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887A -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 Google Patents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887A
KR20010025887A KR1019990036942A KR19990036942A KR20010025887A KR 20010025887 A KR20010025887 A KR 20010025887A KR 1019990036942 A KR1019990036942 A KR 1019990036942A KR 19990036942 A KR19990036942 A KR 19990036942A KR 20010025887 A KR20010025887 A KR 20010025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icrophone
cellular phone
use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관식
팽향숙
Original Assignee
공관식
팽향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관식, 팽향숙 filed Critical 공관식
Priority to KR101999003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5887A/ko
Priority to KR2019990018503U priority patent/KR200170131Y1/ko
Publication of KR20010025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통신상태 및 각종 기능을 표시하는 액정표시부와, 통신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패드부와,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매체인 안테나를 포함하는 셀룰라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그 고정단이 상기 셀룰라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자유단에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별도의 마이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에 관한 것으로서, 셀룰라폰의 몸체 크기를 종래보다 축소할 수 있으므로, 셀룰라폰의 길이 제한을 없애, 제조업체의 개발여지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기본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이어마이크폰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걸이용 줄을 하단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걸어둔 상태에서 바로 전화를 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CELLULAR PHONE HAVING A DUAL FUNCTIONED ANTENNA WITH A DIRECTIONAL MIKE}
본 발명은 셀룰라 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 기능을 내장시킨 안테나및 손목걸이용 줄을 하단에 설치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라폰은 서로 격리된 위치에 있는 통화자가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핸드폰, 휴대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를 통칭하여 부르는 용어이다.
이러한 셀룰러폰은 전자 통신산업의 비약적인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기능과, 다양한 디자인으로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셀룰라폰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셀룰라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셀룰라폰(10)은 통신에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를 내장한 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상부에는 사용자에게 통신상태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부(1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통신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16)와, 소정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폰 스피커(18)와, 소정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폰 마이크(2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매체가 되는 안테나(22)가 상단에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의 손목 등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걸이용 줄(24)이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셀룰라폰(10)의 세부적인 구성 요소와, 그 기능 및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12)는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신호의 변/복조 단계를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수신된 음성이나 데이터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휴대용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소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통신 및 부가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컨트롤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술한 각 구성요소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14)는 TFT형 LCD(Thin Film Transistor Type Liquid Crystal Display)와, 이 LCD를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시키기 위한 LCD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키패드부(16)는 10개의 숫자 버튼과, 소정의 커서를 상하좌우로 시프트하기 위한 3개의 방향버튼과, 각종기능을 열람하도록 하기 위한 메뉴버튼과, 선택된 메뉴나 입력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확인을 받기 위한 확인버튼과, 통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센드(Send; SND) 버튼(또는 통화버튼)과, 소정의 데이터를 지우기위한 지움버튼과, 비 통화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엔드(END)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술한 키패드부(16)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함이고, 실제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회사에 따라서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회사이더라도 모델에 따라서도 서로 다르다.
상기 폰 스피커(18)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귀에 접촉시켜 사용되고, 상기 폰 마이크(20)는 입력할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 근처에 위치시켜 사용된다.
상기 안테나(22)는 접혀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안테나(22)의 자유단을 뽑아서 펼치면,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2배 이상으로 펼쳐지게 되고, 통화시 수신 또는 송신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이러한 안테나(22)가 접혀진 길이는 통화하기에 필요 충분한 최소의 길이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셀룰라 폰(10)의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사용자의 휴대 편의를 위하여 셀룰라 폰(10)의 상단에 걸이용 홀(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홀에 걸이용 줄(24)을 부착하고 있다. 이 걸이용 줄(24)은 일종의 악세사리로서, 다양한 모양과 형태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의 손목 등에 걸어서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셀룰라 폰(10)의 형태외에도 상기 키패드부(16) 부분을 가리도록 구비된 플립을 오픈시켜 통화상태로 전환하는 플립형과, 상기 몸체(12)의 중간 부분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접혀진 몸체를 펴서 통화상태로 전환하는 폴더형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셀룰라폰(10)의 측면에는 이어마이크폰(Ear-Mike-Phone)을 연결할 수 있는 잭(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이어마이크폰을 연결하면 통화시 셀룰라폰을 잡지 않아도 되어, 핸드프리(Hand-free)통신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셀룰라폰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셀룰라폰은 휴대용 통신기기이기 때문에 가벼워야 하고, 배터리 사용시간이 길어야 한다. 이러한 두가지 필요성은 서로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배터리 사용시간이 길어지기 위해서는 전력소비가 적어야 하는데,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셀룰라폰의 크기가 줄어 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셀룰라폰은 그 양단을 귀와 입 근처에 위치시켜 사용하므로, 원활한 통신을 위해서 셀룰라폰의 몸체가 귀와 입 사이의 길이 만큼은 확보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서로 상충되는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셀룰라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둘째, 상기 걸이용 줄(24)을 사용자의 손목에 걸어 두었다가 전화벨이 울리면 사용자는 전화를 받기 위해서 걸어 두었던 셀룰라폰을 손목으로부터 벗기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손목에 건 상태에서 셀룰라폰을 잡아서, 전화를 받으면, 폰 마이크가 귀 근처에 위치하고, 폰 스피커가 입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셋째, 전술한 이어마이크폰을 이용하면 불편없이 통화할 수는 있지만, 통화량이 많은 사람에게만 편리할 뿐, 통화량이 적은 일반사용자는 전화벨이 울릴 때마다 일일히 이어마이크폰을 착용했다 벗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설령, 이어마이크폰을 계속 착용하고 있다 하더라도, 비통화시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걸이용 줄을 손목에 걸어둔 채로 전화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귀와 입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는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셀룰라 폰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 폰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 폰의 좌측면을 도시한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 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액정표시부 16 ; 조작버튼부
18 ; 스피커부 20 ; 제 1 마이크부
30 ; 셀룰라폰 32 ; 몸체
42 ; 마이크겸용 안테나 42a ; 안테나부
42b ; 제 2 마이크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와, 통신상태 및 각종 기능을 표시하는 액정표시부와, 통신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조작버튼부와,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매체인 안테나를 포함하는 셀룰라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그 고정단이 상기 셀룰라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자유단에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별도의 마이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폰의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걸어 휴대토록 한 걸이용 줄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폰의 마이크겸용 안테나는 소정 길이로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하기 위해 펼칠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 근처까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고, 종래기술과 중복되는 내용은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 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셀룰라폰(30)은 외관상 무선통신에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가 내장된 몸체(32)와, 마이크 겸용 안테나(42)로 이루어져 있다.
이 셀룰라폰(30)의 몸체(32) 상부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8)가 구비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통신상태 및 각종 부가기능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부(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셀룰라폰(30)의 몸체(32) 하부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16)가 탑재되어 있다. 이때, 상기 키패드부(16)의 버튼은 제조업체의 설계룰에 따라 변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일부 버튼은 몸체(32)의 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럴경우에는 전체제품의 크기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피커(18)도 단일 스피커로 구성하지 않고, 상부 코너부분에 각각 두개의 서라운드용 스피커를 장착하여 수신품질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이 되는 안테나와 걸이용 줄은 셀룰라폰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즉, 자유단에 마이크(42b)가 구비된 안테나(42)는 셀룰라폰(30) 하단의 일 단에 설치되고, 이로부터 격리된 소정위치에는 소정 크기의 홀을 형성하고, 이 홀에 걸이용 줄(24)을 묶어서 부착한다.
또한, 마이크 겸용 안테나(42)는 자유단에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42b)와, 확장 가능한 안테나부재(42a)로 이루어져, 뽑아서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안테나를 뽑을 경우 사람의 입 근처까지 연장되는 지향성마이크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셀룰라폰(30)의 전체길이는 종래보다 1/2 이하의 크기로 줄여도 통화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 겸용 안테나(42)는 통화와 동시에 즉, 상기 키패드부(16)의 센드 버튼을 누르거나 플립을 열게되면(플립형일 경우)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물론, 수동으로 마이크 겸용 안테나(42)가 펼쳐지도록 구성해도 되지만, 이럴 경우에는 센드 버튼을 누르고(플립형일 경우에는 플립을 열고서), 안테나를 뽑아야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 전술한 자동 인출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테나의 자동 인출 방식을 채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 내부에 안테나 구동부가 내장되어야 하는데, 이 안테나 구동부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채택하면 된다. 이때, 안테나의 자동인출시점은 사용자가 플립을 열거나, 통화버튼을 열었는지 열지 않았는지를 검출하여 동작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같이, 마이크 겸용 안테나와, 걸이용 줄을 셀룰라폰의 하단에 각각 설치하면, 몸체의 길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셀룰라폰을 걸어둔 상태에서 바로 전화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셀룰라폰 이란 용어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센터서버가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해 통신구역을 복수개의 셀(단어적인 의미는 세포, 방이란 뜻이지만, 여기서는 지역을 의미함)로 분할하여 관리한데서 유래하였다. 또한, 셀룰라폰이 사용하는 주파수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주로 사용되는 주파수는 약 800㎒대와, 약 1.3㎓대이고, 본 발명은 전술한 셀룰라폰의 통신방식의 유형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시(Disclose)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중심사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어떤 형태 즉, 폴더형, 플립형, 일반형 중 어떤 형태의 몸체를 가지고 있더라도 적용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부터 유추 가능한 변형 실시예 또한 다음에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셀룰라폰의 몸체 크기를 종래보다 축소할 수 있으므로, 셀룰라폰의 길이 제한을 없애, 제조업체의 개발여지를 확대시킬 수 있다.
둘째,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기본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이어마이크폰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걸이용 줄을 하단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걸어둔 상태에서 바로 전화를 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18)와,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와, 통신상태 및 각종 기능을 표시하는 액정표시부(14)와, 통신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패드부(16)와,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매체인 안테나를 포함하는 셀룰라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그 고정단이 상기 셀룰라폰(3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자유단에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폰의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걸어 휴대토록 한 걸이용 줄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폰의 마이크겸용 안테나는 소정 길이로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하기 위해 펼칠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 근처까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겸용 안테나는 비통화상태에서는 최소 길이로 접혀 있다가 셀룰라폰이 통화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입근처까지 자동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 폰의 몸체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입과 귀 사이의 거리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KR1019990036942A 1999-09-01 1999-09-01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KR20010025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942A KR20010025887A (ko) 1999-09-01 1999-09-01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KR2019990018503U KR200170131Y1 (ko) 1999-09-01 1999-09-02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942A KR20010025887A (ko) 1999-09-01 1999-09-01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503U Division KR200170131Y1 (ko) 1999-09-01 1999-09-02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887A true KR20010025887A (ko) 2001-04-06

Family

ID=1960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942A KR20010025887A (ko) 1999-09-01 1999-09-01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58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374A (ko) * 2002-12-12 200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겸용 이어폰-마이크가 구비된 휴대폰
CN113726947A (zh) * 2020-05-26 2021-1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语音通话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835470A (zh) * 2020-06-08 2021-12-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905110A (zh) * 2020-06-18 2022-01-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374A (ko) * 2002-12-12 200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겸용 이어폰-마이크가 구비된 휴대폰
CN113726947A (zh) * 2020-05-26 2021-1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语音通话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726947B (zh) * 2020-05-26 2022-09-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语音通话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835470A (zh) * 2020-06-08 2021-12-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905110A (zh) * 2020-06-18 2022-01-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905110B (zh) * 2020-06-18 2022-11-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139B1 (ko)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JPH07312631A (ja) 携帯無線機
GB2326052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opposing flip covers
KR20010025887A (ko)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KR200170131Y1 (ko)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KR100367550B1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KR100594015B1 (ko)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50503B1 (ko)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20000063410A (ko) 무선 이어폰마이크.
KR20020062565A (ko) 멀티-섹션 키패드와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는 손목 통신장치
KR200228906Y1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JP2001285428A (ja) 携帯電話機
JP2001217627A (ja) 携帯電話機
KR20020059146A (ko) 외부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폴더형휴대전화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98699Y1 (ko) 디스플레이부와 신호입력버튼이 외부로 노출된 폴더형휴대폰
KR100451834B1 (ko) 분리형 액정화면을 갖는 휴대폰
KR200184934Y1 (ko)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KR200286783Y1 (ko) Lcd창과 버턴다이얼을 구비한 이어폰
JP2001168965A (ja) イヤホン装着型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
KR200201902Y1 (ko) 휴대 전화기용 목걸이
KR100689434B1 (ko) 폴더형 무선 단말기
KR200255274Y1 (ko) 사이드 키를 구비한 휴대폰
KR200258174Y1 (ko)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KR200282150Y1 (ko) 키 누름이 편리한 셀룰라 폰 구조
KR20010011056A (ko) 원격 키패드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