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174Y1 -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 Google Patents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174Y1
KR200258174Y1 KR2020010029498U KR20010029498U KR200258174Y1 KR 200258174 Y1 KR200258174 Y1 KR 200258174Y1 KR 2020010029498 U KR2020010029498 U KR 2020010029498U KR 20010029498 U KR20010029498 U KR 20010029498U KR 200258174 Y1 KR200258174 Y1 KR 200258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obile phone
folder
flip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Original Assignee
박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기 filed Critical 박병기
Priority to KR2020010029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17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은, 플립형 핸드폰이나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핸드폰의 몸체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연결끈으로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을 걸어 고정하므로서, 핸드폰의 고유 기능인 통신수단으로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어 보기 위해 거울이 필요할 때 거울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특정 부위를 확대하여 비추어 볼 수 있는 볼록거울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더한층 편리함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은, 전면부에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을 할 수 있는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키패드부가 구비된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가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키패드부를 개방시키거나 패쇄시키는 폴더;
상기 폴더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핸드폰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
상기 몸체와 폴더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수화부; 및
상기 송수화부가 구비된 몸체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몸체의 배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팩으로 구성하여서 된 플립형 또는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이나 폴더형 핸드폰의 몸체(2)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연결끈(6)으로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 또는 힌지(11)로 개폐되는 뚜껑(10)을 구비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을 연결끈(6)으로 걸어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Hands-phone for possess all mirror}
본 고안은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립형 핸드폰이나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핸드폰의 몸체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을 연결끈으로 걸어 고정하므로서 필요시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얼굴을 확대하여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천만 명을 넘어서면서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핸드폰은 점차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핸드폰은 송수신만을 할 수 있는 핸드폰과 통화중인 상대방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는 화상핸드폰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핸드폰들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실내에서 유선전화기와 함께 범용적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용무를 보거나 이동 중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핸드폰의 구성을 살펴보면, 폴더형 핸드폰과 플립형 핸드폰으로 대별되며, 폴더형 핸드폰은 두 개의 폴더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어 폴더를 열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플립형은 내부에 각종 부품이 내장되고 이를 감싸고 있는 몸체의 상부에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고, 몸체의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가 구비된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키패드부를 개방시키거나 패쇄시키는 플립과, 상기 키패드부의 누름조작에 의한 전화번호 입력 및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상측부와 키패드부 또는 플립에 각각 형성되는 송수화부와, 상기 송수화부가 구비된 몸체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몸체의 배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플립형 또는 폴더형 핸드폰은, 외관을 구성하는 몸체와, 이 몸체에 설치되는 플립이나 폴더 및 배터리팩이 합성수지재로 성형이 되고, 상기 몸체를 통해 설치되는 플립이나 폴더 및 배터리팩은 핸드폰으로서 고유기능만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즉, 폴더형이나 플립형 핸드폰은 모두 플립이나 폴더가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키패드부를 개폐시키는 기능만을 지니고 있고, 배터리팩은 몸체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을 뿐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핸드폰이 전화통화의 고유기능에만 국한되지 않고, 무선호출과 무선을 이용한 팩스, 정보의 송수신 및 화상을 이용한 쌍방 전화통화를 할 수 있으며, 계산기의 기능까지 갖춘 다양한 신제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핸드폰이 플립형과 폴더형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핸드폰의 외형에 대해서는 각 제조사의 특징만을 살려 외관 및 크기만 점차 축소되었을 뿐 핸드폰의 외장을 이용하여 색다른 기능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예를 들어, 남녀 모두를 막론하고 핸드폰을 휴대하면서 음식을 먹거나 수시로 얼굴에 화장을 고치거나 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일일이 거울을 찾아 거울 앞에 서서 얼굴이나 치아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하면서 화장을 고치거나 특히, 여성들의 경우 핸드백에 휴대하는 별도의 거울을 꺼내서 거울을 보면서 화장을 고쳐야 하므로 아주 번거로운 일이었다.
한편, 폴더형 핸드폰이나 플립형 핸드폰에는 핸드폰을 안전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핸드폰 몸체의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운반끈이 걸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운반끈은 초기에는 단순히 핸드폰을 안전하게 들고 다닐 수 있는 운반끈의 기능만을 갖고 있었으나 점차적으로 운반끈이 핸드폰을 장식하는 장식용 악세사리 기능을 겸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핸드폰의 운반끈에 거울의 기능을 부가한다면, 그것도 필요한 부위를 확대하여 자세히 볼 수 있는 볼록거울의 기능을 부가한다면 핸드폰을 들고 다니는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별도의 거울을 준비할 필요가 없이 핸드폰으로 필요한 부위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은, 핸드폰의 몸체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연결끈으로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을 걸어 고정하므로서 통신수단으로서 핸드폰의 고유기능이외에 필요시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고안의 핸드폰에 걸어 고정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은, 사용자의 얼굴을 확대하여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악세사리 볼록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거울이 부착된 폴더형 핸드폰의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핸드폰에 걸어 고정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도 2 의 X - X 선을 절단한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도 2 의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2 : 몸체
3 : 폴더 4 :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
5 : 표시부 6 : 연결끈
7 : 볼록거울 8 : 평면거울
9 : 거울몸체 10 : 뚜껑
11 : 힌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은, 전면부에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을 할 수 있는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키패드부가 구비된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가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키패드부를 개방시키거나 패쇄시키는 폴더;
상기 폴더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핸드폰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
상기 몸체와 폴더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수화부; 및
상기 송수화부가 구비된 몸체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몸체의 배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팩으로 구성하여서 된 플립형 또는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이나 폴더형 핸드폰의 몸체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연결끈으로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을 걸어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플립형이나 폴더형 핸드폰의 몸체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힌지로 개폐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을 연결끈으로 걸어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핸드폰의 몸체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걸어 고정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은, 거울몸체의 양면 요홈부에 볼록거울과 평면거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접착하거나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은, 뚜껑이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거울몸체와 뚜껑의 요홈부에는 볼록거울과 평면거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접착하거나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을 좀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에서, 부호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1)은 폴더형 핸드폰이거나 플립형 핸드폰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거울이 부착된 폴더형 핸드폰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거울을 구비하는 폴더형 핸드폰은 전면부에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을 할 수 있는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몸체(2);
상기 키패드부가 구비된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가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키패드부를 개방시키거나 패쇄시키는 폴더(3);
상기 폴더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핸드폰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5);
상기 몸체와 폴더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수화부; 및
상기 송수화부가 구비된 몸체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몸체의 배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폴더형 핸드폰 또는 플립형 핸드폰의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기술내용으로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 폴더형 핸드폰(1)의 몸체(2)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연결끈(6)으로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을 걸어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트형이거나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란형이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마름모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고안의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울몸체(9)의 양면에 볼록거울 또는 평면거울을 접착 또는 부착되는 것으로서, 거울몸체(9)의 양면에 볼록거울(7)과 평면거울(8)을 교호로 부착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거울몸체(9)의 양면에 평면거울(8)만을 부착하거나 거울몸체(9)의 양면에 볼록거울(7)만을 부착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폴더형 핸드폰(1)의 몸체(2)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힌지(11)로 개폐되는 뚜껑(10)을 구비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을 걸어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은 뚜껑(10)이 힌지(11)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거울몸체(9)와 뚜껑(10)의 내부에는 볼록거울(7)과 평면거울(8)을 접착하거나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은, 뚜껑이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거울몸체와 뚜껑의 내부에는 볼록거울과 평면거울을 접착하거나 부착하므로서, 거울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뚜껑을 닫아서 거울 면을 보호할 수 있고 사용 시에만 뚜껑을 열어서 필요한 부분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에서 거울몸체(9)에 볼록거울(7)이나 평면거울(8)을 부착하는 방법은, 도 3 과 같이 거울몸체(9)상에 일정한 두께와 넓이로 요홈부를 형성하고, 이 요홈부에 볼록거울(7)이나 평면거울(8)을 삽입 고정하거나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플립형 핸드폰이나 폴더형 핸드폰에 연결끈(6)으로 걸어 고정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은 다양하게 변화되는 핸드폰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볼록거울이나 평면거울의 형상과 모양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으며, 핸드폰과 기능이 유사한 PDA 와 같은 휴대용 개인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은, 플립형 핸드폰이나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핸드폰의 몸체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연결끈으로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을 걸어 고정하므로서 핸드폰의 고유 기능인 통신수단으로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어 보기 위해 거울이 필요할 때 거울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더한층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은, 볼록거울을 포함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을 핸드폰의 몸체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연결끈으로 걸어 고정하므로서, 핸드폰의 고유 기능인 통신수단으로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얼굴을 확대하여 비추어 볼 수 있는 볼록거울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더한층 편리함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핸드폰에 걸어 고정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은, 뚜껑이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거울몸체와 뚜껑의 내부에는 볼록거울과 평면거울을 접착하거나 부착하므로서, 거울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뚜껑을 닫아서 거울 면을 보호할 수 있고 사용 시에만 뚜껑을 열어서 필요한 부분을 비추어 볼 수 있는 등의 제반 특,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전면부에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을 할 수 있는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키패드부가 구비된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가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키패드부를 개방시키거나 패쇄시키는 폴더;
    상기 폴더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핸드폰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
    상기 몸체와 폴더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수화부; 및
    상기 송수화부가 구비된 몸체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몸체의 배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팩으로 구성하여서 된 플립형 또는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이나 폴더형 핸드폰의 몸체(2)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연결끈(6)으로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을 걸어 고정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2. 전면부에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을 할 수 있는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키패드부가 구비된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가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키패드부를 개방시키거나 패쇄시키는 폴더;
    상기 폴더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핸드폰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
    상기 몸체와 폴더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수화부; 및
    상기 송수화부가 구비된 몸체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몸체의 배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팩으로 구성하여서 된 플립형 또는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이나 폴더형 핸드폰의 몸체(2) 배면에 형성된 끈 연결구멍에, 힌지(11)로 개폐되는 뚜껑(10)을 구비하는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을 연결끈(6)으로 걸어 고정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은, 거울몸체(9)의 양면 요홈부에 볼록거울(7)과 평면거울(8)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접착하거나 부착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악세사리 거울(4)은, 뚜껑(10)이 힌지(11)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거울몸체(9)와 뚜껑(10)의 요홈부에는 볼록거울(7)과 평면거울(8)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접착하거나 부착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KR2020010029498U 2001-09-25 2001-09-25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KR200258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98U KR200258174Y1 (ko) 2001-09-25 2001-09-25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98U KR200258174Y1 (ko) 2001-09-25 2001-09-25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174Y1 true KR200258174Y1 (ko) 2001-12-29

Family

ID=7310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98U KR200258174Y1 (ko) 2001-09-25 2001-09-25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1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641B1 (ko) 이중 운동을 위한 힌지를 지니는 접이식 이동 단말기
US6934568B2 (en) Extending hinged flip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device
WO2004073284A8 (en)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US7082318B2 (en) Electronic device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KR200258174Y1 (ko)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KR20010000388U (ko) 폴더식 핸드폰
KR200257663Y1 (ko) 거울이 부착된 핸드폰
JP2000299719A (ja) 携帯電話機
KR20000012247A (ko) 휴대폰
KR20030021092A (ko) 거울이 부착된 핸드폰
KR200293959Y1 (ko) 덮개가 닫혀진 상태에서 통화 및 통화목록 검색이 가능한듀얼 폴더형 이동 통신 전화기
KR200326412Y1 (ko) 장갑을 이용한 통신용 단말기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194591Y1 (ko) 얼굴이 비치는 핸드폰
KR200276811Y1 (ko) 회전 폴더형 휴대폰
KR20010025887A (ko)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KR200282195Y1 (ko) 거울이 부착된 핸드폰
KR200407547Y1 (ko) 돋보기를 갖는 줄 고리 및 이를 장착한 핸드폰
KR100466167B1 (ko)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KR200198699Y1 (ko) 디스플레이부와 신호입력버튼이 외부로 노출된 폴더형휴대폰
KR200275027Y1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폰
KR100659051B1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KR20070040950A (ko) 귀걸이형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KR20030123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