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054B1 -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054B1
KR100846054B1 KR1020070058279A KR20070058279A KR100846054B1 KR 100846054 B1 KR100846054 B1 KR 100846054B1 KR 1020070058279 A KR1020070058279 A KR 1020070058279A KR 20070058279 A KR20070058279 A KR 20070058279A KR 100846054 B1 KR100846054 B1 KR 10084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ower arm
press
hole
arm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수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60G2400/61Load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된 어퍼판넬과 로워판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 중의 한 곳에 버링부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프레스판넬과; 상기 관통홀에 억지끼워맞춤 되어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을 각각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외측으로 단차부를 형성하고, 볼조인트 어셈블리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로워암 부싱과; 상기 볼조인트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는 어퍼판넬과 로워판넬 중의 한 곳에 버링부를 형성하고, 로워암 부싱의 외측으로 단차부를 형성하여 프레스판넬의 어퍼판넬과 로워판넬을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의 하중을 분산시켜 하중으로 인한 로워암 어셈블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LOWER ARM ASSEMBLY WITH LOAD DISPERSIO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부싱이 프레스판넬의 관통홀 하부에서 압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부싱이 프레스판넬의 관통홀 상부에서 압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부싱이 프레스판넬의 관통홀 하부에서 압입된 후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부싱이 프레스판넬의 관통홀 상부에서 압입된 후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스판넬 11 : 어퍼판넬
11-1 : 어퍼판넬의 버링부 12 : 로워판넬 12-1 : 로워판넬의 버링부 13 : 관통홀
20 : 로워암 부싱 21, 22 : 단차부
23 : 스냅링홈 30 : 체결부재 31 : 플랜지 너트 32 : 핀 40 : 볼조인트 어셈블리 50 : 스냅링
본 발명은 로워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퍼판넬과 로워판넬 중의 한 곳에 버링부를 형성하고, 로워암 부싱의 외측으로 단차부가 형성되어 프레스판넬의 어퍼판넬과 로워판넬을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서스펜션(SUSPENSION)이라고 하며 차체의 휠(WHEEL)을 연결하는 장치로,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작용을 조절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휠의 작동을 제어하는 암(ARM)이나 링크 및 차량의 롤링(ROLLING)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등으로 구성된다.
그 중 서스펜션 암은 휠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컨트롤 암이라고도 하며, 볼조인트, 필로볼, 고무부시 등에 의해 차량의 바디 또는 액슬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서스펜션암은 그 형태에 따라 A자 모양의 A암, I자 모양의 I암 등으로 구분되며, 위쪽에 설치되는 것을 어퍼암(UPPER ARM),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을 로워암(LOWER ARM)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여기서, 종래의 로워암 어셈블리는 프레스판넬의 어퍼판넬과 로워판넬 중의 한 곳에 버링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로워암 부싱을 조립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버링부가 형성되는 부분에만 집중하중을 받게 되어 로워암 어셈블리의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판넬과 로워판넬 중의 한 곳에 버링부를 형성하고, 로워암 부싱의 외측으로 단차부를 형성하여 프레스판넬의 어퍼판넬과 로워판넬을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의 하중을 분산시켜 하중으로 인한 로워암 어셈블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된 어퍼판넬과 로워판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 중의 한 곳에 버링부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프레스판넬과; 상기 관통홀에 억지끼워맞춤 되어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을 각각 지지 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외측으로 단차부를 형성하고, 볼조인트 어셈블리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로워암 부싱과; 상기 볼조인트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워판넬에 버링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로워암 부싱이 하부에서 압입되고, 상기 어퍼판넬에 버링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로워암 부싱이 상부에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홀에 압입되는 상기 로워암 부싱의 단차부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된 어퍼판넬(11)과 로워판넬(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퍼판넬(11)과 상기 로워판넬(12) 중의 한 곳에 버링부(11-1, 12-1)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관통홀(13)이 형성된 프레스판넬(10)과; 상기 관통홀(13)에 억지끼워맞춤 되어 상기 어퍼판넬(11)과 상기 로워판넬(12)을 각각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외측으로 단차부(21, 22)를 형성하고, 볼조인트 어셈블리(40)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로워암 부싱(20)과; 상기 볼조인트 어셈블리(40)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부싱(20)이 프레스판넬(10)의 관통홀(13) 하부에서 압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부싱(20)이 프레스판넬의 관통홀(13) 상부에서 압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스판넬(10)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된 상기 어퍼판넬(11)과 상기 로워판넬(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어퍼판넬(11)과 상기 로워판넬(12) 중의 한 곳에 버링부(11-1, 12-1)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볼조인트 어셈블리(40)가 압입되는 관통홀(13)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프레스판넬(10)은 상기 로워판넬(12)에 버링부(12-1)가 형성된 경우 상기 로워암 부싱(20)이 하부에서 압입되고, 상기 어퍼판넬(11)에 버링부(11-1)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로워암 부싱(20)이 상부에서 압입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로워암 부싱(20)은 상기 프레스판넬(10)에 형성된 관통홀(13)에 억지끼워맞춤 되어 상기 어퍼판넬(11)과 상기 로워판넬(12)을 각각 지지하여 하중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외측으로 단차부(21,22)를 형성하고, 상기 볼조인트 어셈블리(40)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로워암 부싱(20)의 단차부(21, 22)와 상기 프레스판넬(10)의 버링부(11-1, 12-1)는 상기 로워암 부싱(20)을 상기 프레스판넬(10)의 관통홀(13)에 압 입하여 억지끼워맞춤으로 조립시 정확한 위치규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프레스판넬(10)의 관통홀(13)에 압입되는 상기 로워암 부싱(20)의 단차부(21, 22)의 직경은 억지끼워맞춤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13)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더 크게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부싱(20)이 프레스판넬(10)의 관통홀(13) 하부에서 압입된 후 스냅링(50)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부싱(20)이 프레스판넬(10)의 관통홀(13) 상부에서 압입된 후 스냅링(50)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는 상기 로워암 부싱(20)을 상기 프레스판넬(10)의 관통홀(13)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고정시킨 후 보다 확실한 고정을 위해 상기 로워암 부싱(20)에 스냅링홈(23)을 가공하여 스냅링(50)을 상기 스냅링홈(23)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로워암 부싱(20)과 상기 프레스판넬(10)을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는 상기 로워암 부싱(20)을 상기 프레스판넬(10)의 관통홀(13)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고정시킨 후 보다 확실한 고정을 위해 상기 로워암 부싱(20)을 상기 프레스판넬(10)의 상기 어퍼판넬(11) 또는 상기 로워판넬(12)과 용접시켜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볼조인트 어셈블리(40)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체결부재(30)는 플랜지너트(31)와 핀(32)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는 어퍼판넬과 로워판넬 중의 한 곳에 버링부를 형성하고, 로워암 부싱의 외측으로 단차부를 형성하여 프레스판넬의 어퍼판넬과 로워판넬을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의 하중을 분산시켜 하중으로 인한 로워암 어셈블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된 어퍼판넬과 로워판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 중의 한 곳에 버링부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프레스판넬과;
    상기 관통홀에 억지끼워맞춤 되어 상기 어퍼판넬과 상기 로워판넬을 각각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외측으로 단차부를 형성하고, 볼조인트 어셈블리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로워암 부싱과;
    상기 볼조인트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어퍼판넬에 버링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로워암 부싱이 상부에서 압입되며,
    상기 로워암 부싱에 스냅링홈을 가공하여 스냅링을 상기 스냅링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로워암 부싱과 상기 프레스 판넬을 추가로 고정시키며,
    상기 관통홀에 압입되는 상기 로워암 부싱의 단차부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58279A 2007-06-14 2007-06-14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 KR10084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279A KR100846054B1 (ko) 2007-06-14 2007-06-14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279A KR100846054B1 (ko) 2007-06-14 2007-06-14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054B1 true KR100846054B1 (ko) 2008-07-11

Family

ID=3982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279A KR100846054B1 (ko) 2007-06-14 2007-06-14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68B1 (ko) 2012-09-28 2013-12-10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로워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366U (ko) * 1995-09-21 1997-04-25 조향너클 연결구조
JPH1037945A (ja) * 1996-07-18 1998-02-13 Toyota Motor Corp ボールジョイント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366U (ko) * 1995-09-21 1997-04-25 조향너클 연결구조
JPH1037945A (ja) * 1996-07-18 1998-02-13 Toyota Motor Corp ボールジョイント支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68B1 (ko) 2012-09-28 2013-12-10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로워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289B2 (en) Axle locating rod
US20180154719A1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530031B1 (ko) 토션 빔 액슬 서스펜션
US10118452B2 (en) Motor vehicle wheel suspension
US20080303196A1 (en) Upper strut mount assembly
KR100846054B1 (ko) 하중분산 구조의 로워암 어셈블리
US20180100556A1 (en) Load compensating spring isolator
KR100962835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100834223B1 (ko)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KR100775746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알루미늄 재질 로어암의 부시 체결 구조
JP5205797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06077622A1 (ja) 防振装置
KR100660272B1 (ko)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JP3656398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JP4695458B2 (ja) ストラット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2074491B1 (ko) 차량용 너클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방법
KR10041286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체결구조
JP4329646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0316938B1 (ko) 차량의 쇽 업소오버 장착 브라켓트
KR20050118408A (ko) 쇽업소버 마운팅부시 유격 조정장치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19990035685A (ko) 부쉬
KR101028545B1 (ko) 차량용 레이디어스 로드유닛
JP2008223947A (ja) ブッシュ
KR20040106111A (ko) 현가장치의 컨트롤 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