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898B1 - 회전식 오일댐퍼 - Google Patents

회전식 오일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898B1
KR100841898B1 KR1020070051726A KR20070051726A KR100841898B1 KR 100841898 B1 KR100841898 B1 KR 100841898B1 KR 1020070051726 A KR1020070051726 A KR 1020070051726A KR 20070051726 A KR20070051726 A KR 20070051726A KR 100841898 B1 KR100841898 B1 KR 10084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il damper
hole
spac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훈
박정욱
최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Priority to KR102007005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898B1/ko
Priority to PCT/KR2008/000994 priority patent/WO200814702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인 감쇠 성능을 발휘하며, 회전 위치에 따라 감쇠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오일댐퍼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오일댐퍼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하부에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밀폐공간을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리된 밀폐공간들 사이를 연통시키는 유로홀이 형성된 댐핑부; 상기 구획부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댐핑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밀폐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고정부재;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정적인 감쇠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회전 위치에 따라 감쇠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51726
점성유체, 댐퍼, 샤프트, 블레이드

Description

회전식 오일댐퍼{Rotation Type Oil Damp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오일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회전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종 방향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Ⅰ-Ⅰ선 절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회전 샤프트의 회전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회전식 오일댐퍼 110: 하우징
114: 결합홀 116: 스토퍼
120: 커버 122: 연결홀
124: 체결홀 126: 체결부재
130: 회전 샤프트 132: 고정부재
134: 접촉링 136: 관통홀
137: 제1관통부 138: 제2관통부
140: 구획부 142: 내측홈
150: 댐핑부 152: 블레이드
154: 유로홀 156: 제1연통홀
158: 제2연통홀 160: 구동부
162: 장착홈 172: 씰링부재
174: 와셔 A: 밀폐공간
B: 블레이드 회전궤적 C: 수용공간 내면
본 발명은 회전식 오일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인 감쇠 성능을 발휘하며, 회전 위치에 따라 감쇠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오일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덮개, 뚜껑 등을 개폐하는 과정에서는 회전력을 제어하여 도어나 덮개 등이 급격하게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식 댐퍼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회전식 댐퍼는 크게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탄성부재 방식과, 점성유체를 사용하여 감쇠력을 부여하는 점성유체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탄성부재 방식은 감쇠력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모두에 대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만 감쇠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채용할 수 없으며, 사용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약해져서 감쇠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점성유체 방식을 사용하는 회전식 오일댐퍼는 하우징의 내부에 점성유체를 채우고, 상기 하우징에서 회전하는 밸브가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가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밸브 상에는 점성유체가 통과하는 유체 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점성유체의 유동에 의한 저항에 의해 감쇠력을 얻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회전식 오일댐퍼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414520호나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422594호 등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회전식 오일댐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 회전식 오일댐퍼는 점성유체의 밀폐 및 회전에 의한 감쇠력을 얻기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작원가가 고가이며, 오일댐퍼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져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데 있어 많은 제약이 있었다.
둘째, 종래 오일식 댐퍼는 하우징 내부에서 완벽한 밀폐구조를 이루지 못하고, 하우징 내의 점성유체가 외부로 유출됨으로 인해 사용 정도에 따라 점차 감쇠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성유체의 외부 누출에 의하여 오일댐퍼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오일댐퍼는 적용대상에 따라 회전 정도에 따라 감쇠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 오일댐퍼는 하우징 내의 밸브는 일률적인 감쇠력을 받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감쇠력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점성유체가 유동하는 유체통로가 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비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감쇠력이 일정 지점에 집중하기 때문에, 오일댐퍼가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유체통로가 존재하는 곳에서만 집중적으로 감쇠력이 발생하여, 축회전하는 밸브의 회전구조가 불안정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된 회전식 오일댐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성유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감쇠 성능을 나타내는 회전식 오일댐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위치에 따라 회전 위치에 따라 감쇠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오일댐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에서 일정 부분에 감쇠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회전식 오일댐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하부에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밀폐공간을 분리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리된 밀폐공간들 사이를 연통시키는 유로홀이 형성된 댐핑부 및 상기 구획부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댐핑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부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의 단면 반지름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단면 반지름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과 상기 블레이드와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로홀은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제작상 더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댐핑부의 몸체에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밀폐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댐핑부의 몸체에서 상기 점성유체 유입홀의 상측에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밀폐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은 제1관통부 및 상기 제1관통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2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의 제1관통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를 사이를 차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과의 씰링을 위한 씰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구획부의 외측면을 따라 끼워지는 접촉 링(ring)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댐핑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도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블레이드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오일댐퍼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오일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회전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종 방향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오일댐퍼(100)는, 크게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120) 및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회전 샤프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 샤프트(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와 달리 하우징(110)의 외부 형상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착하려고 하는 대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장착 대상물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며,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0)이 장착 대상물에 삽입되거나 하우징(110)의 외측에 외부 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장착 대상물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연장된 결합부(112)가 형성되어, 결합부(112) 상의 결합홀(112a)을 통해 외부 장치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체결홀(124)에 체결부재(126)를 삽입하여 하우징(110)의 결합홀(114)에 체결함으로써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20)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삽입되는 회전 샤프트(130)와 외부의 장치가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샤프트(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버(120)에 형성된 연결홀(122)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 샤프트(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채워지는 점성유체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감쇠력을 이에 구조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장치에 전달하게 한다.
상기 회전 샤프트(130)는 구체적으로 구획부(140), 댐핑부(150) 및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구획부(140)는 수용공간의 측면과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용공간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수용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획부(140)의 하부에는, 구획부(140)와 하우징(110)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공간(A) 내에는 점성유체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구획부(140)와 수용공간 측면간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획부(140)의 외측면에는 접촉 링(ring)형태의 씰링부재(172)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구획부(140) 상에는 씰링부재(172)의 장착을 위한 내측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댐핑부(150)는 구획부(140)의 하측에 제공되고, 밀폐공간(A)을 분리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52)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52)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블레이드(152)를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일정 부분에 감쇠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댐핑부(150)는 단일의 블레이드로 구성하거나, 세 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마다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리된 밀폐공간(A)들 사이를 연통시키는 유로홀(15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52) 각각에 유로홀(15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에 따른 유로홀(154)은 블레이드(152)의 하단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댐핑부(150)가 하우징(110)과 접촉한 상태에서 이러한 유로홀(154)을 통해 점성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152)의 하단에 유로홀(154)을 형성하는 것이 제작상 보다 유리하지만, 이와 달리 블레이드(152)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는 형태로 유로홀(154)을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유로홀(154)에는 밀폐공간(A)에 채워진 점성유체가 흐르게 되며, 유로홀(154)을 통한 점성유체의 유동에 의한 저항에 의해 감쇠력을 얻게 된다.
상기 회전 샤프트(130)의 내부에는 관통홀(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댐핑부(150)의 몸체에는 관통홀(136)과 밀폐공간(A)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156)과 제2연통홀(158)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연통홀(156)은 상기 댐핑부(150)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제2연통홀(158)은 상기 제1연통홀(156)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연통홀(156)과 제2연통홀(158)을 구비함으로써, 관통홀(136) 을 통해 점성유체를 주입하게 되면, 점성유체가 제1연통홀(156)을 경유하여 밀폐공간(A)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점성유체의 주입에 따라 밀폐공간(A) 내부의 공기는 제2연통홀(158)을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홀(136)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제1관통부(137) 및 제2관통부(138)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관통부(137)가 제2관통부(138)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제1관통부(137)상에는 고정부재(132)가 삽입 고정되며, 이러한 고정부재(132)의 조립에 의해 제1관통부(137)와 제2관통부(138)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관통홀(136)을 따라 밀폐공간(A)에 채워진 점성유체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2)와 제1관통부(137) 사이에는 밀폐력 향상을 위한 접촉링(134)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60)는 상술한 구획부(140) 및 댐핑부(1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댐핑부(150)와 함께 회전하며, 외부의 장치가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내측에 장착홈(16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160)의 끝단부는 상기 커버(120)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하므로, 상기 커버(120)와 구동부(160) 사이에는 와셔(washer; 17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샤프트(130)를 구성하는 구획부(140), 댐핑부(150) 및 구동부(160)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여 상호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결합에 의해 회전 샤프트(13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점성유체의 밀폐와 토크 전달을 위한 강도 등을 고려하여 재질 및 결합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회전식 오일댐퍼(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회전 샤프트(130)의 구획부(140)에 씰링부재(172)를 장착하고, 씰링부재(172)가 장착된 회전 샤프트(130)를 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한다.
이때, 회전 샤프트(130)는 수용공간의 바닥까지 삽입하여, 회전 샤프트(130)의 끝단 즉, 댐핑부(150)의 끝단이 수용공간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와셔(174)를 하우징(110)과 커버(120) 사이에 끼운 상태로, 커버(120)를 하우징(110)에 맞춘다.
그런 다음, 커버(120)와 하우징(110)을 네 개의 체결부재(126)에 의해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된 하우징(110), 회전 샤프트(130) 및 커버(120) 조립체에, 점성유체를 주입한다.
점성유체는 커버(120)의 연결홈을 통해, 상기 회전 샤프트(130)의 관통홀(136)로 주입한다.
이렇게 주입된 점성유체는 제2관통부(138)과 제1관통부(137)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1연통홀(156)을 통해 구획부(140)와 하우징(110)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A) 내로 유입되다.
이때, 점성유체가 유입되면서, 밀폐공간(A)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2연통홀(158)을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밀폐공간(A)으로 점성유체를 주입한 다음, 접촉링과 고정부재(132)를 순차적으로 관통홀(136)의 제1관통홀(137)에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식 오일댐퍼(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상술한 회전식 오일댐퍼(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오일댐퍼(100)의 하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회전 샤프트(130)의 회전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는, 하우징(11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11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16)는 회전 샤프트(130)의 댐핑부(150)와 접촉되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52)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116)도 이에 대응하여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오일댐퍼(100)는 상기 수용공간의 단면 반지름이 블레이드(15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즉, 수용공간의 단면은 정확한 원이 아니라, 블레이드(152)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률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수용공간의 단면 반지름이 블레이드(15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수용공간의 측면과 블레이드(152)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즉, 블레이드(152)의 회전궤적(B)과 수용공간 내면(C)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수용공간 내면(C)이 블레이드(15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블레이드(152)의 회전궤적(B)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6a에서와 같이, 블레이드(152)보다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이 더 크기 때문에, 점성유체가 블레이드(152)와 수용공간의 측면 사이로 유동하게 되어 감쇠력이 작다.
하지만, 블레이드(152)가 회전하면서 점차적으로 하우징(110)의 수용공간과 블레이드(15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점차적으로 감쇠력이 커지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각도가 증가하면서 점차적으로 압력이 과도하게 걸리게 되면, 댐핑부(150)의 하단과 하우징(110)의 바닥이 밀착된 상태에서 유로홀(154)을 통해 점성유체가 반대편 분리 공간으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감쇠작용을 완료하게 된다.
반대로 블레이드(152)가 도 6b에서 도 6a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의 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 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오일댐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의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점성유체가 오일댐퍼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횟수에 따른 감쇠성능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감쇠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함께, 점성유체의 유출 방지를 통해, 오일댐퍼 주위에 점성유체에 의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오일댐퍼의 청결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하우징의 수용공간의 형상을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 정도에 다라 오일댐퍼의 감쇠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부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처음에는 감쇠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다가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감쇠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설계하는 등, 적용 대상에 맞추어 자유롭게 감쇠력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블레이드와 유로홀을 대칭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점성유체가 채워지는 밀폐공간 내에서 감쇠력이 일정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오일댐퍼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Claims (12)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하부에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밀폐공간을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리된 밀폐공간들 사이를 연통시키는 유로홀이 형성된 댐핑부;
    상기 구획부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댐핑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밀폐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고정부재;
    를 가지는 회전식 오일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단면 반지름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단면 반지름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과 상기 블레이드와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의 몸체에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밀폐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의 몸체에서 상기 제1연통홀의 상측에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밀폐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관통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관통부가 상기 제2관통부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제1관통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사이를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과의 씰링을 위한 씰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댐핑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도 이에 대응하여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일댐퍼.
KR1020070051726A 2007-05-28 2007-05-28 회전식 오일댐퍼 KR100841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726A KR100841898B1 (ko) 2007-05-28 2007-05-28 회전식 오일댐퍼
PCT/KR2008/000994 WO2008147020A1 (en) 2007-05-28 2008-02-20 Rotation type oil da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726A KR100841898B1 (ko) 2007-05-28 2007-05-28 회전식 오일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898B1 true KR100841898B1 (ko) 2008-06-26

Family

ID=3977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726A KR100841898B1 (ko) 2007-05-28 2007-05-28 회전식 오일댐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1898B1 (ko)
WO (1) WO200814702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475B1 (ko) 2007-12-18 2008-12-22 동우정밀(주) 냉장고의 홈바 도어를 위한 힌지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냉장고
KR101064632B1 (ko) 2008-12-26 2011-09-15 동우정밀(주) 자동닫힘힌지
KR200455702Y1 (ko) 2009-02-27 2011-09-20 주식회사 삼홍테크 회전식 오일 댐퍼
KR101824086B1 (ko) * 2016-07-07 2018-01-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제동 토크가 향상된 mr유체 브레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63B1 (ko) * 2011-08-12 2014-04-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구간완충댐퍼 및 이를 사용한 개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2039A (ja) * 1991-03-08 1992-10-07 Totsuku Bearing Kk 高トルク用ダンパ
JP2001349364A (ja) * 2000-11-15 2001-12-21 Tok Bearing Co Ltd ダンパとその製造方法
KR20020040537A (ko) * 2000-11-23 2002-05-30 김흥기 도어 힌지 유니트
KR100449590B1 (ko) 2001-11-07 2004-10-01 손제익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회전력 제어구조
KR100646956B1 (ko) * 2003-11-07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댐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2039A (ja) * 1991-03-08 1992-10-07 Totsuku Bearing Kk 高トルク用ダンパ
JP2001349364A (ja) * 2000-11-15 2001-12-21 Tok Bearing Co Ltd ダンパとその製造方法
KR20020040537A (ko) * 2000-11-23 2002-05-30 김흥기 도어 힌지 유니트
KR100449590B1 (ko) 2001-11-07 2004-10-01 손제익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회전력 제어구조
KR100646956B1 (ko) * 2003-11-07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댐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475B1 (ko) 2007-12-18 2008-12-22 동우정밀(주) 냉장고의 홈바 도어를 위한 힌지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냉장고
KR101064632B1 (ko) 2008-12-26 2011-09-15 동우정밀(주) 자동닫힘힌지
KR200455702Y1 (ko) 2009-02-27 2011-09-20 주식회사 삼홍테크 회전식 오일 댐퍼
KR101824086B1 (ko) * 2016-07-07 2018-01-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제동 토크가 향상된 mr유체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7020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898B1 (ko) 회전식 오일댐퍼
US6213881B1 (en) Damper device
KR100915101B1 (ko)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US11072958B2 (en) Damper hinge and western-style toilet using the same
US9371675B2 (en) Rotary damper and hinge device with damper
JP6010310B2 (ja) ロータリダンパ
RU2002117293A (ru) Поворот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US8935829B2 (en) Hinge device with damper
KR101054566B1 (ko) 회전식 오일댐퍼
US20140230189A1 (en) Hinge device
KR101345236B1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EP1489334B1 (en) Rotary damper
US20050252740A1 (en) Rotary damper
JP2014092181A (ja) 圧力緩衝装置
JP7126692B2 (ja) ダンパーヒンジ
CA2775667C (en) Rotary damper
KR101643768B1 (ko) 도어 회전장치
KR101764717B1 (ko) 한방향 회전 댐퍼
KR20090072627A (ko) 회전식 오일 댐퍼
KR20070059745A (ko) 로터리 오일댐퍼
JP5057393B2 (ja) ロータリバルブ
KR20050089728A (ko) 저장고용 힌지장치 및 이를 갖춘 저장고
JP7055236B2 (ja) 緩衝器
CN117006185A (zh) 阻尼装置及包括该阻尼装置的阀
EP0636811A1 (de) Drehschwingungsdämpfer mit viscosem Dämpfer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