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664B1 - 프레싱 공구 - Google Patents

프레싱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664B1
KR100845664B1 KR1020037008689A KR20037008689A KR100845664B1 KR 100845664 B1 KR100845664 B1 KR 100845664B1 KR 1020037008689 A KR1020037008689 A KR 1020037008689A KR 20037008689 A KR20037008689 A KR 20037008689A KR 100845664 B1 KR100845664 B1 KR 10084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andrel
delete delete
mandrels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622A (ko
Inventor
프렌켄에크베르트
Original Assignee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Publication of KR2003008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8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using presses for radially crimping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fittings into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46Clip clamping hand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4Hand tools for crimping with more than two radially actuated mandr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7Hand tools for crimping fluid actuated hand crimping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58Crimping mandrels
    • H01R43/0585Crimping mandrels for crimping apparatus with more than two radially actuated mandr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22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10T29/53226Fastening by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싱 과정 중에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3개 또는 4개의 프레싱 맨드릴(12-15)을 갖는 프레싱 공구(8)에 관한 것이다. 프레싱 맨드릴(12-15)은 지붕형의 단면형태를 갖는다. 프레싱 맨드릴(12-15) 사이의 측방향 간극공간(36)이 프레싱 과정 중에 점차로 감소된다. 연장부재(37)는 두 프레싱 맨드릴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 프레싱 맨드릴로부터 타측 프레싱 맨드릴로 연장되고 프레싱 중에 타측 프레싱 맨드릴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프레싱 공구를 개선하고 프레싱 과정을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 언급된 간극공간(36)을 차폐하기 위하여, 연장부재(37)는 프레싱 과정의 초기단계에서는 관련된 프레싱 맨드릴들의 두 지붕의 등부분(38)이 연장부재(37)와 교차하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프레싱 공구, 프레싱 맨드릴, 간극공간, 지붕형 변부, 연장부재

Description

프레싱 공구 {PRESSING TOOL}
본 발명은 프레싱 과정 중에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3개 또는 4개의 프레싱 맨드릴을 갖는 프레싱 공구에 관한 것으로, 프레싱 맨드릴이 지붕형의 단면형태를 가지고, 프레싱 맨드릴들 사이의 측방향 간극공간이 프레싱 과정 중에 점차로 감소되며, 두 프레싱 맨드릴들의 사이에 일측 프레싱 맨드릴로부터 타측 프레싱 맨드릴측으로 연장되고 프레싱 중에 타측 프레싱 맨드릴측으로 이동하는 연장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프레싱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프레싱 공구는 잘 알려져 있으며, 케이블 아이(cable eye)ㅇ에 케이블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유압작동에 의하여 2개 또는 3개의 프레싱 맨드릴이 프레싱 과정 중에 프레싱 공간의 중심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관하여, 예를 들어 맨드릴이 4개인 4-맨드릴형 프레싱 공구가 캐나다특허 제679 495호로부터 알려져 있는 바, 이 특허문헌으로부터 알려진 프레싱 공구는 프레싱 공간의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하나의 고정된 프레싱 맨드릴과 3개의 다른 프레싱 맨드릴을 가지며, 프레싱 맨드릴을 가지고 있는 프레싱 조오를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나의 연장부재가 이동가능한 프레싱 맨드릴 사이의 측방향 간극공간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종래의 이러한 프레싱 공구가 갖는 문제점은 예를 들어 케이블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블 아이와 같은 블랭크의 위치가 정위치에 있는 것과 실제로 프레싱되는 것의 사이에서 성공적인 프레싱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달라진다는 점이다.
상기 언급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프레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리한 형태의 프레싱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간극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연장부재가 프레싱 과정의 초기단계에서 및 프레싱 과정중에 연장부재를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는 두개의 프레싱 맨드릴의 서로 마주보는 제 1 지붕 등부분 및 제 2 지붕 등부분이 연장부재와 교차하는 상태가 되도록 배열된다는 점에 기초하는 청구범위 제1항의 지재사항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배치되어 프레싱될 블랭크는 프레싱 맨드릴이 이를 향하여 이동할 때 이들 맨드릴 사이에서 블랭크가 자동적으로 중심이 맞추어지는 자동조심(自動調心)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아이의 프레싱 슬리이브는 그 전체가 항상 프레싱 맨드릴의 작용영역 내에 배치되어 케이블 아이와 케이블 단부의 정확하고 성공적인 프레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연장부재는 프레싱 공간의 중심에 배치되지 않은 블랭크가 프레싱 과정 중에 이러한 연장부재에 의하여 요구된 프레싱 위치에 항상 강제로 놓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연장부재를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는 두개의 프레싱 맨드릴의 서로 마주보는 제 1 지붕 등부분과 제 2 지붕 등부분이 적어도 이들의 연장부분에서 연장부재와 교차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더욱이, 연장부재의 상기 배열은 두 프레싱 맨드릴 사이의 간극공간의 영역내의 원래의 배열상태에서 프레싱될 블랭크가 간극공간으로부터 전진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프레싱 맨드릴의 경사면 상의 지지점의 사이의 각도를 에워싸도록 선택되되 이 각도는 마찰각보다 더 크며, 이는 프레싱 과정 중 프레싱 맨드릴들의 사이에서 편심되게 배치된 블랭크의 전진이 원하는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배치된 연장부재는, 3개의 맨드릴을 갖는 프레싱 공구에 있어서는 3개의 측방향 간극공간 중 두개의 간극공간을 통과하여 지나고 4개의 맨드릴을 갖는 프레싱 공구에 있어서는 4개의 측방향 간극공간 중 3개의 간극공간을 통과하여 지난다.
또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있는 프레싱 맨드릴이 선회브라킷트 상에 고정되어 이에 의하여 프레싱 공간에 대한 방사상 방향으로부터의 접근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회브라킷트를 배치하고 폐쇄한데 이어 이 선회브라킷트를 확실하게 잠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선된 프레싱 결과를 얻기 위하여, 공작물 프레싱용으로 프레싱 과정중에 서로를 향해 이동할수 있는 3개 또는 4개의 프레싱 맨드릴을 포함하되, 각각의 프레싱 맨드릴이 지붕 정상부에서 만나는 제 1 지붕 등부분 및 제 2 지붕 등부분(roof edges)을 형성하는 지붕형의 단면형태(roof-like cross-sectional profile)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프레싱 맨드릴의 제 1 지붕 등부분이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의 제 2 지붕 등부분과 마주보고 있어서, 상기 프레싱 맨드릴들의 사이 사이에 있는 측방향의 간극공간이 프레싱 과정 중에 점차 감소하고, 하나의 프레싱 맨드릴로부터 타측 프레싱 맨드릴 측으로 연장되고 프레싱 중에 타측 프레싱 맨드릴 측으로 이동하는 공작물 구속용의 연장부재가 두개의 프레싱 맨드릴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싱 공구에 있어서, 간극공간을 차폐하기 위하여, 연장부재는, 프레싱 과정의 초기단계에서 및 프레싱 과정중에 연장부재를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는 상기 두개의 프레싱 맨드릴의 서로 마주보는 제 1 지붕 등부분 및 제 2 지붕 등부분이 연장부재와 교차하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될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 배치되어 프레싱될 블랭크는 프레싱 맨드릴이 이 블랭크를 향하여 이동해감에 따라 이들 맨드릴 사이에서 블랭크의 자동조심이 이루어지는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아이의 프레싱 슬리이브는 그 전체가 항상 프레싱 맨드릴의 작용영역 내에 배치되어 케이블 아이와 케이블 단부의 정확하고 성공적인 프레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연장부재는 프레싱 공간의 중심에 배치되지 않은 블랭크가 프레싱 과정 중에 이러한 연장부재에 의하여 요구된 프레싱 위치에 항상 강제로 놓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연장부재는 두 프레싱 맨드릴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싱 맨드릴의 각 지붕 등부분이 적어도 이들 지붕 등부분의 연장부분에서 상기 연장부재와 교차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연장부재의 배열은 두 프레싱 맨드릴 사이의 간극공간의 영역에서 본래의 배열에서 프레싱될 블랭크가 이 블랭크가 간극공간으로부터 전진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프레싱 맨드릴의 경사면 상의 지지점 사이의 각도를 에워싸도록 선택되되 이 각도는 마찰각 보다 크며, 이는 프레싱 과정 중 프레싱 맨드릴 사이에서 편심되게 배치된 블랭크의 전진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프레싱 공간의 폐쇄상태를 해제하는 선회브라킷트 상에 고정된 프레싱 맨드릴을 배치하되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돌출된 두개의 연장부재가 상기 고정된 프레싱 맨드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 선회브라킷트의 폐쇄상태, 즉 프레싱 공간의 폐쇄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배치된 연장부재는 4개 프레싱 맨드릴 사이에 형성된 모든 간극공간을 통과하여 지나게 된다. 프레싱 공구가 방사상 프레싱 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것인지 또는 4-맨드릴형 프레싱 공구가 선회브라킷트 상에 고정된 프레싱 맨드릴을 갖는 것인지에 관계없이, 상기의 두 프레싱 맨드릴들 상에서 프레싱 공간으로 향하는 연장부재의 변부가 연장부재를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는 두 프레싱 맨드릴의 서로 마주보는 제1 지붕 등부분과 제2 지붕 등부분의 바로 아래에서 연장될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 적어도 프레싱 과정의 초기상태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프레싱 맨드릴의 이동경로 전체에 걸쳐서, 간극공간의 영역에서 부등변사각형 면이 형성되고, 이들 부등변 사각형면의 상부라인들이 두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의 지붕 정상부들을 연결하고 그 하부라인들은 프레싱 공간을 향하는 연장부재의 변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부등변사각형 면의 측부라인은 실질적으로 상기 두 프레싱 맨드릴의 서로 마주보는 제1 지붕 등부분과 제2 지붕 등부분에 의하여 형성되고, 부등변사각형의 측부라인의 길이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지붕 등부분과 제2 지붕 등부분의 길이와 일치한다. 또한 이러한 부등변사각형의 측부라인의 길이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지붕 등부분과 제2 지붕 등부분의 길이의 1.1 ~ 1.3배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점은 부등변사각형의 측부라인의 길이가 서로 마주보는 제1 지붕 등부분과 제2 지붕 등부분의 길이의 1.5배 미만이란 점이다. 본 발명의 예시된 구성에서, 연장부재는 하나의 프레싱 맨드릴과 일체로 구성되고 타측 프레싱 맨드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재는 프레싱 맨드릴의 보충지지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의 보충지지면들은 이들 보충지지면이 서로 이동함에 따라 중첩되고, 연장된 상태에서, 즉 프레싱 과정의 초기상태에서 통상적인 직경을 갖는 케이블 아이가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두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 사이의 간극공간을 폐쇄한다. 이에 관하여, 프레싱 공간으로 향하는 연장부재의 변부는 프레싱 맨드릴의 지붕 등부분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연장부재의 이 변부는 상기 두 프레싱 맨드릴의 제 1 및 제 2 지붕 등부분들 중 먼쪽의 지붕 등부분과 거의 동일한 정도로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의 넓이는 지붕의 폭 보다 더 짧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성은 상기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의 넓이가 지붕의 폭의 반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두 프레싱 맨드릴은 각각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를 가지며 연장부재가 서로를 향해 엇갈리게(alternately)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 연장부재에는, 이 연장부재에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의 연장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요구가 할당된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 예를 들어 케이블 아이와 같은 블랭크를 이동시키는 연장부재가 프레싱 공간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지붕형의 단면형태를 포함하는 프레싱 맨드릴만이 프레싱 과정 중에 작용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들은 서로에 대하여 깊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프레싱 맨드릴과 연장부재와는 달리, 연장부재가 하나의 프레싱 맨드릴에서는 고정되고 다른 프레싱 맨드릴에서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는 롯드형의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접한 다른 프레싱 맨드릴은 예를 들어 프레싱 과정이 수행되는 것과 이에 동반하여 프레싱 맨드릴과 이 프레싱 맨드릴을 가지고 있는 프레싱 조오가 이동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의 수행 과정 중에 연장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을 갖는다. 이에 관련하여, 또한 연장부재는 니들형태의 환봉일 수 있다. 아울러, 두개의 롯드형 연장부재가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떨어질 수 있다. 이들은 서로에 대하여 깊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 연장부재가 서로 인접한 두 평면에서 작용한다. 또한, 연장부재는 프레싱 맨드릴과 이 프레싱 맨드릴을 가지고 있는 프레싱 조오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부착되고 프레싱 과정 중에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의 측면을 지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배치된 두개의 연장부재가 프레싱 맨드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싱 맨드릴의 양측부에 부착된 이들 연장부재는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장부재가 금속시이트의 각형부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는 만곡형 와이어부분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전기모터에 의하여 작동되고 본 발명에 따른 프레싱 공구를 갖는 유압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싱 공구를 갖는 수동형 기구형태인 유압기구의 사시도.
도 3은 초기상태에 있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싱 공구의 부분종단면도.
도 4는 도 3과 유사하나 도 3에 인접한 평면을 통하여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싱 공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VI-VI선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4와 유사하나 프레싱 상태에 있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3과 유사하나 프레싱 공구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인접한 평면을 통한 단면도.
도 10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싱 공구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의 XI-XI선 확대단면도.
도 12는 프레싱 과정 중 프레싱 공구의 프레싱 맨드릴이 중간위치에 있음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13은 도 9와 유사하나 프레싱 위치에 있음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제3실시형태의 부분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인접한 평면을 통한 부분종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 확대단면도.
도 17은 도 3과 유사하나 프레싱 공구의 제4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 확대단면도.
도 19는 도 17에 따른 프레싱 공구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싱 공구의 분해사시도.
도 21은 제6실시형태를 보인 도 3과 유사한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XXII-XXII선 확대단면도.
도 23은 도 21에서 보인 프레싱 공구의 분해사시도.
도 24는 선회브라킷트가 개방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보인 제7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싱 공구의 측면도.
도 25는 도 24에 따른 실시형태의 도 3과 유사한 단면도.
도 26은 단면의 평면이 도 25의 단면평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프레싱 공구의 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XXVII-XXVII선 확대단면도.
전기모터에 의하여 작동되고 프레싱 기구의 형태인 유압기구(1)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프레싱 기구는 독일특허출원 198 25 160.2로부터 알려져 있다. 또한 독일특허출원 197 43 747에도 이러한 프레싱 기구가 기술되어 있다. 이들 특허출원의 내용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고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도 이들 특허출원의 특징들이 포함되어 있다.
전기모터는 기구(1) 내에 배치된다. 이 전기모터는 손잡이(2) 내의 축전지(3)를 통하여 구동된다. 손가락조작형 스위치(5)의 작동으로 오일이 공급용기로부터 압력공간으로 펌프되며 그 결과로 유압실린더가 복귀스프링의 작용에 반하여 그 작동위치로 이동된다.
유압실린더는 사전에 결정된 최대압력이 초과되었을 때 역지밸브가 개방되면 복귀스프링을 통하여 복귀이동된다.
도 2에서 보인 기구는 수동작동형의 기구형태이다. 유압실린더를 이동시키는데 요구된 압력은 전기모터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펌핑레바(6)를 통한 수동작동으로 생성된다.
기구(1)의 형태에 관계없이, 이 기구는 유압실린더(도시하지 않았음)를 둘러싸고 있으며 프레싱 공구(8)가 배치되는 네크(7)를 갖는다. 네크(7)상에서 프레싱 공구(8)의 고정헤드(9)의 배열은 이 고정헤드(9)와 프레싱 공구(8)가 네크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프레싱 공구(8)는 각각 프레싱 맨드릴(12-15)을 구비한 4개의 프레싱 조오(16-19)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남기고 스크류로 연결되는 두개의 셀형 하우징부분(10)(11)으로 구성된다(이에 관하 여서는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기 바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프레싱 조오(16)는 프레싱 공구(8)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우징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착설되며 프레싱 작동 중에 후측으로부터 프레싱조오에 작용하는 기구(1)의 유압피스턴을 갖는다.
유압피스턴이 작용하는 면의 반대측에서, 프레싱 맨드릴(12)이 프레싱 조오(16)에 형성되고 상기 작용위치인 유압피스턴의 축선 상에 배치된다. 아직 설명되지 않은 다른 프레싱 맨드릴(13-15)과 마찬가지로, 이 프레싱 맨드릴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는 원형의 윤곽을 가지지만 단면형태는 지붕형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이 지붕 정상부(ridge)(20)는 프레싱 조오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을 향하고 있다.
프레싱 맨드릴(12)의 상하에서, 프레싱 조오(16)에는 쐐기형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싱 맨드릴(12)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된 쐐기면(21)들이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는 프레싱 조오(17)(18)의 쐐기면(22)들과 상호작용한다. 이들 쐐기면(21)(22) 사이에 롤링접촉베어링(23)이 배치된다.
더욱이,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프레싱 맨드릴(12)을 가지고 있는 연장부(24)의 영역에서, 쐐기면(21)에 평행하게 연장된 안내핀(25)이 양측에서 고정되고, 이들 안내핀의 타측단부가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는 프레싱 조오(17)(18)의 통공(26)들내로 삽입된다. 프레싱 조오(17)(18)와 프레싱 조오(16)의 연장부(24) 사이에는 안내핀(25)을 둘러싸는 압축스프링(27)이 배치된다.
또한 프레싱 조오(16)의 연장부(24)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방향의 측면부상에서, 프레싱 조오(17)(18)는 이들의 쐐기면(22)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고 압축스프링(27)의 도움으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안내롤러(29)와 접촉하는 조절면(28)을 갖는다.
도 3의 종방향 단면도에서 보았을 때, 프레싱 조오(17)(18)와 연장부(24)의 각 대향하는 면(30)(31)은 유압피스턴 축선의 방향으로 연장된 이동축선 x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있다.
프레싱 맨드릴(13)(14)은 프레싱 조오(17)(18)의 면(30)에서 프레싱 맨드릴(12)에 대하여 직각으로 서로를 향하여 배치된다.
제4의 프레싱 조오(19)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이 프레싱 조오의 프레싱 맨드릴(15)이 축선 x을 따라 위치하되 이동가능한 프레싱 조오(16)의 반대측 프레싱 맨드릴(12)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프레싱 공구(8)의 초기상태에서, 프레싱 맨드릴(12-15)은 상대측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프레싱 공간(34)은 하우징부분(10)(11)의 상호 일치하는 요구(32)들에 의하여 양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들 요구(32)는 프레싱 공구(8)의 일측 단부의 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개방되고 이에 따라서 도입채널(33)이 형성된다. 프레싱 공구(8)의 단부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이 도입채널은 실질적으로 프레싱 맨드릴(15)과 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프레싱 맨드릴(14) 사이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어 프레싱될 케이블 단부가, 예컨대 케이블 아이의 경우 도입채널(33)을 통하여 프레싱 맨드릴(12-15)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는 프레싱 공간(34)으로 도입될 수 있다.
프레싱 작동 중에, 기구(1)의 유압피스턴이 프레싱 조오(16)의 후측에 결합되는 경우, 프레싱 맨드릴(12)을 갖는 이 프레싱 조오(16)는 중간에 롤러접촉베어링이 배치된 쐐기면(21)(22)들과 안내롤러(29) 상에 지지된 조절면(28)을 통하여 반대측에 배치된 프레싱 맨드릴(15)의 방향으로 프레싱 축선 x를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프레싱 조오(17)(18)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프레싱 조오(17)(18)의 이동은 프레싱 조오(16)의 이동에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수직방향으로도 이루어져 3개의 가동 프레싱 맨드릴(12-14)은 프레싱 맨드릴(15)의 방향으로 균일하게 이동하게 되는데, 블랭크, 예를들어 케이블 아이(35)의 경우 이 케이블 아이가 프레싱 과정에서 균일하게 프레싱되는 프레싱 공간(34)에 놓이게 된다.
일단 프레싱이 이루어졌다면, 즉 미리 정해둔 프레싱압력이 초과되었다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유압피스턴이 자동적으로 출발위치로 복귀이동한다. 프레싱 조오는 프레싱 과정 중에 압축되는 압축스프링(27)에 의하여 유압피스턴을 따르게되어 응력이 해제되고 프레싱 조오(17)(18)는 프레싱 조오(16)에 고정된 안내핀(25)을 따라서 이동된다.
프레싱 공간(34)에 배치되어 프레싱되는 케이블 아이(35)가 프레싱 맨드릴 들 사이에 위치하고 프레싱 과정 중에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측방향 간극공간(36)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러한 이동작용은 성공적인 프레싱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한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해결방법이 실시형태로 제공된다.
예시된 모든 실시형태에 공통으로, 각 두개의 프레싱 맨드릴(12)(13), (12)(14),(13)(15)에는 이들 사이에 일측 프레싱 맨드릴로부터 타측 프레싱 맨드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재(37)가 배치되어 있으며, 연장부재(37)는 일측 프레싱 맨드릴에 고정되어 있고 프레싱 과정 중에 타측 프레싱 맨드릴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극공간(36)을 차폐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장부재(37)는 프레싱 과정의 초기상태와 프레싱 과정 중에 간극공간(36)의 경계를 짓는 프레싱 맨드릴들의 두 지붕 등부분(roof edge)(38)이 연장부재(37)와 교차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두 프레싱 맨드릴들 상에서 프레싱 공간(34)을 향하는 연장부재(37)의 변부(39)가 지붕 등부분(38)의 바로 아래에서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의 두 프레싱 맨드릴들의 대향된 지붕 등부분(38)과 프레싱 공간(34)으로 향하는 연장부재(37)의 변부와 또한 상기 두 프레싱 맨드릴의 지붕 정상부(20)들을 연결하는 가상선으로 둘러싸이는 부등변사각형 면(T)이 형성되며, 이러한 부등변사각형 면의 측부경계라인은 상기 지붕 등부분의 길이의 1 ~ 1.3 배이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 블랭크, 예를 들어 케이블 아이(35)는 프레싱 과정 중에, 즉 프레싱 맨드릴(15)의 방향으로 프레싱 맨드릴(12-14)이 전진하는 과정 중에 강제로 항상 프레싱 공간(34)의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블랭크는 프레싱 과정 중에 프레싱 맨드릴(12-15)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3-도 7에서 보인 제1실시형태에서, 연장부재(37)는 보충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싱 맨드릴(12-15)과 일체로 형성된다. 각 프레싱 맨드릴(12-15)은 각 지붕 등 부분(38)에 할당된 돌출형의 연장부재(37)를 가지며, 프레싱 맨드릴의 상기 두 연장부재(37)는 지붕 정상부(20)가 연장되는 방향의 서로 떨어진 두평면에 위치한다. 요구(40)가 이들 연장부재(37)에 인접한 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의 연장부재(37)는 프레싱 과정 중에 이들 요구측으로 이동하고, 두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의 연장부재(37)는 각각의 경우 서로를 향해 엇갈리게(alternately) 돌출되어 있다.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37)의 변부(39)는 프레싱 공간(34)으로 향하되 상기 두 프레싱 맨드릴들의 지붕 등부분들 중 먼쪽의 지붕 등부분(38)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며, 더욱이, 이 변부(39)는 이와 마주보는 프레싱 맨드릴의 지붕 등부분(38)의 하단부(41)측으로 연장된다(도 6 참조).
프레싱 맨드릴들이 서로 이동할 때 중첩되는 연장부재(37)는 통상적인 직경을 갖는 블랭크가 연장부재(37) 사이에서 간극공간(36)내로 통과해 들어갈 수 없을 정도까지 프레싱 맨드릴 사이에 형성된 간극공간(36)을 폐쇄한다. 상기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37)의 넓이 a는 프레싱 맨드릴 지붕의 폭 b의 반 이하로 선택된다.
또한, 연장부재(37)는 환봉(42)(도 8-도 13의 제2실시형태 참조) 또는 니들(43)(도 14-도 16의 제3실시형태 참조)과 같은 롯드형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롯드형 연장부재(37), 즉 환봉(42) 또는 니들(43)은 프레싱 맨드릴들 중 하나에 고정되되 타측 프레싱 맨드릴에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수용된다.
예시된 제3 및 제4실시형태의 경우에 있어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돌출된 두 롯드형 연장부재(37)는 프레싱 맨드릴(12)을 가지고 있는 연장부(24)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연장부재는 각각 인접한 간극공간(36)을 지나 각각 프레싱 맨드릴(13)(14)을 가지고 있는 프레싱 조오(17)(18)의 안내공(44)측으로 삽입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역시 연장부재(37)들은 서로에 대해 깊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즉 이들연장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롯드형 연장부재(37)는 프레싱 맨드릴(15)을 가지고 있되 이동하지 못하게 된 프레싱 조오(19)에 고정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 연장부재는 프레싱 맨드릴(13)를 가지고 있는 프레싱 조오(17)의 안내공(44)으로 삽입되고 작동시에 인접한 간극공간(36)을 차폐한다.
도 8-도 13에 따른 제2실시형태에서, 안내공(44)의 직경은 연장부재(37)를 형성하는 환봉(42)의 직경과 일치한다. 반대로, 도 14-도 16에 도시된 제3실시형태에서, 연장부재(37)를 형성하는 니들(43)의 직경은 상기 니들(43)은 안내공(44)의 영역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헤드(45)를 갖기 위하여 안내공(44)의 직경보다 현저히 작게 되어 있다.
지붕 등부분(38)의 바로 아래에 롯드형 연장부재(37)를 배치함으로써 프레싱될 케이블 아이(35)가 이 케이블 아이(35)의 전진방향 u에 수직인 수직선 S와 지붕등부분(38)의 지지점 P 사이에서 마찰각 보다 더큰 각도 α를 가지게 되어 프레싱 과정 중에 프레싱 맨드릴들의 사이에서 편심되게 배치된 케이블 아이(35)의 전진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이 각도 α는 15°이다(도 12 참조).
제4 및 제5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 17-도 2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연장부재(37)들은 프레싱 맨드릴(12) 또는 프레싱 조오(16)상에서 상호 대향되게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프레싱 조오의 각진 자유각부(the angled free legs)가 프레싱 맨드릴(12)과 프레싱 맨드릴(13) 사이 그리고 프레싱 맨드릴(12)과 프레싱 맨드릴(14) 사이의 간극공간(36)을 차폐하는 만곡된 와이어(46)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블랭크는 항상 상기 와이어의 자유 각부에 의하여 강제로 정확한 프레싱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도 17의 단면은 프레싱 과정 중의 중간위치를 보인 것이다.
또한, 제6실시형태에 따르면, 연장부재(37)는 금속시이트의 각형부재(47)의 형태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프레싱 맨드릴(12) 또는 프레싱 조오(16)의 양측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만곡된 와이어(46)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장부재(37)를 형성하기 위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각부를 가질 수 있다.
끝으로, 도 24-도 27은 제7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 있어서, 프레싱 맨드릴(15)과 그 프레싱 조오(19)가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착설된 선회브라킷트(48)에 고정되며 이에 의하여 프레싱 공간(34)에 대한 방사상 방향에서의 접근이 차단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부분(10)(11)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U자형의 윤곽을 가지며 이 U자형 윤곽의 개방부분이 프레싱 공간(34)을 형성한다. 선회브라킷트(48)는 하나의 U자형 각부 상에 착설되어 축선 y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선회브라킷트(48)의 타측 자유단부는 하우징의 대향된 U자형 각부의 영역에서 잠궈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잠금상태는 핸들(49)(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해제될 수 있다.
선회브라킷트(48)에 고정된 프레싱 맨드릴(15)에는 환봉(42)의 형태인 두개의 연장부재(37)가 끼워져 있으며, 이 연장부재는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도 25와 도 26에 따른 프레싱 공구(8)의 폐쇄상태에서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13)(14)의 안내공(44)측으로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공된 선회브라킷트(48)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인 프레싱 공간(34)은 4개의 연장부재(37)로 둘러싸여 프레싱 맨드릴들의 사이에 형성된 모든 간극공간(36)이 차폐된다.
이상으로 설명된 모든 구성은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 속한다. 첨부되는 우선권주장서류의 내용은 전체적으로는 본원 출원의 내용에 포함되고 부분적으로는 이들 서류의 특징이 본원 출원의 청구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공작물 프레싱용으로 프레싱 과정중에 서로를 향해 이동할수 있는 3개 또는 4개의 프레싱 맨드릴(12-15)을 포함하되, 각각의 프레싱 맨드릴이 지붕 정상부(20)에서 만나는 제1 지붕 등부분(38) 및 제2 지붕 등부분(roof edges)(38)을 형성하는 지붕형의 단면형태(roof-like cross-sectional profile)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프레싱 맨드릴의 제1 지붕 등부분(38)이 인접한 프레싱 맨드릴의 제2 지붕 등부분(38)과 마주보고 있어서, 상기 프레싱 맨드릴들의 사이 사이에 있는 측방향의 간극공간(36)이 프레싱 과정 중에 점차 감소하고, 하나의 프레싱 맨드릴로부터 타측 프레싱 맨드릴 측으로 연장되고 프레싱 중에 타측 프레싱 맨드릴 측으로 이동하는 공작물 구속용의 연장부재(37)가 두개의 프레싱 맨드릴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싱 공구(8)에 있어서, 간극공간(36)을 차폐하기 위하여, 연장부재(37)는, 프레싱 과정의 초기단계에서 및 프레싱 과정중에 연장부재(37)를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는 상기 두개의 프레싱 맨드릴의 서로 마주보는 제1 지붕 등부분(38) 및 제 2 지붕 등부분(38)이 연장부재(37)와 교차하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프레싱 공구.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19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프레싱 맨드릴이 각각 그에 형성된 하나의 연장부재(37)를 가지되, 이들 연장부재가 서로를 향하여 엇갈리게(alternately)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공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의 연장부재(37)들이 서로에 대하여 깊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공구.
  25. 재19항에 있어서, 연장부재(37)가 하나의 프레싱 맨드릴(12,15)에서는 고정되어 있지만 다른 프레싱 맨드릴(17,18)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는 롯드형의 요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공구.
  26. 제19항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싱 맨드릴(15)이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있고 추가의 세 프레싱 맨드릴이 프레싱 작업 중에 프레싱 공간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하지 못하게 된 프레싱 맨드릴(15)이 선회브라킷트(48) 상에 고정됨으로서 프레싱 공간(34)에 대한 방사상의 접근이 차단될 수 있는 프레싱 공구.
  27. 제26항에 있어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돌출된 두개의 연장부재(37)가 상기 선회브라킷트상에 고정된 프레싱 맨드릴(15)에 끼워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공구.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의 두 프레싱 맨드릴들 상에서, 프레싱 공간(34)으로 향하는 연장부재(37)의 변부(39)가 연장부재(37)를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는 두 프레싱 맨드릴의 서로 마주보는 제1지붕 등부분(38)과 제2지붕 등부분(38)의 바로 아래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공구.
KR1020037008689A 2001-01-05 2001-12-01 프레싱 공구 KR100845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0398A DE10100398A1 (de) 2001-01-05 2001-01-05 Verpresswerkzeug
DE10100398.6 2001-01-05
PCT/EP2001/014063 WO2002054542A1 (de) 2001-01-05 2001-12-01 Verpresswerk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622A KR20030087622A (ko) 2003-11-14
KR100845664B1 true KR100845664B1 (ko) 2008-07-10

Family

ID=766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689A KR100845664B1 (ko) 2001-01-05 2001-12-01 프레싱 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90843B2 (ko)
KR (1) KR100845664B1 (ko)
DE (1) DE10100398A1 (ko)
WO (1) WO2002054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8624B2 (en) * 2005-04-01 2007-06-12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Methods for connecting wires
DE102009001949B4 (de) * 2009-03-27 2011-02-24 Wezag Gmbh Werkzeugfabrik Gesenkhälfte und Presswerkzeug
DE102010000545A1 (de) * 2010-02-25 2011-08-25 Joiner's Bench GmbH, 42859 Hydraulische Pressvorrichtung
ES2523512T3 (es) * 2011-04-04 2014-11-26 Novopress Gmbh Pressen Und Presswerkzeuge & Co. Kg Útil de prensado así como uso de un útil de prensado semejante
SE536123C2 (sv) 2011-04-15 2013-05-14 Pressmaster Ab Handdrivet krimpverktyg
EP2574298B1 (en) * 2011-09-28 2015-07-29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Crimping tool
US9194409B2 (en) 2012-01-09 2015-11-2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Disconnect device
DE102012105383A1 (de) * 2012-06-21 2013-12-24 Gustav Klauke Gmbh Schneidgerät
US9270072B2 (en) * 2012-07-03 2016-02-23 Emerson Electric Co. Dieless crimping tool
EP3057184B1 (de) * 2015-02-11 2017-01-25 MD Elektro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Kabels sowie ein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Kabel
DE102017106148A1 (de) * 2017-03-22 2018-09-2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werkzeug, Verfahren zum Einrichten eines Isolationscrimps sowie Crimpmaschine
DE102018121971A1 (de) 2018-09-10 2020-03-12 Gustav Klauke Gmbh Presswerkzeug
US11894648B2 (en) * 2019-07-05 2024-02-06 Hubbell Incorporated Dieless crimp head with positioning devices for crimp connect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530A (en) * 1991-09-10 1994-08-09 Hewing Gmbh Pressing tool for pressing a cylindrical pressing member or a pressing member comprising a cylindrical portion onto a round profile, particularly a pipe condu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8889A (en) * 1969-07-29 1973-04-24 Itt Crimping device
US3695087A (en) * 1970-08-26 1972-10-03 Arthur H Tuberman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ing tubes
US4308744A (en) * 1980-02-08 1982-01-05 United Wire & Supply Corporation Tube pointer
DE19520928C2 (de) 1995-06-08 2003-05-15 Bernhard Schaefer Werkzeug Und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Drahtes mit einem Kontaktelement
JP3177828B2 (ja) * 1997-03-07 2001-06-18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油圧工具の圧縮ヘッド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530A (en) * 1991-09-10 1994-08-09 Hewing Gmbh Pressing tool for pressing a cylindrical pressing member or a pressing member comprising a cylindrical portion onto a round profile, particularly a pipe cond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00398A1 (de) 2002-07-11
US6990843B2 (en) 2006-01-31
WO2002054542A1 (de) 2002-07-11
KR20030087622A (ko) 2003-11-14
US20040079132A1 (en)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664B1 (ko) 프레싱 공구
CN104396099B (zh) 用于芯线端部套管的压接工具
CN107639654A (zh) 刀具
EP2092992B1 (de) Falzvorrichtung für eine Biegepresse, insbesondere Abkantpresse
CA1078587A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tool
KR102651495B1 (ko)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EP1811151A2 (de) Hubkolben-Verbrennungsmotor
EP0109423A1 (en)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OBJECTS, SUCH AS BED CHASSIS, WORK TABLES OR THE LIKE.
EP1724893A1 (de) Werkzeug zum Abmanteln eines Kabels
CN1106908C (zh) 带钉盒的安装装置
FR2832341A1 (fr) Outil pilote de centrage et de serrage
JPH01152911A (ja) 導線端の絶縁を解くためのニッパ
WO2009147197A1 (de) Spannvorrichtung und spannverfahren
US20230275382A1 (en) Pressing jaws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essed part, and method for pressing with pressing jaws
DE4128221C2 (ko)
US4488425A (en) Bending tool
US4998349A (en) Key-cutting device
EP2672045A2 (de) Führungsanordnung einer Schiebetür eines Schiebetürmöbels
CN111264008B (zh) 用于剥线钳的夹紧钳口和切刃以及剥线钳
DE19847905A1 (de) Biegeeinrichtung
JP5801739B2 (ja) 遠隔操作用カッター
US5848463A (en) Apparatus for securing connector elements to the ends of belts
KR910003529B1 (ko) 용접 건(Gun)
DE202017004268U1 (de) Gehrungssäge und beweglicher Anschlagpositioniermechanismus dafür
CA2022617C (en) Apparatus for forming metallic binding 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