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469B1 -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469B1
KR100844469B1 KR1020060136677A KR20060136677A KR100844469B1 KR 100844469 B1 KR100844469 B1 KR 100844469B1 KR 1020060136677 A KR1020060136677 A KR 1020060136677A KR 20060136677 A KR20060136677 A KR 20060136677A KR 100844469 B1 KR100844469 B1 KR 10084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trol rod
cylinder
ho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691A (ko
Inventor
조영갑
류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3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469B1/ko
Priority to AT07255058T priority patent/ATE556412T1/de
Priority to EP07255058A priority patent/EP1939890B1/en
Publication of KR2008006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G21C7/20Disposition of shock-absorbing devices ; Brak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2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comprising a hollow piston rod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원자로의 신속한 운전정지를 위한 제어봉의 자유낙하시, 적정한 낙하속도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낙하구간 종반에 발생하는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는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는, 원자로 노심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장착된 제어봉을 상기 원자로 노심에 삽입하기 위한 자유낙하시, 상기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된 수직형 메인 실린더; 상기 메인 실린더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실린더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피스톤; 상기 메인 피스톤을 통과하여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제어봉이 장착된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어봉의 낙하구간 종반에 상기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더욱더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 실린더 내측의 상기 메인 피스톤 하측에 배치된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자로의 신속한 운전정지를 위한 제어봉의 자유낙하시, 적정한 낙하속도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낙하구간 종반에 발생하는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낙하충격으로 인한 구조적인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장기수명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는다.
원자로, 노심, 제어봉, 낙하, 낙하충격, 완충, 완충수단, 완충부

Description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Apparatus for falling shock absorption of control rod of nuclear react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에서 피스톤 및 완충 피스톤에 피스톤 로드가 통과하여 고정설치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에서 완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완충부에서 피스톤 로드의 하강에 따른 완충 피스톤의 하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어봉 4 : 제어봉 구동장치
4a : 구동장치 케이스 10 : 고정 프레임
12 : 하부 고정대 14 : 상부 지지대
40 : 완충수단 42 : 메인 실린더
44 : 메인 피스톤 44a : 피스톤홀
44b : 볼트공 46 : 유량조절 부재
46a : 유량조절공 46b : 회전공
47 : 결합볼트 48 : 피스톤 로드
48a : 관통홀 48b : 로드공
49 : 결합핀 60 : 완충부
62 : 완충 실린더 62a : 실린더 하우징
62b : 실린더 덮개 62c : 조립핀
62d : 배출홀 62e : 걸림턱
63 : 볼트 63a : 관통공
64 : 완충 피스톤 65 : 실린더 라이너
66 : 탄성 부재 67 : 부쉬
68 : 완충 패드
본 발명은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로의 신속한 운전정지를 위한 제어봉의 자유낙하시, 적정한 낙하속도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낙하구간 종반에 발생하는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는 제어 봉 낙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에서는 제어봉을 원자로의 노심에 인입 및 인출함으로써, 핵연료의 반응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원자로 노심에 삽입되는 제어봉은 봉 형상을 이루어지며, 핵연료연소(핵분열반응)의 중개를 하는 열중성자를 흡수하기 쉬운 붕소 ·카드뮴 ·하프늄 등을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으로 피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봉은, 노심에 삽입되면 열중성자가 흡수되어 노의 반응도가 낮아지고, 이와 반대로 노심으로부터 빠지면 노의 반응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제어봉을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개략적인 세팅을 하여 원자로의 출력을 원하는 수치만큼 높이는 거친제어봉(shim rod), 노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정밀한 조정을 하는 운전봉,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노심에 투입하여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봉 등으로 나뉜다.
이때, 상기 제어봉은, 구동모터 또는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며, 노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멀리 위치한 운전실에서 원격조작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은 제어봉은, 원자로가 정지될 때 상기 원자로 노심에 신속하게 삽입하기 위해 자유낙하시키는데, 이러한 제어봉의 자유낙하시 낙하충격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어봉은 구조적으로 손상을 받을 위험이 있으며, 나아가 유지관리 측면에서 상기 손상 및 파손으로 인하여 제어봉의 사용기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원자로의 신속한 운전정지를 위한 제어봉의 자유낙하시, 적정한 낙하속도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낙하구간 종반에 발생하는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는, 원자로 노심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장착된 제어봉을 상기 원자로 노심에 삽입하기 위한 자유낙하시, 상기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된 수직형 메인 실린더; 상기 메인 실린더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실린더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피스톤; 상기 메인 피스톤을 통과하여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제어봉이 장착된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어봉의 낙하구간 종반에 상기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더욱더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 실린더 내측의 상기 메인 피스톤 하측에 배치된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메인 피스톤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홀과 대응되는 유량조절공을 가지며 상기 메인 피스톤 상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량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 로드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로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때, 상기 완충부는, 상기 메인 실린더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통과되며,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완충 실린더; 상기 완충 실린더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완충 피스톤; 및 상기 완충 피스톤과 상기 완충 실린더의 내측 하단부 걸림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피스톤에 대해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완충 실린더의 내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실린더 라이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상광하협되도록 테이퍼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 실린더의 내측 하면에는 완충 패드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에서 피스톤 및 완충 피스톤에 피스톤 로드가 통과하여 고정설치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는 전체적으로 원자로의 물속에 배치되며, 고정 프레임(10) 및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완충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제어봉(2)이 설치되어 연결되며, 원자로 노심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 프레임(10)은, 제어봉(2)이 원자로 노심에서 원하는 위치에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제어봉(2)이 상하운동하여 원자로 노심에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적정한 위치인 원자로 노심의 상측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완충수단(40)은,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장착된 제어 봉(2)을 상기 원자로 노심에 삽입하기 위한 자유낙하시, 상기 제어봉(2)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완충수단(40)은, 메인 실린더(42), 상기 메인 실린더(42) 내측에 배치된 메인 피스톤(44), 및 상기 메인 피스톤(44)을 통과하여 고정된 피스톤 로드(4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 실린더(42)는 수직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메인 피스톤(44) 및 밀폐된 하면을 통과하는 피스톤 로드(48)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메인 실린더(42)는 개구된 상면을 통해 물이 유입 및 유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인 실린더(42)는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되는데, 하부 고정대(12) 및 상부 지지대(14)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 고정대(12)는 메인 실린더(42)의 하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지지대(14)는 메인 실린더(42)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가이드 및 지지하는 구조로서, 상기 메인 실린더(42)가 통과하도록 원형의 홀을 가진 부재 또는 일측부가 개구된 원형의 고리 부재 등이 채택되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피스톤(44)은 메인 실린더(42)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실린더(42)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메인 피스톤(44)은 그 중심부를 피스톤 로드(48)가 통과하여 고정된다. 즉, 상기 피스톤 로드(48)는 메인 피스톤(44)을 통과하여 길게 형성되며, 메인 피스톤(44)에 결합핀(49)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때, 메인 피스톤(44)은, 메인 실린더(42)의 내주경보다 작은 내주경을 지님으로써 메인 실린더(42)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피스톤(44)과 메인 실린더(42)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이러한 틈으로 일정 정도의 물이 유통된다.
이와 같이 메인 피스톤(44)은, 제어봉(2)의 자유낙하시 함께 낙하하면서, 상기 메인 실린더(42)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일정 정도의 물이 배출됨으로써, 낙하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어봉(2)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40)은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메인 피스톤(44)에 피스톤홀(44a)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44a)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유량조절 부재(46)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피스톤(44)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홀(4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피스톤홀(44a)은 메인 피스톤(44)의 상측과 하측의 물이 서로 유통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피스톤홀(44a)은 메인 피스톤(44)의 원주방향과 상응하도록 호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유량조절 부재(46)는, 피스톤홀(44a)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홀(44a)과 대응되는 유량조절공(46a)을 가지며 메인 피스톤(44) 상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유량조절 부재(46)는 메인 피스톤(44)의 상면에 접하며, 메인 피스톤(44)의 피스톤홀(44a)과 형성위치적인 면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유량조절공(46a)을 지닌다. 아울러, 상기 유량조절공(46a)은 상기 피스톤홀(44a)과 상응하도록 호형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스톤(44)에는 볼트공(44b)이 형성되며, 유량조절 부재(46)에는 상기 볼트공(44b)과 대응되는 회전공(46b)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볼트(47)가 상기 볼트공(44b)과 회전공(46b)에 삽입하여 메인 피스톤(44)과 유량조절 부재(46)를 서로 접한 상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 부재(46)의 회전공(46b)은 상기 피스톤홀(44a)과 상응하도록 호형 형상을 지님으로써, 상기 결합볼트(47)가 삽입된 후 상기 유량조절 부재(46)를 회전시키면 결합볼트(47)가 회전공(46b)을 따라 일정정도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유량조절 부재(46)는 메인 피스톤(44)의 피스톤홀(44a)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 피스톤(44)과 유량조절 부재(46)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피스톤홀(44a)과 유량조절공(46a)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조절하여 제어봉(2)의 낙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봉(2)의 자유낙하시 제어봉(2)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 로드(48)는 원자로 운전시 제어봉(2)을 상하운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된 제어봉 구동장치(4)가 연결된다. 이때, 피스톤 로드(48)는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4)의 케이스(4a)와 결합핀(49)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피스톤 로드(48)는 메인 피스톤(44)을 통과하여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결합핀(49)에 의해 제어봉(2)이 결합된다. 이러한 피스톤 로드(48)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48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48a)과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로드공(48b)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로드공(48b)을 통한 물의 유입 및 배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봉(2)의 낙하시 즉, 피스톤 로드(48)의 하강시, 상기 로드공(48b) 중 메인 실린더(42) 내측에 형성된 것을 통해 상기 메인 실린더(42) 내측의 물이 피스톤 로드(48)의 관통홀(48a) 내부로 유입되고, 메인 실린더(42) 외측에 형성된 것을 통해 피스톤 로드(48)의 관통홀(48a)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로드공(48b) 중 하측에 형성된 것은 피스톤 로드(48)의 관통홀(48a)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것보다 지름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스톤 로드(48)에 로드공(48b)이 구성됨으로써, 제어봉(2)의 낙하시 즉, 피스톤 로드(48)의 하강시, 메인 실린더(42) 내측의 로드공(48b)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제어봉(2)의 낙하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제어봉(2)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에서 완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완충부에서 피스톤 로드의 하강에 따른 완충 피스톤의 하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수단(40)은, 메인 실린더(도 1의 42) 내측의 메인 피스톤(도 1의 44) 하측에 배치된 완충부(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60)는 메인 실린더(42) 내측에 배치된 완충 실린더(62), 및 상기 완충 실린더(62) 내측에 배치된 완충 피스톤(64)을 구비한다.
상기 완충 실린더(62)는 실린더 하우징(62a)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62a)의 상부에 조립핀(62c)에 의해 결합되는 실린더 덮개(6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완충 실린더(62)는, 메인 실린더(42)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48)가 통과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48)의 외주경보다 큰 외주경을 지님으로써 피스톤 로드(48)에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완충 실린더(62)의 실린더 덮개(62b)와 피스톤 로드(48)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이 러한 틈으로 일정 정도의 물이 유통된다.
아울러, 완충 실린더(62)의 실린더 하우징(62a)에는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홀(62d)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홀(62d)에는, 관통공(63a)을 가진 볼트(63)가 체결되는데, 지름이 다른 관통공(63a)을 가진 볼트를 교체하여 체결함으로써, 완충 실린더(62) 내측과 외부 사이의 물의 유통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완충 피스톤(64)을 따라 낙하하는 완충부(60)의 낙하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피스톤(64)은 완충 실린더(62)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48)가 통과되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완충 피스톤(64)과 완충 실린더(62)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이러한 틈으로 일정 정도의 물이 유통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66)는 완충 피스톤(64)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62a) 내측 하단부 걸림턱(62e)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피스톤(64)에 대해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탄성 부재(66)와 상기 걸림턱(62e) 사이에는 부쉬(67)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부쉬(67)는 피스톤 로드(48)와 실린더 하우징(62a) 사이의 배치됨으로써, 실린더 하우징(62a)의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피스톤 로드(48)의 상하운동을 가이드 지지한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66)는, 완충 피스톤(64)의 하강시 이를 탄성지지함으로써, 완충부(60)의 완충효과에 기여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60)는, 완충 실린더(62)의 내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실린더 라이너(65)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실린더 라이너(65)는 상광하협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지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완충부(60)는, 제어봉(2)의 낙하시 즉, 피스톤 로드(48)의 하강시, 완충 피스톤(64)이 상광하협되도록 테이퍼진 실린더 라이너(65)에 대해 하강함으로써, 완충 피스톤(64)과 실린더 라이너(65)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상기 간격으로 빠져나가는 물의 양이 줄어든다. 이러한 과정은 제어봉(2)의 낙하구간 종반에 이루어지는데, 이때의 제어봉(2)에 대한 완충효과는 증대된다.
한편, 상기 메인 실린더(42)의 내측 하면에는 완충 패드(68)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완충 패드(68)는 상기 완충 실린더(62)가 하강하여 메인 실린더(42)의 내측 하면에 부딪히는 경우,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는, 원자로 노심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장착된 제어봉을 상기 원자로 노심에 삽입하기 위한 자유낙하시, 상기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원자로의 신속한 운전정지를 위한 제어봉의 자유낙하시, 적정한 낙하속도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낙하구간 종반에 발생하는 제어봉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낙하충격으로 인한 구조적인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장기수명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원자로 노심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10); 및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장착된 제어봉(2)을 상기 원자로 노심에 삽입하기 위한 자유낙하시, 상기 제어봉(2)에 대한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4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된 수직형 메인 실린더(42);
    상기 메인 실린더(42)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실린더(42)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피스톤(44);
    상기 메인 피스톤(44)을 통과하여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제어봉(2)이 장착된 피스톤 로드(48); 및
    상기 제어봉(2)의 낙하구간 종반에 상기 제어봉(2)에 대한 낙하충격을 더욱더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 실린더(42) 내측의 상기 메인 피스톤(44) 하측에 배치된 완충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40)은,
    상기 메인 피스톤(44)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홀(44a)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홀(44a)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홀(44a)과 대응되는 유량조절공(46a)을 가지며 상기 메인 피스톤(44) 상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량조절 부재(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48)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48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48a)과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로드공(48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60)는,
    상기 메인 실린더(42)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48)가 통과되며,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홀(62d)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48)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완충 실린더(62);
    상기 완충 실린더(62)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48)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완충 피스톤(64); 및
    상기 완충 피스톤(64)과 상기 완충 실린더(62)의 내측 하단부 걸림턱(62e)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피스톤(64)에 대해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6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60)는,
    상기 완충 실린더(62)의 내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실린더 라이너(6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라이너(65)는 상광하협되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실린더(42)의 내측 하면에는 완충 패드(6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KR1020060136677A 2006-12-28 2006-12-28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KR10084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677A KR100844469B1 (ko) 2006-12-28 2006-12-28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AT07255058T ATE556412T1 (de) 2006-12-28 2007-12-27 Vorrichtung zur fallabsorption eines steuerstabes in einem kernkraftreaktor
EP07255058A EP1939890B1 (en) 2006-12-28 2007-12-27 Apparatus for falling-shock absorption of control rod of nuclear re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677A KR100844469B1 (ko) 2006-12-28 2006-12-28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691A KR20080061691A (ko) 2008-07-03
KR100844469B1 true KR100844469B1 (ko) 2008-07-07

Family

ID=3914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677A KR100844469B1 (ko) 2006-12-28 2006-12-28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939890B1 (ko)
KR (1) KR100844469B1 (ko)
AT (1) ATE556412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8110B (zh) * 2016-06-16 2018-04-24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反应堆控制棒驱动线缓冲结构
KR102568408B1 (ko) * 2016-12-30 2023-08-18 뉴스케일 파워, 엘엘씨 제어봉 감쇠 시스템
CN111816332B (zh) * 2020-07-01 2023-02-17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控制棒及高温气冷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0887A (en) 1959-07-01 1962-02-13 Gen Electric Linear motion-producing device and improved locking means therefor
US3378458A (en) 1965-10-19 1968-04-16 Gen Electric Nuclear reactor fuel element
US3654077A (en) 1967-06-26 1972-04-04 Gen Electric Nuclear reactor fuel element spac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2610A (en) * 1975-05-16 1978-04-04 Diamond Power Specialty Corporation Snubber assembly for a control rod drive
US4323427A (en) * 1979-09-10 1982-04-06 General Electric Company Deceleration buffer for hydraulic linear motion drive
FR2602903B1 (fr) * 1986-08-13 1988-12-02 Framatome Sa Barre absorbante a dispositif d'amortissement integre
FR2627319B1 (fr) * 1988-02-11 1990-07-27 Framatome Sa Mecanisme de commande a amortisseur pour barre absorbante de reacteur nuclea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0887A (en) 1959-07-01 1962-02-13 Gen Electric Linear motion-producing device and improved locking means therefor
US3378458A (en) 1965-10-19 1968-04-16 Gen Electric Nuclear reactor fuel element
US3654077A (en) 1967-06-26 1972-04-04 Gen Electric Nuclear reactor fuel element spa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9890A2 (en) 2008-07-02
EP1939890A3 (en) 2011-02-16
KR20080061691A (ko) 2008-07-03
EP1939890B1 (en) 2012-05-02
ATE556412T1 (de)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469B1 (ko) 제어봉 낙하 완충장치
KR101611647B1 (ko) 가압수형 원자로용 상측 내부 장치
CN106140789A (zh) 基于蒸汽爆破处理的大口径垃圾闪爆设备
JPH03137597A (ja) 制御棒案内・支持構造
CN210429321U (zh) 一种驱动机构功能试验装置
CN105972139B (zh) 一种减震器阻尼阀的制造方法
CN105761765A (zh) 一种实现反应堆控制棒缓冲功能的星形缓冲结构及其方法
US4019954A (en) Safety device for a nuclear reactor and especially a fast reactor
US4035230A (en) Shock buffer for nuclear control assembly
JP2014160079A (ja) スパイダー状の支持体を有する固定クラスタ、加圧水型原子炉の炉心、及び、核燃料集合体及び固定クラスタを備えた集合体
JPS60186783A (ja) 加圧軽水減速型増殖炉
CN104011801B (zh) 抗震强化组装体
KR102005676B1 (ko) 원자로 용기의 노즐 절단 장치
KR101057540B1 (ko) 일체형 원자로의 상부 구조물
JP4210108B2 (ja) 原子炉の制御棒駆動装置と原子炉炉心への制御棒の挿入方法
CN106276692B (zh) 一种飞机发动机安装车的升降组件
CN201764050U (zh) 重力阀
CN211136313U (zh) 一种工件支撑机构
CN218718808U (zh) 一种具有压力调控和限压功能的减压阀
US4961897A (en) Shock absorbing drive mechanism for nuclear reactor absorbing bars
KR20110087821A (ko) 원자로 제어봉구동장치용 완충장치
CN114317929A (zh) 一种轧辊淬火机床吊装器具
KR20130069423A (ko)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샤클
US4292132A (en) Hydraulically centered control rod
CN217842692U (zh) 一种使用寿命长的电动调节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