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873B1 -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 Google Patents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873B1
KR100844873B1 KR1020070027567A KR20070027567A KR100844873B1 KR 100844873 B1 KR100844873 B1 KR 100844873B1 KR 1020070027567 A KR1020070027567 A KR 1020070027567A KR 20070027567 A KR20070027567 A KR 20070027567A KR 100844873 B1 KR100844873 B1 KR 10084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amera
case
main controller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휘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주)오늘보다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늘보다내일 filed Critical (주)오늘보다내일
Priority to KR102007002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2001/167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having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6Sound recording or det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모를 확인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에 의하여 사용자의 용모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다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프린트하여 스티커 또는 스크랩 사진 등으로 이용하거나 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은, 거울용 유리의 후면에 부착되어진 반사필름에 의하여 전방 사용자의 모습이 반사되어져 비춰지도록 구비되는 거울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외부 케이스를 이루며 유리의 반사지 측면과 후방으로 구비되어지는 거울케이스와, 상기 거울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져 카메라 렌즈가 유리의 일측을 통하여 전방을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와, 상기 거울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신호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주컨트롤러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화상신호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거울, 카메라, 프린터, 조명, 리모콘, 디스플레이, 반사지, 마이크

Description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MIRROR WITH A PHOTOGRAPHING FUCTION}
도 1의 (1a) 및 (1b)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2의 (2a) 및 (2b)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의 (3a) 및 (3b)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에 대한 제어 계통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기능성 거울
1 : 유리 3 : 거울케이스
11 : 주컨트롤러 111 : 메모리
12 : 카메라 13 : 마이크
14, 14' : 디스플레이 15, 15' : 스피커
16 : 리모콘 21 : 컨트롤러케이스
22, 22' : 프린터 23 : 조명 장치
24 : 외부입출력 단자 112 : 전원공급부
113 : 리모콘 수신부 121 : 카메라 렌즈
본 발명은 기능성 거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모를 확인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에 의하여 사용자의 용모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다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프린트하여 스티커 또는 스크랩 사진 등으로 이용하거나 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전방의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용모를 다듬도록 하기 위하여 비춰보는 물건이다.
이러한 거울은 단지 사용자 자신의 용모만 확인할 수 있을 뿐 별다른 용도로 이용되지 못하나, 벽면 또는 탁자 위에 일정 공간을 차지하는 공간 범위에 비하여 그 이용 범위가 적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장식을 하여 더욱 단지 사용자의 용모만 비추는 것이 아니라 실내 장식용품의 하나로 이용하려고 하나, 그 기능이 다양하게 부가되지 않아 용모를 비추는 단순 용도로만 이용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전 신, 상반신 등 사용자의 용모를 확인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에 의하여 사용자의 용모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다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동작이나 모습, 방안의 풍경 등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길 수 있어 추억을 소중히 간직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시켜 보관하거나 또는 지면으로 프린트하여 스티커 또는 스크랩 사진 등으로 이용하거나 이를 전송할 수 있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은, 거울용 유리의 후면에 부착되어진 반사 필름에 의하여 전방 사용자의 모습이 반사되어져 비춰지도록 구비되는 거울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외부 케이스를 이루며 유리의 측면과 후방으로 구비되어지는 거울케이스와, 상기 거울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져 카메라 렌즈가 유리의 일측을 통하여 전방을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와, 상기 거울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신호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주컨트롤러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화상신호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전신, 상반신 등 사용자의 용모를 확인하여 볼 수 있도 록 하는 거울에 사용자의 용모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다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벽면 또는 탁자 위에 일정 공간을 차지하는 거울의 이용 범위를 대폭적으로 넓히고 거울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유리 하측의 전방에 구비되어져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진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재생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거울에 디스플레이 기능과 음성 기능을 부가하여 단지 사용자의 용모만 비추는 것이 아니라 여러 실용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울케이스의 하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컨트롤러가 내재되는 함체형상인 컨트롤러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케이스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진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재생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가 더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거울케이스의 하측과 컨트롤러케이스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따라 거울케이스를 회동시켜 거울의 방향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케이스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의 캡춰영상을 지면(프린트 용지)으로 출력하는 프린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이나 영상을 자체 프린터로 즉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신호를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주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리모콘 수신부와, 상기 카메라로 입력되는 화면영상의 밝기 정도를 알맞게 하기 위하여 전방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카메라용 조명장치와,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단자인 외부입출력단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리모콘을 사용하여 컨트롤러케이스에 배열된 소자들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은 상기 반사 필름의 후면에 배설되고 상기 거울과 반사 필름의 측면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 방출되는 광을 거울의 전면으로 반사하는 도광판(2)과, 상기 거울의 주변의 광의 밝기를 측정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취침시간이나 야간에 거울을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광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거울 주변의 광의 휘도를 자동 감지하여 상기 광원을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 도광판(2)을 통해 다양한 색의 조명이나 다양한 문구나 그림 등을 거울을 통해 표시하여 이를 거울의 전면에서 볼 수 있는 장식용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1a) 및 (1b)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로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2a) 및 (2b)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로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3a) 및 (3b)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로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에 대한 제어 계통의 블럭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A)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용 유리(1)의 후면에 부착되어진 반사 필름(미도시)에 의하여 전방 사용자의 모습이 반사되어져 비춰지도록 구비되는 거울이다.
이 거울에는 상기 유리(1)의 외부 케이스를 이루며 유리의 측면과 후방으로 구비되어지는 거울케이스(3)가 거울을 측면과 후방에서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거울케이스(3)의 내부에는 카메라 렌즈(121)가 유리(1)의 후방 일측을 통하여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는 카메라(12)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거울케이스(3)의 일측에는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카메라(12)는 정지 화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다. 또 이 카메라(12)는 줌인 기능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거울케이스(3)의 일측에는 녹음된 알람이나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15,15')가 더 구비된다. 이 카메라(12)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거나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으 로 제공된다.
상기 거울케이스(3)의 하측에는 상기 카메라(12), 마이크(13) 및 스피커(15,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들을 제어하는 주컨트롤러(11)가 내재되는 함체형상인 컨트롤러케이스(21)가 제공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A)은 컨트롤러케이스(21)를 바닥 위에 또는 책상, 화장대 등의 위에 놓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1)에는 상기 카메라(12)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신호 및 상기 마이크(1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주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12)로부터 입력된 화상신호 또는 외부 매체로부터 입력된 화상신호 및 상기 마이크(13)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또는 외부 매체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111)가 더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1)에는 상기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되어진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상기 주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하여 재생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14,14')와, 상기 주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12)로 입력되는 영상의 밝기 정도를 알맞게 하기 위하여 전방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카메라용 조명장치(23, 23')가 더 배치된다. 이 카메라용 조명 장치(23,23')는 카메라 프레시와 같이 사용자가 야간이나 흐린 날 또는 비오는 날에 촬영하는 경우 또는 방안이 어두운 경우 카메라(12)로 촬영될 대상의 밝기를 일정 레벨 이상이 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거울에는 장식용 조명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식용 조명 장치는 거울의 후면 즉 거울용 유리와 반사 필름의 후면이나 또는 이 후면에 도광판(2)을 배설하고 도광판(2)의 일측면이나 상부면에 배치된 고휘도 LED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이 도광판(2)에 주사하여 이 도광판(2)을 통해 다양한 색의 조명이나 다양한 문구나 그림 등을 거울을 통해 표시하여 이를 거울의 전면에서 볼 수 있게 하는 장식용 조명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평상시에는 거울의 기능과 카메라의 기능으로 사용하면서도 이들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즉 장식 조명용의 기능으로 사용시에는 거울케이스(3)나 컨트롤러케이스(21)의 전방 일측에 설치된 광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주위의 밝기를 자동 감지하고 취침 시간이나 야간에서와 같이 주위의 밝기가 어두워졌을 시 거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거울을 자동적으로 장식용 조명장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은, 상기 반사 필름의 후면에 배설되고 상기 거울과 반사 필름의 측면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미도시)과, 상기 광원으로 방출되는 광을 거울의 전면으로 반사하는 도광판(2)과, 상기 거울의 주변의 광의 밝기를 측정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취침시간이나 야간에 거울을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광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거울 주변의 광의 휘도를 자동 감지하여 상기 광원을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거울을 단순히 사용자의 용모를 확인하는 것에서부터 거울 주변을 다양하게 비추어주는 즉 장식할 수 있는 용도로 전용할 수 있어 실내를 한층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를 위해 거울케이스(3)나 컨트롤러케 이스(21)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주변 광의 밝기를 측정하는 광센서와 장식용 조명 장치 즉 고휘도 LED를 주컨트롤러(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컨트롤러(11)를 통해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고휘도 LED를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2)로부터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의 캡춰영상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지면(프린트 용지)으로 출력하는 프린터(22,22')를 더 구비한다. 즉 주컨트롤러(11)에 의하여 메모리(111)에 저장된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을 캡춰한 영상을 사진용지 또는 일반용지 등으로 하여 출력하도록 하여, 즉석에서 스티커로 이용하거나 스크랩 사진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 프린터(22,22')는 포토프린터로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모습이나 사물을 염료승화방식이나 기타 방식을 통해 컬러 또는 흑백으로 인쇄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원거리에서 사용자가 자기 모습이나 주위 풍경을 카메라(12)로 촬영을 하면서 프린트를 하거나 신호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별도의 리모콘(16)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렇게 상기 주컨트롤러(11)를 제어하는 신호를 리모콘(16)으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주컨트롤러(11)로 전송하는 리모콘 수신부(113)가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1)의 전면에 구비된다. 이 리모콘(16)은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의 모든 기능을 리모콘 조작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주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111)에 저장된 화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컴퓨터 또는 PC(Personal Computer)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미 도시됨)에 전송하기 위한 단자인 외부입출력단자(24)를 더 구비한다. 즉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하여 USB포트와 같이 일반적인 연결단자가 접속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핸드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 전용 단말기단자를 이용하여 접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용 프로그램의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없이 컴퓨터에서 USB포트 인식용 일반적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접속하여 화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데이터 파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A)에 알맞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기능성 거울의 주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외부입출력단자(24)를 통하여 디지털카메라,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신호 데이터를 불러들여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A)의 디스플레이(14,14') 및 스피커(15,15')를 통하여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의 스피커(15,1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계의 알람과 같은 알람을 울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메모리(111)에 알람 시간을 설정해 놓은 후 알람 시간이 되면 주컨트롤러(11)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5,15')를 통해 알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이때 알람 시간을 단발적(하루 1회) 또는 다발적(하루 수 회)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이 스피커(15,15')는 선택된 알람 시간에 일반적인 멜로디 음악이나 벨 소리 뿐만 아니라 사람의 음성을 마이크(13)를 통해 메모리(111)에 녹음한 다음 이 음성을 지정된 시간에 출력할 수 있 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A)에서는, 본 발명의 제어에 대한 블럭도를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주컨트롤러(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2)가 구비되어져,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배터리(미도시됨)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A)은 도 1의 (1a) 및 (1b)에서와 같이 전신형 거울로 제공되거나, 또는 도 2의 (2a) 및 (2b)에서와 같이 상반신을 비춰보는 탁상형 거울로 제공되거나, 또는 도 3의 (3a) 및 (3b)에서와 같이 거울케이스(3)의 후면을 벽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벽부착형 거울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의 (1a) 및 (1b)의 전신형 거울 또는 도 2의 (2a) 및 (2b)의 탁상형 거울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바닥 또는 책상이나 화장대 위에 놓여지는 컨트롤러케이스(21)가 그 상부의 거울케이스(3)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용모가 용이하게 비춰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A)은 도 3의 (3a) 및 (3b)에서와 같이 거울케이스(3)의 후면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벽부착거치부(3a)가 구비되어지는 벽부착형 거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벽부착형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도 3의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과 부딪히는 거울케이스(21)의 후면에 있는 벽부착거치부(3a)가 벽면에 대하여 각도조절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용모가 용이하게 비춰지도록 벽부착거치부(3a)가 구성된다. 즉 벽부착형 거울의 실시예는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거울케이스(3) 후면의 벽부착거치부(3a)가 거울케이스(3)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벽면에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어져, 벽면에 부착되어지는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사용자가 용이하게 비춰지도록 제공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A)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의 (1a) 및 (1b)의 전신형 거울의 예로 하여 그 작동을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가 기능성 거울(A)에 배터리 또는 외부의 전원이 전원공급부(112)를 통하여 공급되어지는 상태에서, 리모콘(16)의 조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4,14')의 화면이 켜지도록 함으로써 작동의 시작을 확인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리모콘(16)으로, 카메라(12), 마이크(13), 디스플레이(14,14') 또는 스피커(15,15') 등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거나, 메모리(111)의 저장내용 및 잔여 공간 등을 확인하여 촬영전 상태를 점검하게 된다.
그리하여 카메라(12)의 촬영 방향 또는 촬영 거리 등을 리모콘(16)으로 조절하여 촬영을 개시하게 된다. 이에 카메라(12)를 제어하는 주컨트롤러(11)는 카메라(1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분석하여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촬영대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메뉴 선택에 의하여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함에, 동영상 촬영의 경우 마이크(13)로부터의 음성신호도 함께 동시 저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12)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은 촬영전에는 단지 디스플레 이(14,14')에 보여지기만 하고 저장되지는 않으나,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게 되면 메모리(111)에 저장되어진다.
이처럼 메모리(111)에 저장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및 음성신호는 다시 디스플레이(14,14') 및 스피커(15,15')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데이터는 외부입출력단자(24)를 통하여 컴퓨터, 디지털카메라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촬영기능에 더하여, 컴퓨터(미도시됨)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어 메모리(111)에 저장된 음성신호에 의해 알람신호 소리로 이용될 수도 있다. 즉 일정 시간에 음성신호를 스피커(15,15')로 들릴 수 있도록 구비되어지되, 저장된 음성신호 또는 마이크(13)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알람신호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전신, 상반신 등 사용자의 용모를 확인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에 의하여 사용자의 용모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다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안의 풍경 등 일상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길 수 있어 추억을 소중히 간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시켜 보관하거나 또는 지면으로 프린트하여 스티커 또는 스크랩 사진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은 카메라용 조명 장치에 의하여 카메라 프레시와 같이 사용자가 야간이나 흐린 날 또는 비오는 날에 촬영하는 경우 또는 방안이 어두운 경우 카메라(12)로 촬영될 대상의 밝기를 일정 레벨 이상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거울은 장식용 조명 장치에 의하여 거울의 후면 즉 거울용 유리와 반사 필름의 후면이나 또는 이 후면에 도광판(2)을 배설하고 도광판(2)의 일측면이나 상부면에 배치된 고휘도 LED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이 도광판(2)에 주사하여 이 도광판(2)을 통해 다양한 색의 조명이나 다양한 문구나 그림 등을 표시하여 이를 거울의 전면에서 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평상시에는 거울의 기능과 카메라의 기능으로 사용하면서도 이들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즉 장식 조명용의 기능으로 사용시에는 거울케이스(3)나 컨트롤러케이스(21)의 전방 일측에 설치된 광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주위의 밝기를 자동 감지하여 주위의 밝기가 어두워졌을 시 거울을 자동적으로 장식용 조명장치로 전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거울을 단순히 사용자의 용모를 확인하는 것에서부터 거울 주변을 다양하게 비추어주는 즉 장식할 수 있는 용도로 전용할 수 있어 실내를 한층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거울용 유리의 후면에 부착되어진 반사 필름에 의하여 전방 사용자의 모습이 반사되어져 비춰지도록 구비되는 거울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외부 케이스를 이루며 유리의 측면과 후방으로 구비되어지는 거울케이스와,
    상기 거울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져 카메라 렌즈가 유리의 일측을 통하여 전방을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와,
    상기 거울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신호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주컨트롤러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화상신호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반사 필름의 후면에 배설되고 상기 거울과 반사 필름의 측면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 방출되는 광을 거울의 전면으로 반사하는 도광판과,
    상기 거울의 주변의 광의 밝기를 측정하는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취침시간이나 야간에 거울을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광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거울 주변의 광의 휘도를 자동 감지하여 상기 광원을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하측의 전방에 구비되어져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진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재생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출 력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케이스의 하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컨트롤러가 내재되는 함체형상인 컨트롤러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케이스에는, 상기 컨트롤러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진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재생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케이스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의 캡춰영상을 지면으로 출력하는 프린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신호를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주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리모콘 수신부와,
    상기 카메라로 입력되는 화면영상의 밝기 정도를 알맞게 하기 위하여 전방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카메라용 조명장치와,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단자인 외부입출력단자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6. 삭제
KR1020070027567A 2007-03-21 2007-03-21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KR10084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567A KR100844873B1 (ko) 2007-03-21 2007-03-21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567A KR100844873B1 (ko) 2007-03-21 2007-03-21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873B1 true KR100844873B1 (ko) 2008-07-09

Family

ID=3982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567A KR100844873B1 (ko) 2007-03-21 2007-03-21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8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16B1 (ko) * 2011-07-20 2013-07-17 김영환 음영이 지지 않도록 조명이 구비된 거울
CN104510233A (zh) * 2013-09-30 2015-04-15 宁夏先锋软件有限公司 一种服饰智能试衣镜
CN104510234A (zh) * 2013-09-30 2015-04-15 宁夏先锋软件有限公司 一种智能服装试身镜
KR2017000597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티플러스 디지털 거울
WO2018038466A1 (en) * 2016-08-26 2018-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99246A (ko) 2019-02-13 2020-08-24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관리용 스마트 거울
CN114885092A (zh) * 2022-03-23 2022-08-09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图像采集装置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072B1 (ko) 2003-10-28 2005-12-05 김소운 카메라를 장착한 거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072B1 (ko) 2003-10-28 2005-12-05 김소운 카메라를 장착한 거울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16B1 (ko) * 2011-07-20 2013-07-17 김영환 음영이 지지 않도록 조명이 구비된 거울
CN104510233A (zh) * 2013-09-30 2015-04-15 宁夏先锋软件有限公司 一种服饰智能试衣镜
CN104510234A (zh) * 2013-09-30 2015-04-15 宁夏先锋软件有限公司 一种智能服装试身镜
KR2017000597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티플러스 디지털 거울
WO2018038466A1 (en) * 2016-08-26 2018-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99246A (ko) 2019-02-13 2020-08-24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관리용 스마트 거울
CN114885092A (zh) * 2022-03-23 2022-08-09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图像采集装置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873B1 (ko)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기능성 거울
US644182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02783136B (zh) 用于拍摄自我肖像图像的成像装置
TW200302951A (en) Camera with a luminous body
KR20090095337A (ko)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디지털 미러
JP2006237914A (ja) 携帯端末装置
CN105042304A (zh) 具有照明功能的自拍杆
KR101474459B1 (ko) 휴대 단말기
US10527909B2 (en) Lighting system for photography station
JP2005010315A (ja) 光学要素フィルタ、及び光学要素フィルタセット
US20060119734A1 (en) Docking station for near-object digital photography
CN105323411B (zh) 图像读取装置
US7782371B2 (en) Apparatus for the recording of image data and meta data
JP2012151541A (ja) 撮像装置
JP4407137B2 (ja)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41845B2 (en) Imaging device having multiple optics
JP2015028641A (ja) 画像表示装置
JP4662902B2 (ja) 撮影システム
KR20060043599A (ko) 촬영 및 녹음 시스템
KR101111081B1 (ko) 역 브이자형 테이블을 갖는 스캐너로부터의 신호를 음성출력하는 학습장치
JP2003219229A (ja) 携帯電話用デジタルカメラ
JP4793483B2 (ja)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457662B1 (ja) 写真プリント作成装置
JP404280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6227722A (ja) 写真撮影装置、および写真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