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835B1 -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835B1
KR100962835B1 KR1020070070308A KR20070070308A KR100962835B1 KR 100962835 B1 KR100962835 B1 KR 100962835B1 KR 1020070070308 A KR1020070070308 A KR 1020070070308A KR 20070070308 A KR20070070308 A KR 20070070308A KR 100962835 B1 KR100962835 B1 KR 10096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pring
strut
bearing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697A (ko
Inventor
김은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8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현가장치에서 스트럿의 상단부를 차체에 결합 및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에서 스트럿 상단부를 차체에 결합 및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인슐레이터 러버가 설치되어 상기 스트럿 상단부에 해당하는 쇽업소버 피스톤 로드 상단부가 상기 인슐레이터 러버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의 본체 하우징에서 그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하기 베어링 내측으로 넣어지는 보스부가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하면에 상기 보스부 외측으로 베어링이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의 하측으로는 스프링 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이 상기 하부 하우징과 스프링 패드, 보스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패드에 스프링 상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종래의 상부 스프링 시트를 삭제하는 대신 인슐레이터 본체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이 베어링 및 스프링 패드를 개재한 채로 스프링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시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부 스프링 시트 삭제를 통한 부품수 축소, 원가 절감 및 조립성 향상의 장점이 있게 된다.
현가장치, 스트럿, 인슐레이터, 부품수 축소, 원가 절감, 조립성 향상

Description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Insulator assembly for strut of suspension}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현가장치에서 스트럿의 상단부를 차체에 결합 및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서, 전방현가장치는 앞차축의 형식에 따라 차축현가식과 독립현가식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독립현가식의 전방현가장치는 차축을 분할하여 양쪽 바퀴가 서로 관계없이 움직이게 하여 좌우 어느 쪽이든 바퀴에 장애물이 걸리거나 부딪쳐도 그 바퀴만 상하로 운동하게 되어 차체는 기울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종류로는 위시본형, 리프 스프링을 가로로 설치하여 어퍼암 또는 로어서스펜션암의 작용 을 스프링이 겸하도록 한 리프 스프링형, 후방으로 향한 1개 또는 2개의 암에 의해 바퀴를 지지하도록 한 트레일링암형,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스트럿을 이용하는 맥퍼슨형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맥퍼슨 현가장치는 조향 너클과 같이 쇽업소버가 내장된 스트럿, 코일 스프링 등이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차체에 장착되는 쇽업소버의 장착점이 높아 얼라인먼트(alignment)가 정확히 설정되면서 그의 변화도 적어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첨부한 도 1은 맥퍼슨 현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맥퍼슨 현가장치에서는 너클암(11) 상단에 쇽업소버(스트럿)(12)이 설치되어 쇽업소버(12)의 피스톤 로드(13)는 차체에 인슐레이터(14)로 고정되며, 로어암(15)은 너클암(11)의 하단에 볼조인트로 연결된다.
도면부호 16은 인슐레이터(14)의 마운팅 홀에 삽입되어 차체에 체결되는 볼트를 나타낸다.
첨부한 도 2는 종래의 스트럿 상부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20은 스트럿(쇽업소버)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21은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를, 도면부호 23은 더스트 커버를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트럿(20)의 상부 장착구조에서는, 스트럿 상단부, 즉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21) 상단부가 인슐레이터(31)에 체결되어 차체(1)와의 사이에서 절연이 이루어지는 바, 인슐레이터 본체 하우징(32)의 마운팅 홀에 삽입된 볼트(34)가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인슐레이터(31) 전체가 차체(1)에 체결되며, 본체 하우징(32) 내부를 수직 관통한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21) 상단부에는 너트부재(22)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로드(21)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볼트형상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형상부(21a)에는 너트부재(22)가 체결되는데, 이러한 볼트-너트 체결에 의해 스트럿(20)이 고정되면서 스프링(24)의 압축력이 유지된다.
또한 본체 하우징(32)의 상부 하우징(32a)과 하부 하우징(32b)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절연을 위한 인슐레이터 러버(33)가 내장되고, 이 인슐레이터 러버(33)에는 피스톤 로드(21) 상단부가 관통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하부 하우징(32b)의 플랜지단 하측으로는 베어링(35)을 개재한 상태로 상부 스프링 시트(3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스프링 시트(36)의 내측면에 내장된 스프링 패드(37)에 스프링(24) 상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바, 이에 스프링(24)의 하중 전달 경로는 스프링(24), 패드(37), 시트(36), 베어링(35), 인슐레이터(31), 차체(1)의 순이 된다.
첨부한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21) 상단부와 차체(1)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1), 베어링(35), 상부 스프링 시트(36), 스프링 패드(3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 패드(37)는 상부 스프링 시트(36)와 스프링(24) 상단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는 스트럿을 차체에 고정하는 역할과 함께 스프링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 시트를 구비하여 스프링을 고정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럿 상부 장착구조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수가 과다하므로 원가 상승 및 조립성 저하의 문제점 있었다.
특히, 인슐레이터가 스트럿을 차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스프링 시트가 스프링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스프링 시트가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인슐레이터와 스프링 시트가 모두 차체 고정 상태에 있으며, 이에 불구하고 두 부품이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종래의 상부 스프링 시트를 삭제하는 대신 인슐레이터 본체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이 베어링 및 스프링 패드를 개재한 채로 스프링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시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부 스프링 시트 삭제를 통한 부품수 축소, 원가 절감 및 조립성 향상의 장점을 가지는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에서 스트럿 상단부를 차체에 결합 및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인슐레이터 러버가 설치되어 상기 스트럿 상단부에 해당하는 쇽업소버 피스톤 로드 상단부가 상기 인슐레이터 러버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의 본체 하우징에서 그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하기 베어링 내측으로 넣어지는 보스부가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하면에 상기 보스부 외측으로 베어링이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의 하측으로는 스프링 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이 상기 하부 하우징과 스프링 패드, 보스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패드에 스프링 상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스부는 하부 하우징 하면에서 베어링 내측으로 넣어지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종래의 상부 스프링 시트를 삭제하는 대신 인슐레이터 본체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이 베어링 및 스프링 패드를 개재한 채로 스프링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시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부 스프링 시트 삭제를 통한 부품수 축소, 원가 절감 및 조립성 향상의 장점이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의 본체 하우징과 상부 스프링 시트를 일체로 구성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는, 보다 엄밀히 말하면, 인슐레이터의 본체 하우징이 상부 스프링 시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부 스프링 시트의 삭제가 가능하고, 이에 부품수 축소, 원가 절감 및 조립성 향상의 장점을 제공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상부 스프링 시트가 삭제되고 그 대신 인슐레이터의 본체 하우징이 상부 스프링 시트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면부호 20은 스트럿(쇽업소버)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21은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를, 도면부호 23은 더스트 커버를 각각 나타낸다.
쇽업소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트럿(20)의 상부 장착구조에서는, 스트럿 상단부, 즉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21) 상단부가 인슐레이터(31)에 체결되어 차체(1)와의 사이에서 절연이 이루어지는 바, 인슐레이터 본체 하우징(32)의 마운팅 홀에 삽입된 볼트(34)가 차체(1)에 체결됨으로써 인슐레이터(31) 전체가 차체(1)에 체결되며, 본체 하우징(32) 내부를 수직 관통한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21) 상단부에는 너트부재(22)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로드(21)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볼트형상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형상부(21a)에는 너트부재(22)가 체결되는데, 이러한 볼트-너트 체결에 의해 스트럿(20)이 고정되면서 스프링(24)의 압축력이 유지된다.
또한 본체 하우징(32)의 상부 하우징(32a)과 하부 하우징(32b)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절연을 위한 인슐레이터 러버(33)가 내장되고, 이 인슐레이터 러버(33)에는 피스톤 로드(21) 상단부가 관통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인슐레이터 본체 하우징(32)에서도 하부 하우징(32b)이 종래의 스프링 시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데, 우선 하부 하우징(32b)의 직경을 확장하여 하면에 베어링(35)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상기 확장된 하면에는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23)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보스부(32c)를 하방 돌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2b)의 하면에는 상기 보스부(32c) 외측으로 베어링(35)을 장착하고, 상기 베어링(35)의 하측으로 스프링 패드(37)를 설치하여, 상기 베어링(35)이 본체 하우징(32), 보다 명확히는 본체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32b)과 스프링 패드(37), 보스부(32c)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37)에는 스프링(24) 상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의 하중 전달 경로는 스프링(24), 패드(37), 베어링(35), 인슐레이터(31), 차체(1)의 순이 된다.
상기와 같이 인슐레이터 본체 하우징(32), 보다 명확히는 본체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32b)이 베어링(35)을 개재한 상태로 스프링 패드(37) 및 스프링(24)을 지지하면서 스프링 상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결국 하부 하우징(32b)은 종래의 스프링 시트와 같이 스프링(24)을 지지하면서 스프링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상부 스프링 시트를 삭제하는 대신 인슐레이터 본체 하우징(32)의 하부 하우징(32b)이 베어링(35) 및 스프링 패드(37)를 개재한 채로 스프링(24)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시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맥퍼슨 현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스트럿 상부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트럿 21 : 피스톤 로드
24 : 스프링 31 : 인슐레이터
32 : 본체 하우징 32a : 상부 하우징
32b : 하부 하우징 32c : 보스부
33 : 인슐레이터 러버 35 : 베어링
37 : 스프링 패드

Claims (2)

  1. 차량 현가장치에서 스트럿 상단부를 차체에 결합 및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인슐레이터 러버가 설치되어 상기 스트럿 상단부에 해당하는 쇽업소버 피스톤 로드 상단부가 상기 인슐레이터 러버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의 본체 하우징에서 그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하기 베어링 내측으로 넣어지는 보스부가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하면에 상기 보스부 외측으로 베어링이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의 하측으로는 스프링 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이 상기 하부 하우징과 스프링 패드, 보스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패드에 스프링 상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하부 하우징 하면에서 베어링 내측으로 넣어지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1020070070308A 2007-07-12 2007-07-12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100962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308A KR100962835B1 (ko) 2007-07-12 2007-07-12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308A KR100962835B1 (ko) 2007-07-12 2007-07-12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97A KR20090006697A (ko) 2009-01-15
KR100962835B1 true KR100962835B1 (ko) 2010-06-09

Family

ID=4048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308A KR100962835B1 (ko) 2007-07-12 2007-07-12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1425A (zh) * 2011-12-26 2014-08-2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悬架支承结构
KR102103839B1 (ko) 2019-01-31 2020-04-23 주식회사 와츠 쇽업소버 오리피스 전자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5403A (zh) * 2020-03-16 2020-07-03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汽车减振器隔震装置
JP7471439B2 (ja) * 2020-03-18 2024-04-19 浙江吉利控股集団有限公司 ストラット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4909A (ja) 1986-02-12 1987-08-13 Kayaba Ind Co Ltd 車両用懸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4909A (ja) 1986-02-12 1987-08-13 Kayaba Ind Co Ltd 車両用懸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1425A (zh) * 2011-12-26 2014-08-2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悬架支承结构
CN104011425B (zh) * 2011-12-26 2015-07-1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悬架支承结构
KR102103839B1 (ko) 2019-01-31 2020-04-23 주식회사 와츠 쇽업소버 오리피스 전자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97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063B2 (en) Wheel suspension system
US20100032920A1 (en) Lower arm assembly for suspension system
US2935334A (en) Motor vehicle wheel suspension
US20050099060A1 (en) Torsion beam axle suspension
KR100962835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US6997468B2 (en) Control rod suspension with outboard shock
JP2003517964A (ja) 自動車のリジッドアクスルのための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KR101163695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KR101154776B1 (ko) 상용차용 리어 현가장치
KR100656605B1 (ko)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구조
CN111376668A (zh) 横置板簧悬架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CN219133773U (zh) 汽车前桥悬架及汽车
KR20070035874A (ko) 차륜의 캠버 제어용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
KR10041286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체결구조
KR20080042345A (ko) 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20070101605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EP1210235B1 (en) Wheel axle assembly
KR100530032B1 (ko) 듀얼 스트러트 타입 현가장치
KR20150069840A (ko) 멀티링크식 현가장치
JPH0125045Y2 (ko)
KR101043129B1 (ko) 차량용 독립식 현가장치
CN114643821A (zh) 一种atv全地形沙滩车摆臂
KR100500296B1 (ko) 듀얼링크 타입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