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766B1 - 안전벨트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766B1
KR100848766B1 KR1020070013577A KR20070013577A KR100848766B1 KR 100848766 B1 KR100848766 B1 KR 100848766B1 KR 1020070013577 A KR1020070013577 A KR 1020070013577A KR 20070013577 A KR20070013577 A KR 20070013577A KR 100848766 B1 KR100848766 B1 KR 10084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tongue
seat belt
hole
bel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11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e.g. placed on the front face of the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1Tongu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버클과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텅(tongue)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에 있어서, 텅에는 돌출편이 형성된 걸림홀이 형성되고, 버클은 내부에 돌출편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출편 삽입구가 형성된 버클 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안전벨트장치에 의하면, 안전벨트의 체결력이 강화되어 충돌 시에도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전벨트, 버클, 텅, 스프링, 레치

Description

안전벨트장치{A SEAT BELT DEVIC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텅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버클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버클 레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텅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레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텅 11, 11' : 걸림홀
12 : 돌출편 13 : 텅 전방부
20 : 버클 21 : 이탈 스위치
22 : 텅 삽입구 23, 23': 버클 레치
24 : 돌출편 삽입구 25 : 버클 레치 상단 굴곡부
본 발명은 열차, 자동차, 또는 항공기 등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벨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벨트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텅(TONGUE)과 버클(BUCKLE)이 포함된 안전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텅과 버클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텅(10)에는 일정한 크기의 걸림홀(11)이 형성되어 있다. 텅(10)은 통상적으로 충분한 강성을 구비한 합금 소재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텅(10)에는 걸림홀(11)이 형성되어 도 2의 버클(20)와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버클(20)에는 도 1의 텅(10)이 삽입되는 텅 삽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텅 삽입구(22)에 삽입된 텅(10)은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어 도 3의 텅 삽입구(22)의 내부에 구비되는 버클 레치(23)에 의해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버클 레치(23)는 버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도 3의 화살표 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경우 다시 위 방향으로 원위치가 가능하다. 또한 이탈 스위치(21)를 이용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텅(10)이 삽입되어 버클 레치(23)의 상단 굴곡부(25)를 밀어 내면 버클 레치(23)는 아래로 변위되고 텅(10)에 구비된 걸림홀(11)이 버클 레치(23) 상단부에 위치할 때에, 버클 레치(23)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텅(10)의 걸림홀(11)을 관통하게 되어 텅(10)과 버클(20)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탈 스위치(25)를 눌러 버클 레 치(23)를 아래 방향으로 변위시켜 걸림홀(11)로부터 이탈시키면 텅(10)과 버클(20)를 분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텅(10)이 삽입되기 전에 버클(20)에 구비된 텅 삽입구(22)의 내부는 버클 레치(23)의 상단 굴곡부(25)에 의해 일부가 막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텅과 버클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는, 걸림홀(11)의 형태가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부분 사각형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버클 레치(23) 역시 걸림홀(11)의 형상에 대응되게 일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안전벨트가 받는 충격의 방향에 따라 텅(10)과 버클(20)의 결합 강도는 유지되기가 힘들다. 특히, 종래의 기술에 의한 텅(10)과 버클(20)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는 텅(10)과 버클(20)이 결합되는 방향에서 정 반대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때에 중점을 두어 설계되므로, 버클(20)의 측면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에는 쉽게 분리되어 안전벨트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큰 인명손실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속부품으로서 무게추와 같은 부품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으나 생산원가의 증가를 초래하며, 효과 역시 신뢰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버클과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텅(tongue)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에 있어서, 텅에는 돌출편이 형성된 걸림홀이 형성되고, 버클은 내부에 돌출편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출편 삽입구가 형성된 버클 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장치는, 버클과 상기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텅(tongue)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텅에는 돌출편이 형성된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클은 내부에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출편 삽입구가 형성된 버클 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홀은 상기 텅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은 상기 걸림홀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홀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도면 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텅(10)에는 걸림홀(11')과 돌출편(12)이 형성되어 있다. 텅(10)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충분한 강성을 지닌 소재로서 일반적 인 충돌 사고 시에도 굽혀지거나 변형되지 않는 강성을 지닌 합금 소재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텅(10)에 형성된 걸림홀(11')은 텅(10)을 절개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걸림홀(11')이 형성되면, 돌출편(12)은 걸림홀(11')과 함께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편(12)의 특정은 결과적으로 걸림홀(11')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으로 영역이 확정된다.
도 4에서는 걸림홀(11')을 "ㄷ"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폐곡선의 일정 부분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폐곡선이란 일정한 점에서 출발하여 다시 최초 출발점으로 도착할 수 있는 곡선을 의미한다. 사각형 역시 폐곡선에 포함된다. 이러한 폐곡선의 일정부분이 개방된 형상이란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반드시 "ㄷ"형상으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에서 일정 부분이 개방된, 다시 말하면, 폐곡선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걸림홀(11')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으로 특정되는 돌출편(12)은 후술할 돌출편 삽입구(24)와 일치되게 형성되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할 것이다.
도 5의 버클 레치(23')는 도 2의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3의 버클 레치(23)를 대체하는 것이다. 버클 레치(23')에는 도 4의 돌출편(12)이 삽입될 수 있는 돌출편 삽입구(24)가 구비된다. 돌출편 삽입구(24)는 버클 레치(23')의 일부에 파인 홈으로 형성되거나 버클 레치(23')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 4의 텅(10)은 도 2의 버클(20)에 구비된 텅 삽입구(22)에 삽입된다. 이 때 텅 전방부(13)가 텅 삽입구(22)의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텅 삽입구(22)의 내부 일정 지점에 형성된 버클 레치(23')의 상단 굴곡부(25)를 밀어낸다. 그러면 버클 레치(23')는 아래 방향으로 변위되고 텅(10)은 계속적으로 버클(20) 내부로 삽입되고 일정 깊이에서 고정되는데, 이 때, 버클 레치(23')의 상단 굴곡부 위에 걸림홀(11')이 위치하며, 버클 레치(23')는 앞서 언급한 탄성 부재등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그러면서 다시 텅(10)에 형성된 돌출편(12)이 버클 레치(23')에 형성된 돌출편 삽입구(24)에 삽입되어 이중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텅(10)과 버클(20)의 분리는 버클(20)에 구비된 이탈 스위치(21)를 이용하여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탈을 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돌출편(12)을 돌출편 삽이부(24)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하고 연속적으로 버클 레치(23')를 걸림홀(11')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여 버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부재들에 의해서 실현가능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장치에 의하면, 버클 레치가 텅의 걸림홀에 고정되는 것 뿐만 아니라, 텅에 형성된 돌출편이 버클의 내부에 구비된 버클 레치에 형성된 돌출편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이중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키 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버클에 가해지는 측면 충격에 의해서도 버클과 텅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승객의 안전이 보장된다.

Claims (3)

  1. 버클과 상기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텅(tongue)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텅은 일부분을 폐곡선의 일정부분이 개방된 형상으로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인 걸림홀과 개방된 형상부분에 해당하여 돌출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며,
    상기 버클은 텅이 삽입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고, 삽입이 완료시에는 다시 위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홀을 관통해서 고정시키는 버클 레치를 포함하며,
    상기 버클 레치는 상기 걸림홀이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 레치의 옆면에 버클 레치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파인 홈 형태 또는 관통하는 구멍 형태인 돌출편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은 상기 텅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은 상기 걸림홀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장치.
KR1020070013577A 2007-02-09 2007-02-09 안전벨트장치 KR100848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577A KR100848766B1 (ko) 2007-02-09 2007-02-09 안전벨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577A KR100848766B1 (ko) 2007-02-09 2007-02-09 안전벨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766B1 true KR100848766B1 (ko) 2008-07-28

Family

ID=3982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577A KR100848766B1 (ko) 2007-02-09 2007-02-09 안전벨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7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509A (ko) * 1998-07-24 2000-02-15 정몽훈 시트 벨트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509A (ko) * 1998-07-24 2000-02-15 정몽훈 시트 벨트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096B2 (en) Child seat anchor apparatus and partition trim
EP2882615B1 (en) Buckle apparatus for seat belt
WO2011077553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止具
KR100848766B1 (ko) 안전벨트장치
JP2014218157A (ja) シートベルト用のベゼル
US10363901B2 (en) Belt buckle for a safety belt system
JP6383090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751688B1 (ko) 커튼 에어백 전개시 프론트 필러와 테더 클립 간의 이탈 방지 구조
EP1726495A1 (en) Seat belt device
JP6456720B2 (ja) ロック機構付き蓋
US20120038132A1 (en) Airbag system with a separate firing channel
CN104661881B (zh) 用于安全带的锁扣装置
JP6168698B2 (ja) 車両用シート
JP6867881B2 (ja) カウルカバー
KR101987877B1 (ko) 파스너 브라켓
JP4470545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6397340B2 (ja) ラジエータグリル
JP5248875B2 (ja) 取付け構造
CN111094080A (zh) 具有盖板的锁舌
JP5633420B2 (ja) 電線保持構造
JP6193770B2 (ja) 車両内装部材
JP2009005752A (ja) 宅配ボックス
KR101610532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용 클립 장치
US20160272149A1 (en) Through anchor
JPH05407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