 W/m·K 이상인 보론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카바이드, 다이아몬드, 베릴륨옥사 이드, 보론 포스파이드,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베릴륨 설파이드, 보론 아제나이드, 실리콘, 갈륨 나이트라이드, 알루미늄 포스파이드, 및 갈륨 포스파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 시트는 광반사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의 백색 유전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 유전물질로서는 BaSO4, TiO2, SiO2, B2O3 및 Al2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 유전물질의 첨가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발포 시트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핵제, 난연제, 내후안정제, 및 활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가 본 발명의 특징의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의 미세 발포체는 수지 자체에 비해 비중 감소율이 2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비중감소율은 50 내지 90%, 특히 65 내지 85%이다. 수지 발포체의 비중 감소율이 20% 이하이면 광반사율이 충분히 높지 못해 반사판 소재로서 적당하지 않으며, 90% 이상이면 수 지 발포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열가소성 및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화학적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광 반사용 발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열가소성 및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에 화학적 발포제 또는 물리적 발포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수지 내에 침투시킨 후, 냉각이나 감압 등의 탈가스 공정을 거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의 미세 발포체는 각각 당업계에 공지된 가스를 수지 내에 침투시키는 함침 공정과 탈가스시켜 발포시키는 발포 공정이 별도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배치식 발포법, 또는 함침 공정과 발포 공정을 연속하여 실시하는 연속식 발포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치식 발포법 및 연속식 발포법을 각각 하기에 의하여 구체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 시트는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로 무발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무발포 시트에 화학적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트에 함침된 발포제를 탈가스화시켜 발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치식 발포법에 의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화학적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첨가된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함과 동시에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식 발포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치식 발포법은 수지조성물로 제조된 시트 형태의 무발포 수지를 고압 용기에 넣은 후, 그 용기에 발포제를 침투시켜 무발포 수지 내에 가스를 용해시킨다. 이후에 고압 용기를 감압하고, 무발포 시트 가열함으로써 수지의 미세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식 발포법은 미국특허 제4,473,665호에 기재된 성형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속식 발포법은 압출이나 사출 공정 중에 발포제를 수지와 함께 첨가하여 용융 블렌딩시킨 후, 압출 또는 사출 금형에서 급격한 압력강하를 통해 미세 발포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화학적 발포제로는 특정온도 이상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생성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아조다이카본아미드, 아조다이아이소부티로-나이트릴, 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4,4-옥시벤젠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p-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바륨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N,N'-다이메틸-N,N'-다이나이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및 트리하이드라지노 트리아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리적 발포제로는 이산화탄소, 질소, 아르곤, 물, 공기, 및 헬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발포제; 또는 1 내지 9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알코올, 및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발포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들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로서 메탄, 에탄 프로판, 노말부탄, 아이소부탄, 노말펜탄, 아이소펜탄, 또는 네오펜탄 등이 있고, 지방족 알코올로서 메탄올, 에탄올, 노말프로판올, 또는 아이소프로판올 등이 있으며,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로서 메틸 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메탄, 에틸 플루오라이드, 1,1-다이플루오로에탄, 1,1,1-트리플루오로에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펜타플루오로에탄, 다이플루오로메탄, 퍼플루오로에탄, 2,2-다이플루오로프로판, 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프로판, 다이클로로프로판, 다이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사이클로부탄, 메틸 클로라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클로라이드, 1,1,1-트리클로로에탄, 1,1-다이클로로-1-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1-다이플루오로에탄, 클로로다이플루오로메탄, 1,1-다이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다이클로로다이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1,1,1-트리플루오로에탄, 펜타플루오로에탄, 다이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또는 클로로헵타플루오로프로판, 또는 다이클로로헥사플루오 로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포제의 함량은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발포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발포를 하기 위한 가스의 생성량이 너무 적어 발포 효과가 미미하거나 전혀 기대할 수가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스 생성량이 많아 불균일한 셀 구조를 이루거나 셀 크기가 과다하게 커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 반사용 발포 시트 및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 및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패널(LCD 패널, 200) 및 백라이트 유니트(202)을 포함한다.
LCD 패널(200)은 하부 편광필름(204), 상부 편광필름(206), 하부 기판(208), 상부 기판(210), 칼라필터(212), 블랙매트릭스(214), 화소전극(216), 공통전극(218), 액정층(220) 및 TFT 어레이(222)를 포함한다.
칼라필터(212)는 레드, 그린 및 블루에 해당하는 칼라필터들을 포함하며, 빛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킨다.
TFT 어레이(222)는 스위칭 소자로서 화소전극(216)을 스위칭한다.
공통전극(218) 및 화소전극(216)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소정 전압에 따라 액정층(220)의 분자들을 배열한다.
액정층(220)은 소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분자들이 화소전극(216)과 공통전극(218) 사이의 전압차에 상응하여 배열된다.
그 결과, 이하의 백라이트 유니트(202)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액정층(220)의 분자 배열에 상응하여 칼라필터(212)에 입사된다.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 이하 "BLU"라 함, 202)은 LCD 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LCD 패널(200)에 빛, 예를 들어 백색광을 제공한다.
한편 BLU(202)는 광원이 액정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는 직하 방식(Direct-lighting)과 광원이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하는 에지-라이트 방식(edge-light method)으로 나뉘며, 본 발명에 따른 LCD 소자에는 직하 방식과 에지-라이트 방식의 BLU(202)가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직하 방식의 BLU(202a)는 광원(302),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310), 반사 시트(320), 열확산층(322) 및 광학필름(Optical film, 330)을 포함한다.
광원(302)은 복수의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가 집합체를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CCFL은 매우 밝은 백색광을 제공하는 램프이다.
한편, 광원(302)은 상기 CCFL 외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ourscent Lamp : EEFL)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LED는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구성되거나 백색광의 단일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BLU(202a)의 경우, BLU(202a)의 소형화 및 빛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빛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EEFL은 상기 CCFL에 비해 휘도가 뛰어나며, 전극이 외부에 있어 병렬로 작동하기에 유리하다. 특히, 상기 EEFL은 기존 광원에서 필요했던 인버터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부품에 따른 원가절감 및 LCD 모듈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반사 시트(320)는 광원(302)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원(302)으로부터 오는 빛을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310)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반사시트(320)은 미세 발포체로 인하여 우수한 광 반사능을 제공하며, 뛰어나 열 전도성으로 인하여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반사 시트(320) 대신 광원(302)의 하부에 광원 반사판(미도시)을 위치 시켜 광원(302)을 실장하고, 광원(302)에서 나온 빛을 확산 시트(332)로 입사시켜 광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직하 방식의 BLU(202a)는 에지-라이트 방식과 달리, 복수의 광원(302)이 LCD 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광원(302)에서 발생된 휘선이 LCD 패널(200)의 상부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310)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광원(302)에서 발생된 휘선을 제거하면서 빛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310)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BLU(202a)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학필름(330)은 확산 시트(332), 프리즘 시트(334), 보호 시트(336) 및 반사형 편광필름(338)을 포함한다.
확산 시트(332)는 입사하는 빛을 확산 또는 집광시켜 휘도를 균일하게 하고, 시야각을 넓혀준다.
확산 시트(332)를 통과한 빛은 휘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리즘 시트(334)가 사용된다. 프리즘 시트(334)는 확산 시트(332)에 의해 확산 또는 집광된 빛 중 일부를 보호 시트(336) 방향으로 집광시키고, 나머지 빛을 확산 시트(332)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보호 시트(336)는 프리즘 시트(334) 위에 위치하여 프리즘 시트(334)의 흠집을 방지하고, 또한 프리즘 시트(334)에 의해 좁아진 시야각을 넓혀주는 기능을 한다.
반사형 편광필름(338)은 보호 시트(336)에 의해 확산된 빛 중 일부를 광원(302)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빛은 LCD 패널(도 1의 200)에 제공한다. 즉, 반사형 편광필름(338)은 특정 편광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다른 편광은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반사형 편광필름(338)은 보호 시트(336)에 의해 확산된 빛 중 종파(P파)를 투과시키고, 횡파(S파)는 도광판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반사형 편광필름(338)에서 반사된 횡파는 반사 시트(320)에서 재반사된다. 이 경우, 빛의 물리적 특성상, 상기 재반사된 빛은 종파 및 횡파를 포함한다.
즉, 반사형 편광필름(338)에 의해 반사된 횡파는 반사 시트(320)에 의해 재반사됨에 의해 횡파와 종파를 포함하는 빛으로 변화된다.
이어서, 상기 변화된 빛은 확산 시트(332), 프리즘 시트(334) 및 보호 시트(336)를 통과하여 반사형 편광필름(338)으로 다시 입사된다.
그 결과, 상기 변화된 빛 중 종파는 반사형 편광필름(338)을 투과하고, 횡파는 확산 시트(332) 방향으로 반사된다.
계속하여, 상기 반사된 빛은 다시 반사 시트(320)에 의해 반사되어 종파와 횡파를 포함하는 빛으로 변화된다.
한편, 보호 시트(336)와 반사형 편광필름(338)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BLU(202a)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빛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도 5을 참조하면, 에지-라이트 방식의 BLU(202b)는 광원부(300), 도광판(340), 반사 시트(320), 열확산층(322) 및 광학필름(330)을 포함한다.
광원부(300)는 하나 이상의 광원(302) 및 광원 반사판(304)을 포함한다. 광원(302)은 소정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발생시킨다. 한편, 광원(302)은 직하 방식의 BLU(202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CCFL, LED 또는 EEFL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원 반사판(304)은 광원(302)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도광판(340) 측으로 반사시켜 도광판(340)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킨다.
광원(302)에 의해 발생된 빛은 광원 반사판(304) 및 반사 시트(320)에 의해 반사되며, 그런 후 반사된 빛은 도광판(340)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확산된다.
반사 시트(320)는 광원부(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원(302)으로부터 오는 빛을 도광판(340)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 생성 과정에서 광원부(300)에서 발생된 열은 그 하부에 위치한 반사 시트(320)로 전달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용 반사시트(320)은 미세 발포체로 인하여 우수한 광 반사능을 제공하며, 뛰어나 열 전도성으로 인하여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광학필름(330)은 확산 시트(332), 프리즘시트(334), 보호 시트(336) 및 반사형 편광필름(338)을 포함한다.
도광판(340) 내에 균일하게 확산된 빛은 확산 시트(332)를 통과한다. 확산 시트(332)는 도광판(340)을 통과한 빛을 확산 또는 집광시켜 휘도를 균일하게 하고, 시야각을 넓혀준다.
이하, 프리즘 시트(334), 보호 시트(336) 및 반사형 편광필름(338)의 구조 및 특성에 대해서는 상기 직하 방식의 BLU(202a)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LCD 소자의 발광 동작을 상술하겠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BLU(202)는 백색광인 평면광을 LCD 패널(200)에 제공한다. 이어서, TFT 어레이(222)가 화소전극(216)을 스위칭한다. 계속하여, 화소전극(216)과 공통전극(218) 사이에 소정 전압차가 인가되고, 그 결과 액정층(220)이 레드 칼라필터, 그린 칼라필터 및 블루 칼라필터에 각기 상응하여 배열된다.
이 경우, BLU(202)로부터 제공된 평면광은 액정층(220)을 통과하면서 광량이 조절되고, 광량이 조절된 평면광이 칼라필터(212)에 제공된다. 그 결과, 칼라필터(212)는 소정 계조를 가지고 이미지를 구현한다. 상세하게는, 레드 칼라필터, 그린 칼라필터 및 블루 칼라필터가 한 개의 픽셀을 형성하며, 상기 픽셀은 상기 레드 칼라필터, 그린 칼라필터 및 블루 칼라필터를 통과한 빛의 조합에 의해 소정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LG-DOW 카보네이트) 80 중량% 및 보론 나이트라이드 20 중량%로 이루어진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로 두께 1mm의 무발포 시트를 제조한 후, 배치식 발포법을 이용하여 수지의 미세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무발포 시트를 먼저 고압 용기에 설치한 후 실온에서 80oC까지 승온하였다. 또한 고압 용기를 이산화탄소로 1500psi까지 가압한 후 5시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무발포 시트에 함침되도록 하였다. 그 후 압력 밸브를 열어 상압으로 감압하고, 함침된 무발포 시트를 150oC의 유조 내에 15초 동안 침지함으로써 수지의 발포체를 얻었다. 이로부터 얻어진 발포체는 25oC의 수조에 다시 침지하여 발포 셀의 성장을 억제시키며, 그 결과 셀의 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상기로부터 얻어진 미세 발포체의 특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1) 비중 감소율: 무발포 수지에 대한 수지 발포체의 비중 분율(%)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 셀 크기: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발포 셀의 수평균 지름을 측정하였다.
(3) 열전도도: 평판법(LG화학 테크센타), 열선법(표준과학연구소) 및 Haake Thermoflixer의 3가지 측정방법에서 10% 오차 이내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4) 광반사율: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 Shimadzu UV-3101PC)로 550nm의 파장에서의 전광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미세 발포체의 비중 감소율 및 셀 크기는 각각 72%와 7μm이고, 발포 셀의 구조는 도면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미세 발포체의 열전도도는 0.41 W/m·K이며, 550nm 파장에서의 광반사율은 98%였다.
[실시예 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LG화학 제조) 80 중량% 및 보론 나이트라이드 20 중량%로 이루어진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로 미세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배치식 발포법을 이용하였으며, 발포시 상기 수지 조성물에 적합하게 공정 조건을 조절하였다. 이산화탄소의 열전도성 수지 내 함침 과정은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함침된 무발포 시트를 240oC의 유조 내에 15초 동안 침지하여 미세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세 발포체의 비중 감소율 및 셀 크기는 각각 78%와 10μm이고, 열전도도 및 550nm 파장에서의 광반사율은 각각 0.40 W/m·K와 98%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대해 연속식 발포법을 이용하여 미세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방향 양축 압출기에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질소 3 중량%를 1500psi의 압력으로 침투시키고, 압출 금형에서 급격한 압력감소를 통해 미세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세 발포체의 비중 감소율 및 셀 크기는 각각 70%와 25μm이고, 발포 셀의 구조는 도면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미세 발포체의 열전도도는 0.38 W/m·K이며, 550nm 파장에서의 광반사율은 96%였다.
[비교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LG-DOW 카보네이트) 80 중량% 및 TiO2 2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시트의 열전도도는 0.23 W/m·K이고, 550nm에서의 광반사율은 92%였다.
[비교예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LG-DOW 카보네이트)에 대하여 연속 발포법을 이용하여 미세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세한 공정 조건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미세 발포체의 비중 감소율 및 셀 크기는 각각 60%와 40μm이고, 열전도도 및 550nm 파장에서의 광반사율은 각각 0.18 W/m·K이며, 90%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열가소성 수지 PC 80 중량% PET 80중량% PC 80 중량% PC 80 중량% PC 100 중량%
세라믹고체 BN 20 중량% BN 20 중량% BN 20 중량% TiO2 20 중량% -
발포방법 배치식 배치식 연속식 무발포 연속식
비중감소율(%) 72 78 70 - 60
셀크기(μm) 7 10 25 - 110
열전도도(W/m·K) 0.41 0.40 0.38 0.23 0.18
광반사율 98 98 96 92 90
PC: 폴리카보네이트 (LG-Dow 카보네이트, 300-10)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LG화학, LUPOX GP-2000) BN: 보론 나이트라이드, 상온에서 열전도도는 300 W/m·K TiO2: 상온에서 열전도도는 15 W/m·K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의 미세 발포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반사판은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백라이트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발열 문제에 효과적이며, 이와 동시에 열전도성 수지 내에 미세 발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니트용 반사판의 광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18)

  1. a) 열가소성 수지 10 내지 95 중량%, 및
    b) 상온에서의 열전도도가 300 W/m·K 이상인 보론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카바이드, 다이아몬드, 베릴륨옥사이드, 보론 포스파이드,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베릴륨 설파이드, 보론 아제나이드, 실리콘, 갈륨 나이트라이드, 알루미늄 포스파이드, 및 갈륨 포스파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세라믹 고체 90 내지 5 중량%를 함유하는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를 포함하며,
    내부에 수 평균 셀 크기가 0.5 내지 100μm의 미세 발포체를 포함하는 광 반사용 발포 시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a)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로마틱폴리아마이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열방성액정고분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1,4-부탄디올 공중합체, 스타이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불소계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용 발포시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의 백색 유전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용 발포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백색 유전물질은 BaSO4, TiO2, SiO2, B2O3 및 Al2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용 발포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핵제, 난연 제, 내후안정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용 발포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의 미세 발포체는 비중 감소율이 2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용 발포시트.
  9.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로 무발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무발포 시트에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화학적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0.01 내지 10 중량부를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트에 함침된 발포제를 탈가스화 시켜 발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10. 화학적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0.01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된 열전도도가 0.35 W/m·K 이상인 열가소성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압출 또는 사출함과 동시에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화학적 발포제가 아조다이카본아미드, 아조다이아이소부티로-나이트릴, 벤젠 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4,4-옥시벤젠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p-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바륨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N,N'-다이메틸-N,N'-다이나이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및 트리하이드라지노 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용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발포제가 이산화탄소, 질소, 아르곤, 물, 공기, 및 헬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발포제; 또는 1 내지 9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알코올, 및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발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용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반사용 발포시트; 및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및
    확산 시트로부터 진행된 빛을 집광시키는 프리즘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16. 제 14 항에 있어서,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균일하게 투과시키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을 통해 나온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및
    확산 시트로부터 진행된 빛을 집광시키는 프리즘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및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ourscent Lamp : EEF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18. 제 14 항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 및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41318A 2006-05-09 2006-05-09 열전도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광 반사용 발포 시트 KR10085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318A KR100850793B1 (ko) 2006-05-09 2006-05-09 열전도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광 반사용 발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318A KR100850793B1 (ko) 2006-05-09 2006-05-09 열전도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광 반사용 발포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971A KR20070108971A (ko) 2007-11-15
KR100850793B1 true KR100850793B1 (ko) 2008-08-06

Family

ID=3906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318A KR100850793B1 (ko) 2006-05-09 2006-05-09 열전도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광 반사용 발포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489B1 (ko) * 2016-05-10 2017-10-25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816B1 (ko) * 2008-02-14 2013-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도, 반사율 및 열전도도가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6130294B2 (ja) * 2011-12-01 2017-05-17 東レ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反射板
KR101580813B1 (ko) * 2013-04-05 2015-12-29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상분리된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하는 반사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5211B1 (ko) * 2013-08-12 2013-11-29 이소현 반사시트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반사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966A (ja) 2002-11-07 2004-06-03 Kobe Steel Ltd 熱伝導性高分子シート
KR20050076147A (ko) * 2004-01-19 2005-07-26 이바도 가요성 열전도성 폼 체
JP2006045259A (ja) 2004-07-30 2006-02-16 Dueller Corp 発泡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06030640A1 (ja) 2004-09-14 2006-03-23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熱可塑性樹脂発泡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966A (ja) 2002-11-07 2004-06-03 Kobe Steel Ltd 熱伝導性高分子シート
KR20050076147A (ko) * 2004-01-19 2005-07-26 이바도 가요성 열전도성 폼 체
JP2006045259A (ja) 2004-07-30 2006-02-16 Dueller Corp 発泡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06030640A1 (ja) 2004-09-14 2006-03-23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熱可塑性樹脂発泡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489B1 (ko) * 2016-05-10 2017-10-25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971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5758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KR100850793B1 (ko) 열전도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광 반사용 발포 시트
US7420739B2 (en) Light-diffusing film having pores
KR20080025057A (ko) 발포 수지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27781A (ko) 편광판용 보호필름
EP258730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US20060132670A1 (en) Light-reflecting member,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light-reflecting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reflecting member
US9442226B2 (en) Reflection plate for backlight unit and backlight unit of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CN103797386A (zh) 发泡片和使用该发泡片的光反射板及背光面板
JP7396402B2 (ja)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2003160682A (ja) 光反射フィルム
JP5469290B1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光反射板、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及び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光反射板の製造方法
WO2013099671A1 (ja) 反射板、反射板の製造方法およびバックライトパネル
KR100805621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백라이트 유니트용 반사판
JP2007140542A (ja) 光反射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WO2008140084A1 (ja) 液晶表示装置、面光源装置及びプリズムシート、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233678B1 (ko) 액정디스플레이용 반사발포시트
JP2011118088A (ja) 長尺状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92908A (ja) 液晶表示装置
WO2006004152A1 (ja) バックライト
JP2010026454A (ja) 偏光性拡散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0820976B1 (ko) 반사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장치, 및 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KR100767956B1 (ko) 열전도성 소재를 적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유니트
EP2084561B1 (en) Refl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518783A (zh) 側光型背光用光反射板、液晶顯示器用背光源、及側光型背光用光反射板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