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778B1 -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 Google Patents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778B1
KR102049778B1 KR1020180012672A KR20180012672A KR102049778B1 KR 102049778 B1 KR102049778 B1 KR 102049778B1 KR 1020180012672 A KR1020180012672 A KR 1020180012672A KR 20180012672 A KR20180012672 A KR 20180012672A KR 102049778 B1 KR102049778 B1 KR 102049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bile device
connection
module array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266A (ko
Inventor
안범모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1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7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H02J7/00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에 결합되어 모바일기기에 기능을 부가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기기의 두께 증가 없이 모듈 어레이를 접속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기기에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부과할 수 있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MOBILE DEVICE CASE WITH INSERTED MODULE ARRAY AND EXPANDABLE MODULE PORTION WITH INSERTED MODULE ARRAY}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에 결합되어 모바일기기에 기능을 부가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기기는 피처 폰(feature phone), 스마트폰(smartphone)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칭한다.
확장형 모듈부는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전원연결부에 결합되어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키는 장치이다.
확장형 모듈부에는 모바일기기에 저장된 음악을 고음질로 듣기 위한 스피커 또는 음성 등을 고음질로 녹음하기 위한 마이크 등이 내장됨으로써, 기존에 모바일기기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더욱 고성능의 기능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근래에는, 모바일기기만으로 수행할 수 없는 기능을 부가시키는 확장형 모듈부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데, 채혈장치를 통해 당수치 여부를 확인하는 확장형 모듈부 또는 센서를 통해 먼지량 또는 특정 가스량을 측정하는 확장형 모듈부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확장형 모듈부에 관한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6243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가스센서 모듈은 가스센서 접속부를 통해 휴대단말기에 접속되고, 센서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 등을 통해 분석 및 가공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가스정보 데이터가 휴대단말기에 표시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가스센서 모듈은 모바일기기가 일반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기능인 가스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가스 센싱 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모바일기기는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들의 침투로부터 안저하게 보호하기 위해 모바일기기의 외관에 적합하게 제작된 케이스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모바일기기에 사용되는 케이스는 모바일기기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각자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을 가지거나, 명함 또는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근래에는, 케이스에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 모듈을 장착하는 것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기기 케이스로는 미국등록특허 제9,591,113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경우, 프레임의 중심에 스파인이 형성되고, 스파인의 양측에 복수개의 도킹영역이 형성된다. 이러한 도킹영역에는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모듈들이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삽입되고, 핀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특허문헌 2의 경우, 하나의 프레임에 여러개의 모듈을 접속시킴으로써 모바일기기에 다양한 부가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의 도킹영역이 형성되는 부분이 뒷면에 해당하므로, 모듈이 접속된 프레임을 모바일기기에 결합하면 모바일기기의 두께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복수개의 모듈을 프레임에 병렬로 연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핀 커넥터가 복수개의 도킹영역 각각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큰 공간을 차지하여 프레임의 소형화가 더욱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확장형 모듈부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특허문헌 2의 모바일기기 케이스가 제시될 수 있으나, 특허문헌 2의 모바일기기 케이스는 하나의 프레임에 여러개의 모듈을 접속시킴으로써, 모바일기기에 다양한 부가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나, 프레임의 도킹영역이 형성되는 부분이 뒷면에 해당하므로, 모듈이 접속된 프레임을 모바일기기에 결합하면 모바일기기의 두께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도킹영역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더욱 많은 모듈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모바일기기 케이스의 크기가 더욱 커져야된다. 따라서, 모듈의 확장성 측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2430호 미국등록특허 제9,591,1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바일기기의 두께 증가 없이 모듈 어레이를 접속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기기에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부과할 수 있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는, 모바일기기가 결합 가능하며, 접속공간이 마련된 몸체; 및 상기 접속공간의 접속부에 접속가능하되, 복수개의 모듈이 접속단자에 의해 상호 연결된 모듈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공간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 어레이는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 어레이는 상기 접속공간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먼지센서 또는 가스센서 또는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는, 모바일기기에 결합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 있어서, 상기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는 복수개의 모듈이 서로 결합된 모듈 어레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모듈 어레이는 복수개의 상기 모듈이 전기적으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는 그 하부에 다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가 결합가능한 접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에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센서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먼지센서 또는 가스센서 또는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에 모바일기기가 결합시 접속공간이 모바일기기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모듈 어레이를 삽입하더라도, 모바일기기의 두께 증가가 발생되지 않는다.
모듈 어레이가 접속공간에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모듈 어레이의 삽입 및 꺼내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접속공간에 저마다 다른 기능을 갖으며,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모듈로 이루어진 모듈 어레이가 삽입되므로, 모바일기기에 여러가지 기능을 동시에 부가시킬 수 있다.
모듈 어레이의 표시부를 통해, 모듈의 종류 및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에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가 결합시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는 모바일기기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측면에 결합되므로, 수용공간에 모듈 어레이가 수용되더라도 모바일기기의 두께 증가가 발생되지 않는다.
수용공간에 저마다 다른 기능을 갖으며,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모듈로 이루어진 모듈 어레이가 삽입되므로, 모바일기기에 여러가지 기능을 동시에 부가시킬 수 있다.
모듈 어레이는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용되므로, 모듈 어레이의 수용과 꺼내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 다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가 모바일기기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확장성 및 휴대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모듈 어레이의 표시부를 통해, 모듈의 종류 및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모바일기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
도 2는 도 1의 모바일기기와,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 결합되는 모듈 어레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
도 3(a)는 도 1 및 도 2의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을 도시한 도.
도 3(b)는 도 3(a)의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되어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것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에 모바일기기가 결합되고, 모듈 어레이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배면도.
도 7(a)은 도 5의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을 도시한 도.
도 7(b)는 도 7(a)의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되어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것을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
도 1은 모바일기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바일기기와,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 결합되는 모듈 어레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3(a)는 도 1 및 도 2의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을 도시한 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되어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것을 도시한 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는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에 결합되며, 몸체(11)와, 몸체(11)의 상부에 마련되어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원단자(12)와, 다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전원단자(12)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몸체(11)의 하부에 마련되는 삽입홈(13)과, 전원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15)가 구비되며, 모듈 어레이(20)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공간(14)과, 수용공간(14)에 수용되며, 복수개의 모듈이 서로 결합된 모듈 어레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기기(50)는 피처 폰(feature phone), 스마트폰(smartphone)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칭한다.
모바일기기(50)의 하부에는 전원연결부(52)가 구비되며, 모바일기기(50)에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결합시 전원연결부(52)에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전원단자(1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 전원연결부(52)와 전원단자(12)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전원연결부(52)는 모바일기기(50)의 종류에 따라 5핀, 9핀 등 다양한 핀수를 갖을 수 있으며, 전원단자(12)는 이에 대응한 핀수를 갖을 수 있다.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는 모바일기기(50)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측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경우,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는 하부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성명한다.
따라서,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전원단자(12)가 전원연결부(52)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는 모바일기기(50)의 하부에 위치한다.
몸체(11)의 상부 중앙에는 전원단자(12)가 형성되고, 몸체(11)의 하부 중앙에는 삽입홈(13)이 형성되며, 몸체(11)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4)이 형성된다.
전원단자(12)는 몸체(11)의 상부에 마련되어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전원단자(12)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모바일기기(50)와 결합시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몸체(11)의 상부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원단자(12)는 수용공간(14)에 구비된 접속부(15)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50)와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결합시 전원단자(12)를 통해 전원연결부(52)와 접속부(15)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전원단자(12)는 삽입홈(13)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따라서,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와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상호 결합시 전원연결부(52), 전원단자(12) 및 삽입홈(13)을 통해 모바일기기(50)와 복수개의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전원단자(12)와 각각 직렬 연결되는 접속부(15) 및 삽입홈(13)은 서로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원단자(12)는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에 결합됨으로써,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몸체(11)를 모바일기기(50)에 결합시키는 기능과,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와 모바일기기(50)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기능과, 복수개의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결합시키는 기능과, 복수개의 확장형 모바일기기(50)를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전원단자(12)는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에 대응되는 핀수를 갖을 수 있다.
삽입홈(13)은 다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전원단자(12)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몸체(11)의 하부에 마련된다. 이 경우, 삽입홈(13) 또한,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전원단자(12)와 대응되는 핀수를 갖는다.
이러한 삽입홈(13)에는 다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전원단자(12)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몸체(11)를 상, 하로 결합시키는 기능과, 복수개의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를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수용공간(14)은 몸체(11)의 내부에 마련되며, 수용공간(14)의 측면은 삽입구(미도시)에 의해 개방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삽입구는 모듈 어레이(20)가 삽입되는 일종의 통로 기능을 한다. 따라서, 모듈 어레이(20)는 삽입구를 통해 수용공간(14)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수용공간(14)의 삽입구는 몸체(11)의 일측(도 1 및 도 2에서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4)의 내부에는 모듈 어레이(20)의 접속단자(21)가 접속되는 접속부(15)가 구비되어 있다.
수용공간(14)은 수용공간(14)의 전면은 투명 커버에 의해 폐쇄된 형상을 갖고, 수용공간(14)의 후면은 몸체(11)의 후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처럼 수용공간(14)의 전면에 투명 커버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복수개의 모듈의 전면에 각각 구비된 표시부(23)가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다.
위와 달리, 수용공간(14)의 전면은 개방되고, 수용공간(14)의 후면은 몸체(14)의 후면에 의해 폐쇄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공간(14)의 전면이 개방됨에 따라, 수용공간(14)에 모듈 어레이(20)가 삽입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어레이(20)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를 통해, 모듈 어레이(20)의 전면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모듈의 표시부(23)가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4)의 전면 및 후면은 몸체(11)의 전면 및 후면에 의해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4)의 내부에는 모듈 어레이(20)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모듈 어레이(20)의 측면, 즉, 복수개의 모듈의 각각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는 돌출부의 돌출길이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듈 어레이(20)의 돌출부, 즉, 모듈의 돌출부가 끼움부의 홈에 삽입되어 끼움부와 돌출부가 결합된다.
이처럼, 끼움부 및 돌출부의 결합 구조를 통해, 모듈 어레이(20)가 가이드 된채 수용공간(14)으로 삽입됨으로써, 모듈 어레이(20)가 수용공간(14)에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수용공간(14)의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모듈 어레이(20)의 측면, 즉, 복수개의 모듈의 측면 각각에 홈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모듈 어레이(20)는 수용공간(14)에 수용되어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 및 모바일기기(5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모듈 어레이(20)는 복수개의 모듈이 접속단자(2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듈은 복수개가 상호 연결되어 모듈 어레이(20) 형태로서 모바일기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모듈 어레이(20)는 모바일기기(50)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모듈은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하나의 예시로써, 도 1 내지 도 3(b)에 자외선 센서 모듈(20a), 먼지 센서 모듈(20b), 가스 센서 모듈(20c), 커넥터 모듈(20d), 배터리 모듈(20e)을 도시하였으나, 각 모듈들에는 접속단자(21)와 접속홈(22)이 구비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자외선 센서 모듈(20a), 먼지 센서 모듈(20b), 가스 센서 모듈(20c), 커넥터 모듈(20d), 배터리 모듈(20e)의 공통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모듈이라는 용어로 설명하며, 이러한 설명은 자외선 센서 모듈(20a), 먼지 센서 모듈(20b), 가스 센서 모듈(20c), 커넥터 모듈(20d), 배터리 모듈(20e)에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복수개의 모듈들의 상호 연결로 이루어진 모듈 어레이(20)가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 중 모바일기기(50)와 직접 연결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먼지 센서 모듈(20b), 커넥터 모듈(20d), 자외선 센서 모듈(20a), 배터리 모듈(20e) 순으로 배치되어 상호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모듈의 배치는 모바일기기(50)에 부가시킬 기능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용도에 따라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 중 모바일기기(50)와 직접 연결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하부에 연결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에서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3개의 배터리 모듈(20e)과, 가스 센서 모듈(20c) 순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모듈의 일측에는 접속단자(2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접속홈(22)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모듈은 접속단자(21)가 다른 모듈의 접속홈(22)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접속단자(21)가 접속홈(22)에 삽입되어 결합시, 접속단자(21)와 접속홈(22)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될 때, 복수개의 모듈은 모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다.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모듈은 모듈 어레이(20)를 이루게 되며, 가장 앞에 있는 모듈(도 3(b)에서는 최좌측)의 접속단자(21)는 모듈 어레이(20)의 접속단자(21)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모듈 어레이(20)는 수용공간(14)의 삽입구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수용공간(14)에 슬라이딩 결합된 채 삽입된다.
이 경우, 모듈 어레이(20)의 접속단자(21) 즉, 가장 앞에 있는 모듈의 접속단자(21)는 수용공간(14)에 구비된 접속부(15)에 결합된다.
모듈 어레이(20)의 접속단자(21)가 접속부(15)에 결합됨에 따라 접속단자(21)와 접속부(15) 또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50)와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결합되고, 모듈 어레이(20), 또한,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수용공간(14)에 삽입되면, 전원연결부(52), 접속부(15), 접속단자(21), 접속홈(22)을 통해 모바일기기(50)의 전원이 모듈 어레이(20)로 공급되게 된다. 물론, 후술할 바와 같이,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하나의 모듈이 배터리 모듈(20e)인 경우, 배터리 모듈(20e)의 전원이 모바일기기(50)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하,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외선 센서 모듈(20a)일 수 있다.
자외선 센서 모듈(20a)에는 대기중의 자외선량 또는 자외선 농도를 측정하는 자외선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자외선 센서 모듈(20a)은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와 수용공간(14)의 접속부(15)와 자외선 센서 모듈(20a)의 접속단자(21) 및 접속홈(22)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모바일기기(5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자외선 센서 모듈(20a)의 자외선 센서에서 측정된 자외선량 또는 자외선 농도는 자외선 센서 모듈(20a)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모바일기기(50)의 디스플레이부(51)에 표시될 수 있다.
자외선 센서 모듈(20a)은 자외선 센서 모듈(20a)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ON/OFF'되어 제어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먼지 센서 모듈(20b)일 수 있다.
먼지 센서 모듈(20b)에는 대기중의 먼지량 또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먼지 센서 모듈(20b)은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와 수용공간(14)의 접속부(15)와 먼지 센서 모듈(20b)의 접속단자(21) 및 접속홈(22)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모바일기기(5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먼지 센서 모듈(20b)의 먼지 센서에서 측정된 먼지량 또는 먼지 농도는 먼지 센서 모듈(20b)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모바일기기(50)의 디스플레이부(51)에 표시될 수 있다.
먼지 센서 모듈(20b)은 먼지 센서 모듈(20b)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ON/OFF'되어 제어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스 센서 모듈(20c)일 수 있다.
가스 센서 모듈(20c)에는 특정 가스의 가스량 또는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가스 센서 모듈(20c)은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와 수용공간(14)의 접속부(15)와 가스 센서 모듈(20c)의 접속단자(21) 및 접속홈(22)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모바일기기(5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가스 센서 모듈(20c)의 가스 센서에서 측정된 특정 가스의 가스량 또는 가스 농도는 가스 센서 모듈(20c)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모바일기기(50)의 디스플레이부(51)에 표시될 수 있다.
가스 센서 모듈(20c)은 먼지 센서 모듈(20b)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ON/OFF'되어 제어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커넥터 모듈(20d)일 수 있다.
커넥터 모듈(20d)에는 전원연결부(52)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와 동일한 기능, 즉, 충전기 USB케이블 등을 모바일기기(50)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모바일기기(50)가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와 결합될 경우,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는 전원단자(12)에 연결되므로, 커넥터 모듈(20d)이 그 기능을 대체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 모듈(20d)의 전원연결부는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와 같은 핀수를 갖을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터리 모듈(20e)일 수 있다.
배터리 모듈(20e)은 모바일기기(50)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모바일기기(50)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배터리 모듈(20e)은 배터리 모듈(20e)과 상호 연결된 다른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컨데, 도 1 및 도 2의 하부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모듈 어레이(20)와 같이, 배터리 모듈(20e)과 가스 센서 모듈(20c)이 상호 연결되어 있을 경우, 배터리 모듈(20e)은 가스 센서 모듈(20c)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센서 모듈(20c)은 모바일기기(50)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더라도 작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50)의 전력(즉, 모바일기기의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모듈, 즉, 전술한 자외선 센서 모듈(20a), 먼지 센서 모듈(20b), 가스 센서 모듈(20c), 커넥터 모듈(20d), 배터리 모듈(20e)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기능별로 구별되는 표시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LCD, LED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발광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듈의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결 모듈일 수 있다.
연결 모듈은 센서 등 별도의 전자장치가 내장되지 않고, 접속단자(21)와 접속홈(22)만이 구비되어,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데,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4)에 4개의 모듈을 삽입할 수 있고(즉, 4개의 모듈이 결합된 모듈 어레이(20)가 삽입될 수 있을 경우),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모듈 중 1개의 모듈만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 나머지 3개의 모듈은 연결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4개의 모듈을 상호 결합시켜 수용공간(14)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모듈의 갯수가 수용공간(14)에 삽입가능한 모듈의 갯수보다 적더라도, 모듈의 직렬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를 이루는 모듈 중 센서가 내장된 모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예컨데, 전술한 먼지 센서와 가스 센서는 하나의 모듈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모듈에서 먼지량 또는 먼지 농도 측정 및 특정 가스의 가스량 또는 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듈에 가스 센서 및 먼지 센서가 내장됨으로써, 가스/먼지 센서 모듈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는 모바일기기(50)에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결합시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는 모바일기기(50)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측면(본 발명에서는 모바일기기(50)의 하부)에 결합되므로, 수용공간(14)에 모듈 어레이(20)가 수용되더라도 모바일기기(50)의 두께 증가가 발생되지 않는다.
만약, 모바일기기(50)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기기(50)의 전원연결부(52)가 하부 측면이 아닌 다른 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전원연결부(52)는 모바일기기(50)의 전면과 수직되는 평면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전원연결부(52)는 모바일기기(50)의 전면 또는 흐면이 아닌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므로),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모바일기기(50)에 결합시,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전면은 모바일기기(50)의 전면과 동일 또는 평행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모듈 어레이(20)가 수용공간(14)에 수용되더라도, 모바일기기(50)의 두께 증가는 발생되지 않는다.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의 수용공간(14)에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모듈로 이루어진 모듈 어레이(20)가 수용되고, 모듈 어레이(20)의 모듈은 저마다 다른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모바일기기(50)에 여러가지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는 수용공간(14)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삽입 및 수용되므로, 모듈 어레이(20)의 삽입 및 수용과, 모듈 어레이(20)의 꺼내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에 다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가 모바일기기(5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1)를 소형화하더라도, 확장형 모듈(1)을 복수개 결합시켜 모바일기기(50)에 결합시킴으로써, 확장성 및 휴대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에 모바일기기가 결합되고, 모듈 어레이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고, 도 7(a)은 도 5의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을 도시한 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되어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것을 도시한 도이다.
도 4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는, 모바일기기(500)가 결합 가능하며, 접속공간(130)이 마련된 몸체(100)와, 접속공간(130)의 접속부(131)에 접속가능하되, 복수개의 모듈이 접속단자(210)에 의해 상호 연결된 모듈 어레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기기(500)는 피처 폰(feature phone), 스마트폰(smartphone)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칭한다.
모바일기기(500)의 하부에는 전원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모바일기기(500)가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에 결합시 전원연결부에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의 전원단자(140)가 결합된다.
전원연결부는 모바일기기(500)의 종류에 따라 5핀, 9핀 등 다양한 핀수를 갖을 수 있으며, 전원단자(140)는 이에 대응한 핀수를 갖을 수 있다.
몸체(100)에는 모바일기기(500)가 결합 가능하며, 접속공간(130)이 마련되어 있다.
몸체(100)의 전면에는 전면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면 개구부(110)에는 모바일기기(500)의 디스플레이부(510)가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몸체(100)의 후면에는 후면 개구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면 개구부(120)에는 모바일기기(500)의 후면 카메라(520)가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접속공간(130)은 몸체(100)의 하부 내부에 마련되며, 접속공간(130)의 측면은 삽입구(미도시)에 의해 개방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삽입구는 모듈 어레이(200)가 삽입되는 일종의 통로 기능을 한다. 따라서, 모듈 어레이(200)는 삽입구를 통해 접속공간(13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속공간(130)의 삽입구는 몸체(100)의 일측(도 4 및 도 5에서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접속공간(130)의 내부에는 모듈 어레이(200)의 접속단자(210)가 접속되는 접속부(131)가 구비되어 있다.
접속공간(130)의 전면은 몸체(100)의 전면에 의해 폐쇄되고, 접속공간(130)의 후면은 개방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공간(130)의 후면이 개방됨에 따라, 접속공간(130)에 모듈 어레이(200)가 삽입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어레이(200)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를 통해, 모듈 어레이(200)의 후면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모듈의 표시부(2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다.
위와 달리, 접속공간(130)은 접속공간(130)의 전면은 몸체(100)의 전면에 의해 폐쇄되고, 접속공간(130)의 후면은 투명 커버에 의해 폐쇄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처럼 접속공간(130)의 후면에 투명 커버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복수개의 모듈의 후면에 각각 구비된 표시부(230)가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접속공간(130)의 전면 및 후면은 몸체(100)의 전면 및 후면에 의해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접속공간(130)의 내부에는 모듈 어레이(200)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모듈 어레이(200)의 측면, 즉, 복수개의 모듈의 각각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는 돌출부의 돌출길이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듈 어레이(200)의 돌출부, 즉, 모듈의 돌출부가 끼움부의 홈에 삽입되어 끼움부와 돌출부가 결합된다.
이처럼, 끼움부 및 돌출부의 결합 구조를 통해, 모듈 어레이(200)가 가이드 된채 접속공간(130)으로 삽입됨으로써, 모듈 어레이(200)가 접속공간(130)에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접속공간(130)의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모듈 어레이(200)의 측면, 즉, 복수개의 모듈의 측면 각각에 홈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100)에는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연결부와 결합되는 전원단자(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단자(140)는 모바일기기(500)가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에 결합시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연결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전면 개구부(110)의 하부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원단자(140)는 접속공간(130)에 구비된 접속부(131)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500)가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에 결합시 전원단자(140)를 통해 전원연결부와 접속부(131)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모듈 어레이(200)는 복수개의 모듈이 접속단자(21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모듈은 복수개가 상호 연결되어 모듈 어레이(200) 형태로서 모바일기기(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모듈 어레이(200)는 모바일기기(500)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모듈은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하나의 예시로써, 도 5 내지 도 7(b)에 자외선 센서 모듈(200a), 먼지 센서 모듈(200b), 가스 센서 모듈(200c), 커넥터 모듈(200d), 배터리 모듈(200e)을 도시하였으나, 각 모듈들에는 접속단자(210)와 접속홈(220)이 구비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자외선 센서 모듈(200a), 먼지 센서 모듈(200b), 가스 센서 모듈(200c), 커넥터 모듈(200d), 배터리 모듈(200e)의 공통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모듈이라는 용어로 설명하며, 이러한 설명은 자외선 센서 모듈(200a), 먼지 센서 모듈(200b), 가스 센서 모듈(200c), 커넥터 모듈(200d), 배터리 모듈(200e)에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복수개의 모듈들의 상호 연결로 이루어진 모듈 어레이(200)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배터리 모듈(200e), 가스 센서 모듈(200c), 커넥터 모듈(200d), 먼지 센서 모듈(200b), 자외선 센서 모듈(200a)으로 배치되어 상호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모듈의 배치는 모바일기기(500)에 부가시킬 기능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모듈의 일측에는 접속단자(2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접속홈(22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모듈은 접속단자(210)가 다른 모듈의 접속홈(22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접속단자(210)가 접속홈(220)에 삽입되어 결합시, 접속단자(210)와 접속홈(220)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될 때, 복수개의 모듈은 모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다.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모듈은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게 되며, 가장 앞에 있는 모듈(도 7(a) 및 도 7(b)에서는 최좌측)의 접속단자(210)는 모듈 어레이(200)의 접속단자(210)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모듈 어레이(200)는 접속공간(130)의 삽입구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접속공간(130)에 슬라이딩 결합된 채 삽입된다.
이 경우, 모듈 어레이(200)의 접속단자(210) 즉, 가장 앞에 있는 모듈의 접속단자(210)는 접속공간(130)에 구비된 접속부(131)에 결합된다.
모듈 어레이(200)의 접속단자(210)가 접속부(131)에 결합됨에 따라 접속단자(210)와 접속부(131) 또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500)가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에 결합되고, 모듈 어레이(200), 또한,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의 접속공간(130)에 삽입되면, 전원연결부, 접속부(131), 접속단자(210), 접속홈(220)을 통해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이 모듈 어레이(200)로 공급되게 된다. 물론, 후술할 바와 같이,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하나의 모듈이 배터리 모듈(200e)인 경우, 배터리 모듈(200e)의 전원이 모바일기기(500)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하,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외선 센서 모듈(200a)일 수 있다.
자외선 센서 모듈(200a)에는 대기중의 자외선량 또는 자외선 농도를 측정하는 자외선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자외선 센서 모듈(200a)은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연결부와 접속공간(130)의 접속부(131)와 자외선 센서 모듈(200a)의 접속단자(210) 및 접속홈(220)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모바일기기(50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자외선 센서 모듈(200a)의 자외선 센서에서 측정된 자외선량 또는 자외선 농도는 자외선 센서 모듈(200a)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모바일기기(500)의 디스플레이부(510)에 표시될 수 있다.
자외선 센서 모듈(200a)은 자외선 센서 모듈(200a)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ON/OFF'되어 제어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먼지 센서 모듈(200b)일 수 있다.
먼지 센서 모듈(200b)에는 대기중의 먼지량 또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먼지 센서 모듈(200b)은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연결부와 접속공간(130)의 접속부(131)와 먼지 센서 모듈(200b)의 접속단자(210) 및 접속홈(220)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모바일기기(50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먼지 센서 모듈(200b)의 먼지 센서에서 측정된 먼지량 또는 먼지 농도는 먼지 센서 모듈(200b)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모바일기기(500)의 디스플레이부(510)에 표시될 수 있다.
먼지 센서 모듈(200b)은 먼지 센서 모듈(200b)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ON/OFF'되어 제어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스 센서 모듈(200c)일 수 있다.
가스 센서 모듈(200c)에는 특정 가스의 가스량 또는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가스 센서 모듈(200c)은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연결부와 접속공간(130)의 접속부(131)와 가스 센서 모듈(200c)의 접속단자(210) 및 접속홈(220)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모바일기기(50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가스 센서 모듈(200c)의 가스 센서에서 측정된 특정 가스의 가스량 또는 가스 농도는 가스 센서 모듈(200c)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모바일기기(500)의 디스플레이부(510)에 표시될 수 있다.
가스 센서 모듈(200c)은 먼지 센서 모듈(200b)과 연결되는 모바일기기(50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ON/OFF'되어 제어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커넥터 모듈(200d)일 수 있다.
커넥터 모듈(200d)에는 전원연결부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연결부와 동일한 기능, 즉, 충전기 USB케이블 등을 모바일기기(500)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모바일기기(500)가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와 결합될 경우,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연결부는 전원단자(140)에 연결되므로, 커넥터 모듈(200d)이 그 기능을 대체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 모듈(200d)의 전원연결부는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연결부와 같은 핀수를 갖을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터리 모듈(200e)일 수 있다.
배터리 모듈(200e)은 모바일기기(500)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모바일기기(5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배터리 모듈(200e)은 배터리 모듈(200e)과 상호 연결된 다른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컨데, 배터리 모듈(200e)과 가스 센서 모듈(200c)이 상호 연결되어 있을 경우, 배터리 모듈(200e)은 가스 센서 모듈(200c)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센서 모듈(200c)은 모바일기기(500)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더라도 작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500)의 전력(즉, 모바일기기의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모듈, 즉, 전술한 자외선 센서 모듈(200a), 먼지 센서 모듈(200b), 가스 센서 모듈(200c), 커넥터 모듈(200d), 배터리 모듈(200e)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기능별로 구별되는 표시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LCD, LED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발광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듈의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결 모듈일 수 있다.
연결 모듈은 센서 등 별도의 전자장치가 내장되지 않고, 접속단자(210)와 접속홈(220)만이 구비되어,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데, 도 5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공간(130)에 5개의 모듈을 삽입할 수 있고(즉, 5개의 모듈이 결합된 모듈 어레이(200)가 삽입될 수 있을 경우),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모듈 중 2개의 모듈만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 나머지 3개의 모듈은 연결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5개의 모듈을 상호 결합시켜 접속공간(130)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모듈의 갯수가 접속공간(130)에 삽입가능한 모듈의 갯수보다 적더라도, 모듈의 직렬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0)를 이루는 모듈 중 센서가 내장된 모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예컨데, 전술한 먼지 센서와 가스 센서는 하나의 모듈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모듈에서 먼지량 또는 먼지 농도 측정 및 특정 가스의 가스량 또는 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듈에 가스 센서 및 먼지 센서가 내장됨으로써, 가스/먼지 센서 모듈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는 접속공간(130)이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10)에 모바일기기(500)가 결합시 모바일기기(5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전방 개구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모듈 어레이(200)를 삽입하더라도, 모바일기기(500)의 두께 증가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접속공간(130)에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모듈로 이루어진 모듈 어레이(200)가 삽입되고, 모듈 어레이(200)의 모듈은 저마다 다른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모바일기기(500)에 여러가지 기능을 동시에 부가시킬 수 있다.
모듈 어레이(200)는 접속공간(130)에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모듈 어레이(200)의 삽입 및 꺼내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11: 몸체
12: 전원단자 13: 삽입홈
14: 수용공간 15: 접속부
20: 모듈 어레이 20a: 자외선 센서 모듈
20b: 먼지 센서 모듈 20c: 가스 센서 모듈
20d: 커넥터 모듈 20e: 배터리 모듈
21: 접속단자 22: 접속홈
23: 표시부
50: 모바일기기 51: 디스플레이부
52: 전원연결부
10: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100: 몸체 110: 전면 개구부
120: 후면 개구부 130: 접속공간
131: 접속부 140: 전원단자
200: 모듈어레이 200a: 자외선 센서 모듈
200b: 먼지 센서 모듈 200c: 가스 센서 모듈
200d: 커넥터 모듈 200e: 배터리 모듈
210: 접속단자 220: 접속홈
230: 표시부
500: 모바일기기 510: 디스플레이부
520: 후면 카메라

Claims (10)

  1. 모바일기기가 결합 가능하며, 그 하부 내부에 접속공간이 마련된 몸체; 및
    상기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공간의 접속부에 접속되는 모듈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어레이는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모듈은, 각각의 모듈에 구비된 접속단자가 다른 모듈의 접속홈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모듈의 가장 앞에 있는 모듈의 접속단자는 상기 모듈 어레이의 접속단자를 이루게 되고, 상기 모듈 어레이의 접속단자가 상기 접속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공간의 후면은 투명 커버에 의해 폐쇄된 형상을 갖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듈의 후면 각각에는 상기 모듈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도록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어레이는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어레이는 상기 접속공간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센서는 먼지센서 또는 가스센서 또는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상기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터리 모듈이며,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호 연결된 다른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7. 모바일기기에 결합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의 전원연결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원단자;
    다른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의 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삽입홈;
    상기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가 구비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모듈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어레이는 복수개의 모듈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모듈은, 각각의 모듈에 구비된 접속단자가 다른 모듈의 접속홈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모듈의 가장 앞에 있는 모듈의 접속단자는 상기 모듈 어레이의 접속단자를 이루게 되고, 상기 모듈 어레이의 접속단자가 상기 접속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전면은 투명 커버에 의해 폐쇄된 형상을 갖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듈의 전면 각각에는 상기 모듈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도록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센서는 먼지센서 또는 가스센서 또는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어레이를 이루는 상기 복수개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터리 모듈이며,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호 연결된 다른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KR1020180012672A 2018-02-01 2018-02-01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KR102049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72A KR102049778B1 (ko) 2018-02-01 2018-02-01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72A KR102049778B1 (ko) 2018-02-01 2018-02-01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266A KR20190093266A (ko) 2019-08-09
KR102049778B1 true KR102049778B1 (ko) 2019-11-28

Family

ID=6761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672A KR102049778B1 (ko) 2018-02-01 2018-02-01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7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7485A (ja) 2005-02-07 2006-08-17 Junichi Ito 携帯電話機に着脱自在な測定器
KR100849998B1 (ko) 2007-05-08 2008-08-04 함정우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101362430B1 (ko) 2013-09-09 2014-02-21 (주)소하테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가스 측정 방법
US20150133204A1 (en) 2013-12-03 2015-05-14 Vladimir Ivanovski Modular mobile device ca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2604A1 (de) * 1991-12-16 1993-06-24 Albert Baur Drahtloses modulares telefon für verschiedene anwendungen
FI2607U1 (fi) * 1996-06-17 1996-09-27 Nokia Mobile Phones Ltd Lisäyksikkö, joka on tarkoitettu kytkettäväksi digitaaliseen langattomaan puhelimeen
BR112016002900A2 (pt) 2013-08-12 2017-08-01 Nexpack Ltd adaptador para habilitar um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eletrônica com funções adicionais
KR20160072744A (ko) * 2014-12-15 2016-06-23 김덕한 미세먼지 폰케이스
KR20160108622A (ko) * 2015-03-02 2016-09-20 (주) 비비비 탈착 가능한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KR101754483B1 (ko) * 2015-09-14 2017-07-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KR20170136173A (ko) * 2016-06-01 2017-12-11 이수행 생체신호측정모듈이 착탈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7485A (ja) 2005-02-07 2006-08-17 Junichi Ito 携帯電話機に着脱自在な測定器
KR100849998B1 (ko) 2007-05-08 2008-08-04 함정우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101362430B1 (ko) 2013-09-09 2014-02-21 (주)소하테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가스 측정 방법
US20150133204A1 (en) 2013-12-03 2015-05-14 Vladimir Ivanovski Modular mobile device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266A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6678B2 (en) Memory card interface adapter
US9826079B2 (en) Multifunction peripheral device with interchangeable connectors and casts for mobile devices
KR100893937B1 (ko) 통합 연결장치
US922513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device
KR20110032265A (ko) 다기능 카드형 usb메모리 장치
KR101386854B1 (ko) 메모리장치의 수납 기능을 구비한 보호 케이스
US20060208697A1 (en) Gangable charger
CN107493420A (zh) 压板组件、摄像头模组和移动终端
US6776653B1 (en) 5-in-1 connector
CN107690046A (zh) 摄像头模组和移动终端
US20080182442A1 (en) Data Port for a Mobile Device
KR102049778B1 (ko)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CN207543202U (zh) 压板组件、摄像头模组和移动终端
US20230168714A1 (en) Case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JP6602428B1 (ja) 電子機器
CN108206874A (zh) 一种手机壳体
KR20130125914A (ko) 인터넷 충전카드를 포함한 다기능 휴대폰 보조 장치
CN108206366A (zh) 一种防水金属壳体
CN105898061A (zh) 具可替换连接器和外壳的移动设备用多功能外围核心部件
KR20160103823A (ko) 유체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5912124U (zh) 用于移动设备的多功能核心部件、及配套组件
JP4257231B2 (ja) 端末機用充電器
US20120304018A1 (en) Apparatus for testing basic input output system chip
US20080160791A1 (en) Memory card with a slim USB connector
KR20100054432A (ko) 슬라이드 방식의 usb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