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928B1 - 아이조인트 및 이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및 그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조인트 및 이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및 그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928B1
KR100844928B1 KR1020020058474A KR20020058474A KR100844928B1 KR 100844928 B1 KR100844928 B1 KR 100844928B1 KR 1020020058474 A KR1020020058474 A KR 1020020058474A KR 20020058474 A KR20020058474 A KR 20020058474A KR 100844928 B1 KR100844928 B1 KR 10084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ye joint
resin
eye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756A (ko
Inventor
우스이마사요시
요쓰모토슈우
Original Assignee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335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68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30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00811A/ja
Application filed by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5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adjustable and comprising a hollow threaded part in an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자동차용, 그 외의 배관과 아이조인트의 접속구조를 기밀성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한다. 또, 이 접속을 용이한 접속방법으로 염가로 행하여, 생산성과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접속구조에, 신뢰성이 높은 뽑힘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내부에 마련된 환상오목홈(4)에 연결하여 축심부에 아이볼트(10)의 부착홀(7)을 관통형성하고 이 부착홀(7)에 직교하는 유통로(27)를 마련한 아이조인트본체(5)에 아이볼트(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관(6)을 일체로 마련한다. 이 지관(6)에 삽입된 배관(1)의 외주면(18)에 수지를 마련하고, 이 수지를 통해 지관(6)의 내주면(11)에 융착수단에 의해 배관(1)을 융착고정한다.
Figure R1020020058474
아이조인트, 아이볼트, 접속구조, 융착

Description

아이조인트 및 이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및 그 접속방법{Eyejoint, Structure of jointing pipe with the same and Method of jointing pipe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아이조인트와 배관과의 접속구조의 평면도이고, 배관의 외주면에 수지제 관을 장착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배관의 외주면 전체를 수지피막으로 피복한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아이조인트본체 내를 동으로 보강한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아이조인트본체의 외면에 가스켓을 배치한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아이조인트본체의 외주에 환상돌기를 돌출되게 마련한 제5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 수지제 지관을 고정한 배관을 아이조인트본체에 융착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 아이조인트본체에 지관을 융착고정하고, 서로 이 융착면 외주에 수지재를 융착밀봉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의 단면도,
도 10은 제8실시예에서 지관에의 배관의 삽입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제9실시예의 단면도로, 배관의 선단에 테이퍼관단부를 마련한 것이고,
도 12는 제9실시예에서 지관에의 배관의 삽입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제10실시예의 단면도로, 뽑힘방지부를 지관의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한 것이고,
도 14는 제11실시예의 단면도로, 뽑힘방지부의 본체와는 별개의 클립부재에 걸어맞춤발톱을 형성한 것이고,
도 15는 제12실시예의 단면도로, 몰딩성형에 의해 배관에 고정한 지관을 아이조인트본체에 융착고정한 것이고,
도 16은 제12실시예에서 배관에 고정한 지관과 아이조인트본체와의 융착전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관 4 : 환상오목홈
5 : 아이조인트본체 6 : 지관
7 : 부착홀 8 : 삽입부
10 : 아이볼트 11 : 내주면
13 : 수지관 20 : 수지피막
25 : 환상팽출부 27 : 유통로
35 : 걸어맞춤발톱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관, 각종 기계ㆍ장치용 배관, 그 외의 배관을 기체(基體)에 직교하여 부착하기 위한 아이조인트 및 이의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및 그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을 용이한 접속방법으로써 염가로 행하며,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 및 뽑힘저항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이와 같은 아이조인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배관, 각종 기계ㆍ장치용 배관, 그 외의 배관, 특히 자동차용 연료, 에어, 윤활류 등을 유통하는 배관을 바닥밑패널, 전면패널 등에 마련하는 경우에, 상기 배관을 기체에 직교하여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금속제 아이조인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아이조인트는, 예를 들면, 철재를 냉간단조하여 구형으로 형성한 아이조인트본체의 측면에, 배관삽입용 지관을 아이볼트와 직교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아이조인트본체의 내부와 지관 내부를 가공하여, 연료 그 외의 유체의 통로를, 서로 연통 가능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아이조인트의 지관 내에 배관을 삽입하고, 지관의 선단과 배관의 외주면을 납땜하여, 아이조인트와 배관을 접속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아이조인트의 가공이나 배관의 접속에서, 숙련작업에 의한 복잡한 기술과 많은 공정수가 필요하고, 제조비용이 높았다. 또, 납땜작업 시에 사용하는 플럭스 등에 의해, 작업환경이나 인체에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 납땜작업에서는, 아연도금 등의 녹방지처리가 완료된 배관을 이용하면, 납땜 시의 열로 아연도금이 벗겨지고 만다. 때문에, 녹방지처리를 하지 않은 배관을 사용하고, 납땜 종료 후에 아연도금 등의 녹방지처리를 행하여야만 하여 제조공정을 더욱 증가시켰다.
또, 일본실공소60-5190호 공보에 기재된 고안과 같이, 아이조인트를 수지로 형성하여 가공작업을 간이화한 제품이 존재한다. 이 종래기술에서는, 지관의 선단의 시트면에, 플레어가공한 배관을 접속한 후에, 금속제의 접속너트로 지관과 배관을 외주로부터 단단히 제어, 쌍방의 접속을 행하였다. 따라서,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에 납땜을 할 필요가 없고, 녹방지처리 완료된 배관을 사용할 수 있어, 작업환경이나 인체에도 안전하였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서는, 지관의 외주에 금속나사고리를 융착고정하기 때문에, 지관 선단의 시트면에 배관을 접속하는 것에는, 배관에 플레어가공을 실시하여 소성변형시킬 필요가 있고, 배관의 제조에 시간이나 많은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 금속제의 접속너트를 이용하는 등, 부품점수가 많고, 조립에 많은 손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지로 아이조인트를 형성하고, 염가이며 가공성이 우수한 제품을 얻는 것과 함께, 녹방지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시행한 금속제의 배관이나 수지제의 배관과 아이조인트를 수지융착에 의해 접합가능하고,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접합구조에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과 높은 뽑힘저항력을 얻도록 하는 것 이다. 또,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을 용이하고 안전한 방법에 의해 행하여, 작업현장에서의 악영향을 방지하고, 인체의 안전성도 확보된다. 또, 이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과 뽑힘저항력을 갖는 아이조인트를 간이한 구조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발명은, 내부에 마련된 환상오목홈에 연결되게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와,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환상오목홈에 삽입되는 아이볼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관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상기 지관부분은 수지제이고,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에 삽입되고 적어도 지관과의 접촉부분의 외주면에 수지가 마련된 배관이 삽입접속될 수 있고, 상기 배관의 외주의 수지를 통해 지관의 내주면에 배관이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되는 아이조인트이다.
또, 제2발명은 내부에 마련된 환상오목홈에 연결되게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에, 환상오목홈에 삽입되는 아이볼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지관이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적어도 상기 지관부분은 수지제이고,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에 삽입되고 적어도 지관과의 접촉부분의 외주면에 수지가 마련되고 상기 수지를 통해 지관의 내주면에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되는 배관으로 이루어진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이다.
또, 제3발명은,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 내에, 외주에 수지가 마련된 배관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지관의 외표면으로부터 융착수단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배관의 외주에 배치된 수지와 수지제 지관을 융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을 접속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방법이다.
또, 제4발명은, 내부에 마련된 환상오목홈에 연결되게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와, 수지제 지관이 몰딩성형에 의해 일단부에 고정된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에 고정된 지관은, 아이조인트본체의 환상오목홈에 접속되는 아이볼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아이조인트본체에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이다.
또, 제5발명은, 수지제 지관을, 배관의 일단부에 몰딩성형에 의해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배관에 고정된 지관의 융착면을 아이조인트본체의 측면의 융착면에 환상오목홈에 삽입접속되는 아이볼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촉배치하고, 융착수단을 가하여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을 융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을 접속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방법이다.
또, 제6발명은,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와,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외표면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유통로와 연통하는 지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에 배관이 삽입접속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배관의 삽입부의 외주면 및 상기 외 주면과 접촉하는 지관의 내주면은 수지제이고, 상기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소망의 간격을 개재하여 배관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팽출부(環狀膨出部)에 걸어맞춰지며 배관의 뽑힘방지수단이 되는 걸어맞춤발톱이 지관의 내면에 지관과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되며, 상기 지관의 내주면의 수지와 배관의 외주면의 수지가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될 수 있는 아이조인트이다.
또, 제7발명은,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에, 상기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며 유통로와 연통하는 지관이 아이조인트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에 배관이 삽입접속될 수 있고, 상기 배관은, 지관에의 삽입부의 외주면이 수지제이고, 동시에 상기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소망의 간격을 둔 외주에 환상팽출부를 마련하여 형성되고, 상기 환상팽출부에 걸어맞추며 배관의 뽑힘방지수단이 되는 걸어맞춤발톱은 지관의 내면에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됨과 동시에, 배관의 삽입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지관의 내주면은 수지제이고, 상기 지관의 내주면의 수지와 배관의 외주면의 수지가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이다.
또, 제8발명은,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 내에, 상기 지관내의 삽입부의 외주면이 수지제이고, 상기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소망의 간격을 둔 외주에 환상팽출부가 마련된 배관을 삽입하고, 동시에 상기 배관의 환상팽출부에 지관의 내면과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된 걸어맞춤발톱을 걸어맞춰 배관의 뽑힘방지수단이 되게 하는 공정과, 배관의 삽입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지관의 내주면이 수지제된 지관의 상기 수지와 배관의 외주면의 수지를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을 접속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방법이다.
또, 제9발명은,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와,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에의 접속측의 외주면에 환상팽출부가 마련되고, 동시에 상기 환상팽출부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몰딩성형에 의해 수지제 지관이 고정되는 것을 뽑힘방지수단으로 하는 배관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에 고정된 지관은, 아이조인트본체의 수지제로 만든 융착면에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이다.
또, 제10발명은, 아이조인트본체와의 접속측의 외주면에 환상팽출부가 마련된 배관의, 환상팽출부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몰딩성형에 의해 수지제의 지관을 고정하는 것으로 배관의 뽑힘방지수단이 되는 공정과, 상기 배관에 고정된 지관을, 아이조인트본체의 수지제로 만든 융착면에, 아이볼트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접촉배치하고, 융착수단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에 지관을 융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을 접속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방법이다.
또, 융착수단은, 초음파진동가열융착 또는 고주파유도가열융착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구성한 것이고, 제1, 제2, 제3발명에서는, 아이조인트본체의 성형 시에, 미리 아이조인트본체에 지관을 일체로 마련한다. 이와 같은 아이조인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배관, 각종기계ㆍ장치용 배관, 그 외의 금속제 또 는 수지제 배관을, 기체에 직교하여 접속하는 방법은, 우선, 아이조인트의 지관 내에 배관을 삽입한다. 이 배관은, 외주의 적어도 지관과의 접촉부분에 수지를 배치하기 때문에, 상기 삽입에 의해 지관과 배관은 서로 수지부분에서 접촉한다.
다음으로, 지관의 외면으로부터 적당한 융착수단을 가하여 지관과 배관외주의 수지를 융착고정한다. 이 수지 등의 융착고정에 의해, 아이조인트와 배관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접촉할 수 있고, 기밀성에도 우수한 것이 된다. 또, 상기 수지의 융착수단은, 초음파진동가열융착, 고주파유도가열융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면, 지관과 배관의 접속부분에만 초음파나 고주파의 에너지를 부여하여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과도한 고온화 등을 방지하고, 접속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나 고주파에 의해 수지가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된 경우에, 지관의 외부로부터 접속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지관의 수지와 배관외주의 수지관 또는 수지피막이 서로 융착되고, 지관과 금속제 배관이 강하게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지의 융착에 의해 아이조인트와 배관을 접속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숙련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제조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도 강하고 기밀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 납땜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아연도금이나 수지피막 등의 녹방지처리 완료된 배관을 사용할 수 있고, 접속 후의 녹방지처리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환경이나 인체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사용한다든지,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는 것도 없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배관을 접속한 아이조인트를, 기체에 배치하고, 부착홀로부터 아이볼트를 삽입하여 기체에 접속하고, 아이조인트를 통해 배관과 기체를 접속한다. 그리고,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이 강하고, 내구성이나 기밀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액체누설이나 에어누설 등을 방지하고, 아이조인트를 통해 유체의 흐름방향을 직교방향으로 변경하여, 기체와 배관 사이에 유체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다.
또, 지관과의 융착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은 금속으로 하고, 이 금속제 배관의 외주에 수지를 마련하기 위하여 배관 외주면에 수지관 또는 수지피막을 밀착 배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배관에 수지관을 장착하거나, 배관을 수지피막으로 피복하는 경우는, 열융착 등으로 배관과 수지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된 것을 사용한다. 또, 수지관이나 수지피막이, 배관의 외주면의 지관과의 접촉부분에만 마련되면, 낮은 비용의 제품이 된다. 한편, 배관 전체를 수지관 또는 수지피막으로 피복한 제품이, 낮은 비용으로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 배관의 수지피막을, 지관과의 융착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지배치의 공정을 생략하여 작업을 간략화하고, 금속제 배관의 우수한 녹방지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 배관은 지관에의 삽입부의 내주면에 금속관을 배치한 수지제 배관으로 하여도 되므로, 수지제 배관과 지관에서는 융착이 용이하며, 금속관에 의해 삽입부의 강도가 증가하고, 접속구조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제4, 제5발명의 아이조인트는,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을 별개로 형성한다. 그리고, 아이조인트와 배관을 접속하는 제1공정에서는, 우선, 예를 들면 녹방 지처리 완료된 금속제 배관을 사용하고, 이 배관의 일단부에 몰딩성형에 의해 수지제의 지관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성형방법에 의해, 지관과 배관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접속가능하고,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다음 공정에서는, 아이조인트본체에, 아이볼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관을 접촉배치한다. 다음으로, 이 접촉부에 초음파진동가열융착, 고주파유도가열융착 등의 융착수단을 가하여, 아이조인트본체의 측면에 지관을 융착고정한다. 이 지관의 융착고정에 의해 지관을 통해 아이조인트와 배관이 강하게 접속되고, 우수한 기밀성을 얻음과 동시에 접속작업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녹방지처리 완료된 금속제 배관으로 하였지만, 지관에의 삽입부의 내주면에 금속관을 배치한 수지제 배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4, 제5발명에서는,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의 융착고정 후, 서로의 융착면의 외주에, 수지재를 융착봉지하면,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의 접속강도가 높아지고,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뽑힘저항력뿐만 아니라, 기밀성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된다.
다음으로, 제6, 제7, 제8발명의 아이조인트는,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을 일체로 성형한다. 이와 같은 아이조인트와 배관을 접속하는 방법은, 우선, 아이조인트본체와 일체로 마련한 지관 내에, 배관을 삽입한다. 이 삽입에 의해, 배관의 삽입부의 외주면에 배치한 수지와 지관의 내주면에 배치한 수지가 서로 접촉함과 동시에, 선단으로부터 소망의 간격을 개재하여 마련된 배관의 환상팽출부에, 지관의 걸어맞춤발톱이 걸어맞춰져, 지관으로부터의 배관의 뽑힘을 방지할 수 있는 뽑힘방 지수단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관의 삽입부와 지관의 접촉부에, 지관의 외면으로부터 적절한 융착수단을 가하면, 해당 삽입부의 외주면의 수지와 지관의 내주면의 수지가 융착고정되고,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의 접속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아이조인트와 배관을 수지의 융착에 의해 접속하기 때문에,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의 접속구조에,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수지에 의한 융착만으로도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상호 이탈을 방지할 수 있지만, 상기 걸어맞춤발톱와 환상팽출부의 걸어맞춤에 의한 뽑힘방지수단에 의해, 뽑힘저항력이 향상되고,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걸어맞춤발톱에 의한 우수한 뽑힘저항력에 의해, 배관의 축방향으로의 이동도 방지되고, 또 아이조인트의 지관과 배관의 융착부의 박리도 방지되어,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아이조인트를 통해 직교방향으로 연결된 배관과 기체는, 누설 등이 없이 원활한 유체의 흐름이 가능하다.
또, 이 제6, 제7, 제8발명에서도, 상기 지관의 수지와 배관의 수지의 융착수단으로서, 초음파진동가열융착, 고주파유도가열융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면, 지관과 배관의 접속부분에만 초음파나 고주파의 에너지를 부여하여 가공할 수 있어서, 과도한 고온화 등을 방지하고, 접속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나 고주파에 의해 수지가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된 경우에, 지관의 외부로부터 접속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지관의 내주면의 수지와 배관의 외주면의 수지의 융착을 강고히 하고, 더욱 높은 내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지관의 내주면과 배관의 외주면은, 서로의 접촉부 전체를 수지제로 하여도 좋고, 접촉부의 일부만을 수지제로 하여도 좋다. 또, 지관의 내주면의 수지와 배관의 외주면의 수지의 융착의 경우에도, 서로의 접촉부의 수지 전체를 융착하여도 좋고, 접촉부의 수지의 일부만을 융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아이조인트의 지관에 배관을 삽입하고 융착수단을 가하는 것만으로,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과 뽑힙저항력을 갖는 접속이 가능하고, 숙련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접속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납땜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아연도금이나 수지피막 등의 녹방지처리 완료된 배관을 사용할 수 있고, 접속 후의 녹방지처리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환경이나 인체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사용한다든지,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는 것도 없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 배관의 기밀성과 뽑힘저항력에 우수한 접속이 가능한 아이조인트를, 지관의 내주면을 수지제로 하고 걸어맞춤발톱을 마련한 것만의 간단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어, 아이조인트의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걸어맞춤발톱을 마련한 뽑힘방지수단은, 성형 시에 지관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지만, 뽑힘방지수단을 지관의 본체와 별개로 형성하면, 지관을 마련한 아이조인트본체의 금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뽑힘방지수단의 금형을 개별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걸어맞춤발톱의 성형 후 금형으로부터 빼냄이 용이하게 되고, 걸어맞춤발톱을 마련한 뽑힘방지수단의 용이한 형성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작정밀도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별개로 형성된 뽑힘방지수단을, 지관의 일 측에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하던가 또는 부품의 걸어맞춤에 의해 접속고정하면 되므로, 지관과 뽑힘방지수단의 접속작업도 용이하다.
또, 개별적으로 형성된 지관과 뽑힘방지수단을, 수지의 융착고정으로 접속하는 경우는, 서로의 융착부의 외주에 수지재를 융착봉지하면, 지관과 뽑힘방지수단의 접속강도나 기밀성이 향상되고, 뽑힘방지수단의 뽑힘저항력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또, 상기 제6, 제7, 제8발명의 배관은, 환상팽출부를 마련한 금속제 배관으로 하고, 이 금속제 배관의 외주면에, 지관과의 융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수지관 또는 수지피막을 밀착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금속제 배관 전체를 수지피막 또는 수지관으로 피복한 제품을 이용하면, 경제성이나 접속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수지에 의해 금속제 배관의 우수한 녹방지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6, 제7, 제8발명 및 제1, 제2, 제3발명에서는, 반드시 금속제 배관의 외주면 전체에 수지관 또는 수지피막을 밀착배치할 필요는 없고, 지관의 내주면의 수지와 접촉하고 서로 융착 가능하다면, 배관의 삽입부의 외주면에만 수지관 또는 수지피막을 배치하여도 좋고, 배관의 선단 부근에만 배치하는 등, 삽입부의 외주면의 일부에만 배치하는 것도 좋다. 또, 지관에서도, 배관의 삽입부의 외주면에 배치된 수지와 접촉하고 서로 융착 가능하다면, 지관의 내주면 전체를 수지제로 하여도 좋고, 내주면의 일부만을 수지제로 하여도 좋다. 또 금속제 배관에 수지관 또는 수지피막을 밀착배치하는 경우는, 융착이나 접착제의 사용 등으로, 배관과 수지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된 것을 사용한다.
또, 제6, 제7, 제8발명에서도 수지제 배관을 이용하면, 아이조인트의 지관과 의 융착을 용이하고 강한 접착력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수지제 배관의 삽입부의 내주면에, 금속관을 배치하고, 이 금속관을 포함하는 수지제 배관의 외주면에 환상팽출부를 마련하면, 걸어맞춤발톱을 걸어맞추는 환상팽출부의 강도가 증가되고, 신뢰성이 높은 뽑힘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제9, 제10발명에서, 아이조인트는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을 별개로 형성하고, 접속공정에 의해 쌍방을 융착고정하는 것이고, 아이조인트본체는 지관을 융착하는 융착면을 적어도 수지제로 한다. 이와 같은 아이조인트와 배관을 접속하는 제1공정에서는, 우선, 배관의 아이조인트본체와의 접속 측의 외주면에, 환상팽출부를 돌출되게 마련하고, 이 환상팽출부를 포함하는 배관의 외주면에 몰딩성형에 의해 수지제 지관을 고정형성한다.
이 배관에의 지관의 고정형성에 의해, 배관과 지관을 강하게 접속할 수 있고, 배관과 지관의 접속부에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지관의 수지에 배관의 환상팽출부를 매설하는 것으로, 지관과 배관의 서로의 이탈을 방지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뽑힘저항력을 갖는 뽑힘방지수단이 얻어진다.
그리고, 다음 공정에서는, 아이조인트본체의 수지제로 한 융착면에, 아이볼트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지관을 접촉배치한다. 이 접촉부에 융착수단을 가함으로써, 아이조인트본체의 측면에 지관이 융착고정되고, 상기 지관을 통해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이 완료된다. 따라서, 제9, 제10발명에서도,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안전하고 용이한 접속작업이 가능하고, 이 접속구조로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과 뽑힘저항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9, 제10발명에서도,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의 융착고정 후, 서로의 융착면의 외주에, 수지재를 융착봉지하여, 접속강도를 높이고,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의 분리를 방지하고,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뽑힘저항력뿐만 아니라 기밀성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9, 제10발명에서도, 외주면에 수지피막 또는 수지관을 밀착배치한 금속제 배관을 이용하여도 좋고, 지관에의 삽입부의 내주면에 금속관을 배치한 수지제 배관을 사용하여도 좋고, 이 수지가 지관의 수지와 융착되어, 지관과 배관의 더욱 강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 제9, 제10발명은, 배관의 외주에 지관을 몰딩가공에 의해 고정형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외주면 어디에도 수지를 배치하지 않은 금속제 배관을 이용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이나 뽑힘저항력을 가진 접속구조를 낮은 비용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이 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모든 종류의 배관에 실시할 수 있는 범용성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자동차의 유체공급기구에 실시한 실시예를 도면에서 설명하면, 도 1, 도 2는 제1실시예이고, 도 1은 외주면에 수지관을 마련한 배관과 아이조인트의 접속구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배관의 외주면 전체를 수지피막으로 피복한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아이조인트본체 내를 동으로 보강한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아이조인트본체의 외주면에 가스켓을 마련한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아이조인트본체의 외주면에 환상의 돌기를 마련한 제5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수지제의 지관을 고정한 배관을, 아이조인트본체에 융착고정한 제6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아이조인트본체에 지관을 융착고정하고, 서로의 융착면 외주에 수지재를 융착밀봉한 제7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 도 9∼도 16에 도시된 제8∼제12실시예는, 아이조인트본체에 뽑힘방지수단을 마련한 단면도이고, 도 9, 도 10에 도시한 제8실시예는, 아이조인트와 일체로 형성된 지관과 배관을 융착한 것이고, 도 11, 도 12에 도시한 제9실시예는 배관의 선단을 테이퍼형으로 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한 제10실시예는, 걸어맞춤발톱이 마련된 뽑힘방지수단을 지관과 별개로 형성하고 뽑힘방지수단을 지관에 융착고정하는 것이고, 도 14에 도시한 제11실시예는, 지관과는 별개로 걸어맞춤발톱을 마련한 클립부재를 형성하고, 이 클립부재를 걸어맞춤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다. 또, 도 15, 도 16에 도시한 제12실시예는, 지관과 배관을 몰딩성형하여 고정하고, 지관과 아이조인트본체를 융착고정하는 것이다.
우선, 도 1, 도 2에 도시한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1)은 금속제 배관이고, 바닥밑패널, 전면패널 등에 마련되고, 연료탱크로부터 엔진실에 연료를 공급하는 주연료관, 엔진으로부터의 여분의 연료를 연료탱크로 되돌려보내는 연료귀환관, 연료탱크내의 연료증기를 엔진룸내의 흡수통(canister)에 흡착시키기 위한 증발관, 흡기의 부압(負壓)을 이용하는 진공배관, 오일관 등이다. 이 배관(1)들은, 자동차용 연료, 에어, 윤활유 등을 유통시키기 위하여 기체(基體, 2)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기하여 상기 패널 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기체(2)에, 직교방향으로 분기접속한 배관(1)을 아이조인트(3)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의, 접속구조와 접속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아이조인트(3)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의 아이조인트본체(5)의 내부에, 환상오목홈(4)을 마련하고, 이 오목홈(4)에 연결되게 축심부에 아이볼트(10)의 부착홀(7)을 마련하고 이 부착홀(7)에 연결되어 상기 부착홀(7)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통로(27)를 마련한다.
또, 아이조인트본체(5)의 측면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홀(7)의 축심과 직교방향으로 유통로(27)와 연통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지관(6)을 일체로 돌출형성한다. 그리고,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을 수지로 일체성형함으로써, 아이조인트(3)의 가공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비용도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조인트(3)를 사용하여, 기체(2)에 배관(1)을 접속한 때는, 제1공정으로서, 지관(6) 내에 금속관인 배관(1)을 삽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배관(1)과 아이조인트(3)의 접속에, 납땜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아연도금 등의 녹방지처리 완료된 배관(1)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배관(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관(6)으로의 삽입측의 선단보다 약간 후방 외주에 지관(6)의 선단을 부딪힐 수 있게 한 충돌스풀(12)이 환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배관(1)은, 이 충돌스풀(12)을 포함하는 일단부의 외주면(18)에, 수지관(13)을 장착한다. 이 수지관(13)은 열수축성을 갖는 수지제이고, 배관(1)에 장착 후에 가열함으로써 수축하고, 배관(1)의 외주면(18)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밀착고정된다. 이 수지관(13)을 배관(1)에 고정하는 수단은, 다른 적절한 융착수단을 이용하여도 좋고, 접착제를 도포하는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도 좋 다.
상기와 같은 배관(1)의 삽입부(8)를, 지관(6) 내에 삽입하면, 지관(6)의 선단이 배관(1)의 돌출스풀(12)에 부딪혀, 배관(1)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삽입에 의해, 수지제 지관(6)의 내주면(11)과, 삽입부(8)의 외주면(18)의 수지관(13)이 서로 접촉함과 동시에, 아이조인트본체(5)의 환상오목홈(4)과 배관(1) 내부의 유체 유통로(14)가 연통된다.
다음에 제2공정에서는, 상기 지관(6)의 내주면(11)과 수지관(13)의 접촉부분에 지관(6)의 외표면으로부터 초음파진동가열융착, 고주파유도가열융착 등의 융착수단을 부가한다. 예를 들면 고주파유도 가열융착의 경우는, 고주파에너지에 의해, 금속제 배관(1)을 가열하고, 이 열에 의해 배관(1) 외주의 수지관(13)을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지관(6)의 외표면으로부터 접속부분을 가압하고, 지관(6)과 수지관(13)을 융착고정한다. 이 융착고정에 의해, 배관(1)과 아이조인트(3)는 강하게 접속되고, 기밀성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배관(1)을 접속한 아이조인트(3)의 하면(下面)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의 상면에 접속배치한다. 다음으로, 부착홀(7) 내에 아이볼트(10)를 삽입하여 환상오목홈(4) 내에 아이볼트(10)를 배치하고, 상기 아이볼트(10)의 선단을 기체(2)의 유체유통로(15) 내주에 나사고정하여, 아이조인트(3)와 기체(2)를 접속한다. 또, 아이조인트(3)는 수지제이고 적절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기체(2)와의 기밀성이 우수한 접속이 가능하다.
또, 아이볼트(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의 유체유통로(15)와 연통되는 볼트내연통로(16)를 내부에 마련하고, 이 볼트내연통로(16)와 환상오목홈(4)을 연통하는 볼트내연통홀(17)을 외주에 여러 개 개구한다. 따라서, 이 아이볼트(10)의 볼트내연통로(16)와 볼트내연통홀(17), 및 아이조인트(3)의 환상오목홈(4)과 유통로(27)를 통해, 배관(1)의 유체유통로(14)와 기체(2)의 유체유통로(15)가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의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의 접속구조는,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액체누설이나 에어누설 등을 양호하게 방지하고, 도 2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아이조인트(3)를 통해, 유체의 흐름이 서로 직교하는 배관(1)과 기체(2) 사이의 연료, 에어, 윤활유 등의 원활한 유통이 가능하게 된다. 염가의 수지를 이용하여 용이한 가공방법으로 제조한 아이조인트(3)를 사용하여, 기체(2)와 배관(1)을 간이한 기술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납땜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환경이나 인체의 안전성에도 우수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1실시예의 배관(1)은, 융착고정용의 수지관(13)을 배관(1)의 외주면(18)의 일단부에만 접속하지만, 다른 제2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1)의 외주면(18) 전체를 수지피막(20)으로 덮는다. 이 수지피막(20)은, 본 실시예의 접속공정에서 배관(1)에 실시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피막(20)으로 피복 완료된 기성배관(1)을 사용한다. 이 기성배관(1)의 수지피막(20)을 융착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코팅을 생략할 수 있고, 배관(1)의 녹방지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가 있다. 또, 배관(1)을, 제1실시예에서는 돌출스풀(12)을 마련하였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마련하지 않고 형성한다. 물론, 돌출스풀(12)을 마련하여 배관(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수지피막(20)은, 지관(6)과 접촉부만을 피복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 제1, 제2실시예의 아이조인트(3)는, 수지만으로 전체를 형성하지만, 제3실시예의 아이조인트(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조이트본체(5)의 내표면 전체에, 강판을 접착배치하여 보강부(21)를 마련하여, 아이조인트(3)의 강도를 높인다. 따라서, 제1, 제2실시예에 비하여 비용이나 제조의 시간은 걸리지만, 기체(2)에의 접속시의 아이조인트(3)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기밀성도 높아진다.
또, 수지제의 아이조인트(3)에서는, 아이볼트(10)나 기체(2)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기밀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제3실시예와 같이, 아이볼트(10)의 체결에 반드시 가스켓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단, 도 5에 도시한 것 이외의 다른 제4실시예와 같이, 부착홀(7)의 양측 외면에, 각각 고무제의 가스켓(22) 또는 O링을 배치하여도 좋고, 아이조인트(10) 및 기체(2)의 신뢰성을 더욱 높인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아이볼트(10)의 강한 체결이나 장기사용으로 아이조인트(3)가 다소 변형한 경우에도, 고무제의 가스켓(22) 또는 O링의 탄성력에 의해, 기밀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 금속제배관(1)과 지관(6)의 접속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1)의 선단을 끝이 가는 형태의 테이퍼관단부(30)로서 성형하고, 지관(6)의 내주면(11)을 테이퍼관단부(30)와 거의 동일 경사의 테이퍼내주면(28)으로 하고, 이것을 조합시켜 배관(1)에 축력을 부여하면서 융착시키는 것도 좋다.
또, 기밀성의 향상을 위해, 다른 제5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조인트(3)는, 아이볼트(10) 및 기체(2)의 접촉측에, 환상돌기(23)를 돌출성형한다. 또, 이 환상돌기(23)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아이조인트(10) 체결시의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을 얻을 수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돌기(23)의 표면에 가스켓(22)을 마련하여, 환상돌기(23)의 기밀성을 더욱 신뢰성이 높게 한다.
또, 상기 제1∼제5실시예에서는, 아이조인트(3)의 성형 시에,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을 일체로 성형하지만, 다른 제6, 제7실시예에서는,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을 별개로 형성하고, 나중 공정에서 쌍방을 융착고정한다. 이와 같은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을 접속하는 때는, 제6실시예에서는, 제1공정에서, 외주면(18)에 아연도금, 수지코팅 등에 의해 미리 녹방지처리를 완료한 금속제의 배관(1)의 일단부에, 수지제의 지관(6)을 몰딩성형에 의해 고정한다. 또, 아이조인트본체(5)를, 지관(6)과는 별개로 성형한다.
다음공정에서, 아이조인트본체(5)의 측면에 마련된 유통로(27)의 외주면에, 지관(6)을 접촉배치한다. 그리고, 서로 접촉한 이 융착면(24)에 초음파진동가열융착, 고주파유도가열융착 등의 융착수단을 가하여,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을 융착고정함으로써,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의 접속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을 별개로 성형하여, 나중에 융착고정하는 방법에서도,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의 접속구조에,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과 강도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체(2)와 배관(1)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직 교방향으로 원활하게 변화할 수 있다. 또, 각 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하고, 생산성도 향상된다.
또, 제7실시예에서는, 제6실시예와 같은 순서로,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을 서로 융착고정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의 융착면(24)의 외주에, 수지재를 융착봉지하여 봉지부(26)를 마련한다. 이 봉지부(26)의 융착도, 초음파진동 가열융착이나 고주파유도가열융착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봉지부(26)를 마련함으로써, 제6실시예보다도 제조시간이나 재료비용은 증가하지만, 지관(6)과 아이조인트본체(5)의 접촉강도가 더욱 높아지고, 기밀성에 대한 신뢰성과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기재한 제8∼제12실시예에서는, 아이조인트(3)에서 배관(1)의 뽑힘방지수단을 마련하여, 배관(1)에 큰 뽑힘력이 작용하여도, 아이조인트(3)로부터의 배관(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우선, 도 9, 도 10에 도시된 제8실시예에서는, 배관(1)은, 금속제 소관(素管)의 외주면(18) 전체를, 바람직하게는 하부의 도금피막 위를 수지피막(20)으로 피복하고, 아이조인트(3)에 삽입접속 가능한 삽입부(8)에는, 선단으로부터 소망의 간격을 둔 외주에, 환상팽출부(25)를 돌출되게 마련함과 동시에, 선단으로부터 환상팽출부(25) 부근까지의 외경을 거의 동일한 평탄한 것으로 한다. 또, 배관(1)의 수지피복(20)은,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의 접속공정에서 배관(1)에 실시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길이에 따라 수지피복(20)에서 피복 완료된 기성배관(1)을 사용한다. 이 기성배관(1)의 수지피복(20)을, 후술의 아이조인트(3)와의 융착용 수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 명의 접속공정에서의 배관(1)에의 수지의 배치의 수고를 생략함과 동시에, 배관(1)의 녹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1)을 접속하는 아이조인트(3)는, 전체를 수지로 일체성형하고,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아이조인트본체(5)의 축심부에, 도 9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한 아이볼트(10)를 접속 가능한 부착홀(7)을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이 부착홀(7)과 연통하는 유통로(27)를, 부착홀(7)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한다. 또, 아이조인트본체(5)의 내부에는, 부착홀(7)과 동축으로 유통로(27)와 연통하는 환상오목홈(4)을 마련하고, 이 환상오목홈(4)을 통해 유통로(27)와 아이볼트(10)에 마련된 볼트내연통홀(17) 및 볼트내연통로(16)와 연통 가능하게 하여, 상기 유통로(27)와 볼트내연통로(16) 사이의 유체의 유통을 가능하게 한다.
또, 아이조인트본체(5)의 측면에는, 부착홀(7)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통로(27)와 연통 가능하게, 원형형의 지관(6)을 일체로 돌출성형하고, 이 지관(6)의 단부에 마련된 삽입구(31)를 통해 지관(6) 내에 상기 배관(1)의 삽입부(8)을 삽입접속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지관(6)은,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조인트본체(5) 측에, 삽입부(8)의 평탄한 선단측을 밀착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내주면(11)의 내경을 배관(1)의 외경과 대략 일치하는 밀착부(32)를 배치하고, 이 밀착부(32)에 연결되어, 배관(1)의 환상팽출부(25)를 배치할 수 있도록 내주면(11)을 큰 지름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배관(1)의 뽑힘방지수단이 마련된 뽑힘방지부(33)를 배치한다.
상기 뽑힘방지부(33)는, 외주에 한 쌍의 결절부(34)를 마련하고, 이 결절부(34)의 삽입구(31) 측의 기부로부터 뽑힘방지부(33)의 내부 방향으로, 역테이퍼 모양으로 걸어맞춤발톱(35)을 배치하고, 이 걸어맞춤발톱(35)을 배관(1)의 환상팽출부(25)의 배면에 걸어맞출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32)와 뽑힘방지부(33)로 이루어진 지관(6)을, 수지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5)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 아이조인트(3)의 가공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비용도 억제하며, 생산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하의 제2공정에 보여준 배관(1)과의 융착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8실시예의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을 접속하는 제1공정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31)를 통해 지관(6) 내에 배관(1)의 삽입부(8)를 삽입하면, 환상팽출부(25)가 걸어맞춤발톱(35)에 들어맞는다. 그리고, 환상팽출부(25)에 의해 걸어맞춤발톱(35)을 바깥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삽입부(8)를 다시 삽입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팽출부(25)가 걸어맞춤발톱(35)을 넘어 걸어맞춤발톱(35)이 복원되고 선단면을 환상팽출부(25)의 배면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삽입부(8)의 선단 측이 지관(6)의 밀착부(32) 내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걸어맞춤발톱(35)과 환상팽출부(25)의 걸어맞춤에 의해, 지관(6)과 배관(1)이 서로 이탈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뽑힘저항력을 갖는 뽑힘방지수단이 얻어지게 된다.
또, 배관(1)의 환상팽출부(25)가 걸어맞춤발톱(35)을 타고 넘을 때의 반동, 또는 환상팽출부(25)나 걸어맞춤발톱(35)의 성형할 때의 약간의 제작오차로 인하 여, 환상팽출부(25)의 배면과 걸어맞춤발톱(35)의 선단면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음 공정의 수지융착을 행하면, 과도하게 강한 뽑힘력이 작용한 경우에 배관(1)이 뽑힘방향으로 이동하고, 지관(6)의 융착부를 따라 배관(1)의 금속으로부터 수지가 박리되고, 기밀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틈이 발생한 경우에는, 배관(1)을 뽑힘 방향으로 후퇴시켜, 환상팽출부(25)를 걸어맞춤발톱(35)에 확실하게 들어맞게 하든가 또는 배관(1)을 후퇴시키지 않고, 환상팽출부(25)와 걸어맞춤발톱(35)의 틈에, 이 틈을 폐색(閉塞)할 수 있는 적당한 스페이서를 개재시키는 것도 좋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발톱(35)이나 환상팽출부(25)의 성형위치 등에 약간의 제조오차가 발생하여도, 기밀성이나 뽑힘방지효과의 손상이 없어, 아이조인트(3)나 배관(1)의 성형 및 접속작업에 고도의 작업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용이한 실시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공정에서는, 지관(6)의 내주면(11)과 배관(1)의 외주면(18)과의 접촉부의 수지를 서로 융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부의 수지전체를 융착하지 않고, 배관(1)의 선단 부근에만 수지를 융착한다. 이 융착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8)의 삽입 후, 밀착부(32)의 외주에 고주파유도코일(36)을 배치하고, 고주파자기유도에 의해 배관(1)의 금속을 발열시키고, 이 열로 배관(1)의 선단부근의 외주면(18)의 수지피막(20)을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한다.
이 용융상태에서 밀착부(32)의 외표면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밀착부(32)의 수지와 삽입부(8)의 선단측의 수지피막(20)이 융착고정되고,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의 접속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수지의 융착에 의한 접속이기 때문에, 이 접속구조에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을 얻을 수 있으며, 뽑힘저항력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융착수단으로서, 고주파유도가열융착을 행하지만, 초음파진동가열융착 등으로 행하여도 좋다. 또, 지관(6)과 배관(1)의 융착도, 밀착부(32)의 내주면(11)과 삽입부(8)의 외주면(18)의 접촉부의 수지전체를 융착하여도 좋고, 밀착부(32)에서의 융착뿐만 아니라, 또 걸어맞춤발톱(35)의 선단면과 환상팽출부(25)의 접촉부의 수지를 융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의 접속구조는,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과 뽑힘저항력이 얻어지기 때문에, 액체누설이나 에어누설 등을 양호하게 방지하고, 아이조인트(3)를 통해 배관(1)과 이 배관(1)이 부착되는 기체(2) 사이에서의 연료, 에어, 윤활유 등의 원활한 유통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염가의 수지를 이용하여 용이한 가공방법으로 아이조인트(3)를 제조할 수 있고,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의 접속도 수지의 융착에 의한 간이한 기술로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납땜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환경이나 인체에의 안전성에도 우수한 작업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1, 도 12에서 보여준 제9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제8실시예에서는, 배관(1)의 선단으로부터 환상팽출부(25)까지의 외경이 동일하지만, 본 제9실시예에서는, 배관(1)의 선단측의 지름을 축소하여, 선단을 최소 지름으로 한 테이퍼관단부(30)를 마련한다. 또, 이 테이퍼관단부(30)에 대응하고, 지관(6)의 밀착부(32)의 내주면(11)에도 테이퍼내주면(28)을 형성한다. 이 테이퍼 내주면(28)에 배관(1)의 테이퍼관단부(30)를 삽입하기 때문에, 삽입부(8)의 선단측과 밀착부(32)의 위치맞춤과 환상팽출부(25)와 걸어맞춤발톱(35)의 위치맞춤이 용이하여 보다 정확하게 되고, 삽입완료 후는 지관(6)의 내주면(11)으로부터 테이퍼관단부(30)로의 면압을 높게 유지할 수 있고, 환상팽출부(25)를 확실하게 걸어맞춤발톱(35)에 맞닿게 하여, 양호한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제8실시예에서는, 배관(1)의 삽입 후에 고주파유도가열에 의해 배관(1)과 지관(6)의 수지를 융착하였지만, 제9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1)의 삽입부(8)를 지관(6) 내에 삽입하면서, 고주파유도에 의해 배관(1)의 금속을 발열시킨다. 이 열에 의해 삽입부(8)가 통과하는 밀착부(32)의 내주면(11) 전체의 수지가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되고, 삽입부(8)의 삽입완료 후는 삽입부(8)의 외주면(18)과 밀착부(32)의 내주면(11)의 접촉면 전체의 수지가 융착되고, 보다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이 얻어지고, 뽑힘저항력도 향상된다.
또, 제8실시예에서는, 아이조인트본체(5)의 내부에 환상오목홈(4)을 마련하고, 이 환상오목홈(4)을 통해 아이조인트본체(5)의 유통로(27)와 아이볼트(10)의 볼트내연통로(16)를 연통할 수 있게 하였지만, 제9실시예에서는,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조인트본체(5)의 내부는 부착홀(7)만 형성하고, 아이볼트(10)의 외주에 환상오목홈(40)을 마련함으로써, 유통로(27)와 볼트내연통로(16)의 연통을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제8, 제9실시예에서는, 외주면(18) 전체 또는 일부를 수지피막(20)으로 피복한 금속제 배관(1)을 사용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아연도금 등으로 녹방지처리를 완료한 금속제 배관(1)을 사용하고, 이 배관(1)의 환상팽출부(25)를 포함한 선단부 측의 외주면에, 내면컴파운드부착수지관을 장착하여도 좋다. 이 수지관은, 열수축성을 갖는 수지를 이용하고, 배관(1)에의 장착 후에 가열함으로써 수축시켜, 배관(1)의 외주면(18)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밀착고정시킨다. 이 수지관을 배관(1)에 고정하는 수단은, 다른 적절한 융착수단을 이용하여도 좋고, 접착제를 도포하는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 배관(1)의 외주면(18)에 배치된 수지관과 지관(6)의 내주면(11)의 수지를 융착함으로써, 배관(1)과 아이조인트(3)를 우수한 기밀성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상기 제8, 제9실시예에서는, 아이조인트본체(5)를, 수지만으로 형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아이조인트본체(5)의 내표면 전체에, 보강부재로서 강판을 접착배치하는 등, 수지 이외의 부재를 사용하여, 아이조인트(3)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과도한 불량이나 변형을 방지하며, 기밀성의 장기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0, 제1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아이조인트(3)는 폴리아미드 등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이하, "엔플라"라고 한다)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상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되지만, 걸어맞춤발톱(35)은, 아이조인트(3)의 내부 방향으로 테이퍼상으로 되는 역테이퍼형상을 나타낸다. 때문에, 이 역테이퍼형상의 걸어맞춤발톱(35)을 아이조인트본체(5)와 동일한 금형으로 형성하도록 하려면, 역테이퍼부분이 금형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된다는 등, 성형의 곤란함이 발생하기 쉽다. 때문에, 도 13의 제10실시예 및 도 14의 제11실시예에 서는, 걸어맞춤발톱(35)을 아이조인트본체(5)와는 별개로 형성하여, 각 부재의 용이한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우선, 도 13의 제10실시예에서는, 지관(6)의 밀착부(32)만 아이조인트본체(5)와 일체로 성형하고, 뽑힘방지부(33)는 아이조인트본체(5)와 별개로 성형함과 동시에, 이 뽑힘방지부(33)에 걸어맞춤발톱(35)을 일체로 성형한다. 그리고, 각각 성형 후에, 밀착부(32)의 측면에 뽑힘방지부(33)를 융착고정한다. 이에 의해, 걸어맞춤발톱(35)을 갖는 뽑힘방지부(33)를 별개로 성형함으로써, 제8, 제9실시예에 비하여, 이이조인트본체(5)의 금형이 간단화되고, 아이조인트본체(5)의 가공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뽑힘방지부(33)에 마련된 걸어맞춤발톱(35) 자체의 가공도 용이하게 되며, 아이조인트(3)의 성형시의 작업효율 및 제작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도 14의 제11실시예에서는, 걸어맞춤발톱(35)을 마련하지 않도록 지관(6)을 아이조인트본체(5)와 일체로 형성하고, 해당 지관(6)의 뽑힘방지부(33)는, 결절부(34)를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지관(6)을 마련한 아이조인트본체(5)와는 별개로, 걸어맞춤발톱(35)을 마련한 클립부재(37)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클립부재(37)를, 도 14와 같이, 삽입구(31)를 통해 뽑힘방지부(33) 내에 밀어 넣고, 걸어맞춤발톱(35)의 후단측벽면(38)을 뽑힘방지부(33)에 개구한 결절부(34)의 기부에 걸어맞춤으로써, 뽑힘방지부(33)에 클립부재(37)를 걸어맞춘다.
따라서, 제11실시예에서는, 아이조인트본체(5)와 별개의 클립부재(37)에 걸 어맞춤발톱(35)을 마련하는 것으로, 아이조인트본체(5)는, 역테이퍼형상이 없는 용이한 성형이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의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 클립부재(37)는, 지관(6)과 동일한 엔플라수지 등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걸어맞춤발톱(35)을 금형으로부터 빠지기 쉬운 다른 수지로 형성하여도 좋고, 금속판을 꺾어 구부려 형성하여도 좋으며, 어떤 경우에도 걸어맞춤발톱(35)을 용이하게 또는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2실시예를 도 15, 도 16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8∼11실시예에서는, 아이조인트(3)의 성형 시에,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체로 형성하였지만, 제12실시예에서는, 지관(6)은, 아이조인트본체(5)와는 별개로, 배관(1)과 일체로 형성하고, 후공정에서 지관(6)과 아이조인트본체(5)를 융착고정하는 것도 있다.
우선, 제1공정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 배관(1)의 외주면에, 선단으로부터 소망의 간격을 개재하여 환상팽출부(25)를 돌출되게 마련한다. 이 금속제 배관(1)은, 외주면(18)에 아연도금 등의 녹방지처리를 실시하여, 방녹성을 갖게 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 환상팽출부(25)를 포함하는 배관(1)의 삽입부(8)의 외주면(18)에, 몰딩성형에 의해 수지제 지관(6)을 원통형으로 고정형성한다. 이 몰딩성형에 의해 배관(1)에 지관(6)을 설치하기 때문에, 지관(1)의 외주면(18)을 반드시 수지제로 하지 않아도, 지관(6)과 배관(1)을 분리할 수 없고, 또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으로 접속 가능하게 된다. 또, 지관(6)의 수지에 환상팽출부(25)를 매설하는 것으로, 지관(6)과 배관(1)의 뽑힘저항력이 높은 뽑힘방지수단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제2공정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조인트본체(5)의 측면의 수지제로 하는 융착면(24)에, 아이볼트(10)와 직교방향으로 지관(6)의 선단면을 접속배치한다. 이 접촉부에, 초음파진동가열융착, 고주파유도가열융착 등의 융착수단을 부가하여,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을 융착고정한다.
이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의 융착고정에 의해,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의 접속이 완료되지만, 제12실시예에서는 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융착부의 외주에 수지재를 융착하여 봉지부(26)를 마련한다. 이 봉지부(26)의 융착도, 초음파진동가열융착이나, 고주파유도가열융착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지부(26)를 마련함으로써,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의 접속강도가 더욱 높아지고, 기밀성 및 뽑힘저항력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실시예와 같이, 아이조인트본체(5)와 지관(6)을 별개로 성형하고, 후공정에서 쌍방을 융착고정하는 방법으로도, 아이조인트(3)와 배관(1)의 접속구조에,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과 뽑힘저항력을 갖게 할 수 있고, 지관(6)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며, 걸어맞춤발톱(35)을 마련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필요 없어,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작업환경이나 인체에도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12실시예에서는, 지관(6)을 몰딩성형함으로써 배관(1)에 고정하기 때문에, 외주면(18)에 어떤 수지도 배치되지 않은 금속제 배관(1)을 사용하였지만, 외주면(18) 전체 또는 삽입부(8)의 외주면(18)에 수지피막(20)이나 수지관을 밀착배치한 금속제 배관(1)을 사용하여도 좋고, 환상팽출부(25)를 포함하는 내주면에, 금속관을 배치한 수지제 배관(1)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배관(1)들에서는, 외 주면(18)에 배치한 수지와 지관(6)의 수지가 융착되기 때문에, 배관(1)과 지관(6)의 일체성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 자동차용 배관, 각종 기계ㆍ장치용 배관, 그 외의 배관과 아이조인트의 접속을, 아이조인트의 지관의 내주면에 배치된 수지와 배관의 외주면에 배치된 수지의 융착으로 행하거나 또는 배관에 몰딩성형한 지관을 아이조인트에 융착하여 행하기 때문에, 배관과 아이조인트의 접속구조에, 신뢰성이 높은 기밀성과 내구성을 얻을 수 있고, 아이조인트로부터의 배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뽑힘저항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아이조인트의 지관에 배관의 뽑힘방지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뽑힘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흐르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배관과 기체 사이에, 아이조인트를 통해 누설 등이 없이 원활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배관과 아이조인트의 접속은, 금속에 의한 납땜이 아니라 수지의 융착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숙련기술이나 많은 공정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작업환경이나 인체에의 영향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미리 녹방지처리를 행한 금속제 배관을 이용하거나, 수지제 배관을 이용할 수 있고, 접속작업 시의 번거러움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아이조인트의 제조 및 배관과의 접속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내부에 마련된 환상오목홈에 연결되게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와,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환상오목홈에 삽입되는 아이볼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관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상기 지관부분은 수지제이고,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에 삽입되고 적어도 지관과의 접촉부분의 외주면에 수지가 마련된 배관이 삽입접속될 수 있고,
    상기 배관의 외주의 수지를 통해 지관의 내주면에 배관이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되는 아이조인트.
  2. 내부에 마련된 환상오목홈에 연결되게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에, 환상오목홈에 삽입되는 아이볼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지관이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적어도 상기 지관부분은 수지제이고,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에 삽입되고 적어도 지관과의 접촉부분의 외주면에 수지가 마련되고 상기 수지를 통해 지관의 내주면에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되는 배관으로 이루어진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3.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 내에, 외주에 수지가 마련된 배관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지관의 외표면으로부터 융착수단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배관의 외주에 배치된 수지와 수지제 지관을 융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을 접속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방법.
  4. 내부에 마련된 환상오목홈에 연결되게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와, 수지제 지관이 몰딩성형에 의해 일단부에 고정된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에 고정된 지관은, 아이조인트본체의 환상오목홈에 접속되는 아이볼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아이조인트본체에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5. 수지제 지관을, 배관의 일단부에 몰딩성형에 의해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배관에 고정된 지관의 융착면을 아이조인트본체의 측면의 융착면에 환상오목홈에 삽입접속되는 아이볼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촉배치하고, 융착수단을 가하여 아이조인트본체와 지관을 융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을 접속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방법.
  6.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와,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외표면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유통로와 연통하는 지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에 배관이 삽입접속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배관의 삽입부의 외주면 및 상기 외주면과 접촉하는 지관의 내주면은 수지제이고,
    상기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관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팽출부에 걸어맞춰지며 배관의 뽑힘방지수단이 되는 걸어맞춤발톱이 지관의 내면에 지관과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되며,
    상기 지관의 내주면의 수지와 배관의 외주면의 수지가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될 수 있는 아이조인트.
  7.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에, 상기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며 유통로와 연통하는 지관이 아이조인트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에 배관이 삽입접속될 수 있고,
    상기 배관은, 지관에의 삽입부의 외주면이 수지제이고, 동시에 상기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주에 환상팽출부를 마련하여 형성되고,
    상기 환상팽출부에 걸어맞춰지며 배관의 뽑힘방지수단이 되는 걸어맞춤발톱은 지관의 내면에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됨과 동시에, 배관의 삽입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지관의 내주면은 수지제이고,
    상기 지관의 내주면의 수지와 배관의 외주면의 수지가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8. 아이조인트본체의 지관 내에, 상기 지관내의 삽입부의 외주면이 수지제이고, 상기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주에 환상팽출부가 마련된 배관을 삽입하고, 동시에 상기 배관의 환상팽출부에 지관의 내면과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된 걸어맞춤발톱을 걸어맞춰 배관의 뽑힘방지수단이 되게 하는 공정과,
    배관의 삽입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지관의 내주면이 수지제된 지관의 상기 수지와 배관의 외주면의 수지를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을 접속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방법.
  9. 축심부에 아이볼트부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부착홀과 연통하는 유통로가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아이조인트본체와,
    상기 아이조인트본체에의 접속측의 외주면에 환상팽출부가 마련되고, 동시에 상기 환상팽출부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몰딩성형에 의해 수지제 지관이 고정되는 것을 뽑힘방지수단으로 하는 배관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에 고정된 지관은, 아이조인트본체의 수지제로 만든 융착면에 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융착수단에 의해 융착고정 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10. 아이조인트본체와의 접속측의 외주면에 환상팽출부가 마련된 배관의, 환상팽출부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몰딩성형에 의해 수지제의 지관을 고정하는 것으로 배관의 뽑힘방지수단이 되는 공정과,
    상기 배관에 고정된 지관을, 아이조인트본체의 수지제로 만든 융착면에, 아이볼트부착홀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접촉배치하고, 융착수단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에 지관을 융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아이조인트본체와 배관을 접속하는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방법.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수단은, 초음파진동가열융착 또는 고주파유도가열융착인 아이조인트.
  12. 제2항, 제4항,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수단은, 초음파진동가열융착 또는 고주파유도가열융착인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13. 제3항, 제5항,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수단은, 초음파진동가열융착 또는 고주파유도가열융착인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방법.
KR1020020058474A 2001-09-28 2002-09-26 아이조인트 및 이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및 그접속방법 KR100844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3355A JP4756804B2 (ja) 2001-09-28 2001-09-28 金属管とアイジョイントと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JPJP-P-2001-00303355 2001-09-28
JPJP-P-2002-00263006 2002-09-09
JP2002263006A JP2004100811A (ja) 2002-09-09 2002-09-09 アイジョイント及びこのアイジョイントと配管との接続構造並びにその接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756A KR20030027756A (ko) 2003-04-07
KR100844928B1 true KR100844928B1 (ko) 2008-07-09

Family

ID=2662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474A KR100844928B1 (ko) 2001-09-28 2002-09-26 아이조인트 및 이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및 그접속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51723B2 (ko)
KR (1) KR100844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504B1 (ko) 2016-06-23 2017-04-11 주식회사 여남테크 자동차 배관 연결용 아이조인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2156A1 (en) * 2003-09-08 2007-08-09 Kip Petrykowski Self-sealing fluid fitting and method
US20050062285A1 (en) * 2003-09-22 2005-03-24 Image Industries, Inc. Hydraulic port weld stud
FR2932547A1 (fr) * 2008-06-16 2009-12-18 Renault Sas Dispositif de mise en communication hydraulique de deux organes mecaniques distincts
EP2159462B1 (en) * 2008-09-01 2015-01-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upling element for connecting an actuator to a valve
GB2463665B (en) * 2008-09-19 2012-03-28 Haldex Brake Products Ltd Braking system
AT508744B1 (de) * 2009-09-11 2011-11-15 Fronius Int Gmbh Schlauchpaket, kupplungselement, steckerelement und steckverbindung für eine schweissvorrichtung sowie schweissvorrichtung
EP4269075A3 (en) * 2015-04-17 2023-12-27 Meissner Filtration Products, Inc. Modular molding
DE102018202128A1 (de) * 2018-02-12 2019-08-1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 Verbindungseinheit und Batteriesystem
DE102019103844B4 (de) * 2019-02-15 2021-02-25 Hanon Systems Fluidleitungsrohr für eine Heiz- und Klimaanla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838A (en) * 1973-08-20 1976-07-06 Societe Legris France S.A. Banjo type pipe unions
JPH06241372A (ja) * 1993-02-15 1994-08-30 Usui Internatl Ind Co Ltd アイ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US5533765A (en) * 1991-10-25 1996-07-09 Nwd International, Inc. Crimped tube-to-port hydraulic fittings
US5533764A (en) * 1991-10-25 1996-07-09 Nwd International, Inc. Transverse hydraulic coupling with lipped port
US6007109A (en) * 1995-12-21 1999-12-28 Robert Bosch Gmbh Sealing element for a hydraulic screw connection comprising a hollow screw and an annular stub
JP3656915B2 (ja) * 1994-10-04 2005-06-0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金属筒管体相互の接続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3812A (en) 1975-04-01 1976-10-07 Nippon Kayaku Co Ltd Stavilization of methacrolein
JPS605192A (ja) 1983-06-21 1985-01-11 日本建鐵株式会社 撹拌式洗たく機
JPS605190A (ja) 1983-06-22 1985-01-11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上送り装置
JPH045974Y2 (ko) * 1985-03-02 1992-02-19
DE3615904A1 (de) * 1985-07-24 1987-02-05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JP2543717B2 (ja) 1987-08-14 1996-10-16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アイジヨイント端金具の製造方法
US5011192A (en) * 1989-12-18 1991-04-30 Michigan Brake Manufacturing, Inc. Bolt retaining hydraulic end fitting assembly
JP3192682B2 (ja) 1991-05-08 2001-07-30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枝付きアイジョイントの取付け構造
JP3014491B2 (ja) 1991-05-22 2000-02-2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冷間圧延によるアイ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JPH04357388A (ja) 1991-05-30 1992-12-10 Usui Internatl Ind Co Ltd 細径配管による接続固定物およびその固定方法
US5573279A (en) * 1994-01-03 1996-11-12 Form Rite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5668922A (en) * 1995-11-16 1997-09-16 Rheem Manufacturing Company Water heater having molded plastic storage tank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s
US6199916B1 (en) * 1997-05-15 2001-03-1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Spin welded fluid connector
ES2181508T3 (es) * 1998-12-11 2003-02-16 Eaton Fluid Power Gmbh Sistema de acoplamiento provisto de dispositivo de bloqueo.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838A (en) * 1973-08-20 1976-07-06 Societe Legris France S.A. Banjo type pipe unions
US5533765A (en) * 1991-10-25 1996-07-09 Nwd International, Inc. Crimped tube-to-port hydraulic fittings
US5533764A (en) * 1991-10-25 1996-07-09 Nwd International, Inc. Transverse hydraulic coupling with lipped port
JPH06241372A (ja) * 1993-02-15 1994-08-30 Usui Internatl Ind Co Ltd アイ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JP3656915B2 (ja) * 1994-10-04 2005-06-0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金属筒管体相互の接続継手
US6007109A (en) * 1995-12-21 1999-12-28 Robert Bosch Gmbh Sealing element for a hydraulic screw connection comprising a hollow screw and an annular stu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504B1 (ko) 2016-06-23 2017-04-11 주식회사 여남테크 자동차 배관 연결용 아이조인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62721A1 (en) 2003-04-03
KR20030027756A (ko) 2003-04-07
US6851723B2 (en) 2005-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911B2 (en) Plug part of a plug-type connection arrangement and plug-type connection arrangement
JP6250045B2 (ja) 燃料系統コネクタおよび製造方法
KR100844928B1 (ko) 아이조인트 및 이 아이조인트와 배관의 접속구조 및 그접속방법
JP2011094608A (ja) フューエルディストリビュータ
US5803465A (en) Gasket insert
US20080169364A1 (en) Welded fuel injector attachment
US7806442B2 (en) Hose coupling with molded seal insert
US10507618B2 (en) Tubular body
US20080277931A1 (en) Connection for conduits and method for making it
EP1602870A1 (en) Tube to hose coupling
WO2010025210A1 (en) Vehicular climate control system
TW201043805A (en) Brake pipe connection to a brake hose
JP3440237B2 (ja) 単一部材内において長手方向剛体部分と長手方向可撓性部分とを具備する管状パイプ要素
US11079055B2 (en) Fitting for connecting a main pipe liner to a branch conduit
US20040174014A1 (en) Hos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JP2004100811A (ja) アイジョイント及びこのアイジョイントと配管との接続構造並びにその接続方法
WO2020235666A1 (ja) 油圧用アダプタユニット、油圧用パイプ部材および油圧用パイプ部材の製造方法
JPH0488286A (ja) ホース継手構造
JP2003106493A (ja) 金属管とアイジョイントと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JP4052882B2 (ja) 細径金属管と可撓ホースとの接続構造
CA3118286A1 (en) Fitting for connecting a main pipe liner to a branch conduit
EP4375497A1 (en) Duct connection and air duct
US20070231482A1 (en) Interference Fit Assembly
US4195607A (en) Blow-by gas recirculating device
EP0889276A1 (en) Resin coated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fuel tank with such a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