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965B1 -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965B1
KR100847965B1 KR1020060015045A KR20060015045A KR100847965B1 KR 100847965 B1 KR100847965 B1 KR 100847965B1 KR 1020060015045 A KR1020060015045 A KR 1020060015045A KR 20060015045 A KR20060015045 A KR 20060015045A KR 100847965 B1 KR100847965 B1 KR 100847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exhaust gas
support mat
filtration filt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344A (ko
Inventor
구자형
양문석
박기홍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965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 여과필터를 갖는 컨버터의 외주연에 그루브(Groove) 또는 엠보싱(Embossing)을 추가하고, 여과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를 컨버터의 외주연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서포트 매트의 전체 부피 밀도(GBD, Global Bulk Density)를 증가시켜 여과필터의 지지력 및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고가의 서포트 매트의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사용량을 절감시켜 제품의 단가 및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배기가스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필터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 및 상기 여과필터와 서포트 매트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그루부(Groove)가 형성되되, 상기 그루부가 컨버터의 길이방향에 나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와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 위주연에 상기 그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그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기가스 저감장치, 컨버터, 서포트 매트, 그루부, 엠보싱, 널

Description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Catalytic converter apparatus for exhaust gas of vehic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지지 압력(Holding pressure)과 전체 부피 밀도(GBD, Global Bulk Density)에 따른 지지력(Holding Force)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그루부에 따른 서포트 매트의 감소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는 평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엠보싱에 따른 서포트 매트의 감소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기가스 저감장치, 10 : 여과필터,
30 : 컨버터, 31 : 그루부,
33 : 엠보싱, 35 : 널,
50 : 서포트 매트, 51 : 그루부,
53 : 엠보싱, 55 : 널.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 여과필터를 갖는 컨버터의 외주연에 그루브(Groove) 또는 엠보싱(Embossing)을 추가하고, 여과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를 컨버터의 외주연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 로 형성함으로써 서포트 매트의 전체 부피 밀도(GBD, Global Bulk Density)를 증가시켜 여과필터의 지지력 및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고가의 서포트 매트의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사용량을 절감시켜 제품의 단가 및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또는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 가솔린 차량 또는 디젤 차량에는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서 일산화 탄소, 탄화 수소, 질소 산화물(NOx), 황산화물 및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이 포함된다.
여기서, 차량에서 배출되는 일산화 탄소, 탄화 수소, 질소 산화물(NOx), 황산화물 및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 등의 배기가스 중 입자상 물질은 부유 분진의 발생을 가중시킴으로써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대기 오염 물질에 따른 인간의 쾌적한 환경의 요구 및 각국의 환경 규제에 의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대기 오염 물질에 대한 규제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배기가스 여과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즉,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대기 오염 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엔진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오염 물질을 저감시키는 기술로서, 엔진 기술 및 전처리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배기가스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엔진 내부에서의 유해 가스 저감 기술만으로는 규제를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엔진에서 연소된 후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후처리 기술(Aftertreatment Technology)이 제안되었으며, 상술한 후처리 기술은 산화 촉매, 질소 산화물 촉매 및 매연 여과장치를 통한 배기가스 저감장치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산화 촉매, 질소 산화물 촉매 및 매연 여과장치 중 입자성 물질을 저감시키는 가장 효율적이고 실용화에 접근되는 기술은 매연 여과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 Trap, DPF)를 이용한 배기가스 저감장치이다.
이러한 배기가스 저감장치는 디젤 또는 가솔린 엔진에서 배출되는 입자성 물질을 여과필터로 포집한 후 이것을 태우고(이하, 재생이라함) 다시 입자성 물질을 포집하여 계속 사용하는 기술로서 매연을 80% 이상 저감할 수 있어 성능면에서는 아주 우수하나, 내구성과 경제성이 실용화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서, 차량에 장착되어 배기가스를 저감시키는 배기가스 저감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저감장치(100)는 배기가스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110)와 상기 여과필터(110)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필터(1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150, Support Mat) 및 상기 여과필터(110)와 서포트 매트(150)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버터(130)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여과필터는 자동차의 엔진을 통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 중 일산화 탄소, 탄화 수소, 질소 산화물(NOx), 황산화물 및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을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량의 내구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컨버터 내에서 여과필터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매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서포트 매트가 고가이기 때문에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전체적인 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컨버터 내에서 여과필터를 고정 및 지지하는 서포트 매트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서포트 매트의 두께 감소로 인해 여과필터를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전체적인 지지력 및 고정력이 감소되어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가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 여과필터를 갖는 컨버터의 외주연에 그루브(Groove) 또는 엠보싱(Embossing)을 추가하고, 여과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를 컨버터의 외주연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서포트 매트의 전체 부피 밀도(GBD, Global Bulk Density)를 증가시켜 여과필터의 지지력 및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고가의 서포트 매트의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사용량을 절감시켜 제품의 단가 및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기가스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필터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 및 상기 여과필터와 서포트 매트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그루부(Groove)가 형성되되, 상기 그루부가 컨버터의 길이방향에 나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와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 위주연에 상기 그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그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는, 배기가스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필터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 및 상기 여과필터와 서포트 매트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그루부(Groove)가 형성되되, 상기 그루부가 컨버터의 길이방향에 환형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와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 위주연에 상기 그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그루부가 다수개 형성된다.
더불어, 배기가스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필터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 및 상기 여과필터와 서포트 매트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의 외주연에 내향돌출되는 엠보 싱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와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 외주연에 상기 엠보싱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엠보싱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배기가스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필터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 및 상기 여과필터와 서포트 매트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외향돌출되는 널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의 널과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상기 널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널이 외향돌출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지지 압력(Holding pressure)과 전체 부피 밀도(GBD, Global Bulk Density)에 따른 지지력(Holding Force)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서포트 매트는 압축율에 의하여 발생되는 지지력(Holding Force)이 지지 압력(Holding pressure)과 전체 부피 밀도( GBD, Global Bulk Density)에 대하여 선형적인 증가가 아닌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이를 통하여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여과필터를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서포트 매트의 전체 부피 밀도를 국부 적으로 증가시키면 서포트 매트의 전체적인 지지력 및 고정력을 상당 부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 사용되던 서포트 매트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고가의 비용이 지불되던 서포트 매트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서포트 매트와 동일한 지지력(Holding Force)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그루부에 따른 서포트 매트의 감소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는 배기 매니폴드(미도시)와 소음기(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되, 여과필터와 컨버터 및 서포트 매트로 구성되며, 상기한 구성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컨버터 및 서포트 매트의 형태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1)는 배기가스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10)와 상기 여과필터(10)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필터(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50) 및 상기 여과필터(10)와 서포트 매트(50)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버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그루부(31, Groove)가 형성되되, 상기 그루부(31)가 컨버터(30)의 길이방향에 나선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컨버터(30)의 길이방향 외주연에 소정의 폭을 갖는 그루부(31)가 나선상으로 내향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컨버터(30)와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상기 그루부(3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그루부(51)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여과필터(1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50)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가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매트(50)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컨버터(30) 및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는 서포트 매트(50)에 형성되는 그루부(31, 51)의 폭과 그에 따른 고정력(holding Force)을 비교해 본 결과, 그루부(31, 51)의 폭이 30mm일 경우 가장 높은 고정력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버터(30) 및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는 서포트 매트(50)에 형성되는 각 그루부(31, 51)의 폭이 대략 30mm 전, 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서포트 매트(50)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서포트 매트(50)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고가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매트(50)의 사용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존 두께의 서포트 매트(50)와 동일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그루부(31)가 형성되되, 상기 그루부(31)가 컨버터(30)의 길이방향에 나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30)와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상기 그루부(3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그루부(51)가 형성됨으로써 서포트 매트(50)의 두께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그루부(31)가 형성되되, 상기 그루부(31)가 컨버터(30)의 길이방향에 환형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30)와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상기 그루부(31)와 대응되는 형상의 그루부(51)가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서포트 매트(50)의 두께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엠보싱에 따른 서포트 매트의 감소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1)는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내측을 향하여 내향돌출되는 엠보싱(33)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30)와 대응 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상기 엠보싱(3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엠보싱(53)이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그 내측을 향하여 내향돌출되되, 소정직경을 갖는 원형홈 형상의 엠보싱(33)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는 서포트 매트(50)의 외주연에 컨버터(30)에 형성되는 엠보싱(33)과 동일한 원형홈 형상의 엠보싱(53)이 형성되되,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내향돌출되게 형성되는 엠보싱(33)과 상기 서포트 매트(5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엠보싱(53)이 동일한 위치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여과필터(1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엠보싱(53)이 형성됨으로써 서포트 매트(50)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가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매트(50)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컨버터(30) 및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는 서포트 매트(50)에 형성되는 원형홈 형상의 엠보싱(33, 53)의 직경을 4mm로 고정시킨 후 엠보싱(33, 53)의 폭과 그에 따른 고정력(holding Force)을 비교해 본 결과, 각각의 경우에 따라 서포트 매트(50)의 사용량을 14, 5% 또는 23% 정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던 서포트 매트(50)와 동일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 및 상기 서포트 매트(50)의 외주연에 원형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엠보싱(33, 53)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 직하나, 상기 각 엠보싱(33, 53)의 배열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버터(30) 및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는 서포트 매트(50)에 원형홈 형상의 엠보싱(33, 53)을 추가함으로써 컨버터(30) 자체의 굽힘 강도가 개선되어 자체 강성 및 고정력이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1)는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외향돌출되는 널(35)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30)의 널(35)과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상기 널(35)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널(55)이 외향돌출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여과필터(1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널(55)이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서포트 매트(50)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가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매트(50)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외향돌출되는 널(35)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30)의 널과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외향돌출되는 널(55)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환형의 널(35)이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30)의 널(35)과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환형의 널(55)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 여과필터를 갖는 컨버터의 외주연에 그루브(Groove) 또는 엠보싱(Embossing)을 추가하고, 여과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를 컨버터의 외주연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서포트 매트의 전체 부피 밀도(GBD, Global Bulk Density)를 증가시켜 여과필터의 지지력 및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고가의 서포트 매트의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사용량을 절감시켜 제품의 단가 및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배기가스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10)와, 상기 여과필터(10)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필터(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50) 및 상기 여과필터(10)와 서포트 매트(50)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버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1)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내향돌출되는 엠보싱(33)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30)와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상기 엠보싱(3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엠보싱(53)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4. 배기가스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10)와, 상기 여과필터(10)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필터(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포트 매트(50) 및 상기 여과필터(10)와 서포트 매트(50)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버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1)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30)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외향돌출되는 널(35)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컨버터(30)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컨버터(30)의 널 (35)과 대응되는 위치의 서포트 매트(50)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상기 널(35)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널(55)이 외향돌출되게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KR1020060015045A 2006-02-16 2006-02-16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KR100847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045A KR100847965B1 (ko) 2006-02-16 2006-02-16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045A KR100847965B1 (ko) 2006-02-16 2006-02-16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344A KR20070082344A (ko) 2007-08-21
KR100847965B1 true KR100847965B1 (ko) 2008-07-22

Family

ID=3861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045A KR100847965B1 (ko) 2006-02-16 2006-02-16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9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633A (ja) * 2001-01-31 2002-08-14 Ibiden Co Ltd セラミック構造体及び排気ガス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633A (ja) * 2001-01-31 2002-08-14 Ibiden Co Ltd セラミック構造体及び排気ガス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344A (ko)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kemade et al. Engines and exhaust after treatment systems for future automotive applications
US7225613B2 (en) Diesel engine after treatment device for conversion of nitrogen oxide and particulate matter
KR20140062899A (ko) 차량의 배기 가스 정화장치
US20070122319A1 (en) Particulate filter
US20170159540A1 (en) Construction vehicle
JP2008511795A (ja) 排気の後処理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36050B1 (ko) 차량의 배기시스템
KR101294061B1 (ko) 차량용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KR100847965B1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KR20130055475A (ko) 내연 기관용 머플러
KR101150325B1 (ko) 다층촉매담체부가 구비된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
KR100815015B1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0440063Y1 (ko) 차량용 분리형 매연저감장치케이스
KR20090069950A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045304B1 (ko) 유동 최적화된 자동차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CN214366308U (zh) 一种催化剂载体装置
JP4652554B2 (ja) 触媒コンバ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47966B1 (ko) 자동차용 컨버터의 히트 실드
KR20090058819A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US20030089105A1 (en) Exhaus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KR20220163590A (ko) 세라믹 섬유 필터를 이용한 촉매 장치
KR20220105762A (ko) 착탈이 용이한 디젤 입자상물질 제거용 필터(dpf) 장치
KR101252805B1 (ko) 배기 가스 여과 장치
KR20070082343A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KR20080028117A (ko) 자동차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