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998B1 -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998B1
KR100849998B1 KR1020070044665A KR20070044665A KR100849998B1 KR 100849998 B1 KR100849998 B1 KR 100849998B1 KR 1020070044665 A KR1020070044665 A KR 1020070044665A KR 20070044665 A KR20070044665 A KR 20070044665A KR 100849998 B1 KR100849998 B1 KR 10084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terminal
coupled
auxiliar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우
원창섭
Original Assignee
함정우
원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정우, 원창섭 filed Critical 함정우
Priority to KR1020070044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결합되는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휴대용 단말기, 무전기, 케이스, 커넥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A case assembly for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 조립체가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휴대용 단말기 11..메인 몸체
13..보조 몸체 20..케이스 조립체
21..케이스 22..메인 케이스
23..보조 케이스 25..무전기 모듈
26..무전기 모듈기판 27..전원 커넥터
28..안테나 30..커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전기능을 가지면서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기기가 출시 및 개발되고 있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널리 사용되는 통신기기로는 통신업체에 일정 통신 요금을 납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사 및 제조사별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사이즈나 디자인, 기능 또한 매우 다양하다. 이와 같인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은 쌍방 간의 통화에 있으며, 이러한 쌍방 간의 통화로 인한 통신요금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로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이외에, 통신기기의 일예로서 레저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무전기가 있다. 상기 무전기의 경우, 예전에는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그 사이즈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서 대중화되지 못하였으나,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무전기는 통신비용이 전혀 들지 않으며,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므로 레저용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무전기는 특정 주파수 대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근거리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단점으로 인하여 활용도에 한계가 있어 왔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대중화로 인하여 통신수단으로서의 활용도가 급격히 낮아지 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기술발달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이용이 급속히 늘어나게 됨에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사람과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생활필수품이 되어버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그 통신비용도 함께 증가하게 되어 통신비용에 대한 부담이 점점 커지게 되어 때로는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번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무전기의 기능을 가지면서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무전기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는,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면을 덮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메인 케이스 사이에 상기 무전기 모듈이 개재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케이스는, 상기 무전기 모듈의 기능들을 상기 보조 케이스 외부에서 확인 및 동작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번호 입력부를 가지는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보조 몸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메인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무전기 모듈은, 무전기 모듈기판과; 상기 무전기 모듈기판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전원연결부에 연결 가능한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 커넥터를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연결부에 상기 전원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 수용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무전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조립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면을 덮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메인 케이스 사이에 상기 무전기 모듈이 개재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조 케이스는, 상기 무전기 모듈의 기능들을 상기 보조 케이스 외부에서 확인 및 동작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는, 번호 입력부를 가지는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보조 몸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메인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무전기 모듈은, 무전기 모듈기판과; 상기 무전기 모듈기판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전원연결부에 연결 가능한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 커넥터를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원연결부에 상기 전원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 수용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조립체(20)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는 통상적인 휴대폰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번호 입력부(11a)를 가지는 메인 몸체(11)와, 상기 메인 몸체(11)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몸체(13)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몸체(11)에는 번호입력을 위한 입력부(11a) 이외에도, 다수의 기능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몸체(13)는 메인 몸체(11)의 일측에 폴더 형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LC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3a)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기 본체(10)가 폴더 형 휴대폰인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보조 몸체(13)가 메인 몸체(11)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수평 회전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몸체(13)와 메인 몸체(11)가 일체로 형성된 단말기 본체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30은 보조 몸체(13)의 외측을 감싸서 보호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나타낸다. 이 커버(30)는 보조 몸체(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 실리콘 재질 또는 금속 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재질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 칼라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 조립체(20)는 단말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 조립체(20)는 메인 몸체(11)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 조립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와, 무전기 모듈(25)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21)는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메인 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메인 케이스(22)와, 보조 케이스(23)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케이스(22)는 메인 몸체(11)의 외측 즉, 메인 몸체(11)의 배면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메인 케이스(22)는 메인 몸체(11)의 배면에 대응되는 평면부(22a)와, 상기 평면부(22a)의 테두리에서 연장되는 측벽부(22b)를 가진다. 상기 측벽부(22b)는 상기 메인 몸체(11)의 측면을 감싸도록 그 메인 몸체(11)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측벽부(22b)에는 다수의 로킹돌기(22c)가 형성된다. 상기 로킹돌기(22c)는 메인 몸체(11)의 소정 부분에 소위 원터치 식으로 로킹 결합되어 메인 케이스(22)를 분리되지 않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케이스(20)는 측벽부(22b)의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그 개방된 부분(22d)의 반대 측에는 후술할 전원 커넥터(27)를 수용하여 보호하기 위한 수용부(22e)가 마련된다. 상기 수용부(22e)는 외측으로 연결되는 제1구멍(h1)과, 내측으로 연결되는 제2구멍(h2)을 가진다.
상기 개방 부분(22d)을 통해 메인 케이스(22)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메인 몸체(11)의 하단에서부터 상단 쪽으로 끼우면, 상기 로킹돌기(22c)에 의해 메인 케이스(22)가 메인 몸체(11)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22e)는 메인 몸체(11)의 하단에 마련된 전원 연결부(11b)에 마주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연결부(11b)는 메인 몸체(11)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케이블의 단자가 연결되는 곳이다.
상기 보조 케이스(23)는 상기 메인 케이스(22)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무전기 모듈(25)을 덮어서 보호한다. 이 보조 케이스(23)는 고주파 접착, 본드 등의 접착제에 의해 메인 케이스(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될 수 도 있다.
즉, 상기 보조 케이스(23)와 메인 케이스(22) 사이에 무전기 모듈(2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무전기 모듈(25)을 조작하거나 그 기능들을 외부에서 확인 및 동작시킬 수 있도록 보조 케이스(23)에는 다수의 관통공(23a, 23b, 23c)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a)은 무전기 모듈(25)의 마이크 및 스피커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3b)은 무전기 모듈(25)의 기능키(버튼). 스위치 등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나머지 관통공(23c)은 무전기 모듈(25)의 표시창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관통공(23a, 23b, 23c)은 그 크기, 수, 위치에 구애받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상기 무전기 모듈(25)은 FRS(Family Radio Service) 시스템과 같은 생활무전기 모듈이나 산업용 무전기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일반적인 무전기 모듈 즉,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통신하는 직접 통신용 무전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전기 모듈(25)은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용이한 FRS 모듈인 것이 좋다.
상기 무전기 모듈(25)은 무전기 모듈기판(26)과, 상기 모듈기판(26)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전원 커넥터(27)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기판(26)에는 무전기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각종 전자부품과, 스위치, 조작버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기판(26)에는 안테나(28)가 눕혀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28)를 모듈기판(26)에 대해 수평 상태로, 그 모듈기판(26)의 길이에 대응되게 마련함으로써, 케이스(21)의 외측으로 안테나가 돌출되지 않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원 커넥터(27)는 모듈기판(26)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마련된 전원 연결부(1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전원 커넥터(2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22)의 상기 수용부(22e) 내에 위치하며, 그 수용부(22e)의 제1구멍(h1)을 통해 삽입되어 제2구멍(h2)을 통해 메인 케이스(22) 내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20)를 단말기 본체(10)의 메인 몸체(11)에 끼워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전원 커넥터(27)는 메인 몸체(11)의 전원 연결부(11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케이스(21)는 앞서 설명한 커버(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20)를 단말기 본체(10)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10)의 배면 측에 케이스 조립체(2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케이스(23)의 관통공(23b)을 통해 무전기 모듈(25)의 기능버튼(29a)이 노출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다른 관통공(23c)을 통해서는 무전기 모듈(25)의 표시창(29b)이 노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20)에 무전기 모듈(25)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무전기 모듈(25)을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와 무전기를 쉽게 일체화시킴으로써 하나의 기기로 휴대 및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무전기 모듈(25)이 일체화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면, 근거리 통신에서는 무전기 모듈(25)을 사용함으로써, 직접적인 휴대폰의 요금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날로그 방식인 무전기 모듈(25)의 특성상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므로, 레저 활동이나 모임활동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전기 모듈(25)의 사용 시 SUB 채널(CTCSS) 기능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혼신을 줄일 수도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고용량 배터리를 무전기 모듈(25)의 전원으로 공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무전기 모듈(25)의 배터리 교환에 따른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조립체(2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종에 따른 여러 가지 케이스에 쉽게 적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설계 및 생산이 가능하므로,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무전기를 채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일체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무전기 모듈을 일체화한 케이스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무전기를 휴 대용 단말기에 하나의 기기로서 일체화되게 채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기기형태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근거리에서는 통신요금이 발생하지 않는 무전기 모듈을 사용하고, 원거리 통신에서는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통신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전기 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의 고용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무전기 모듈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그만큼 무전기의 사이즈와 무제를 줄이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와 일체화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전기의 장점과 휴대용 단말기의 장점만을 결합하여 무전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 경량화 시켜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생산 비용까지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면을 덮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메인 케이스 사이에 상기 무전기 모듈이 개재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케이스는,
    상기 무전기 모듈의 기능들을 상기 보조 케이스 외부에서 확인 및 동작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번호 입력부를 가지는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보조 몸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메인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 모듈은,
    무전기 모듈기판과:
    상기 무전기 모듈기판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전원연결부에 연결 가능한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 커넥터를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연결부에 상기 전원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7.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무전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조립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무전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면을 덮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메인 케이스 사이에 상기 무전기 모듈이 개재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케이스는,
    상기 무전기 모듈의 기능들을 상기 보조 케이스 외부에서 확인 및 동작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번호 입력부를 가지는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보조 몸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메인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 모듈은,
    무전기 모듈기판과;
    상기 무전기 모듈기판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전원연결부에 연결 가능한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 커넥터를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원연결부에 상기 전원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KR1020070044665A 2007-05-08 2007-05-08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10084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665A KR100849998B1 (ko) 2007-05-08 2007-05-08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665A KR100849998B1 (ko) 2007-05-08 2007-05-08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998B1 true KR100849998B1 (ko) 2008-08-04

Family

ID=3988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665A KR100849998B1 (ko) 2007-05-08 2007-05-08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9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17B1 (ko) 2012-03-15 2013-11-18 서경무 휴대폰 케이스
WO2013191417A1 (ko) * 2012-06-18 2013-12-27 Hwang Kyoungmin 녹음기능을 갖는 휴대폰 스마트케이스
KR20190093266A (ko) * 2018-02-01 2019-08-09 (주)포인트엔지니어링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069Y1 (ko) 1997-06-04 1999-10-15 정선호 휴대폰용 간이 송수화기
US6188917B1 (en) 1998-09-16 2001-02-1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Portable telecommunications assembly having user hand-hold, and associated method
KR200418806Y1 (ko) 2006-02-24 2006-06-14 조성길 단말기와 무전기의 결합구조
KR100678076B1 (ko) * 2001-02-02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mp3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069Y1 (ko) 1997-06-04 1999-10-15 정선호 휴대폰용 간이 송수화기
US6188917B1 (en) 1998-09-16 2001-02-1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Portable telecommunications assembly having user hand-hold, and associated method
KR100678076B1 (ko) * 2001-02-02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mp3 모듈
KR200418806Y1 (ko) 2006-02-24 2006-06-14 조성길 단말기와 무전기의 결합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17B1 (ko) 2012-03-15 2013-11-18 서경무 휴대폰 케이스
WO2013191417A1 (ko) * 2012-06-18 2013-12-27 Hwang Kyoungmin 녹음기능을 갖는 휴대폰 스마트케이스
CN104703501A (zh) * 2012-06-18 2015-06-10 黄景敏 具有录音功能的手机智能套
CN104703501B (zh) * 2012-06-18 2016-08-24 黄景敏 具有录音功能的手机智能套
KR20190093266A (ko) * 2018-02-01 2019-08-09 (주)포인트엔지니어링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KR102049778B1 (ko) 2018-02-01 2019-11-28 (주)포인트엔지니어링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344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inimizing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value of electromagnetic waves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313145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7400917B2 (en) Protective devices for a mobile terminal
US7366555B2 (en) Mobile station enclosure
KR10057599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849998B1 (ko)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100610209B1 (ko) 안테나 내장형 이동통신단말기
CN106155187A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保护盖
CN210225520U (zh) 带收纳手机壳组件
KR101101233B1 (ko)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충전용 젠더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KR100640457B1 (ko) 와치 타입 텔레폰
KR100466167B1 (ko)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KR100754600B1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용 결합장치
KR100641136B1 (ko)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JP2010283539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KR20040110582A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KR100696992B1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핸즈프리 키트제어방법
KR100610208B1 (ko) 인서트몰딩되는 내장형 안테나
KR200258174Y1 (ko)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KR20120020281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282195Y1 (ko) 거울이 부착된 핸드폰
KR200310426Y1 (ko)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