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617B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17B1
KR101330617B1 KR1020120026492A KR20120026492A KR101330617B1 KR 101330617 B1 KR101330617 B1 KR 101330617B1 KR 1020120026492 A KR1020120026492 A KR 1020120026492A KR 20120026492 A KR20120026492 A KR 20120026492A KR 101330617 B1 KR101330617 B1 KR 101330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nnector
cover
display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726A (ko
Inventor
서경무
Original Assignee
서경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무 filed Critical 서경무
Priority to KR102012002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1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이 장착되었을 때 휴대폰의 하단을 막도록 휴대폰 안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 턱과, 이 하단 턱의 안쪽에 돌출 설치되어 휴대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용 소켓과 결합되는 커넥터와, 덮개의 외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와, 커넥터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가 휴대폰의 커넥터 소켓에 연결되었을 때 휴대폰의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아 각 회로 구성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부와, 커넥터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가 휴대폰의 커넥터 소켓에 연결되었을 때 휴대폰의 제어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를 구동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 {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분을 덮어주는 타입의 덮개형 케이스에서 덮개에 작은 디스플레이스를 설치하여 무음모드시에 휴대폰 덮개가 덮힌 상태에서 덮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착신 호 등을 표시해주도록 구성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고가의 기기이므로 충격으로부터의 고가의 휴대폰을 보호하고 휴대폰의 외부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탑재된 휴대폰이 대중화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센서가 탑재된 휴대폰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의도되지 않은 터치센서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덮는 타입의 덮개형 케이스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덮개형 케이스의 일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형 케이스(20)는 휴대폰(10)이 안착부(22)에 끼워 장착된 상태에서 덮개(24)를 덮은 상태에서 고정부(26)를 덮개(24) 위로 덮어서 자석식으로 덮개(24)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22)는 그 하단이 휴대폰(10)의 하단에 설치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용 소켓(1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덮개형 케이스(20)에 휴대폰(10)을 결합해 놓으면, 휴대폰을 사용할 때는 덮개(24)를 열고서 사용하다가(도 2 참조),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덮개(24)를 덮어두면 된다(도 3 참조).
따라서 디스플레이(12)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가 손이나 몸에 접촉되어 의도되지 않은 터치센서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덮개형 케이스는 휴대폰을 장착하고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는 착신 호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는 착신 호가 수신되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진동 모드 또는 벨소리 모드로 해 놓은 상태에서도 덮개가 덮힌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어떤 착신 호인지를 알 수 없어 덮개를 열어서 누구로부터 온 착신 호인지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덮개가 덮인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착신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휴대폰 케이스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 요망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분을 덮어주는 타입의 덮개형 케이스에서 덮개에 작은 디스플레이스를 설치하여 무음모드시에 휴대폰 덮개가 덮힌 상태에서 덮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착신 호 등을 표시해주도록 함으로써 덮개가 덮인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착신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이 장착되었을 때 휴대폰의 하단을 막도록 휴대폰 안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 턱과, 이 하단 턱의 안쪽에 돌출 설치되어 휴대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용 소켓과 결합되는 커넥터와, 덮개의 외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와, 커넥터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가 휴대폰의 커넥터 소켓에 연결되었을 때 휴대폰의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아 각 회로 구성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부와, 커넥터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가 휴대폰의 커넥터 소켓에 연결되었을 때 휴대폰의 제어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를 구동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분을 덮어주는 타입의 덮개형 케이스에서 덮개에 작은 디스플레이스를 설치하여 무음모드시에 휴대폰 덮개가 덮힌 상태에서 덮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착신 호 등을 표시해주도록 함으로써 덮개가 덮인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착신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회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휴대폰 케이스(20a)와 휴대폰(10)을 분리한 상태에서 휴대폰 케이스(20a)의 덮개(24a)를 오픈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0a)에서 휴대폰 안착부(22a)의 하단 턱(40)에 커넥터(40a)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0a)에 휴대폰(50)을 장착한 상태에서 덮개(24a)를 오픈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0a)에 휴대폰(50)을 장착한 상태에서 덮개(24a)를 덮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0a)는, 휴대폰(10)이 장착되었을 때 휴대폰(10)의 하단을 막도록 휴대폰 안착부(22a)의 하단에 하단 턱(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하단 턱(40)에는 휴대폰(10)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용 소켓(14)에 결합되는 커넥터(40a)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24a)의 외관에 소형 디스플레이(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종래 케이스와 상이한 점이며, 그 이외에는 종래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커넥터(40a)는 플렉시블 필름 케이블을 통하여 덮개(24a)의 안쪽에 설치된 회로부(미도시함)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회로 블록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10)에서 커넥터 소켓(14)은 제어모듈(11)과 검출부(13)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검출부(13)는 휴대폰 케이스(20a)의 커넥터(40a)가 커넥터 소켓(14)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여 제어모듈(11)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모듈(11)은 커넥터(40a)가 커넥터 소켓(14)에 결합된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커넥터 소켓(14)의 A단자와 C단자는 제어모듈(11)을 통하여 휴대폰(10)의 배터리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소켓(14)의 B단자와 D단자는 제어뮤듈(11)의 데이터통신용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넥터 소켓(14)의 E단자는 검출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휴대폰 케이스(20a)에는 커넥터(40a)의 a단자 및 c단자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40a)가 휴대폰(10)의 커넥터 소켓(14)에 연결되었을 때 휴대폰(10)의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아 각 회로 구성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부(25)와, 커넥터(40a)의 b단자 및 d단자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40a)가 휴대폰(10)의 커넥터 소켓(14)에 연결되었을 때 휴대폰(10)의 제어모듈(11)과 데이터 통신을 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30)를 구동제어하는 컨트롤러(21)와, 컨트롤러(21)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표시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30)와, 커넥터(40a)의 e단자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40a)가 휴대폰(10)의 커넥터 소켓(14)에 연결되었을 때 휴대폰(10)의 검출부(13)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R)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0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폰(10)의 제어모듈(11)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데, 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료로 다운로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 제공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어모듈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폰 케이스(20a)의 커넥터(40a)가 휴대폰(10)의 커넥터 소켓(14)에 연결되면, 휴대폰(10)의 검출부(13)에서는 저항(R)에 걸리는 전압값을 인지하여 휴대폰 커넥터(40a)의 접속을 감지하고 제어모듈(11)에 커넥터의 접속을 통지한다.
이에 따라 휴대폰(10)의 제어모듈(11)은 휴대폰 케이스(20a)의 접속을 인지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모듈(11)은 커넥터 소켓(14)의 B,D단자와 커넥터(40a)의 b,d단자 및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컨트롤러(21)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착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듈(11)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서 그 착신 호 정보 데이터를 커넥터 소켓(14)의 B단자와 D단자를 통하여 출력하여 커넥터(40a)의 b,d단자 및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컨트롤러(21)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착신 호 정보 데이터를 컨트롤러(21)에 전달되면 컨트롤러(21)는 착신 호 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0)로 전달하여 표시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가 덮인 상태에서도 덮개(24a)의 외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30)를 통하여 착신 호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분을 덮어주는 타입의 덮개형 케이스에서 덮개에 작은 디스플레이스를 설치하여 무음모드시에 휴대폰 덮개가 덮힌 상태에서 덮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착신 호 등을 표시해주도록 함으로써 덮개가 덮인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착신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가 손이나 몸에 접촉되어 의도되지 않은 터치센서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본연의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폰을 장착하고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는 착신 호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는 덮개의 외부에 설치된 소형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착신 호 정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10 : 휴대폰 11 : 제어모듈
12 : 디스플레이 13 : 검출부
14 : 충전 및 통신용 커넥터 소켓 20a : 휴대폰 케이스
21 : 컨트롤러 22a : 휴대폰 안착부
24a : 덮개 25 : 전원부
26a : 고정부 30 : 디스플레이
40 : 하단 턱 40a : 커넥터

Claims (1)

  1. 휴대폰 안착부(22a)와 덮개(24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폰(10)이 장착되었을 때 휴대폰(10)의 하단을 막도록 휴대폰 안착부(22a)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 턱(40)과;
    상기 하단 턱(40)의 안쪽에 돌출 설치되어 휴대폰(10)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용 소켓(14)과 결합되는 커넥터(40a)와;
    덮개(24a)의 외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30)와;
    커넥터(40a)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40a)가 휴대폰(10)의 커넥터 소켓(14)에 연결되었을 때 휴대폰(10)의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아 각 회로 구성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부(25)와;
    커넥터(40a)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40a)가 휴대폰(10)의 커넥터 소켓(14)에 연결되었을 때 휴대폰(10)의 제어모듈(11)과 데이터 통신을 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30)를 구동제어하는 컨트롤러(2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20026492A 2012-03-15 2012-03-15 휴대폰 케이스 KR101330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492A KR101330617B1 (ko) 2012-03-15 2012-03-15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492A KR101330617B1 (ko) 2012-03-15 2012-03-15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26A KR20130104726A (ko) 2013-09-25
KR101330617B1 true KR101330617B1 (ko) 2013-11-18

Family

ID=4945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492A KR101330617B1 (ko) 2012-03-15 2012-03-15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6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998B1 (ko) 2007-05-08 2008-08-04 함정우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20120124194A (ko) * 2011-05-03 2012-11-13 신두일 착탈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겸용 화면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998B1 (ko) 2007-05-08 2008-08-04 함정우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20120124194A (ko) * 2011-05-03 2012-11-13 신두일 착탈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겸용 화면출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26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7512B2 (ja) 携帯電子機器
CN102053665B (zh) 便携式终端
US2015024551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hysical key
US20080316177A1 (en) Mouse-type mobile phone
KR20150135889A (ko)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전자장치
KR20100050031A (ko) 이동 단말기
US20170026069A1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accessory device theref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accessory device
US8311592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ged status thereof
KR20150000041A (ko)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KR20110022387A (ko) 이동 단말기
JP6095736B2 (ja) 電子デバイスシステム、電子デバイス用カバー、及び電子デバイス
US20230067147A1 (en) Cradle and portable sound device
KR200456228Y1 (ko)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WO2014183571A1 (zh) 移动终端保护套
CN112119565B (zh) 用于配件模式改变的功率极性检测
CN103458127A (zh) 移动终端及其保护套、移动终端系统
KR100943031B1 (ko)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
US20170078461A1 (en) Mobile terminal
KR101330617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561069B1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KR201400486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파우치
JP4737434B2 (ja) カバー開閉制御機構、及び携帯端末
CN212849957U (zh) 保护壳
JP2010278941A (ja) 通信システム
KR100680219B1 (ko) 자동 부팅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