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347B1 -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347B1
KR100842347B1 KR1020060112198A KR20060112198A KR100842347B1 KR 100842347 B1 KR100842347 B1 KR 100842347B1 KR 1020060112198 A KR1020060112198 A KR 1020060112198A KR 20060112198 A KR20060112198 A KR 20060112198A KR 100842347 B1 KR100842347 B1 KR 10084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er
keypad
molding
form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074A (ko
Inventor
김장규
Original Assignee
김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규 filed Critical 김장규
Publication of KR2008001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29C59/04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for layered or coated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2581/3463Means for applying microwave reactive material to the package
    • B65D2581/3466Microwave reactive material applied by vacuum, sputter or vapor de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필름형의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템퍼가 분리 및 교체 가능한 롤러 타입의 금형에 의해 단위시간당 제품 생산량의 증대를 이루면서도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며, 간단히 스템퍼의 교체만으로 다른 종류의 미세 돌기를 갖는 다양한 키패드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복잡한 추가 공정 없이 한 공정 내에서 키패드 양면 모두에 원하는 미세돌기를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 성형장치는, 피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이 형성된 스템퍼를 외주면에 장착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키패드 제조방법의 경우, 미세 돌기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이 형성된 스템퍼를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하는 단계, 스템퍼 장착 롤러에 광학필름을 로딩하여 이송시키는 단계, 광학필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성형 패턴에 의한 미세 돌기를 성형하는 단계,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 성형된 광학필름을 재단하여 개개의 키패드로 재단하는 단계, 미세 돌기에 의한 반사율을 높이고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부가하기 위해 광학필름의 일측면에 진공증착 또는 스퍼터링 방식에 의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키패드, 스템퍼, 롤러, 자외선, 휴대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 제조 방법{APPARATUS FOR FORMING KEYPAD OF MOBILE 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KEYPA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템퍼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분리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성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템퍼를 스템퍼 장착롤러에 장착하는 일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템퍼를 마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양면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성형장치의 변형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성형롤러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분리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양면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성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성형장치의 변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의 제4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성형장치의 결합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템퍼 장착롤러 금형 110 : 스템퍼 장착롤러
110A : 제1부재 110B : 제2부재
113A,113B : 구속홈 120 : 결합부재
123 : 연결부 125A : 구속돌기
130 : 스템퍼 140 : 결합링
412 : 협소골 413 : 광역골
420 : 끼움부재 421 : 협소부
425 : 광역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사용되는 키패드 성형장치 및 키패드 제조방법에 관 한 것으로, 특히, 스템퍼가 분리 및 교체 가능한 롤러 타입의 금형에 의해 단위시간당 제품 생산량의 증대를 이루면서도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며, 간단히 스템퍼의 교체만으로 다른 종류의 미세 돌기를 갖는 다양한 키패드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잡한 추가 공정 없이 한 공정 내에서 키패드 양면 모두에 원하는 미세돌기를 성형할 수 있는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으로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입력수단인 키패드의 중요성도 날로 커지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키패드는 전통적으로 문자 또는 도형 등이 인쇄되는 다수의 키탑과 이들을 서로 연결하면서 하부에서 지지해주는 베이스가 별개의 개체로 만들어져 휴대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초슬림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키탑, 베이스 및 휴대단말기 본체(10)의 전면패널이 하나의 박판형태로 일체화된 구조체의 키패드(11)로 제작되고 있다. 이에 종래 기술에 의한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혹은 PC(Polycarbonate)를 사출하여 키패드를 제작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사출성형에 의한 제작방법은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극히 저조하고, 사출성형의 특성상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형 키패드와 같이 미세하게 돌출된 문자 혹은 미세 돌기를 갖는 키패드를 성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스테인리스 재질을 이용하여 키패드를 제작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가압프레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을 제작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비교적 높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스테인리스 재질의 가격이 고가에 형성되어 있고 정밀한 가공이 어려우며, 키패드의 형상에 따라서 금형이 다수 필요하게 되어 생산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자외선 경화를 이용하여 키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대부분 평판형 금형 위에서 미세 돌기를 직접 가공하거나, 스템퍼를 장착한 뒤 그 위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기재 필름을 상면에 올린 후 롤러를 이용하여 가압하면서 자외선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생산하는 가압 형태의 금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 역시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저조하고, 일정한 두께로 미세 구조체를 성형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가압시 과도한 하중으로 인해 금형 자체에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생산되는 제품의 불량률이 높고 정밀한 가공이 어려웠으며, 스템퍼의 문제로 인해 자외선 경화 수지가 금형 및 주변에 흘러내려 별도의 경화 수지층 제거 작업이 필요하였다. 더욱이 다른 형태의 키패드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금형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관계로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어야만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히 스템퍼 만을 교체하는 롤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 용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고 정밀한 미세 돌기를 형성할 수 있는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구조체를 가지는 키패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추가 공정 없이 한 공정 내에서 키패드 양면 모두에 원하는 개별적인 미세돌기를 성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템퍼가 결합되는 별도의 코어를 마련하고, 이 코어를 간단히 원통형 롤러에 장착 및 교체할 수 있는 롤러 타입의 키패드 성형장치를 제공하여 키패드 제작시 불량률을 낮추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는, 피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이 형성된 스템퍼를 외주면에 장착한 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피성형물은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성형 패턴에 의한 미세 돌기가 형성되는 경화형 수지이며, 그 결과물로서 키패드를 얻게 된다. 성형 패턴은 상기 경화형 수지와 접촉하여 미세돌기를 형성한 후 상기 경화형 수지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양각 부위의 경우 상협하광의 폭으로 형성되고, 음각 부위의 경우 상광하협의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스템퍼 장착 롤러는 축방향을 따라 양분된 제1부재와 제2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절단면 중 외주면과 접하는 일측 끝단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벌림 및 오므림 가능한 것으로 제공한다.
또한,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오므려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결합된 일측 끝단부 위의 반대편인 타측 끝단부위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타측 끝단부위 외주면은 축방향을 따라 평편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평편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나머지 외주면과 함께 동일한 곡률로 곡면을 이루는 외측면을 갖는 외측부를 구비한다.
또한,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그 절단면에서 요입된 구속홈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구속홈에 대응하여 끼워져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된 상태로 구속하는 구속돌기와, 상기 외측부와 상기 구속돌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부재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오므려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외측을 감싸 압박하는 환형의 결합링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스템퍼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감싸면서 그 양끝단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힌지결합된 일측 끝단부위의 반대편인 타측 끝단부위에 고정되되, 상기 스템퍼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1부재의 평편면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제2부재의 평편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스템퍼 장착 롤러는 외주면에서 요입되어 축방향 을 따라 형성된 끼움골을 갖고, 상기 끼움골에 끼워지는 끼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템퍼는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그 양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골과 끼움부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스템퍼는,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의 1회전시 피성형물로부터 동시에 다수의 결과물을 성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성형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미세 돌기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이 형성된 스템퍼를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에 광학필름을 로딩하여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학필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상기 성형 패턴에 의한 미세 돌기를 성형하는 단계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키패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의 성형 패턴과는 다른 성형 패턴을 갖는 별도의 추가 스템퍼 장착 롤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필름의 일측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도포되어 경화된 후, 상기 광학필름을 상기 추가 스템퍼 장착 롤러에 로딩하여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학필름의 반대편 타측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필름의 반대편 타측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광학필름의 양면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에서 성형패턴의 형성은, 상기 성형 패턴이 형성되기 전 밋밋한 상태의 기판에 감광제를 도포하여 감광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제층에 마스크 필름을 위치시킨 후 노광시켜 상기 감광제층에 성형패턴을 위한 예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 패턴이 형성된 감광제층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상에 바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디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예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직 노광 및 경사 노광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프리즘 형상, 재귀반사 형상, 다각형 형상의 패턴 등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층은 상기 금속층을 씨드층으로 이용한 전기도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바디층에는 한번에 다수의 키패드를 성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성형 패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템퍼에는 다수의 성형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된 광학필름을 재단하여 개개의 키패드로 재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는 축방향을 따라 양분되고 절단면의 일측 끝단부위가 힌지결합되어 상호 벌림 및 오므림 가능한 제1부재와 제2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템퍼를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에 장착하는 것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벌려진 상태에서 그 양끝단을 각각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힌지결합된 반대편인 타측 끝단부위에 고정하고, 이후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오므려 모은 다음 벌려지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 달성된다.
상기 광학필름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며, 상기 광학필름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가압되어 상기 광학필름의 캐비티(cavity)에 충진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미세구조의 표면을 갖는 경질 및 연질 세그먼트가 함유된 가교성의 올리고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올리고머 수지는 1000 내지 5000cps 점도 범위 내에 속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미세 돌기에 의한 반사율을 높이고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광학필름의 일측면에 진공증착 또는 스퍼터링 방식에 의하여 반사층을 형성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어 삽입 요홈이 외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롤러와; 상기 코어 삽입 요홈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스템퍼 결합 코어와;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패턴을 가지며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 외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스템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스템퍼 결합 코어는 상기 외측면이 상기 원통형 롤러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에 평편한 사각의 내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면과 수직하게 접하면서 상기 외측면에 연결되는 둘레면을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롤러는 상기 코어 삽입 요홈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스템퍼는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의 외측면에 용접하여 결합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어 삽입 요홈이 외주면에 요입되 어 복수개 형성된 원통형의 롤러와; 상기 코어 삽입 요홈에 삽입되어 안착 되며, 외측면에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이 상기 원통형 롤러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에 평평한 사각의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면과 수직하게 접하면서 상기 외측면에 연결되는 둘레면을 구비하는 코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원통형의 롤러와 상기 코어 삽입 요홈에 삽입된 상기 코어의 외측면을 감싸 압박하여 고정하는 환형의 결합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어 삽입 요홈에 삽입되는 스템퍼 결합 코어의 모서리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코어 삽입 요홈의 모서리에서 더 깊게 파져 형성된 걸림 방지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성형 패턴의 형성은, 성형 패턴이 형성되기 전 밋밋한 상태의 성형패턴 형성면에 감광제를 도포하여 감광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제층에 마스크 필름을 위치시킨 후 노광시켜 상기 감광제층에 성형패턴을 위한 예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 패턴이 형성된 감광제층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상에 바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디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는, 피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이 형성된 스템퍼를 외주면에 장착한 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공되며, 스템퍼는 롤러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밀착하여 부착된 상태로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성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템퍼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분리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성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단, 첨부된 도면들에는 스템퍼 장착롤러(110)의 회전축이 생략되는 등 각 구성요소들이 간략화되어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성형장치는 스템퍼 장착롤러(110)와 스템퍼(130, stamper)로 이루어진 스템퍼 장착롤러 금형(100)을 기술적 요부로 하고 있다. 이를 중심으로 살펴본 본 발명의 개략적은 구성은 원통형의 스템퍼 장착롤러(110)의 외주면(111C,111D)에 박판형 스템퍼(130)가 밀착되게 장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원통형의 스템퍼 장착롤러(110)는 스템퍼(130)의 장착을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분할된 제1부재(110A) 및 제2부재(110B)로 이루어져 벌림 및 오므림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와 스템퍼(1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태를 갖고, 전술된 것처럼 축방향을 따라 양분된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 이들을 안정적으로 결합시켜주는 결합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가 축방향을 따라 양분되었다함은 마치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의 직경과 일치하게 날을 세운 칼날을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가면서 절단한 것과 같은 형태로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가 분할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의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접할 때 원통형이 되는 대략 반원형 기둥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는 각각 서로 대향하여 접하는 내측의 절단면(111A,111B)과, 곡면으로 형성된 외측의 외주면(111C,111D)을 갖고, 상기 절단면(111A,111B)과 외주면(111C,111D)이 만나는 2개의 경계부위 중 한 곳이 상기 결합부재(120)와의 결합을 위한 평편면(111E,111F)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는 서로 접촉하는 절단면(111A,111B)의 일측 끝단부위간에 힌지결합된 힌지결합 축(113)을 갖는다. 상기 힌지결합 축(113)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회전하면서 그 반대편인 타측 끝단부위간에 넓게 벌려지거나 오므려 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상기 힌지결합 축(113)을 중심으로 벌려지면 마치 꽃봉오리가 활짝 핀 것과 같이 힌지결합축(1113)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 끝단부위 사이가 가장 크게 벌어진다. 반면에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상기 힌지결합 축(113)을 중심으로 오므려지면 꽃봉오리가 오므려진 것처럼 상기 타측 끝단부위가 모아진다. 그러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절단면(111A,111B)간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모습을 회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힌지결합 축(113)은 상기 롤러(110A,110B)의 외주면(111C,111D)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곳에 위치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외주면(111C,111D)에서 요입된 간섭방지홈(111G)이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그 안쪽에 힌지결합 축(113)이 설치된다.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는 그 외주면(111C,111D)에 사각형태로 요입된 구속홈(113A,113B)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모아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120)의 구속돌기(125A)가 상기 구속홈(113A,113B)에 동시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결합된 상태에서 벌어지지 않도록 구속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20)의 구속돌기(125A)가 상기 구속홈(113A,113B)에 끼워지면 상기 결합부재(120)의 나머지 부분이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좋다.
상기 결합부재(120)는 분할된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를 결합시켜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외측부(121)와, 연결부(123)와, 구속부(125)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120)의 외측부(121)는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평편면(111E,111F)을 채워 덮으면서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를 묶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재(120) 외측부(121)는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평편면(111E,111F)이 형성된 부위를 채우면서, 그 외측면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나머지 외주면(111C,111D)과 동일 곡면을 이룬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20)의 구속부(125)는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에 형성된 구속홈(113A,113B)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3)는 상기 외측부(121)와 구속부(125)를 연결한다. 상기 결합부재(120)의 구속부(125)는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를 모아져 결합된 상태로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결합부재(120)의 구속부(125)가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구속홈(113A,113B)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상기 힌지결합 축(113)을 중심으로 벌어지려는 경향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20)에 의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결합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결합부재(120)는 본 발명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며, 이 경우 변형된 결합부재(12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역시 일부 변형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변형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기로 하겠다.
상기 스템퍼(130)는 스템퍼 장착롤러(110)의 외주면(111C,111D)을 따라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광학필름으로부터 키패드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템퍼(130)는 키패드의 양각 또는 음각으로 성형된 경계라인, 도형 등을 몰딩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양각 및 음각(131A,131B)의 성형 패턴(131)을 갖는 몰딩면(133)을 구비한다. 상기 성형 패 턴(131)은 하나의 키패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스템퍼(130)의 몰딩면(133)에는 이러한 성형 패턴(131)이 다수 구비된다. 이로써 스템퍼 장착롤러(110)가 1회전할 때마다 다수의 키패드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스템퍼(130)에 성형 패턴(131)이 2행 2열로 총 4개 형성되어 있으며 스템퍼 장착롤러(110)가 회전할 때마다 동시에 4개의 키패드 분량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템퍼(130)에 형성된 성형 패턴(131)은 도 3을 참조할 수 있듯이 양각(131A) 부위의 경우 상협하광, 즉 상측으로 갈수록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한편 음각(131B) 부위의 경우 상광하협 즉, 상측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단, 여기서 상측과 하측은 스템퍼 장찰롤러(110)를 기준으로 그 외측방향을 상측으로 내측방향을 하측으로 하였다. 이처럼 상기 스템퍼(130)의 성형 패턴(131)이 양각(13A) 및 음각(131B) 부위에 따라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면 도 4를 참조할 수 있듯이 광학필름(F)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와 접촉하여 미세 돌기를 성형한 후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P)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고품질의 미세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키패드를 매우 빠른 속도로 생산할 수 있는 롤러 타입의 금형구조를 가지면서도, 스템퍼 장착롤러(110) 자체에 성형 패턴(131)을 형성하지 않고 성형 패턴(131)을 구비하고 있는 박판형 스템퍼(130)를 스템퍼 장착롤러(110)에 장착하는 독특한 구성에 의해 롤러 타입의 금형구조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템퍼 장착롤러(110) 자체에 성형 패턴(131)을 형성해야 하는 난해한 작업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또한, 지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손상되는 부위를 교체 가능한 스템퍼(130)로 제한할 수 있게 되어 전체 금형을 교체해야 하는 비용상, 작업상의 비효율을 막을 수 있다(물론, 롤러 타입의 금형이기 때문에 스템퍼 장착롤러(110)에 장착된 스템퍼(130)와 광학필름과의 접촉 및 분리시 서로간에 손상이나 충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스템퍼(130)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템퍼를 스템퍼 장착롤러에 장착하는 일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스템퍼(130)를 스템퍼 장착롤러(110)에 장착하기 위해, 우선 도 6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를 힌지결합 축(11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벌려 놓는다. 이후, 상기 스템퍼(130)를 구부린 상태로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외측편을 감싸도록 하여 그 양끝단(135A,135B)을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평편면(111E,111F)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힌지결합 축(113)을 중심으로 벌어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외주면간의 곡률이 줄어들면서 그 외측을 감싸는 스템퍼(130)의 폭이 여유 있게 느슨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템퍼(130)의 양끝단(135A,135B)을 상기 평편면(111E,111F)에 고정하기가 수월하다.
이후, 상기 스템퍼(130)의 양끝단(135A,135B)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평편면(111E,111F)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를 힌지결합 축(11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오므린다. 그러면 도 7과 같이 상기 스템퍼(130)가 상기 제1부재(110A) 및 제2부재(110B)의 외주면(111C,111D)에 팽팽하게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스템퍼(130)의 양끝단(135A,135B)을 리벳(135C)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후, 도 8과 같이 결합부재(120)를 사용하여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힌지결합 축(113)의 반대편인 타측 끝단부위를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결합부재(120)를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구속돌기(125A)를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에 형성된 구속홈(113A,113B)에 끼워 삽입시켜나간다. 이렇게 해서 상기 결합부재(120)의 구속돌기(125A)가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구속홈(113A,113B)에 완전히 끼워져 삽입되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는 오므려져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9와 같이 체결볼트(120C)를 사용하여 상기 결합부재(120)의 외측부(121), 스템퍼(130)의 양끝단(135A,135B),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평편면(111E,111F)간을 체결한다. 이로써 상기 스템퍼(130)가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단, 상기 체결볼트(120C)에 의한 체결은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 결합부재(120), 스템퍼(130)간의 결합을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기 위한 선택사항이다. 왜나하면 이들간의 결합은 이미 상기 결합부재(12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120C)나 상기 결합부재(120)에 형성된 상기 체결볼트(120C)의 체결공 등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20)에 더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를 더욱 안정적으로 오므려 결합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환형의 결합링(140)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환형의 결합링(140)은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오므려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120), 제1부재(110A) 및 제2부재(110B)의 외측을 감싸 압박한 상태로 끼워진다. 상기 결합링(140)은 고무와 같이 신축 가능한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라면 적당하고, 신축 가능하지 않은 소재라 하더라도 내경 치수만 정확하다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결합링(140)이 끼워지는 자리에는 상기 결합부재(120), 제1부재(110A) 및 제2부재(110B)로 이루어지는 외경의 크기를 약간 정도 줄여서 상기 결합링(140)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결합링(140)의 결합까지 이루어지면 도 10과 같이 스템퍼(130)가 스템퍼 장착롤러(110)에 완전히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그 상태를 장기간에 키패드를 성형하는 작업 중에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분할된 구조를 갖는 스템퍼 장착롤러(110)에 의해 스템퍼(130)를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으며, 교체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20',120'')는 변형전과 같이 구속부(125)와 연결부(123)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의 경우는 변형전 결합부재(120')의 구속부(125)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고, 도 12의 경우에는 변형전 결합부재(120'')의 구속부(125)와 연결부(123)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처럼 상기 결합부재의 구속부(125)와 연결부(123)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리벳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를 모아 오므린 상태로 결합시키는데 어려움은 없다.
계속해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단,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템퍼를 마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우선,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방법은 스템퍼 장착롤러 준비단계(S10), 스템퍼 준비단계(S20), 스템퍼 장착단계(S30), 광학필름 로딩단계(S40), 자외선 경화형 수지 도포단계(S50), 자외선 경화형 수지 경화단계(S60), 광학필름 재단단계(S70) 및 반사층 형성단계(S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 준비단계(S10)에서는, 이미 전술된 것처럼 축방향을 따라 양분되고 서로 접촉하는 절단면(111A,111B)의 일측 끝단부위가 힌지결합되어 상호 벌림 및 오므림 가능한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로 이루어진 스템퍼 장착롤러(110)를 준비한다.
상기 스템퍼 준비단계(S20)에서는, 성형 패턴(131)이 형성된 스템퍼(130)가 준비되며, 상기 스템퍼(130)를 제조하는 일련의 방법은 도 14와 같이, 희생막 형성단계(S31), 감광제층 형성단계(S32), 예비 패턴 형성단계(S33), 금속층 형성단계(S34), 바디층 형성단계(S35), 바디층 분리단계(S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희생막 형성단계(S31)에서는, 기판상에 노광에서 제거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희생막을 형성한다.
상기 감광제층 형성단계(S32)에서는,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희생막상에 감광제를 도포하여 감광제층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광제를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예비 패턴 형성단계(S33)에서는, 상기 감광제층상에 마스크 필름을 위치시킨 후 자외선 혹은 엑시머 레이저 등과 같은 빛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조사되도록 각도 조절을 통해 노광 공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수직 노광, 경사 노광을 선택적으로 실시하여 프리즘 형상, 재귀반사 형상, 다각형 형상, 미세하게 돌출된 문자, 상기 문자의 이형각도(taper angle) 등의 패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같은 노광 공정은 필요에 따라 빛의 조사각을 변화시키면서 수차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감광제층에 키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131)을 광학필름에 성형할 수 있도록 예비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층 형성단계(S34)에서는, 상기 감광제층에 형성된 예비 패턴을 따 라 금속층을 형성한다.
상기 바디층 형성단계(S35)에서는, 키패드의 성형을 위한 몰딩면(133)으로 사용될 금속 바디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층을 씨드층으로 하여 전기 도금법으로 금속을 도금한다. 참고로 전기 도금법은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이온을 석출시켜 소정의 두께로 증착하는 증착방법의 하나로서, 양극에는 도금시킬 금속타켓을, 음극에는 도금될 제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양극에서의 용해와 음극에서의 금속이온을 석출시키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원하는 두께의 금속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바디층 분리단계(S36)에서는, 상기 기판상에 존재하는 감광제를 현상액으로 현상한 후 기판에서 바디층을 분리한다. 이로써 성형장치의 스템퍼(130)로서 사용될 성형 패턴(131)을 갖는 바디층을 얻게 된다. 이로써 상기 스템퍼 준비단계(S20)가 완료된다.
계속해서, 상기 스템퍼 장착단계(S30)는, 이미 전술된 것처럼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힌지결합 축(11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벌려진 상태에서 스템퍼(130)의 양끝단(135A,135B)을 각각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의 평편면(111E,111F)이 있는 타측 끝단부위에 고정하고, 이후 상기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를 오므려 모은 다음 벌려지지 않도록 결합부재(120)에 의해 결합시키는 것으로 달성한다.
상기 광학필름 로딩단계(S40)에서는, 성형 패턴(131)을 갖는 스템퍼(130)가 장착된 스템퍼 장착롤러(110)에 광학필름(F0, 도 15 참조)을 로딩하여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15를 참조하면, 성형 전 광학필름(F0)을 스템퍼 장착롤러(110)과 스템퍼 장착롤러(110)와 마주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보조롤러(201,202)와 이송롤러(203,204)에 의해 이송시킨다.
상기 광학필름 로딩단계(S40)에서 로딩되는 광학필름(F0)은 PC(Polycarbonate) 재질의 필름이 사용된다. PC 필름의 경우 경제적이며,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인장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키패드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그 두께가 0.1 내지 2[mm] 일 때에도 경질의 스템퍼(130) 표면 전체에 형성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올리고머 조성물층을 이동시키기 충분한 강도와 가용성(flexibility)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학필름(F0)의 재질로는 PC필름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광학필름으로 사용 가능한 재질은 셀롤로오즈 아세테이트(celluloseacet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온에이트(celluloseacetate propionayte), 폴리에테르 술폰(polyester sulfon), PMMA(poly methylmethacrylate), 박형 유리, 박형 금속 및 종이 등이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도포단계(S50)에서는, 상기 광학필름(F0)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성형 패턴(131)에 의한 미세 돌기를 성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스템퍼(130) 표면에 고르게 투입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스템퍼(130) 표면에 고르게 투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투입되는 유량 및 유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상기 스템퍼(130)의 표면에 투입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는 로딩되어 상기 스템퍼(130)와 접촉하는 광학필름(F0) 일측 표면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광학필름(F0) 표면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는 상기 광학필름(F0)이 스템퍼 장착롤러(110)와, 스템퍼 장착롤러(110)와 마주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보조롤러(201)의 사이를 지날 때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가압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P)가 상기 광학필름(F0)에 존재하는 캐비티(cavity)에 원활하게 충진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P)는 미세구조의 표면을 갖는 경질 및 연질 세그먼트가 함유된 가교성의 올리고머 조성물이면 적당하다. 상기 올리고머 조성물은 미세한 캐비티에 대한 충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1000 내지 5000cps 점도 범위 내, 좀 더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cps 점도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어야 한다. 만일 상기 1000 내지 5000cps 점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기포가 포획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지고 흐름성이 불량하게 되어 상기 캐비티를 완벽히 채우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적정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올리고머 수지의 전체 당량 중량(반응성 작용기 1개당 중량)이 너무 낮아지기 때문에 자외선 경화가 진행되면서 수축이 심하게 발생되어 원하는 형상을 얻는데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높아진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경화단계(S60)에서는, 상기 광학필름(F0) 표면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에 자외선 램프(30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경화하게 된다. 이로써 전단계(S50)에서 상기 광학필름(F0) 표면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에 형성된 미세 돌기가 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미세 돌기라 함은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창 출할 수 있는 프리즘 형상, 재귀반사 형상, 다각형 형상 등과 함께 문자 및 기호 등의 미세 돌기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 재단단계(S70)에서는, 다수의 성형 패턴에 의해 성형되어진 광학필름(F1)을 개개의 것으로 재단한다.
상기 반사층 형성단계(S80)에서는, 상기 재단된 광학필름 표면에 형성된 미세 돌기에 의한 반사율을 높이고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재단된 상기 광학필름(F1)의 일측면에 반사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 공정은 진공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혹은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은 방식에 의해 형광물질, 생삭원하는 소재를 광학필름(F1)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입힌다.
이같은 공정 전에 상기 재단된 광학필름(F1)을 원하는 모양으로 재단하여 구분홈을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구분홈 중 일부는 제외하고 나머지 일부를 채우는 재질층을 삽입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110)를 회전시키면서 소망하는 미세돌기를 정밀하게 형성시킨 키패드를 보다 빠른 속도로 다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생산된 키패드는 후공정을 거쳐 키패드 어셈블리의 형태로 제품화된다. 참고로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다수의 키(버튼)들을 구비하고 있는 키패드와, 소정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지면서 돔 스위치에 의한 회로기판과의 접점을 이루도록 하는 러버 재질인 돔스위치시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추가로 상기 키패드의 키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구분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돔스위치시트에 결합되는 장식용 구분체를 더 포 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간단한 추가 구성을 통해 광학필름(F0) 양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도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상의 변화는 도 15와 도 16을 비교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즉, 광학필름(F0) 양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도포하여 경화하는 내용의 도 16을 살펴보면 도 15와는 달리 스템퍼 장착롤러(110)와 자외선 램프(301)가 각각 두 군데에 걸쳐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개의 스템퍼 장착롤러(110)에 로딩되어 접촉하는 광학필름(F0)의 접촉면을 서로 다르게 하여 광학필름(F0)의 후면(130B)과 전면(130A) 모두에 순차적으로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도포하여 경화시키 수 있도록 하였다. 이같은 광학필름(F0)의 양면 성형구조에서는 광학필름(F0) 후면(130B) 전체에 빛의 반사를 통해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프리즘 형상, 재귀반사 형상 등의 배경적인 미세 돌기(131C)를 형성하고, 전면(130A)에는 문자나 도안 등의 부분 영역 미세 돌기(131A)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전술된 반사층 형성단계(S80)에서와 같이 성형된 광학필름(F2)의 후면(130B)에 반사물질이나 형광물질 또는 다양한 색상의 도료 등을 전체 또는 부분에 코팅하면 상기 배경적인 미세돌기(131B)로 인한 효과를 키패드의 전면에서도 두드러지게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간단한 구성상의 변경만으로 별도의 공정없이 한 공정 내에서 양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도포되어 미세 돌기가 형성된 광학필름(F2)을 얻을 수 있다.
도면 도 17은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성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이 성형장치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스템퍼 장착롤러가 분할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형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410)는 분할되지 않은 원통형의 한 몸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그 외주면에는 요입된 형태이 끼움골(412,413)이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골(412,413)은 얕은 부위에 형성된 협소골(412)과 상기 협소골(412)로부터 연장되어 깊은 부위에 형성된 광역골(413)의 두 부위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협소골(412)보다 광역골(413)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또한, 변형 전 결합부재(120)에 대응하는 끼움부재(420)가 구비된다. 상기 끼움부재(420)는 상기 끼움골(412,413)에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스템퍼 장착롤러(410)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바(bar) 형태의 몸체를 갖는다. 상기 끼움부재(420)는 상기 끼움골(412,413)의 협소골(412)에 부합되는 좁은 사각단면의 협소부(421)와, 상기 끼움골(412,413)의 광역골(413)에 부합되는 넓은 사각단면의 광역부(4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역부(425)는 양편으로 끼움돌기(425A)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골(412,413)의 광역골(413)에 밀착하여 끼워진다.
한편, 상기 스템퍼(430)는 상기 스템퍼 장착롤러(4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그 양끝단(435)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골(412,413)의 협소골(412)과 끼움부재(420)의 협소부(421)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구성을 갖는 성형장치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단순한 구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첨부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성형롤러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분리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제조용 성형장치는 지금까지의 평판 타입의 금형 구조를 탈피하고, 휴대단말기 키패드 제조를 위해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롤러 타입 금형 구조를 갖고 있는 성형롤러(100)를 제시한다.
이를 중심으로 살펴본 본 발명의 구성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성형롤러(100)의 외주면에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패턴(131)이 형성된다. 상기 성형 패턴(131)은 키패드의 양각 또는 음각으로 성형된 경계라인, 도형 등을 몰딩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양각 및 음각(131A,131B)으로 형성된다. 상기 성형 패턴(131)은 하나의 키패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몰딩면이 되는 상기 성형롤러(100)의 외주면에는 이러한 성형패턴(131)이 다수 구비된다. 이로써 성형롤러(100)가 1회전할 때마다 다수의 키패드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성형롤러(100)의 외주면에 2행 2열로 총 4개의 성형패턴(131)이 형성되면 성형롤러(100)가 1회전할 때마다 동시에 4개의 키패드 분량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성형롤러(100) 외주면에 형성된 성형 패턴(131)은 도 19를 참조할 수 있듯이 양각(131A) 부위의 경우 상협하광, 즉 상측으로 갈수록 좁은 폭으로 형성되 고 하측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한편 음각(131B) 부위의 경우 상광하협 즉, 상측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단, 여기서 상측과 하측은 성형롤러(100)를 기준으로 그 반경방향의 외측방향을 상측으로 내측방향을 하측으로 하였다. 이처럼 상기 성형 패턴(131)이 양각(13A) 및 음각(131B) 부위에 따라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면 도 20을 참조할 수 있듯이 광학필름(F)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와 접촉하여 미세 돌기를 성형한 후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P)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고품질의 미세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키패드를 매우 빠른 속도로 생산할 수 있는 롤러 타입의 금형구조를 가지면서도, 성형롤러(100) 자체에 성형 패턴(131)을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종래의 평판 타입의 금형구조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평판 타입의 금형구조와 같이 면과 면이 대향하여 끊임없이 접촉을 반복하는 방식에 의해 충격 및 하중이 장치와 피성형물(광학필름(F))에 그대로 전달되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성형물(광학필름(F))과의 접촉 및 분리시 서로간에 손상이나 충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종래 평판 타입의 금형으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생산할 때 50%대에 이르던 불량률을 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방법을 설명한 다.
첨부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또한,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양면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우선,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방법은 성형롤러 준비단계(S10), 광학필름 로딩단계(S20), 자외선 경화형 수지 도포단계(S30), 자외선 경화형 수지 경화단계(S40), 광학필름 재단단계(S50) 및 반사층 형성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형롤러 준비단계(S10)에서는, 이미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내구성이 있는 소재로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기판 상에 성형패턴(13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성형패턴(131)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의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즉, 희생막 형성단계, 감광제층 형성단계, 예비 패턴 형성단계, 금속층 형성단계, 바디층 형성단계, 바디층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희생막 형성단계에서는, 기판에서 노광에 의해 제거되는 재료를 사용하여 희생막을 생성한다. 상기 희생막은 노광에 의해 제거되므로 상기 바디층 분리단계에서 상기 바디층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상기 감광제층 형성단계에서는, 노광 공정에 의해 소정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상기 희생막 상에 감광제를 도포하여 감광제층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광제를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예비 패턴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감광제층상에 마스크 필름을 위치시킨 후 자외선 혹은 엑시머 레이저 등과 같은 빛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조사되도록 각도 조절을 통해 노광 공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수직 노광, 경사 노광을 선택적으로 실시하여 프리즘 형상, 재귀반사 형상, 다각형 형상, 미세하게 돌출된 문자, 상기 문자의 이형각도(taper angle) 등의 패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같은 노광 공정은 필요에 따라 빛의 조사각을 변화시키면서 수차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노광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감광제층을 불용화처리하고 상기 감광제층에 현상액을 투입하여 에칭한다. 즉, 감광제층의 비노광 영역이 노광 영역보다 빨리 용해되어 에칭됨으로써 일정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감광제층에 키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131)을 광학필름에 성형할 수 있도록 예비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층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감광제층에 형성된 예비 패턴을 따라 금속층을 형성한다.
상기 바디층 형성단계에서는, 키패드의 성형을 위한 몰딩면으로 사용될 금속 바디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층을 씨드층으로 하여 전기 도금법으로 금속을 도금한다. 참고로 전기 도금법은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이온을 석출시켜 소정의 두께로 증착하는 증착방법의 하나로서, 양극에는 도금시킬 금속타켓을, 음극에는 도금될 제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양극에서의 용해와 음극에서의 금속이온을 석출시키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원하는 두께의 금속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바디층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조광 공정에 의해 희생막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바디층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로써 성형롤러(100)의 성형 패턴(131)을 갖는 바디층을 얻게 된다. 이로써 상기 성형롤러 준비단계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 패턴(131) 형성을 위해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거치지 않고 성형롤러(100)의 외주면에 직접 절삭 등의 가공을 하는 간단한 방법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 단계들을 거치는 것이 보다 정밀한 성형 패턴(131)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필름 로딩단계(S20)에서는, 성형 패턴(131)을 갖는 성형롤러(100)에 광학필름(F0, 도 22 참조)을 로딩하여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22를 참조하면, 성형 전 광학필름(F0)을 각 성형롤러(100)에 마주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보조롤러(201,202)와 이송롤러(203,204)에 의해 이송시킨다.
상기 광학필름 로딩단계(S20)에서 로딩되는 광학필름(F0)은 PC(Polycarbonate) 재질의 필름이 사용된다. PC 필름의 경우 경제적이며,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인장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키패드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그 두께가 0.1 내지 2[mm] 일 때에도 경질의 스템퍼(130) 표면 전체에 형성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올리고머 조성물층을 이동시키기 충분한 강도와 가용성(flexibility)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학필름(F0)의 재질로는 PC 필름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광학필름으로 사용 가능한 재질은 셀롤로오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온에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yte), 폴리에테르 술폰(polyester sulfon),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박형 유리, 박형 금속 및 종이 등이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도포단계(S30)에서는, 상기 광학필름(F0)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성형 패턴(131)에 의한 미세 돌기를 성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성형롤러(100)의 외주면 표면에 고르게 투입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성형롤러(100) 표면에 고르게 투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투입되는 유량 및 유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상기 성형롤러(100)의 표면에 투입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는 로딩되어 상기 성형롤러(100)와 접촉하는 광학필름(F0) 일측 표면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광학필름(F0) 표면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는 상기 광학필름(F0)이 성형롤러(100)와, 성형롤러(100)와 마주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보조롤러(201)의 사이를 지날 때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의 가압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P)가 상기 광학필름(F0)에 존재하는 캐비티(cavity)에 원활하게 충진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P)는 미세구조의 표면을 갖는 경질 및 연질 세그면트가 함유된 가교성의 올리고머 조성물이면 적당하다. 상기 올리고머 조성물은 미세한 캐비티에 대한 충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1000 내지 5000cps 점도 범위 내, 좀 더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cps 점도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어야 한다. 만일 상기 1000 내지 5000cps 점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기포가 포획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지고 흐름성이 불량하게 되어 상기 캐비티를 완벽히 채우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적정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올리고머 수지의 전체 당량 중량(반응성 작 용기 1개당 중량)이 너무 낮아지기 때문에 자외선 경화가 진행되면서 수축이 심하게 발생되어 원하는 형상을 얻는데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높아진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경화단계(S40)에서는, 상기 광학필름(F0) 표면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에 자외선 램프(30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경화하게 된다. 이로써 전단계(S30)에서 상기 광학필름(F0) 표면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P)에 형성된 미세 돌기가 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미세 돌기라 함은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프리즘 형상, 재귀반사 형상, 다각형 형상 등과 함께 문자 및 기호 등의 미세 돌기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 재단단계(S50)에서는, 다수의 성형 패턴에 의해 성형되어진 광학필름(F1)을 개개의 것으로 재단한다.
상기 반사층 형성단계(S60)에서는, 상기 재단된 광학필름 표면에 형성된 미세돌기에 의한 반사율을 높이고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재단된 상기 광학필름(F1)의 일측면에 반사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 공정은 진공증착(PVD, PhysicalVapor Deposition) 혹은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은 방식에 의해 형광물질 등의 원하는 소재를 광학필름(F1)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입힌다.
이같은 공정 전에 상기 재단된 광학필름(F1)을 원하는 모양으로 재단하여 구분홈을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구분홈 중 일부는 제외하고 나머지 일부를 채우는 재질층을 삽입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성형롤러(100)를 회전시키면서 소망하는 미세돌기를 정밀하게 형성시킨 키패드를 보다 빠른 속도로 다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생산된 키패드는 후공정을 거쳐 키패드 어셈블리의 형태로 제품화된다. 참고로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다수의 키(버튼)들을 구비하고 있는 키패드와, 소정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지면서 돔 스위치에 의한 회로기판과의 접점을 이루도록 하는 러버 재질인 돔스위치 시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추가로 상기 키패드의 키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구분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돔스위치 시트에 결합되는 장식용 구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간단한 추가 구성을 통해 광학필름(F0) 양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도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상의 변화는 도 22와 도 23을 비교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즉, 광학필름(F0) 양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도포하여 경화하는 내용의 도 23을 살펴보면 도 22와는 달리 성형롤러(100)와 자외선 램프(301)가 각각 두 군데에 걸쳐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개의 성형롤러(100)에 로딩되어 접촉하는 광학필름(F0)의 접촉면을 서로 다르게 하여 광학필름(F0)의 후면(130B)과 전면(130A) 모두에 순차적으로 자외선 경화형 수지(P)를 도포하여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같은 광학필름(F0)의 양면 성형구조에서는 광학필름(F0) 후면(130B) 전체에 빛의 반사를 통해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프리즘 형상, 재귀반사 형상 등의 배경적인 미세 돌기(131C)를 형성하고, 전면(130A)에는 문자나 도안 등의 부분 영역 미세 돌기(131A)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전술된 반사층 형성단계(S80)에서와 같이 성형된 광학필름(F2)의 후 면(130B)에 반사물질이나 형광물질 또는 다양한 색상의 도료 등을 전체 또는 부분에 코팅하면 상기 배경적인 미세돌기(131B)로 인한 효과를 키패드의 전면에서도 두드러지게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간단한 구성상의 변경만으로 별도의 공정없이 한 공정 내에서 양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도포되어 미세 돌기가 형성된 광학필름(F2)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첨부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성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단, 첨부된 도면들에는 롤러의 회전축이 생략되는 등 각 구성요소들을 간략화하여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성형장치(10)는 원통형의 롤러(100)의 외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코어 삽입 요홈(110)에 간단히 장착 및 교체할 수 있는 스템퍼 결합 코어(200)를 기술적 요부로 하고 있으며 원통형의 롤러(100)와 스템퍼 결합 코어(200)와 스템퍼(300)를 포함하는 롤러 금형과, 부가적으로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에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를 고정할 수 있는 환형의 결합링(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중심으로 살펴본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는 외주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삽입 요홈(110)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 삽입 요홈(110)에 상기 스템퍼(300)가 결합된 스템퍼 결합 코어(200)가 삽입되어 안착 된다.
또한, 안착 된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와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의 외측면을 감싸 압박하는 환형의 결합링(400)이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 양끝단에 끼워져 있다.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와 스템퍼 결합 코어(200)와 스템퍼(300)와 환형의 결합링(400)의 구성을 기술적 요부인 스템퍼 결합 코어(200)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는 상기 외측면이 상기 원통형 롤러(10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에 평편한 사각의 내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면과 수직하게 접하면서 상기 외측면에 연결되는 둘레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는 상기 코어 삽입 요홈(110)에 벌어지는 간격 없이 밀착되게 끼워질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는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흔들림 없이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할 수 있어 기존의 평판형의 스템퍼로 작업할시 충격에 의한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의 외측면에는 성형 패턴을 갖는 상기 스템퍼(300)가 밀착되게 결합된다.
상기 스템퍼(300)와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의 결합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를 지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는 사각의 평편한 하면과 이와 수직하게 접하는 둘레면이 형성되어 있어 원통형의 롤러에 비하여 고정하기가 훨씬 용이하다.
이런 다음 상기 지그에 고정된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에 상기 스템퍼(300)가 결합 되는 위치를 정한다.
이후 평편한 형태의 상기 스템퍼(300)를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의 외측면에 맞대어 놓고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의 외측면과 같은 곡률을 가진 곡면을 가지도록 천천히 가압한다.
그런 다음,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스템퍼(300)의 테두리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와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스템퍼(300)를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결합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작업자가 다수개의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에 상기 스템퍼(300)를 동시에 각각 용접하여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템퍼(300)는 스템퍼 장착 코어(200)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게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광학필름으로부터 키패드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템퍼(300)는 키패드의 양각 또는 음각으로 성형 된 경계라인, 도형 등을 몰딩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양각 및 음각의 성형 패턴을 갖는 몰딩면을 구비한다.
상기 성형 패턴은 하나의 키패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스템퍼(300)의 몰딩면에는 이러한 성형 패턴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성형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희생막 형성단계, 감광제층 형성단계, 예비 패턴 형성단계, 금속층 형성단계, 바디층 형성단계, 바디층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희생막 형성단계에서는, 성형패턴 형성면에 노광에서 제거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희생막을 형성한다.
상기 감광제층 형성단계에서는, 성형패턴 형성면에 위에 형성된 상기 희생막 상에 감광제를 도포하여 감광제층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광제를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예비 패턴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감광제층상에 마스크 필름을 위치시킨 후 자외선 혹은 엑시머 레이저 등과 같은 빛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조사되도록 각도 조절을 통해 노광 공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수직 노광, 경사 노광을 선택적으로 실시하여 프리즘 형상, 재귀반사 형상, 다각형 형상, 미세하게 돌출된 문자, 상기 문자의 이형각도(taper angle) 등의 패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같은 노광 공정은 필요에 따라 빛의 조사각을 변화시키면서 수차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감광제층에 키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을 광학필름에 성형할 수 있도록 예비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층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감광제층에 형성된 예비 패턴을 따라 금속층을 형성한다.
상기 바디층 형성단계에서는, 키패드의 성형을 위한 몰딩면으로 사용될 금속 바디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층을 씨드층으로 하여 전기 도금법으로 금속을 도금한다. 참고로 전기 도금법은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이온을 석출시켜 소정의 두께로 증착하는 증착방법의 하나로서, 양극에는 도금시킬 금속타켓을, 음극에는 도금될 제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양극에서의 용해와 음극에서의 금속이온을 석출시키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원하는 두께의 금속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바디층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기판상에 존재하는 감광제를 현상액으로 현상하고 기판에서 바디층을 분리한다. 이로써 성형장치의 스템퍼(300)로서 사용될 성형 패턴을 갖는 바디층을 얻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스템퍼(300)는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의 축방향을 따라 2개의 성형 패턴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가 장착되는 원통형의 롤러(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태를 갖고, 전술된 것처럼 외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코어삽입 요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 삽입 요홈(110)의 형상은 4각의 평편한 하면을 가지고 상기 평편한 하면과 수직하게 접하는 전, 후, 좌, 우의 둘레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의 삽입면이 삽입되어 안착 될 수 있도 록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코어 삽입 요홈(110)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의 모서리가 삽입시 상기 코어 삽입 요홈(110)의 모서리 부분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삽입 요홈(110)의 모서리 부분을 더 깊게 파진 형태의 걸림 방지홈(1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4개의 코어 삽입요홈(1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에 구비된 4개의 상기 코어 삽입 요홈(110)에 4개의 동일한 형상패턴을 가진 상기 스템퍼(300)가 결합 된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를 장착하면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는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외주면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스템퍼 결합 코어(200)가 장착된 하나의 원통형의 롤러(100)는 1회전할 때마다 8개의 동일한 키패드를 성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목적에 따라 다른 성형패턴을 가진 스템퍼(300)들을 각각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에 장착하여 다양한 형상의 키패드들을 성형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와 상기 스템퍼(300)는 용접에 의해 결합 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바람직하므로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와 상기 스템퍼(300)는 용접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동시에, 상기 스템퍼(300)는 지속적으로 광학 필름을 가압하여 키패드를 성 형하여야 하므로 내구성 또한 뛰어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와 상기 스템퍼(300)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는 상기 코어 삽입 요홈(110)이 구비되어 있어 전술된 바와 같이 용접으로 결합된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와 스템퍼(300)가 상기 코어 삽입 요홈(110)에 끼움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환형의 결합링(400)에 의해 고정되므로 재질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따라서, 금속 재료 계열부터 플라스틱 재료 계열 중 자유롭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또는 내부는 금속 재료로 만들며 외부를 플라스틱 재료 계열 또는 합성수지 재료 계열로 감싼 형태와 같이 자유롭게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는 가볍고,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을 주재질로 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환형의 결합링(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환형의 결합링(400)은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에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가 삽입되어 안착 된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와 상기 스템퍼 결합코어(200)의 외측을 감싸 압박하는 상태로 끼워진다.
상기 환형의 결합링(400)은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의 끝단에서 상기 원통 형의 롤러(100)에 삽입되어 안착 된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의 끝단 일부를 감싸 압박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환형의 결합링(400)은 고무와 같이 신축 가능한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라면 적당하고, 신축 가능하지 않은 소재라 하더라도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의 외측을 감싸 압박할 수 있는 정도의 내경 치수를 가지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와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에 상기 환형의 결합링(400)이 끼워지는 부분은 외경의 크기를 약간 정도 줄여서 상기 환형의 결합링(400)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환형의 결합링(400)이 표출되어도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와 마주 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보조 롤러가 상기 원통형 롤러의 양 끝단에 끼워진 환형의 결합링(400) 사이에서 상기 원통형 롤러(100)와 맞물리게 되므로 작업시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처럼 상기 환형의 결합링(400)이 끼워지면 도 25와 같이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와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는 완전히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그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키패드를 성형하는 작업 중에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를 상기 환형의 결합링(400)을 통하여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으며, 교체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성형장치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성형장치의 변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은 코어 삽입 요홈이 외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롤러와 상기 코어 삽입 요홈에 삽입되어 안착 되는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같이 구성되는 변형례에서는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패턴이 코어의 외측면에 직접 성형되어 있는 성형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500)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어가 원통형의 롤러(100)에 장착되는 독특한 기술적 사상에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전술된 제 3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원통형의 롤러(1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코어 삽입 요홈(110)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상기 코어(500)의 외측면에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돌기가 직접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코어(500)의 외측면에 직접 성형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어(500)의 외측면에 스템퍼(130)를 결합하기 위하여 용접을 하여야 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키패드를 매우 빠른 속도로 생산할 수 있는 롤러 타입의 금형구조를 가지면서도, 롤러 자체에 성형 패턴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스템퍼를 직접 상기 원통형의 롤러에 직접 결합하지 않고 성형 패턴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스템퍼(300)를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200)에 결합한 후 상기 원통형의 롤러에 장착하는 독특한 구성에 의해 롤러 타입의 기존의 금형구조가 가지는 장점에 더 보완하여 키패드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손상되는 스템퍼 결합 코어(2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실시예 4]
첨부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의 제4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성형장치의 결합 형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30)는, 원통형의 롤러(600)의 외주면에 피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710)이 형성된 스템퍼(700)를 부착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스템퍼(700)는 하나의 쉬트(sheet)로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롤러(600)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그 표면에 밀착되게 부착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610’은 ‘롤러축’이다.
이상 설명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는 그 구성이 더욱 간단해지고 제작도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 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롤러 타입의 금형구조에 의해 단위시간당 제품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되어지는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템퍼 장착롤러로부터 스템퍼를 교체할 수 있는 독특한 구성에 의해 롤러 타입의 금형이 갖는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히 스템퍼의 교체만으로 다른 형태의 미세 돌기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키패드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템퍼 장착롤러의 분할 구조에 의해 스템퍼의 장착 및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램프의 광강도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농도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키패드의 미세 돌기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 수지의 특성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원하는 물성으로 키패드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템퍼의 성형 패턴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미세 돌기를 성형한 후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다 정밀한 미세 돌기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C 또는 PET 필름 위에 제작이 가능하므로 가교성이 우수한 키패드를 제작하는 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벌도의 복잡한 구성을 추가할 필요 없이 추가적인 간단한 구성만으로 한 공정 내에서 키패드의 양면을 구분하여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키패드 제조하는 경우, 롤러 타입의 금형구조에 의한 기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스템퍼가 결합된 코어에 의해 롤러에 스템퍼의 장착과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롤러로부터 부분적으로 손상된 스템퍼 결합 코어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롤러에 직접 스템퍼를 결합하지 않아 원통형 롤러의 제작 재질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4)

  1. 삭제
  2. 피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이 형성된 스템퍼를 외주면에 장착한 스템퍼 장착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피성형물은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성형 패턴에 의한 미세 돌기가 형성되는 경화형 수지이며, 그 결과물로서 키패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패턴은 상기 경화형 수지와 접촉하여 미세돌기를 형성한 후 상기 경화형 수지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양각 부위의 경우 상협하광의 폭으로 형성되고, 음각 부위의 경우 상광하협의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는, 축방향을 따라 양분된 제1부재제2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제2부재는 절단면 중 외주면과 접하는 일측 끝단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벌림 및 오므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제2부재는 오므려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결합된 일측 끝단부 위의 반대편인 타측 끝단부위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제2부재의 타측 끝단부위 외주면은 축방향을 따라 평편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평편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부재제2부재의 나머지 외주면과 함께 동일한 곡률로 곡면을 이루는 외측면을 갖는 외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제2부재는 그 절단면에서 요입된 구속홈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구속홈에 대응하여 끼워져서 상기 제1부재제2부재를 결합된 상태로 구속하는 구속돌기와, 상기 외측부와 상기 구속돌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제1부재제2부재는 오므려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 제1부재제2부재의 외측을 감싸 압박하는 환형의 결합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10.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는 상기 제1부재제2부재를 감싸면서 그 양끝단이 상기 제1부재제2부재의 힌지결합된 일측 끝단부위의 반대편인 타측 끝단부위에 고정되되, 상기 스템퍼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1부재의 평편면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제2부재의 평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는 외주면에서 요입되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끼움골을 갖고, 상기 끼움골에 끼워지는 끼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템퍼는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그 양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골과 끼움부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12. 제 2항 내지 제 9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는,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의 1회전시 피성형물로부터 동시에 다수의 결과물을 성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성형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13.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미세 돌기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패턴이 형성된 스템퍼를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스템퍼가 장착된 스템퍼 장착 롤러에 광학필름을 로딩하여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학필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상기 성형 패턴에 의한 미세 돌기를 성형하는 단계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의 성형 패턴과는 다른 성형 패턴을 갖는 별도의 추가 스템퍼 장착 롤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필름의 일측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도포되어 경화된 후, 상기 광학필름을 상기 추가 스템퍼 장착 롤러에 로딩하여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학필름의 반대편 타측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필름의 반대편 타측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광학필름의 양면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에서 성형패턴의 형성은,
    상기 성형 패턴이 형성되기 전 밋밋한 상태의 기판에 현상액에 의해 현상되는 감광제를 도포하여 감광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제층에 마스크 필름을 위치시킨 후 노광시켜 상기 감광제층에 성형패턴을 위한 예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 패턴이 형성된 감광제층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상에 바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디층을 상기 기판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직 노광 및 경사 노광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프리즘 형상, 재귀반사 형상, 다각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층은 상기 금속층을 씨드층으로 이용한 전기도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층에는 한번에 다수의 키패드를 성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성형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19.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에는 다수의 성형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광학필름을 재단하여 개개의 키패드로 재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20.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는 축방향을 따라 양분되고 절단면의 일측 끝단부위가 힌지결합되어 상호 벌림 및 오므림 가능한 제1부재제2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템퍼를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에 장착하는 것은, 상기 제1부재제2부재가 벌려진 상태에서 그 양끝단을 각각 상기 제1부재제2부재의 힌지결합된 반대편인 타측 끝단부위에 고정하고, 이후 상기 제1부재제2부재를 오므려 모은 다음 벌려지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21.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22.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상기 성형 패턴의 캐비티(cavity)로 충진되도록 가압되는 것에 의해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23.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미세구조의 표면을 갖는 경질 및 연질 세그먼트가 함유된 가교성의 올리고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 수지는 1000 내지 5000cps 점도 범위 내에 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2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에 의한 반사율을 높이고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광학필름의 일측면에 진공증착 또는 스퍼터링 방식에 의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26. 코어 삽입 요홈이 외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롤러와;
    상기 코어 삽입 요홈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스템퍼 결합 코어와;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패턴을 가지며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 외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스템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는 상기 외측면이 상기 원통형 롤러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에 평편한 사각의 내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면과 수직하게 접하면서 상기 외측면에 연결되는 둘레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롤러는 상기 코어 삽입 요홈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는 상기 스템퍼 결합 코어의 외측면에 용접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30. 코어 삽입 요홈이 외주면에 요입되어 복수개 형성된 원통형의 롤러와;
    상기 코어 삽입 요홈에 삽입되어 안착 되며, 외측면에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이 상기 원통형 롤러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에 평평한 사각의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면과 수직하게 접하면서 상기 외측면에 연결되는 둘레면을 구비하는 스템퍼 결합 코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31. 제 26항 또는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롤러와 상기 코어 삽입 요홈에 삽입된 상기 코어의 외측면을 감싸 압박하여 고정하는 환형의 결합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32. 제 26항 또는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삽입 요홈에 삽입되는 스템퍼 결합 코어의 모서리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코어 삽입 요홈의 모서리에서 더 깊게 파져 형성된 걸림 방지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33. 제 26항 또는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패턴의 형성은,
    성형 패턴이 형성되기 전 밋밋한 상태의 성형패턴 형성면에 현상액에 의해 현상되는 감광제를 도포하여 감광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제층에 마스크 필름을 위치시킨 후 노광시켜 상기 감광제층에 성형패턴을 위한 예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 패턴이 형성된 감광제층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상에 바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디층을 상기 성형패턴 형성면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3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퍼는 상기 스템퍼 장착 롤러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KR1020060112198A 2006-08-23 2006-11-14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제조 방법 KR100842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9961 2006-08-23
KR1020060079961 2006-08-23
KR20060097209 2006-10-02
KR1020060097207 2006-10-02
KR20060097207 2006-10-02
KR1020060097209 2006-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74A KR20080018074A (ko) 2008-02-27
KR100842347B1 true KR100842347B1 (ko) 2008-06-30

Family

ID=3938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198A KR100842347B1 (ko) 2006-08-23 2006-11-14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06B1 (ko) * 2008-01-10 2010-01-15 주식회사 하이디스 키패드 제작용 금형 및 그 금형이송장치
KR20110070471A (ko) 2009-12-18 2011-06-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반사 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그리고 반사 방지 필름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마스터 필름
KR101381756B1 (ko) * 2012-03-21 2014-04-07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696A (ko) * 2001-11-05 2003-05-16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용 엠보싱형성방법과 그장치 및 이에 따른 후면기판을 지니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1938B1 (ko) 2006-10-13 2007-10-31 주식회사 에이앤피 테크 키패드 제조방법 및 제조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696A (ko) * 2001-11-05 2003-05-16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용 엠보싱형성방법과 그장치 및 이에 따른 후면기판을 지니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1938B1 (ko) 2006-10-13 2007-10-31 주식회사 에이앤피 테크 키패드 제조방법 및 제조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74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280C (zh) 一种喷墨打印机打印头用的喷嘴板
EP1120668A2 (en) Method for forming a planar microlens array and a planar microlens array obtained thereby
EP1803542A1 (en) Contact lens production
US6257547B1 (en) Mold assembly for forming ophthalmic lens
KR100842347B1 (ko)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제조 방법
US20130052294A1 (en) Molding tool with a three dimensional surface relief patter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1909864A (zh) 用于形成包括眼科器件在内的生物医学器件的浇注模具
CN1296191C (zh) 制造具有带实用微结构的主曲面的模制件的方法
CN113613444B (zh) 壳体、其制备方法及电子设备
TWI335474B (en) Mass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guide plate
CN1708727A (zh) 形成模具嵌入物和模具的光刻方法
JP2015510656A (ja) 導光板のドット、導光板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JP2018513401A (ja) 部分的再帰反射体ツール及びシートを形成する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20010080671A (ko) 광 안내부 상에 광 추출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CN1110212A (zh) 隐形眼镜的制备方法及设备
JP2006164877A (ja) フィルム導光板とその製造方法
US20050136153A1 (en) Mold apparatus and method
KR101185055B1 (ko) 미세패턴 형성용 소프트 몰드
US2011026034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of keypad
JP6395301B2 (ja) テスト用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EP0869488A2 (en) Bonded optical disk
WO2020169692A1 (en) Method for printing an optical component
KR100936923B1 (ko) 유브이 전사를 이용한 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JPH09311204A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TWI248551B (en) Method of producing micro-lens array sheet in screen for true projectio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