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757B1 -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 - Google Patents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757B1
KR100848757B1 KR1020067015306A KR20067015306A KR100848757B1 KR 100848757 B1 KR100848757 B1 KR 100848757B1 KR 1020067015306 A KR1020067015306 A KR 1020067015306A KR 20067015306 A KR20067015306 A KR 20067015306A KR 100848757 B1 KR100848757 B1 KR 10084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llumination
information
colo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974A (ko
Inventor
다케유키 아지토
야스히로 고미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525Arrangement for multi-colour printing, not covered by group B41J2/21, e.g.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6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scene illuminant, i.e. conditions at the time of picture capture, e.g. flash, optical filter used, evening, cloud, daylight, artificial lighting, white point measurement, colou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8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viewing conditions, i.e. conditions at picture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화상 입력 장치(12)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색을 색 보정부(16)에 의해 변환하고 이를 표시하거나 인쇄하여 화상 출력 장치(18)로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색 재현 시스템은, 색 보정부(16)는 화상 촬영시에 조명 환경의 정보(촬영/조명 정보), 화상 관찰시에 조명 환경의 정보(관찰/조명 정보) 및 화상 입력 장치(12)의 정보(화상 입력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화상(촬영/조명 화상 데이타)의 색을 출력 화상의 것으로 변환하고, 화상 관찰시에 조명 환경의 정보는 서로 다른 적어도 2개 조명 환경의 정보(A 관찰/조명 정보, B 관찰/조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7015306
색재현, 조명, 촬영, 관찰, 실내, 실외, 스펙트럼, 직사광, 분산광

Description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COLOR REPRODUCING SYSTEM AND COLOR 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멀티-밴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획득된 카메라 촬영 환경의 조명 정보 및 화상 관찰 환경의 조명 정보에 따라 변경된 조명 조건 하에서 피사체 화상을 위해 피사체의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한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사체의 색 화상을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멀티-밴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으로부터 피사체의 색을 추측하는 방법은 타인에 의한 미국 특허 제 5,864,364호 및 미국 특허 제 6,466,344호에 제안되었다.
미국 특허 문헌들에 개시된 방법에 따르면, 카메라 촬영 환경 및 화상 관찰 환경에서 조명의 스펙트럼 정보를 사용하여, 색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관찰시의 조명과는 다른 조명 하에서 카메라 촬영에 의해 촬영된 화상으로부터도 관찰시에 조명 하의 피사체의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술한 미국 특허 문헌들에 개시된 방법에 따르면, 조명의 한 종류만이 카메라 촬영 환경을 위해 사용되고 또한 조명의 한 종류가 화상 관찰 환경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가정된다. 그러므로, 복수의 종류의 조명이 피사체를 조명하고 촬영하기 위해 다른 위치로부터 발산되고 서로 혼합될 때 또는 이러한 조명 조건 하에서 조명된 피사체를 관찰할 때, 피사체의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특히, 실외 자연 조명은 태양으로부터의 직접 조명 및 배경 푸른 하늘로부터의 분산 조명의 혼합이고 태양으로부터의 직사 조명의 색 각각은 배경으로부터의 분산 조명의 해당하는 색으로부터 다르기 때문에, 실내에서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실외 자연 조명의 화상의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인지된 배경의 관점에서, 서로 혼합된 복수의 다른 종류의 조명에 의해 빛나는 피사체의 화상으로부터 피사체의 색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화상 입력 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색 보정수단에 의해 색 변환하고, 화상을 표시하거나 인쇄하여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해 출력하기 위한 색 재현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출력 장치는, 제1 조명과 제2 조명을 포함하며, 복수 색의 혼합 조명 하에서 화상의 표시 혹은 인쇄에 의해 출력을 수행하며, 상기 색 보정 수단은 화상을 촬영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 및 상기 화상 입력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화상으로부터 출력 화상으로 색 변환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는 상기 제1 조명만으로 조명된 제1 조명환경의 정보와, 상기 제2 조명만으로 조명된 제2 조명 환경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색 보정수단은, 또한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1 조명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색 변환시킨 화상과,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2 조명환경의 정보를 사용하여 색 변환된 화상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화상 입력 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색을 변환하며, 화상 출력 장치에 표시 혹은 인쇄에 의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색 재현 방법으로서, 상기 색 변환은, 촬영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 관찰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 및 상기 화상 입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화상의 색으로부터 출력 화상의 색으로 변환하고; 그리고 상기 관찰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는 제1 조명만으로 조명된 제1 조명환경 정보와, 제2 조명만으로 조명된 제2 조명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색 변환은,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1 조명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색 변환시킨 화상과,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2 조명환경의 정보를 사용하여 색 변환된 화상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출력장치는, 상기 제1 조명과, 상기 제2 조명을 포함하는 복수의 색의 혼합 조명 하에서 화상을 표시 혹은 인쇄하여 출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도 1은,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색 재현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의해 관찰 조명 A 및 관찰 조명 B를 측정하는 작동의 개략도;
도 3은, 상세하게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장치-비의존 색 화상 변환부의 블럭도;
도 4는, 상세하게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장치 색 화상 변환부의 블럭도;
도 5는 도 1의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 대신에 스펙트로미터에 의한 촬영 조명 A 및 촬영 조명 B를 스펙트럼 측정하는 작동의 개략도;
도 6은 도 1의 직접 조명 대신에 직접 조명 및 돔-형 분산 스크린에 의한 분산 조명 하의 피사체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배치의 개략도;
도 7은 도 6의 돔-형 분산 스크린 대신에 구조물 상의 투과/분산 시트를 덮어서 분산 조명 하의 피사체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배치의 개략도;
도 8은,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색 재현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9는 제 2 실시예의 특정 화상 촬영 작동의 개략도;
도 10은 실외 자연 조명이 관찰 환경으로 선택된 때 제 2 실시예에 의한 관찰 조명 A 및 관찰 조명 B를 측정하는 작동의 개략도;
도 11은 태양으로부터의 직접 조명(도 10에서 관찰 조명 A)의 조명 각도를 측정하고 투과된 조명 각도에 따라 카메라 촬영을 위한 조명 각도를 조정하는 작동의 개략도;
도 12는 도 8의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 대신에 스펙트로미터에 의해 촬영 조명 A 및 촬영 조명 B를 스펙트럼 측정하는 작동의 개략도;
도 13은 차광판을 이용하여 분리된 조명으로 실외 촬영을 위한 배치의 개략도;
도 14는 흐린 날씨에 분리된 조명으로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으로부터 맑은 날씨에 "조명-변환"된 화상을 재현하는 작동의 개략도;
도 15는 큰 차광판을 사용할 때 분산 조명의 차단 문제의 개략도;
도 16은 사용된 차광판이 피사체로부터 물러날 수 없을 때 분산 조명의 차단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의 개략도;
도 17은 사용된 차광막이 피사체로부터 물러날 수 없을 때 블라인드를 이용하여 분산 조명의 차단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의 개략도;
도 18은,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색 재현 시스템의 제 3 실 시예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19는 제 3 실시예의 특정 화상 촬영 작동의 개략도;
도 20은 제 3 실시예에 의해 관찰 조명 A의 정보 및 관찰 조명 B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개략도;
도 21은,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색 재현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2는 제 4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의해 어스름의 실외 자연 조명이 관찰 환경으로 선택될 때 제 1 관찰 조명 내지 제 3 관찰 조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개략도;
도 23은 제 4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의해 제 1 촬영 조명 내지 제 3 촬영 조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개략도; 및
도 24는,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색 재현 시스템의 제 5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럭도.
이하에서, 본 발명이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색 재현 시스템은 피사체(O)를 조명하기 위한 2개 조명원(촬영 조명 A(10A), 촬영 조명 B(10B)), 피사체(O)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멀티-밴드 카메라인 화상 입력 장치(12), 촬영 조명의 스펙트 럼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 화상 입력 장치(12)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타의 색을 보정하기 위한 색 보정부(16) 및 색 보정부(16)에 의해 화상 데이타의 색을 보정한 후 획득된 화상 데이타를 출력(표시 또는 인쇄)하기 위한 화상 출력 장치(18)를 포함한다.
색 보정부(16)는 조명 전환 제어부(20), 2개 촬영/조명 화상 저장부(A 촬영/조명 화상 저장부(22A), B 촬영/조명 화상 저장부(22B)), 2개 촬영/조명 정보 저방부(A 촬영/조명 정보 저장부(24A), B 촬영/조명 정보 저장부(24B)), 2개 스위치(26, 28), 장치-비의존 색 화상 전환부(30), 곱하기 계수 설정부(32), 2개 승산기(34A, 34B), 화상 가산부(36) 및 장치 색 화상 변환부(38)를 포함한다.
촬영 조명 A(10A) 및 촬영 조명 B(1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조명원으로부터 온다. 그러나, 조명 A 및 조명 B를 생성하기 위해 그들이 같은 조명원으로부터 그리고 다른 조명 위치로부터 오도록 대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전환 제어부(20)는 촬영 조명 A(10A) 및 촬영 조명 B(10B)를 전환하고, 또한 조명 A 및 조명 B를 전환하는 작동에 동조하여 스위치(26, 28)를 전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조명 A(10A)가 피사체(O)를 조명하도록 선택될 때, 스위치(26)는 화상 입력 장치(12)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타(이하에서 A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로 불림)를 A 화상/조명 정보 저장부(24A)에 저장하도록 작동되고, 동시에, 스위치(28)는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촬영 조명 A(10A)의 스펙트럼 특성(이하에서 A 촬영/조명 정보로 불림)을 A 화상/조명 정보 저장부(24A)에 저장하도록 작동된다. 반면에, 촬영 조명 B(10B)가 피사체(O)를 조명하 도록 선택될 때, 스위치(26)는 화상 입력 장치(12)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타(이하에서 B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로 불림)를 B 화상/조명 정보 저장부(24B)에 저장하도록 작동되고, 동시에, 스위치(28)는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촬영 조명 B(10B)의 스펙트럼 특성(이하에서 B 촬영/조명 정보로 불림)을 B 화상/조명 정보 저장부(24B)에 저장하도록 작동된다.
관찰/조명 정보는, 원격 위치일 수 있는, 사람이 피사체(O)의 촬영 화상을 관찰하기를 원하는 위치에서 조명의 스펙트럼 데이타이고,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얻어진다. A 관찰/조명 정보는 관찰 조명 A(40A)로 백판(42)을 조명하고 스펙트로미터(44)로 빛을 측정하여 획득된다. 유사하게, B 관찰/조명 정보는 관찰 조명 B(40B)로 백판(42)을 조명하고 스펙트로미터(44)로 빛을 측정하여 획득된다. 그리고, 얻어진 관찰/조명 정보는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네트웍 또는 저장 매체에 의해 색 보정부(16)의 장치-비의존 색 화상 변환부(30)로 공급된다. 스펙트럼 반사도가 알려진 피사체가 사용되도록, 피사체를 조명하여 빛을 측정할 때 관찰 조명의 스펙트럼 데이타를 얻는 것만이 필요하다. 도시된 예에서, 시간에 따라 거의 변하지 않는 높은 반사도를 보이기 때문에 표준 백판(42)이 사용된다.
화상 입력 장치의 상술한 정보가 사용되기 때문에, 화상 입력 장치에 대한 색-재현 화상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입력 장치가 복수의 스펙트럼 화상을 촬영하도록 채택된 멀티-스펙트럼 카메라 또는 디지탈 카메라인 경우 색을 재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촬영/조명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또는 화상들을 촬영시에 조명의 영향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어떠한 조명(예를 들면, 형광등, 백열등, 태양 등)에서도 계산에 의해 피사체(O)의 스펙트럼 반사도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찰/조명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에 의해 사람이 화상을 관찰하기를 원하는 위치에서 조명의 색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피사체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화상이 적은 스펙트럼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색-재현 화상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가산부(36)는 장치-비의존 색 화상 변환부(30)에 의해 얻어진 A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 및 B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를 혼합한다. 데이타를 혼합할 때, A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 및 B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의 혼합비를 변경할 수 있다. 혼합비는 사용자가 곱하기 계수 설정부(32)에 의해 곱하기 계수를 임의로 선택하고 승산기(34A, 34B)에 의해 A 및 B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에 각각 곱하기 계수를 곱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장치 색 화상 변환부(38)는, 화상 출력 장치의 정보에 따라 사용된 화상 출력 장치의 특성을 보여주기 위해 준비된 장치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화상 가산부(36)의 혼합 작동의 결과로서 얻어진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를 화상 출력 장치(18)의 특성에 맞는 색 화상 데이타로 변환한다. 그리고, 장치 색 화상 변환부는 화상 출력 장치(18)로의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색 화상 데이타를 출력한다. 장치 색 화상 변환부(38)는 이하에서 매우 자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우선,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색 재현 시스템은 복수의 다른 조명 조건에서 피사체(O)의 화상을 각각 촬영한다. 그리고, 시스템은 복수의 조명 조건에서 촬영된 화상의 색을 피사체(O)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 조명의 스펙트럼 정보 및 관찰을 위해 사용된 조명의 스펙트럼 정보에 따라 변환한다. 그리고, 시스템은 변환된 색을 보여주는 화상을 혼합하여 복수의 조명의 혼합에서 재현된 화상을 획득한다.
상술한 과정의 결과로서, 원래 화상이 태양으로부터의 직접 조명 및 배경 푸른 하늘에 의해 분산된 조명의 혼합인 실외 자연 조명에서 촬영된 경우 피사체(O)의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내 조명의 경우에, 피사체(O)의 색은 그것이 스포트라이트에 있을 때 및 그것이 배경에 의해 반사된 조명에 있을 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과정의 결과로서, 복수의 색의 혼합된 조명에 있는 경우 피사체(O)의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장치-비의존 색 화상 변환부(30)는 A 프로파일 준비부(46A), A 프로파일 처리부(48A), B 프로파일 준비부(46B) 및 B 프로파일 처리부(48B)를 포함한다.
A 프로파일 준비부(46A)는 A 촬영/조명 정보 저장부(24A)로부터 입력된 A 촬영/조명 정보, 외부 입력된 A 관찰/조명 정보, 화상 입력 장치의 정보 및 피사체의 특성의 정보에 따라 A 프로파일을 계산하여 결정한다. A 프로파일 처리부(48A)는 A 프로파일 준비부(46A)에 의해 준비된 A 프로파일이 색 변환을 위해 A 촬영/조명 화상 저장부(22A)에 저장된 A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에 작용하도록 하고, A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를 획득한다.
유사하게, B 프로파일 준비부(46B)는 B 촬영/조명 정보 저장부(24B)로부터 입력된 B 촬영/조명 정보, 외부 입력된 B 관찰/조명 정보, 화상 입력 장치의 정보 및 피사체의 특성의 정보에 따라 B 프로파일을 계산하여 결정한다. B 프로파일 처리부(48B)는 B 프로파일 준비부(46B)에 의해 준비된 B 프로파일이 색 변환을 위해 B 촬영/조명 화상 저장부(22B)에 저장된 B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에 작용하도록 하고, B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A 및 B 프로파일 준비부(46A, 46B)는 행렬 준비부로서 형성되고 A 및 B 프로파일 처리부(48A, 48B)는 행렬 연산부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프로파일은 화상 데이타에 행렬 연산의 방식으로 화상 데이타에 작용하도록 되기 때문에,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를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로 빠른 속도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화상 입력 장치(12)인 멀티-스펙트럼 카메라의 출력 신호가 gi일 때, gi는 아래 식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112006054525472-pct00001
여기에서, em(λ): 촬영 조명의 스펙트럼
f(λ): 피사체의 스펙트럼 반사도
hi(λ): 필터 i가 사용될 때 화상 입력 장치의 감도.
사람이 피사체(O)를 관찰할 때 자극치(XYZ)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54525472-pct00002
Figure 112006054525472-pct00003
Figure 112006054525472-pct00004
여기에서, e0(λ): 관찰 조명의 스펙트럼
f(λ): 피사체의 스펙트럼 반사도
x(λ), y(λ), z(λ): 배색 함수.
그러므로, 아래 식에 의해 표현되는 행렬(프로파일) M을 계산하여 결정하는 것은 충분하다. 아래 식에서, t는 전치행렬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54525472-pct00005
소거 함수는 M을 아래 수학식 4를 최소화하게 한다.
Figure 112006054525472-pct00006
여기에서 E[ ]는 기대값을 결정하기 위한 연산자를 표현한다.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은 M은 최소 좌승 필터이다.
Figure 112006054525472-pct00007
필터(M)는 아래에 보여지는 수학식 6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112006054525472-pct00008
Figure 112006054525472-pct00009
Figure 112006054525472-pct00010
위 수학식 6에서 E[f(λ)·f(λ')]는 피사체(O)의 스펙트럼 상관 부분을 표현한다. 어떠한 피사체에 대한 소거 함수의 평균을 뺄 때, 행렬은 단위 행렬이 되고 필터(M)는 아래 수학식 7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112006054525472-pct00011
Figure 112006054525472-pct00012
Figure 112006054525472-pct00013
피사체(O)를 특정 범위로 제한하고 스펙트럼 반사도의 분포를 적은 수의 베이스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색은 적은 수의 스펙트럼 화상으로부터 정확하게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의료 치료의 경우, 환자 신체의 색은 환자 피부의 색의 스펙트럼 반사도를 측정하고 통계적 특성을 위한 행렬의 상관도를 사전에 결정하여 적은 수의 스펙트럼 화상으로부터 정확하게 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스템이 피사체의 특성의 정보를 이용하여 색 재현 과정을 실행할 때, A 및 B 프로파일 준비부(46A, 46B)는 상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하는 것에 반하여, 시스템이 피사체의 특성의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색 재현 과정을 실행할 때, 상기 수학식 7을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그리고, A 및 B 프로파일 처리부(48A, 48B)는 화상 데이타 필터(M)를 각각 A 및 B 촬영/조명 화상에 적용한다. 즉, 프로파일 처리부(48A, 48B)는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 색 화상 변환부(38)는 장치 프로파일 저장부(50) 및 장치 프로파일 처리부(52)를 포함한다. 장치 프로파일 저장부(50)는 외부에서 주어진 화상 출력 장치의 정보에 따라 장치 프로파일을 계산하여 결정한다. 장치 프로파일 처리부(52)는 장치 프로파일 저장부(50)에 의해 준비된 장치 프로파일이 색 변환을 위한 화상 가산부(36)의 혼합 작동의 결과로서 얻어진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에 작용하도록 하고, 출력 화상 데이타를 얻는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일 수 있는,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는 화상 출력 장치(18)는 색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도 측정기(미도시)와 함께 암실과 같은 외부 빛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장소에 위치되고, 소정의 RGB 신호가 해당하는 색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RGB 신호 생성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된다. 그리고, 모니터에 표시되는 색은 색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되고 색도 측정기로부터의 신호 출력은 색도 검출부(미도시)에 의해 XYZ치와 같은 색도치로서 검출된다. 검출된 색도치는 화상 출력 장치의 정보로서 장치 프로파일 저장부(50)로 전송된다. 장치 프로파일 저장부(50)는 RGB 신호 생성부(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RGB치 및 화상 출력 장치의 정보의 색도치 사이의 관계로부터 장치 프로파일을 계산하여 결정한다.
이제, 모니터, 또는 시스템을 위해 사용될 화상 출력 장치(18)로부터 출력된 RGB치 및 모니터로부터 출력된 XYZ치의 관계가 설명될 것이다. 모니터는 RGB 형광체를 가지고 색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RGB 형광체로 신호를 전송한다. RGB 형광체로 전송될 신호치(RGB치)는 RGB 신호 생성부(미도시)에 의해 생성된다. RGB치는 모니터의 γ 특성에 따라 비선형 형식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모니터는 γr[ ], γg[ ], γb[ ]로 RGB의 γ 특성을 뺀다. 사람은 RGB 형광체의 색의 합을 색으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아래 수학식 8에 의해 표현된 것과 같은 색도치(XYZ치)가 γ 특성을 반영하는 신호치 및 모니터로부터의 출력을 합하여 얻어진다.
Figure 112006054525472-pct00014
상기 수학식 8에서, Xrmax, Yrmax 및 Zrmax는 R 형광체의 가장 높은 휘도에 대한 XYZ치를 표시하고, Xgmax, Ygmax 및 Zgmax는 G 형광체의 가장 높은 휘도에 대한 XYZ치를 표시하며, Xbmax, Ybmax 및 Zbmax는 B 형광체의 가장 높은 휘도를 표시한다.
원하는 XYZ치를 얻기 위한 RGB치는 상기 수학식 8을 사용하여 계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이는 아래의 수학식 9에 의해 나타나는 행렬 변환 및 γ 보정의 방식으로 계산되어 결정된다.
행렬 변환
Figure 112006054525472-pct00015
γ 보정
Figure 112006054525472-pct00016
Figure 112006054525472-pct00017
Figure 112006054525472-pct00018
장치 프로파일 저장부(50)는 RGB치 및 장치 프로파일로서의 XYZ치로부터 행렬 변환을 위한 행렬 계수 및 γ 보정을 위한 γ 보정치를 계산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장치 프로파일 처리부(52)는, 행렬 계수 및 γ 보정치를 이용하여, 장치-비의존 색 화상 데이타에 행렬 변환 및 γ 보정을 수행하고, 화상 출력 장치(18)로 출력될 RGB치를 출력한다.
상술한 설명은 색 화상이 모니터인 화상 출력 장치(18)로 출력되고 표시되는 예에 적용되었다. 색 화상이 프린터인 화상 출력 장치(18)로 출력될 때, 화상 출력 장치의 정보를 얻고 화상 출력 장치의 정보에 따른 장치 프로파일을 준비하는 것이 똑같이 가능하다.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가 도 1에 도시된 배치에서 사용되지만,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는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판(42) 및 스펙트로미터(44)로 대치될 수 있다.
반대로, 백판(42) 및 스펙트로미터(44)가 도 2에 도시된 배치에서 사용되지만, 이들은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로 대치될 수 있다.
또한, A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 및 B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 모두가 3-밴드 화상에 대한 것인 경우, 그들은 6-밴드 화상에 대한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로서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프로파일은 A 촬영/조명 정보 및 B 촬영/조명 정보를 결합하여 6 × 3 행렬로서 준비된다. 그리고, 프로파일 처리부는 행렬 변환의 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타를 가산하기 위해 작동하기 때문에 화상 가산부(36)는 생략될 수 있다.
피사체(O)를 조명하기 위한 촬영 조명 A(10A) 및 촬영 조명 B(10B)는 본 실시예에서 직접 조명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돔-형 분산 스크린(54)이 피사체(O)를 덮기 위해 준비될 수 있고, 피사체(O)는 촬영 조명 A(10A)의 직접 조명 및 돔-형 분산 스크린(54)에 의 해 반사된 촬영 조명 B(10B)의 반사 조명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태양으로부터의 직접 조명 및 배경 푸른 하늘로부터의 분산 조명의 혼합인 실외 자연 조명에 의한 조명을 거의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말하면, 이러한 조명을 실외 자연 조명으로 정확하게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조명의 관점에서) 자연 조명 및 푸른 하늘 배경을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해,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사체(O)의 후면 및 측면에서 방출되는 조명에 추가하여 화상 입력 장치(12)를 마주보는 피사체(O)의 면으로 피사체(O) 오른쪽 위로부터 분산 조명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에서, 거울-반사 조명이 피사체(O)로 강하게 조사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조명을 푸른 하늘로부터 오는 빛을 포함하는 실외 자연 조명으로 정확하게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돔-형 분산 스크린(54)는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사체(O)와 촬영 조명 A(10A) 및 촬영 조명 B(10B) 사이에 배치되고 투과/분산 시트(58)에 의해 덮힌 구조물(56)에 의해 대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피사체(O)의 화상은 처음에 투과/분산 시트(58)를 사용하지 않고 촬영 조명 A(10A)에서 촬영되고, 피사체(O)의 다른 화상은 구조물(56)에 퍼진 투과/분산 시트(58)를 가진 촬영 조명 B(10B)에서 촬영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직접 조명에서 피사체(O)의 한 화상을 그리고 분산 조명에서 다른 화상을 분리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과/분산 시트(58)는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투명도/불투명도(분산)에 대해 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투명성 표시 화면에 의해 대치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색 재현 시스템은 촬영 조명 A(10A) 및 촬영 조명 B(10B)이 아닌 촬영 조명(10)만을 채택한다. 그러나, A 및 B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를 획득하기 위해 차광판(60) 및 조명 반사판(62)을 추가로 포함한다. 색 보정부(16)에서, 조명 전환 제어부(20)는 차광 전환부(64)에 의해 대치된다. 색 보정부(16)는 차광없음/촬영 화상 저장부(66), 차광/촬영 화상 저장부(68) 및 화상 감산부(70)를 추가로 포함한다.
차광 전환 제어부(64)는 차광판(60)을 촬영 조명(10)의 전면(피사체(O)측)의 위치로부터 촬영 조명(10)의 전면이 아닌 위치로 전환하고, 역으로도 성립한다. 스위치(26, 28)은 위치 전환에 의해 작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사체(O)가 촬영 조명(10)에 의해 직접 그리고 조명 반사판(62)으로부터 반사된 조명에 의해 조명받기 위해 차광판(60)이 촬영 조명(10)의 전면으로부터 제거될 때, 화상 입력 장치(12)로부터 촬영된 화상 데이타는 차광없음/촬영 화상 저장부(66)에 저장된다. 반면에, 피사체(O)가 촬영 조명(10)으로부터 직접은 아니고 조명 반사판(62)으로부터 반사된 조명에 의해서만 조명받기 위해 차광판(60)이 촬영 조명(10)의 전면에 위치할 때, 화상 입력 장치(12)로부터 촬영된 화상 데이타는 차광/촬영 화상 저장부(68)에 저장된다. 촬영 직접 조명(10)에서 화상의 촬영 화상 데이타는 차광/촬영 화상 저장부(68)에 저장된 촬영 화상 데이타가 화상 감산부(70)에 의해 차광없음/촬영 화상 저장부(66)에 저장된 촬영 화상 데이타로부터 빼어짐으로서 추출된다. 추출된 촬영 화상 데이타는 A 촬영/조명 화상 저장부(22A)에 저장된다. 반면에, 차광/촬영 화상 저방부(68)에 저장된 촬영 화상 데이타는 직 접 B 촬영/조명 화상 저장부(22B)에 저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직접 조명 성분(이하에서 촬영 조명 A로 불림)에 의해 조명된 화상은 차광없음/촬영 화상으로부터 차광/촬영 화상을 빼서 얻어지고, 차광/촬영 화상은 배경 분산 조명 성분(이하에서 촬영 조명 B로 불림)에 의해 조명된 화상으로서 사용된다.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로부터의 촬영/조명 정보는 차광판(60)이 촬영 조명(10)의 전면으로부터 제거될 때 A 촬영/조명 정보 저장부(24A)에 저장되고, 차광판(60)이 촬영 조명(10)의 전면에 위치할 때 B 촬영/조명 정보 저장부(24B)에 저장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장치-비의존 색 화상 변환부(30)의 작동 및 뒤이은 작동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여기에서 더 이상 자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그러나, 백판(42) 및 스펙트로미터(44)가 차광판(60)이 위치한 상태 및 차광판(60)이 위치로부터 제거된 상태 모두에서 A 관찰/조명 정보 및 B 관찰/조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실외 자연 조명은 여기에서 관찰 조명으로 가정되고, 태양으로부터의 직접 조명 성분의 조명 스펙트럼 및 배경 분산 조명 성분의 것이 측정된다.
도 10에서, 'θ'는 백판(42) 표면의 수직에 대한 태양광의 입사각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태양으로부터 직접 조명을 측정할 때, 측정된 값의 절대치는 태양광의 입사각(θ)이 변함에 따라 변해서, 분산 조명에 대한 직접 조명의 비를 정확하게 획득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므로, cos θ에 비례하고 그리하여 태양광의 입사각(θ)의 함수로서 변하는 계수가, 측정된 값을 소정의 측정 조건 하에서 직접 조명의 값으로 보정하기 위해 A 관찰/조명 정보를 계산하여 결정하기 위해 승산기(72)에서 곱하기 계수로서 사용된다.
실외 자연 조명이 관찰 조명으로서 사용될 때, 관찰 측에서 입사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각도를 촬영측으로 변환하여 촬영 조건이 태양의 각도 및 촬영 조명의 각도가 서로 일치하게 만들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조명 각도 검출기(74)에 의해 측정된 마커(76)의 위치(그림자 전단 위치)가 도 11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네트웍 또는 저장 매체에 의해 조명 각도 정보로서 촬영측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촬영 조명(10)의 조명 각도는 전달된 조명 각도 정보에 따라 도 11에서 화살표(A)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 중 하나로 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조명원의 직접 조명 성분 및 간접 조명 성분이 복수의 조명에 포함될 때, 이러한 성분들은 제 1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없지만, 제 2 실시예의 색 재현 시스템은 그들을 분리할 수 있고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는 본 실시예에서도 A 촬영/조명 정보 및 B 촬영/조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판(42) 및 스펙트로미터(44)로 대치될 수 있다.
반사판(62)은 판-형 또는 돔-형일 수 있다. 또한, 조명 반사판(62)은 거울과 같은 전체 판사판 또는 분산/반사판일 수 있다. 적절한 조명 반사판이 관찰측의 조건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조명 반사판(62) 전용인, 그러므로 피사체(O) 직접 조명 없이 오직 조명 반사판(62)으로만 조명을 방출하도록 채택된 조명원이 촬영 조명(10)에 추가하여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격리된 조명을 가진 실내 촬영 뿐만 아니라 차광판(60)을 사용하여 격리된 조명으로 실외 촬영을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광판(60)을 사용하여 실외 장소(A)에서 촬영된 화상(장소(A)에서 실외 촬영 화상(78A))을 다른 실외 장소(B)에서 실외 조명으로 촬영된 화상(장소(B)에서 실외 조명으로 변환된 화상(78B))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에서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에 장소(B)에서 실외 조명으로 변환된 화상(78B) 그리고 (화상 입력 장치(12) 및 화상 출력 장치(18) 모두는 조정되었지만) 조명의 변환 없이 다른 하나에 장소(A)에서 실외 촬영된 화상(78A)을 표시하기 위해, 2개 화상 출력 장치(18)가 배치될 수 있다(또는 2개 화상 표시 영역이 1개 화상 출력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장소(A) 및 장소(B) 사이에서 실외 조명 하에서 피사체(O)의 색의 발현의 차이를 명확하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색 설계자는 피사체(O)의 색의 변화를 인지하고 장소(B)에 피사체(O)를 실제로 옮기지 않고 피사체(O)의 색 설계를 위해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설계자가 비교를 위한 2개 표시 화상을 가지고 장소(A)에 실제 피사체(O)를 위치시킬 때, 그가 실체 피사체(O) 및 화상 사이의 차이를 인지하고 색 설계를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맑은 날 뿐만 아니라 흐린 날에도 차광판(60)을 사용하여 2개 다른 화상을 획득하기 위해 분산 조명 성분 및 직접 조명(평행 조명) 성분을 분리하여 피사체(O)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맑은 날에 촬영된 화상(맑은 날의 촬영 화상(80B))인 것과 같이 나타나도록 만들기 위해 흐린 날에 촬영된 화상(흐린 날의 촬영 화상(80A))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이러한 경우에, 비교의 목적으로 하나에 흐린 날의 촬영 화상(80A)을 그리고 다른 하나에 맑은 날의 촬영 화상(80B)을 표시하기 위해 2개 화상 출력 장치(18)가 배치될 수 있다(또는 2개 화상 표시 영역이 1개 화상 출력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차광판(60)을 사용하여, 격리된 조명으로 피사체(O)를 촬영할 때, 다음의 문제들에 대한 주의가 고려되어야 한다.
직접 조명이 차광판(60)에 의해 차단될 때, 차광판이 도 1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큰 경우, 태양으로부터의 직접 조명(82) 뿐만 아니라 주의 푸른 하늘로부터의 간접 조명(84)의 일부도 차단될 수 있다. 간접 조명(84)이 차단되지 않기 위해, 가능한 한(적어도 차광판(60)의 크기(대각선 길이)와 같은 거리로) 피사체(O)로부터 멀리 차광판(60)을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장소의 위치 제한으로부터 충분하게 멀리 차광판(60)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문제는 후술할 2개 방법 중 하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방법 중 하나에 의해, 도 1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사체(O)의 다수의 화상이 차광판(60) 및 피사체(O) 사이의 거리를, 그리하여 분산 조명이 차단된 비율을 변화시키며 촬영되고, 분산 조명이 전체적으로 차단되지 않은 화상이 화상들의 차이로부터 추정된다.
다른 방법에 의해, 도 1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블라인드(86)가 차광판으로서 사용되고, 피사체(O)의 하나의 화상이 단힌 상태(도 15에서 예시된 상태)의 블라인드(86)로 촬영되며, 그리고 피사체(O)의 다른 화상이 크게 열린 블라인드(86)로 촬영된다. 그리고, 차광판에 의해 차단된 분산 조명 성분이 차이로부터 결정되고 직접 조명만을 차단하여 촬영된 화상이 앞의 화상을 보정하여 얻어진다.
[제 3 실시예]
도 1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색 재현 시스템은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차광판(60) 및 조명 반사판(62)을 편광판(88), 분산 반사판(90) 및 회전 편광판(92)으로 대치하여 형성된다. 상술한 변경과 함께, 본 실시예에서, 차광 전환 제어부(64)는 편광 조명 전환 제어부(94)에 의해 대치되고, 차광없음/촬영 화상 저장부(66) 및 차광/촬영 화상 저장부(68)는 A 편광-조명 촬영 화상 저장부(96) 및 B 편광-조명 촬영 화상부(98)에 의해 대치된다.
상술한 배치에서, 피사체(O)는 촬영 조명(10)의 전면에 배치된 편광판(88)에 의해 편광된 직접 조명 및 직접 조명이 분산 반사판(90)에 의해 분산되어 생성되고 무편광 상태로 된 간접 조명에 의해 조명된다.
그리고,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입력 장치(12) 및 피사체(O) 사이에 배치된 회전 편광판(92)이 편광 조명 전환 제어부(94)에 의해 편광판(88)에 의해 생성된 편광된 조명과 같은 편광된 조명을 생성하기 위한 위치에 놓여질 때, 화상 입력 장치(12)의 화상 촬영 작동에 의해 획득된 화상 데이타는 A 편광-조명 촬영 화상 저장부(96)에 저장된다. 다르게 말하면, 회전 편광판(92)이 편광판(88)과 같은 편광 효과를 생성하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의 차광판이 없이 얻어진 것과 같은 촬영 화상 데이타가 얻어진다.
반면에, 회전 편광판(92)이 편광 조명 전환 제어부(94)에 의해 편광판(88)에 의해 생성된 편광된 조명에 대하여 수직인 편광된 조명을 생성하기 위한 위치에 놓여질 때, 화상 입력 장치(12)의 화상 촬영 작동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타는 B 편광-조명 촬영 화상 저장부(98)에 저장된다. 다르게 말하면, 무편광 간접 조명 성분의 조명에 촬영된 화상의 촬영 화상 데이타가 얻어지도록, 직접 조명 성분은 회전 편광판(92)에 의해 차단된다. 촬영된 화상 데이타는 제 2 실시예의 차광판으로 얻어진 촬영 화상 데이타와 같다.
그러므로, 제 3 실시에의 색 재현 시스템의 배치는 제 2 실시예의 차광판(60)이 적절한 위치에 또는 적절한 범위 내에 위치될 수 없을 때 효과적이다. 편광판(88, 92)은 촬영 조명(10) 및 화상 입력 장치(12) 근처의 각각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것일 수 있다.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 및 스위치(28)는 단순함의 목적을 위해 도 18에서 도시되지 않는 것이다.
조명 스펙트럼 검출 센서(14)는 제 1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측정에 의해 A 촬영/조명 정보 및 B 촬영/조명 정보를 얻기 위해 도 20에서 도시되 는 바와 같이 백판(42) 및 스펙트로미터(44)에 의해 대치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제 4 실시예]
2개 다른 종류의 촬영 조명 및 2개 다른 종류의 관찰 조명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되었지만, 도 2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 재현 시스템의 제 4 실시예는, N은 3 이상의 정수인, 촬영 조명(10-1) 내지 촬영 조명(10-N) 및 N개 다른 종류의 관찰 조명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곱하기 계수 설정부(32)에 의해 조정된 곱하기 계수 집합을 변경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될 수 있는 관찰 조명에서 피사체(O)의 색의 발현을 모의 실험하기 위한 모의 실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N은 3 이상의 정수인, N개 다른 종류의 촬영 조명(10-1) 내지 촬영 조명(10-N)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조명을 차단하여 다양한 다른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차단될 조명의 방출 방향은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촬영 조명의 정보는 스펙트로미터(44)에 의해 얻어질 수 있고, 백판(42)으로부터 조명은 복수의 차단판(60)에 의해 차단된다. 도 22에서, 어스름의 실외 자연 조명(태양으로부터의 직접 조명은 붉은색, 태양으로부터 먼 하늘의 영역으로부터의 간접 조명은 푸른색)이 관찰 환경으로서 선택된 것이다. 촬영 조명의 정보는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펙트로미터(44)에 의해 획득된다.
전술한 배치에서, 주변 하늘로부터 분산 조명이 어스름의 자연 조명과 같이 수개의 색을 포함할 때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5 실시예]
도 2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색 재현 시스템은 제 1 실시예의 색 보정부(16)를 촬영측에 배치된 전-처리부(전-색-보정 처리부(16a)) 및 후-처리부(후-색-보정 처리부(16b))로 나누어서 실현된다.
전-색-보정 처리부(16a)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일치하는, 조명 전환 제어부(20), A 촬영/조명 화상 저장부(22A), B 촬영/조명 화상 저장부(22B), A 촬영/조명 정보 저장부(24A), B 촬영/조명 정보 저장부(22B), 2개 스위치(26, 28)와 함께 화상 형식 변환부(100)를 포함한다. 화상 형식 변환부(100)는 입력으로서 A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 B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 A 촬영/조명 정보, B 촬영/조명 정보, 화상 입력 장치의 정보 및 피사체의 특성의 정보를 받고, 화상 입력 장치의 정보 및 피사체의 특성의 정보는 화상 촬영측의 촬영 환경에서 정보로서 얻어지며, 그리고 이들을 조명의 영향 하에서 색 변화에 대해 변환될 수 있는 화상 형식을 가지는 격리된 조명(102)을 위한 화상 데이타로 변환한다. 그리고, 격리된 조명(102)을 위한 화상 데이타는 도 24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네트웍 또는 저장 매체의 방법으로 후-색-보정 처리부(16b)로 전송된다.
후-색-보정 처리부(16b)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일치하는, 장치-비의존 색 화상 변환부(30), 곱하기 계수 설정부(32), 2개 승산기(34A, 34B), 화상 가산부(36) 및 장치 색 화상 변환부(38)와 함께 입력 데이타 분할부(104)를 포함한다. 입력 데이타 분할부(104)는 전-색-보정 처리부(16a)로부터 전송되고 입 력된 격리된 조명(102)을 위한 화상 데이타를 화상 형식 변환부(100)로 원래 입력된 A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 B 촬영/조명 화상 데이타, A 촬영/조명 정보, B 촬영/조명 정보, 화상 입력 장치의 정보 및 피사체의 특성의 정보로 변환하고, 이들을 장치-비의존 색 화상 변환부(30)로 공급한다. 그러므로, 새롭게 특정된 A 관찰/조명 정보 및 B 관찰/조명 정보를 장치-비의존 색 화상 변환부(30)로 외부 입력으로서 입력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격리된 조명(102)을 위한 화상 데이타로서 촬영 화상을 저장하여 색을 재현하기 위한 어떠한 원격 장소에서도 관찰 조명을 임의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방식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절대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변경되고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사체(O)는 상술한 실시예들 각각에서 가방이지만, 피사체(O)는 가방에 절대 제한되지 않고, 대신 옷, 악세사리, 자동차, 가구의 일부, 물건, 건물, 그림, 사람 피부, 치아 또는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것들이 될 수 있다.

Claims (12)

  1. 화상 입력 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색 보정수단에 의해 색 변환하고, 화상을 표시하거나 인쇄하여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해 출력하기 위한 색 재현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출력 장치는, 제1 조명과 제2 조명을 포함하는 복수 색의 혼합 조명 하에서 화상의 표시 혹은 인쇄에 의해 출력을 수행하며,
    상기 색 보정 수단은 화상을 촬영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 및 상기 화상 입력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화상으로부터 출력 화상으로 색 변환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는 상기 제1 조명만으로 조명된 제1 조명환경의 정보와, 상기 제2 조명만으로 조명된 제2 조명 환경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색 보정수단은, 또한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1 조명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색 변환시킨 화상과,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2 조명환경의 정보를 사용하여 색 변환된 화상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보정 수단은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1 조명 환경의 정보를 이용하여 색 변환된 화상과,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2 조명 환경의 정보를 이용하여 색 변환된 화상을 조합하기 위한 화상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3. 색 보정수단에 의하여 화상입력장치에서 촬영된 화상을 색변환하고, 화상출력장치에 의하여 화상을 표시 혹은 인쇄하여 출력을 수행하는 색 재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색보정수단은, 화상 촬영시의 조명환경 정보와, 화상 관찰시의 조명환경 정보와, 상기 화상입력장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화상으로부터 출력화상에의 색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화상 관찰시의 조명환경 정보는, 각각 상이한 2개 이상의 조명환경 정보들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 관찰시의 2개 이상의 조명 환경 정보는 하나의 조명원으로부터의 광을 일부 차단하여 얻어진 조명 환경 및 광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얻어진 조명 환경에서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보정 수단은 촬영시에 다른 조명 환경에서 상기 화상 입력 장치에 의해 촬영된 같은 피사체의 복수의 화상을 이용하여 색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시에 상기 다른 조명 환경은 조명의 위치, 방향 및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시에 상기 다른 조명 환경은 조명이 일부 차단된 상태 및 조명이 차단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시에 상기 다른 조명 환경은 조명의 편광 상태의 항목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보정 수단은 상기 화상 출력 수단의 정보를 이용하여 색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환경 정보는 조명의 스펙트럼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보정 수단은 피사체의 스펙트럼 반사도에 관련된 통계적 특성을 추가로 이용하여 색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시스템.
  11. 화상 입력 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색을 변환하며, 화상 출력 장치에 표시 혹은 인쇄에 의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색 재현 방법으로서,
    상기 색 변환은, 촬영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 관찰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 및 상기 화상 입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화상의 색으로부터 출력 화상의 색으로 변환하고; 그리고
    상기 관찰하는 장소의 조명 환경의 정보는 제1 조명만으로 조명된 제1 조명환경 정보와, 제2 조명만으로 조명된 제2 조명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색 변환은,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1 조명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색 변환시킨 화상과, 화상을 관찰하는 장소의 상기 제2 조명환경의 정보를 사용하여 색 변환된 화상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출력장치는, 상기 제1 조명과, 상기 제2 조명을 포함하는 복수의 색의 혼합 조명 하에서 화상을 표시 혹은 인쇄하여 출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의 변환은, 화상 관찰시의 조명 환경의 정보 및 화상 관찰시의 다른 조명 환경의 정보를 이용하여 변환된 색을 가진 화상을 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재현 방법.
KR1020067015306A 2004-01-29 2005-01-28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 KR100848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1515 2004-01-29
JPJP-P-2004-00021515 2004-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974A KR20060128974A (ko) 2006-12-14
KR100848757B1 true KR100848757B1 (ko) 2008-07-25

Family

ID=3482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306A KR100848757B1 (ko) 2004-01-29 2005-01-28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13812A1 (ko)
JP (1) JP4217243B2 (ko)
KR (1) KR100848757B1 (ko)
WO (1) WO20050743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642A1 (ko) * 2017-08-16 2019-02-21 남기원 이미지 변환 데이터 제공 장치 및 시스템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004A (ja) * 2007-06-20 2009-01-08 Olympus Corp 映像表示システム
US8576297B2 (en) * 2008-07-11 2013-11-0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pectral improvement of digital camera color images
US8736709B2 (en) 2008-07-11 2014-05-2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pectral improvement of digital camera color images
KR101049409B1 (ko) * 2009-09-30 2011-07-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의 색 보정 장치 및 방법
US9076068B2 (en) 2010-10-04 2015-07-07 Datacolor Holding Ag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lor in an image
US8532371B2 (en) 2010-10-04 2013-09-10 Datacolor Holding Ag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lor in an image
JP2012120067A (ja) * 2010-12-03 2012-06-21 Brother Ind Ltd シースルー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シースルー型画像表示方法
JP5713350B2 (ja) * 2011-10-25 2015-05-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67882A1 (en) 2015-03-10 2016-09-14 Thomson Licensing Adaptive color grade interpolation method and device
JP7427526B2 (ja) 2020-05-14 202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53417A (ko) 2021-10-14 202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획득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649A (ja) * 1995-12-19 1997-06-30 Olympus Optical Co Ltd カラー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0311243A (ja) * 1999-04-28 2000-11-07 Sony Corp 画像色補正方法及び装置
JP2001320727A (ja) * 2000-05-12 2001-11-16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バランス調整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2218498A (ja) * 2001-01-17 2002-08-02 Noritsu Koki Co Ltd 背景分離システム
JP2003346137A (ja) * 2002-05-23 2003-12-05 Olympus Optical Co Ltd 色再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35238T2 (de) * 1994-01-18 2007-04-05 Canon K.K. Kamera
JP4076248B2 (ja) * 1997-09-09 2008-04-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色再現装置
JP4534340B2 (ja) * 2000-10-31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色再現補正装置
US6839088B2 (en) * 2001-03-31 2005-01-0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physical properties of objects and illuminants in a scene using modulated light emission
JP4049257B2 (ja) * 2002-12-02 2008-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649A (ja) * 1995-12-19 1997-06-30 Olympus Optical Co Ltd カラー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0311243A (ja) * 1999-04-28 2000-11-07 Sony Corp 画像色補正方法及び装置
JP2001320727A (ja) * 2000-05-12 2001-11-16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バランス調整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2218498A (ja) * 2001-01-17 2002-08-02 Noritsu Koki Co Ltd 背景分離システム
JP2003346137A (ja) * 2002-05-23 2003-12-05 Olympus Optical Co Ltd 色再現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642A1 (ko) * 2017-08-16 2019-02-21 남기원 이미지 변환 데이터 제공 장치 및 시스템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974A (ko) 2006-12-14
US20070013812A1 (en) 2007-01-18
JP4217243B2 (ja) 2009-01-28
JPWO2005074302A1 (ja) 2007-09-13
WO2005074302A1 (ja)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757B1 (ko)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
JP4076248B2 (ja) 色再現装置
JP4231661B2 (ja) 色再現装置
US7830566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nabling faithful reproduction of appearance and further preferred color reproduction of appearance, image output device and digital camera using the sam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US20090322908A1 (en) System for capturing graphical images using hyperspectral illumination
Kim et al. Characterization for high dynamic range imaging
JPH09185705A (ja) 分光によるカラー画像編集方法
JP2003348501A (ja) 画像表示装置
US20110050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analysis
Barnard Computational color constancy: taking theory into practice
Apollonio et al. Color definiton of open-air Architectural heritage and Archaeology artworks with the aim of conservation
Wenger et al. Optimizing color matching in a lighting reproduction system for complex subject and illuminant spectra
Yamaguchi et al. Natural vision: Visual telecommunication based on multispectral technology
JP3149297B2 (ja) カラーバランス調整装置および調整方法
LeGendre et al. Jointly Optimizing Color Rendition and In-Camera Backgrounds in an RGB Virtual Production Stage
Hirai et al. Photometric and geometric measurements based on multi-primary image projector
Zhu et al. Matched illumination
JP2003111108A (ja) 撮像システム評価用チャート及びその作成方法
Westhäuser et al. Optimizing color reproduction of a topometric measurement system for medical applications
JP4448416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6078794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Martínez-Verdú et al. Calculation of the Color-Matching Functions of Digital Cameras from their Complete Spectral Responsivities
Gurdiel et al. Spatially dependent white balance for fill flash photography
Li Consideration of human visual mechanism for image white balance
Fischer et al. WhitebalPR: automatic white balance by polarized refl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