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218B1 -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 Google Patents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218B1
KR100845218B1 KR1020070025778A KR20070025778A KR100845218B1 KR 100845218 B1 KR100845218 B1 KR 100845218B1 KR 1020070025778 A KR1020070025778 A KR 1020070025778A KR 20070025778 A KR20070025778 A KR 20070025778A KR 100845218 B1 KR100845218 B1 KR 100845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ceramic filter
filtration element
segmen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922A (ko
Inventor
김창선
Original Assignee
김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6002380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60030084A/ko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선 filed Critical 김창선
Priority to KR102007002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218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922A/ko
Priority to PCT/KR2008/001503 priority patent/WO200811182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07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comprising particulate additives, e.g. ad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 필터에 관한 것으로, 카트리지 내부에 세라믹 여과 소자를 실장한 세라믹 필터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여과 소자는 카트리지의 출수구에 연결된 내부 중공(中空)을 갖는 다수 개의 세그먼트 여과 소자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원수(原水)의 침투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여과 소자 및 필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세라믹 필터를 휴대용 또는 탁상용 정수기에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동안 살균, 탈취 및 미향과 미네랄 제공의 기능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라믹 필터, 세그먼트 여과 소자

Description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CERAMIC FITER OF WHICH INFILTRATION SURFACE IS MAXIMIZED}
도 1은 종래 세라믹 필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가 구비된 세라믹 필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판형 세라믹 세그먼트 여과 소자를 구성하는 상부원판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상부원판의 저면도이다.
도 2d는 도 2b에 도시된 상부원판 및 상부원판과 대칭구조인 하부원판을 조립 전 상태로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라믹 세그먼트 여과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f는 도 2e에 도시된 세라믹 세그먼트 여과 소자의 표면에 탄소층을 형성한 것을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카트리지 본체 3 : 카트리지 캡
5 : 연결나사 7 : 입수구
9 : 출수구 13 : 일체형 여과 소자
15 : 적층관 17 : 안내홈
18 : 안내공 19 : 밀폐캡
21 :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 23 : 중공(中空)
23a, 23b : 요부(凹部) 25a, 25b : 개구
25 : 투수공(透水孔) 27, 27a, 27b : 관통공
29a, 29b : 외측돌출부 31a, 31b : 내측돌출부
32 : 탄소층 33 : 기밀링
35, 37 : 조립판 39 : 중공
41 : 활성탄 43 : 미향목초
45 : 목입자 47 : 암반입자
49 : 물통 51 : 물통 캡
53, 55 : 호스 57 : 물컵
59 : 밸브 61 : 프레임
본 발명은 세라믹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세그먼트 여과 소자(segment filtering element)를 채용하여 원수(原水)의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필터는 다공질의 세라믹 분말을 고온에서 소성시켜 만든 세라믹 여과 소자에 의하여 물을 정수하는 필터이다. 통상, 세라믹 여과 소자는 다공질의 세라믹(알루미나 또는 실리카) 입자를 원통형 모양으로 성형하여 고온에서 소결하여 만든다. 이때, 세라믹 입자들간의 간격이 기공으로 형성되는데, 보통 기공의 크기가 최소 0. 1 ㎛- 0.5㎛ 정도이다. 보통, 표면 솔질에 의해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한 점과 고압의 압력에 대한 내압성을 가지는 점에서 고분자 섬유를 이용한 멤브레인 보다 활용도가 더 높다.
대표적인 종래 세라믹 필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세라믹 필터는 단일의 카트리지(1, 3) 내부에 일단이 막힌 대형 관형상의 세라믹 여과 소자(13) 1개를 장치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원수(原水) 침투 면적이 매우 좁아 충분한 양의 원수를 빠른 속도로 여과하기 위하여 여과 소자 및 카트리지의 크기를 매우 크게 성형할 수 밖에 없었다. 그렇지 않으면 정수량이 미약하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 세라믹 필터는 정수시에 완전 살균 처리가 어렵고 또한 장기사용시에는 필터 내부에 악취가 쌓일 뿐만 아니라, 정수시에 미네랄, 미향 등을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세라믹 필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원수(原水)의 침투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여과 소자 및 필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세라믹 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또는 탁상용 정수기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세라믹 여과 소자의 부피가 줄어 든 세라믹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균, 탈취 및 미향 제공의 효과를 갖는 세라믹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수기의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라믹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는 카트리지 내부에 세라믹 여과 소자를 실장한 세라믹 필터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여과 소자를 카트리지의 출수구에 연결된 내부 중공(中空)을 갖는 다수 개의 세그먼트 여과 소자(segment filtering element)로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그먼트 여과 소자 표면에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 가운데 선택된 당류를 물에 녹여서 흡착시킨 후 무산소 가열하여 탄소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가 구비된 세라믹 필터의 정단면도를,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판형 세라믹 세그먼트 여과 소자를 구성하는 상부원판 단면도를,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상부원판의 저면도를, 도 2d는 도 2b에 도시된 상부원판 및 상부원판과 대칭구조인 하부원판을 조립 전 상태로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를,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라믹 세그먼트 여과 소자의 단면도를, 도 2f는 도 2e에 도시된 세라믹 세그먼트 여과 소자의 표면에 탄소층을 형성한 것을 보여 주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 3) 내부에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21)를 다수개(예를 들어, 2개 내지 100개) 적층함으로써 카트리지(1)의 입수구(7) 측으로 투입되는 원수(原水)의 여과 소자(21) 침투 면적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21)는 중앙에 관통 공(27)이 형성된 원판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투수공(25)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27)과 연결되는 중공(中空)(23)이 도넛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b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조의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21)는 맥반석 분말 50-90중량%, 점토 분말 5-25중량%, 황토 분말 5-25중량%를 건식 볼밀에 넣고 약 12-16시간 1㎛이하로 미분쇄하고 이 미세 분말에 폴리비닐알콜(PVA) 등 바인더를 전체 미세 분말 질량에 대하여 1~3중량% 첨가하여 과립형으로 성형한 후, 고압 성형 프레스에 의하여 중간형태로 상부원판(21a) 및 하부원판(21b)을 성형하고, 이 상부원판(21a) 및 하부원판(21b)을 세라믹 접착제로 서로 접합하여 내부에 얇은 도넛츠형 중공(23)을 갖는 원판형 세라믹 여과 소자 성형체를 만든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원판(21a) 및 하부원판(21b)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구조를 갖도록 성형한다. 또한,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원판(21a)및 하부원판(21b)에는 서로 접합하는 면의 외주면에 중공(23)의 외측벽을 형성할 외측돌출부(29a, 29b)와 중공(23)의 내측벽(31)을 형성할 내측돌출부(31a, 31b)형성하고, 상기 외측돌출부(29a, 29b) 및 내측돌출부(31a, 31b) 사이에는 요부(凹部)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측돌출부(31a, 31b)의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투수공(25)을 형성할 개구(25a, 25b)를 마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하원판(21a, 21b)이 접합하여 된 원판형 세라믹 여과 소자 성형체를 건조시킨 후, 900~1200℃의 적절한 온도에서 도기 상태로 소결하면 약0.1 ~ 0.3㎛의 미립자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다공성의 조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세라믹 소재로 인체에 유익한 맥반석 및 황토를 사용함으로써, 맥반석의 게르마늄과 및 황토의 미네랄 성분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f를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의 표면에 물엿 또는 설탕, 포도당 등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에서 선택된 당류를 녹여서 흡착시키고, 이를 건조한 후 약 400℃정도의 온도로 무산소 가열하여 탄소층(32)을 형성하면, 살균과 탈취 기능 뿐만 아니라 정수된 물에 미향을 가미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 진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21)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판(35), 적층관(15), 밀폐캡(19) 및 기밀링(33)에 의하여 다층으로 적층할 경우, 카트리지의 입수구(7)를 통하여 투입된 물은 다수의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21)에서 여과된 후 여과 소자 내부 중공(23), 투수공(25), 적층관(15)의 안내홈(17) 및 적층관(15)의 안내공(18)을 순차적으로 지나 출수구(9)로 배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원판형의 세그먼트 여과 소자(21)는 적층관(15)에 기밀링(33)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고, 상기 적층관(15)에는 상기 원판형의 세그먼트 여과 소자(21)의 투수공(25)과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카트리지의 출수구까지 안내하기 위한 수로로로 안내홈(17) 및 안내공(18)이 마련된다. 상기 적층관(15)은 활성탄입자 1~99질량%, 아연 합금입자 1~99%, 알루미늄 합금입자 1~99%를 혼합하여 성형할 경 우, 적층관(15)의 안내홈(17)을 지나는 물에 살균 작용 및 미향 첨가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조립판(37)은 적층관(15) 및 세그먼트 여과 소자(21) 지지 기능 뿐만 아니라, 입수측과 출수측의 칸 막음 기능도 수행하나, 적층관(15) 하단을 출수구(9) 하단에 직접 연결할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세그먼트 여과 소자는 일단이 개방되고 일단이 폐쇄된 세관(細管)형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다수개의 세관형 세그먼트 여과소자(35)를 조립판(37)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 설치하고, 이를 카트리지(1, 3) 내부에 장치한다. 이 때도 조립판(37)은 세그먼트 여과 소자(35) 지지기능 뿐만 아니라 입수측과 출수측의 칸 막음 기능도 수행한다. 카트리지(1, 3)의 입수구(7)로 유입된 원수는 세관형 세그먼트 여과소자(35)에 침투한 후 중공(39)으로 유입되고, 중공과 연결된 출수구(9)로 배출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관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에도 원판형 세그먼트 여과 소자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탄소층(3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필터(102, 104)를 1차측 필터로 하고, 활성탄(41), 미향목초(43), 목입자(45), 미네랄보충용 암반입자(47) 등을 포함한 흡착필터(106)를 2차 필터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탁상용 혹은 휴대용 정수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흡착필터(106)는 멸균, 감미, 미네랄 등 영양소 보충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필터는 여과 소자를 다수의 적층 원판형 여과 소자 또는 다발 세관형 여과 소자로 구성되므로 종래 1 개 카트리지 1개 여과 소자 필터에 비해 침투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체적에 비해 정수 능력이 몇 배∼십수배가 증가되므로 초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특히 소자 표면 또는 소자층을 탄소층화 하여 살균, 탈취 등을 할 수 있으며, 세라믹 필터만으로 부족한 미향 및 영양소를, 2차 필터에서는 자연 목 입자, 암반입자 등에 의하여 보충하고, 활성탄에 의하여 다시 살균 및 탈취를 하며, 고성능의 정수기를 매우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원수(原水)의 침투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여과 소자 및 필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세라믹 필터를 휴대용 또는 탁상용 정수기에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동안 살균, 탈취 및 미향과 미네랄 제공의 기능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카트리지 내부에 세라믹 여과 소자를 실장한 세라믹 필터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여과 소자는 카트리지의 출수구에 연결된 내부 중공(中空)을 갖는 다수 개의 세그먼트 여과 소자로 분리되고, 상기 세그먼트 여과 소자 표면에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 가운데 선택된 당류를 물에 녹여서 흡착시킨 후 무산소 가열하여 형성한 탄소층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여과 소자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투수공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는 중공(中空)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여과 소자는 일단이 개방되고 일단이 폐쇄된 세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의 세그먼트 여과 소자는 적층관에 기밀링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고, 상기 적층관에는 상기 원판형의 세그먼트 여과 소자의 투수공과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카트리지의 출수구까지 안내하는 수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관은 활성탄입자 1~99질량%, 아연 합금입자 1~99%, 알루미늄 합금입자 1~99%를 혼합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KR1020070025778A 2006-03-15 2007-03-15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KR100845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778A KR100845218B1 (ko) 2006-03-15 2007-03-15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PCT/KR2008/001503 WO2008111825A1 (en) 2007-03-15 2008-03-17 Ceramic filter having maximized infiltration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804 2006-03-15
KR1020060023804A KR20060030084A (ko) 2006-03-15 2006-03-15 다면적 갖는 기능성 초소형 정수 소자
KR1020070025778A KR100845218B1 (ko) 2006-03-15 2007-03-15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922A KR20070093922A (ko) 2007-09-19
KR100845218B1 true KR100845218B1 (ko) 2008-07-09

Family

ID=3976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778A KR100845218B1 (ko) 2006-03-15 2007-03-15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79B1 (ko) * 2009-01-30 2009-11-17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발전 기능을 갖는 정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522A (ko) * 2001-09-05 2004-05-28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정수 카트리지, 정수기 및 정수기 세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522A (ko) * 2001-09-05 2004-05-28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정수 카트리지, 정수기 및 정수기 세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922A (ko)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1080C (en) Ceramic filter and ceramic vapor-permeable filter
US5855781A (en) Monolithic ceramic filter
CN102249458B (zh) 一种高效多功能净水过滤器
WO2006079007A3 (en) Microconcentrator/microfilter
WO2008103821A3 (en) Formed filter element
JP3253961B2 (ja) 無機ろ過ユニット
EP2730545A1 (en) Multi-stage fluid filter assembly with filtration membrane
JP2020516444A (ja) 濾過巻き要素のための段階的なスペーサ
CA2497891A1 (en) Filter plate
WO2008111825A1 (en) Ceramic filter having maximized infiltration area
KR100845218B1 (ko) 침투 면적을 극대화한 세라믹 필터
KR20090075490A (ko) 복합구조 뎁스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뎁스필터 어셈블리
ES2247576T3 (es) Procedimiento de filtrado.
WO2012168896A1 (en) Percolation filtering system
JP2000342917A (ja) 濾過フィルタおよび浄水器
US20190176060A1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unit
JPH0212130B2 (ko)
JPS6351914A (ja) セラミツクフイルタ
JP6243180B2 (ja) 活性炭成形体及び活性炭成形体の製造方法
JPH03196891A (ja) 浄水器
US8245853B2 (en) Filter module
JP4866512B2 (ja) 円柱状濾材を用いた浄水カートリッジ、浄水器および浄水シャワー
JP4519376B2 (ja) 多孔質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CN213265948U (zh) 一种微型净水器
JPS624411A (ja) 多管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