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479B1 - 루프 캐리어 - Google Patents

루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479B1
KR100844479B1 KR1020070093677A KR20070093677A KR100844479B1 KR 100844479 B1 KR100844479 B1 KR 100844479B1 KR 1020070093677 A KR1020070093677 A KR 1020070093677A KR 20070093677 A KR20070093677 A KR 20070093677A KR 100844479 B1 KR100844479 B1 KR 10084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ball bearing
channel
ball
cros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복
Original Assignee
(주)몰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몰드피아 filed Critical (주)몰드피아
Priority to KR102007009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크로스 바를 사이드 바를 따라 안정적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바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채널과 상기 채널에 양단이 결합되어 수평이동되는 크로스 바와 상기 크로스 바와 양단에 형성된 볼 지지구와 기 볼 지지구에 수용된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채널을 따라 수평이동될 때 상기 채널에 2지점에서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여, 크로스 바의 양단부에 형성된 볼 지지구에 볼 베어링을 결합시키되 사이드 바의 내측면에 형성에 채널에 2지점에 접촉되도록 하여 크로스 바가 상기 채널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볼 베어링의 구름 접촉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크로스바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동차 크로스 바 사이드 바 루프랙 루프캐리어 물품

Description

루프 캐리어{a roof carrier}
본 발명은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바의 채널을 따라 크로스 바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볼 베어링이 크로스바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자동차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수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에 장착되어 레저 스포츠용 물건은 물론 그 외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루프 캐리어가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루프캐리어(1)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상부(2)에 장착되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사이드 바(side bar)(10)와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10)와 연결된 크로스바(Cross bar)(20)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루프 캐리어에서 크로스바는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 간격을 조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는 사이드 바의 내측면에 형성된 채널을 따라 수평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이동 크로스 바를 사이드 바를 고정시키는 록킹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US 6,179,179호, US 5,715,980호 등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러한 선행 기술들은 수평 롤러를 크로스 바의 양단에 고정시키고, 수평 롤러가 채널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이동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수평이동되도록 제안한 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크로스 바(20)의 양단부에는 수평 롤러(22)가 결합되어, 사이드 바(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채널(1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록킹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핀(24)이 사이드 바(10)의 고정홈(12)에 결합되어 크로스 바(2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기술들은 사이드 바의 채널과 롤러가 일면에서만 접촉되어, 크로스 바가 채널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지 못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크로스 바를 이동시킬 때 과도한 힘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크로스 바를 사이드 바를 따라 안정적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조작자가 손쉽게 크로스 바를 이동시킬 수 있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는 물품을 자동차의 상부면에 지지하기 위한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루프 캐리어는 상기 자동차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바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채널과 상기 채널에 양단이 결합되어 수평이동되는 크로스 바와 상기 크로스 바와 양단에 형성된 볼 지지구와 상기 볼 지지구에 수용된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채널을 따라 수평이동될 때 상기 채널에 2지점에서 접촉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볼 지지구는 상기 크로스바의 단부에 반구 형상의 제1수용홈이 함몰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제1수용홈에 대응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되되, 상기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의 양측면이 개구되어, 삽입된 볼 베어링의 양측면부가 돌출되어 상기 채널에 각각 접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탄성 수단이 결합되어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에 안착된 볼 베어링을 탄성지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제2수용홈의 내측면에 형성된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과 볼 베어링 사이에 결합되는 접촉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는 상기 안착부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되, 상기 하부면에는 삽입구가 수직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는 크로스 바의 양단부에 형성된 볼 지지구에 볼 베어링을 결합시키되, 사이드 바의 내측면에 형성에 채널에 2지점에 접촉되도록 하여 크로스 바가 상기 채널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채널에 2지점을 따라 접촉되는 볼 베어링의 구름 접촉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크로스바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루프 캐리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종래의 루프 캐리어와 동일하게 상기 자동차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사이드 바가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채널에 크로스 바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또한, 크로스바를 사이드 바에 고정시키는 록킹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바(20)의 양단부에는 볼 지지구(30)가 형성되고, 상기 볼 지지구(30)에는 볼 베어링(40)이 수용된다.
상기 볼 베어링(40)은 크로스바와 동일한 합성 수지로 제작되거나,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 형태로 제작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시예에 따른 크로스바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지지구는 크로스바(20)의 단부에는 반구 형상의 제1수용홈(32a)이 함몰형성된 안착부(32)와 상기 제1수용홈(32a)에 대응되는 제2수용홈(34a)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32)에 결합되는 커버(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32)는 크로스 바(20)에 단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커버(34)와 결합을 통해 내부에 볼 베어링(4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커버(34)가 정확한 위치에서 안착부(32)에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부(32)에는 가이드 돌기(38)가 다 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34)의 하부면에는 삽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32) 및 커버(34)는 각각 볼트 체결공(36a, 36b)이 형성되어 볼트(36)를 통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징적으로, 상기 제1수용홈(32a) 및 제2수용홈(34a)은 양측면이 개구되어 삽입된 볼 베어링(40)의 양측면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크로스 바가 사이드 바에 결합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바와 크로스바의 결합을 도시하는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채널(14)에 크로스 바의 단부가 결합되면, 단부에 형성된 볼 지지구에 수용된 볼 베어링(40)은 커버(34)와 안착부(32)를 통해 양측면이 돌출된다.
여기서, 돌출된 양측면은 각각 채널(14)의 2지점(A,B)에 각각 접촉되어, 크로스 바가 구름접촉을 통해 채널(14)을 따라 수평이동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4)에는 볼 베어링(4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 수단(5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볼 베어링(40)을 탄성 지지하여 채널에 밀착시켜 크로스 바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2의 A_A'의 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와 커버의 결합 및 탄성 수단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32)의 제1수용홈(32a) 및 커버(34)의 제2수용홈(34a)에 수용된 볼 베어링(40)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수단은 상기 제2수용홈(34a)의 내측면에 형성된 함몰부(52)와 상기 함몰부(52)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54)과 상기 코일 스프링(54)과 볼 베어링(40) 사이에 결합되는 접촉핀(56a, 56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핀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용홈(34a)에 대응되는 형상의 가진 핀 형상(56a)으로 제작되거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56b)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54)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수단의 구체적인 결합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커버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공에 캡(58)을 결합시켜(볼팅 작업 등을 이용) 제2수용홈의 내주면에 함몰된 함몰부(52)를 형성시킨다. 상기 함몰부(52)에 코일 스프링(54)을 결합한 후 접촉핀(56a, 56b)를 결합시켜 상기 커버를 안착부에 결합시켜 볼 베어링의 외주면에 상기 접촉핀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볼 베어링과 채널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이 상승되지 않는 한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바의 이동 상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살펴본 탄성 수단을 통해 상기 볼 베어링은 탄성지지되므로 커버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밀착되고, 볼 베어링의 양측면부는 채널의 2지점과 밀착된다.
따라서, 크로스 바의 이동에 따라 볼 베어링은 채널의 2지점과 구름 접촉되면서 이동되므로, 크로스 바의 이동시 사용자가 적은 힘을 사용하더라도 볼 베어링을 통해 크로스 바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볼 베어링을 이용하여 크로스 바를 사이드 바의 채널 을 따라 이동되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루프 캐리어가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시예에 따른 크로스바를 도시하는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바와 크로스바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_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이드바 12: 고정홈
14: 채널 20: 크로스바
22: 수평 롤러 24: 고정핀
30: 볼 지지구
32: 안착부
32a: 제1수용홈
34: 커버
34a: 제2수용홈
36: 볼트
36a: 볼트 체결공
38: 가이드 돌기
40: 볼 베어링
50: 탄성 수단
52: 함몰부
54: 코일 스프링
56a:, 56b: 접촉핀
58: 캡

Claims (5)

  1. 삭제
  2. 물품을 자동차의 상부면에 지지하기 위한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루프 캐리어는,
    상기 자동차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바(10)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채널(14)과;
    상기 채널에 양단이 결합되어 수평이동되는 크로스 바(20)와;
    상기 크로스 바와 양단에 형성된 볼 지지구(30)와;
    상기 볼 지지구에 수용된 볼 베어링(40);으로 구성되되,
    상기 볼 지지구(30)는,
    상기 크로스바의 단부에 반구 형상의 제1수용홈(32a)이 함몰형성된 안착부(32)와;
    상기 제1수용홈(32a)에 대응되는 제2수용홈(34a)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32)에 결합되는 커버(34);로 구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32a) 및 제2수용홈(34a)의 양측면이 개구되어, 삽입된 볼 베어링(40)의 양측면부가 돌출되어 상기 채널(14)에 각각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4)는,
    탄성 수단이 결합되어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에 안착된 볼 베어링을 탄성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50)은,
    상기 제2수용홈의 내측면에 형성된 함몰부(52)와;
    상기 함몰부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54)과;
    상기 코일 스프링과 볼 베어링 사이에 결합되는 접촉핀(56a,56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4)는,
    상기 안착부에 볼트(36)를 이용하여 결합되되,
    상기 하부면에는 삽입구가 수직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38)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KR1020070093677A 2007-09-14 2007-09-14 루프 캐리어 KR10084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677A KR100844479B1 (ko) 2007-09-14 2007-09-14 루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677A KR100844479B1 (ko) 2007-09-14 2007-09-14 루프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479B1 true KR100844479B1 (ko) 2008-07-07

Family

ID=3982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677A KR100844479B1 (ko) 2007-09-14 2007-09-14 루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4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963A (ko) * 2004-04-20 2005-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963A (ko) * 2004-04-20 2005-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이동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101963호 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572A (en) Article carrier
US5281063A (en) Cargo bar lock assembly
US7789603B2 (en) Retractable tie down device
US9010713B2 (en) Seat track locking system for vehicle
US4701058A (en) Stopper mechanism of a linear motion rolling contact bearing assembly
US20040237252A1 (en) Retracting apparatus, drawer apparatus and sliding door apparatus
KR100677672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US20140167588A1 (en) Rail
CN101284505A (zh) 用于使装载物固定在输送机构中的装置
US7677520B2 (en) Longitudinal guide for an automotive vehicle seat
JP2019147551A (ja) スキーキャリアクランプ
CA2967423A1 (en) Carrier device capable of varying contact damping with pressured displacement
KR101704981B1 (ko) 모빌랙용 대차
CN108349409A (zh) 车用座椅滑动装置
US7807936B2 (en) Device for mounting a pedal switch to a vehicle
KR100844479B1 (ko) 루프 캐리어
WO1998039177A1 (en) Article carrier having cross member with rollers
JP6343022B2 (ja) ルーフラックアセンブリ、およびルーフラックアセンブリ用の固定機構
WO2010125863A1 (ja) 車両の荷物保持装置
KR100893554B1 (ko) 루프 캐리어
EP1733921B1 (en) Cargo securing device
JP4356112B2 (ja) 車両用荷受装置
KR100894514B1 (ko) 루프 캐리어
KR101338774B1 (ko)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KR100784342B1 (ko)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