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802B1 -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 Google Patents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802B1
KR100841802B1 KR1020070129537A KR20070129537A KR100841802B1 KR 100841802 B1 KR100841802 B1 KR 100841802B1 KR 1020070129537 A KR1020070129537 A KR 1020070129537A KR 20070129537 A KR20070129537 A KR 20070129537A KR 100841802 B1 KR100841802 B1 KR 10084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atheter
deep
external
artificial inse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중호
황재홍
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7012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7Devices for injecting semen into animals, e.g. syringes, guns,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4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embryo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번식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심부주입용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부주입 카테터의 진행방향이 예측가능하고, 자궁각 선단에 이르기까지 정자를 주입하거나 비외과적으로 수정란 이식이 가능한 개선된 심부주입용 인공 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진 외부주입기 두부를 가지는 외부주입기와, 외부주입기 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를 가지는 심부주입용 인공 수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주입기 두부에는 심부주입 카테터가 빠져 나올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가 외부주입기 두부의 선단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수정 장치이며, 상기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주입방향 표시기를 외부주입기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심부 주입 카테터는 반구 형태의 카테터 선단캡을 가질 수 있으며, 삽입된 카테터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는 외부 표시가 있으며, 상기 심부 주입 카테터는 그 말단부분에 측면으로 정액 사출구를 일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인공수정, 수정란 이식, 카테터, 자궁각 선단, 심부주입

Description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Artificial insemination device for deep intra uterine injection}
본 발명은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부주입 카테터의 진행방향이 예측가능하고, 자궁각 선단에 이르기까지 정자 혹은 수정란을 주입가능한 개선된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물의 동결정액이나 액상정액으로 인공수정시 자궁내로 정액이 질 도달하도록 하여 인공수정의 성공효율을 높이고 요구되는 정액의 양(정자수)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인공수정 장치가 많이 쓰이고 있으며, 이를 일명 인공 수정용 카테터라 칭하고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작은 직경의 탄력성 있는 튜브를 이용하여 자궁경관에 삽입하고 튜브를 통해 정액을 이동시켜 최대한 자궁체 이후 부위까지 정자를 주입하여 인공수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며, 다양한 형태로 개선되어 오고 있다. 자궁경부 주위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 인공수정시에는 정액역류의 문제, 많은 양의 정액이(돼지의 예로 30~50억 마리의 정자) 필요한 문제,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정액이 자궁내로 깊숙이 주입되지 못하여 수정율이 낮아지는 문 제가 있다. 자궁각 내에 정액을 주입하는 방법으로는 외과적 수술방법과 복강 내시경을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수술을 실시하는 과정의 어려움과 수술후의 회복 관리 및 경제적, 시간적인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동물들의 인공수정을 위하여 보다 자궁각에 근접하여 정액을 주입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자궁벽의 손상없이 자궁각 선단까지 내부주입기를 삽입하여 정액 또는 수정란을 넣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AI 및 ET)이 목적이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인공수정용 카테터와는 달리 카테터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어 좌, 우 양쪽 자궁각 선단에 도달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자궁체벽이나 자궁각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상태로 최소한의 정자수로(돼지의 경우 800만개) 인공수정이나 비외과적 수정란 이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진 외부주입기 두부를 가지는 외부주입기와, 외부주입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를 가지는 심부주입용 인공 수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주입기 두부에는 심부주입 카테터가 빠져 나올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가 외부주입기 두부의 선단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수정 장치이며, 상기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주입방향 표시기를 외부주입기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심부 주입 카테터는 반구 형태의 카테터 선단캡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심부 주입 카테터는 삽입된 길이를 알 수 있는 외부 표시가 있고, 그 말단부분에 측면으로 정액이나 수정란의 사출구를 일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수정 장치는 카테터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고, 자궁벽 등의 손상없이 자궁각 선단까지 내부주입기를 삽입하여 정액 또는 수정란을 넣어줄 수 있어서, 정자수를 현저하게(1/10 정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 난관 팽대부 인접부위까지 정자 및 수정란을 옮길 수 있어 착상 및 임신율을 매우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심부주입용 인공 수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외부주입기(10)와 심부주입 카테타(20)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종래의 내부 카테터를 갖는 동물용 인공수정 장치의 기본 형태를 따른다. 외부주입기(10)는 약간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전체 몸통부분과 함께, 외부주입기(10)의 앞쪽으로 동물 수컷 생식기 모양의 외부주입기 두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은 외음부를 통해 삽입되어 자궁경 입구까지 인도하는 부분으로 부드러운 물질로 이루어져 삽입되는 과정에 외부 손상을 최소화한다. 일반적 인공수정인 경우에는 외부주입기 형태의 것만을 이용하여 이의 후단부를 통해 정액을 주입하여 자궁경부에서 정액을 주입하는데, 이 경우에는 정액이 흘러나오거나 정액이 매우 많이 필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수정율이 높지 못하다. 내부 카테터를 갖는 종래의 인공 수정 장치의 경우에도 정액을 최대한 난관 팽대부 가까이에 주입하는 목적을 가지고 개선되고 있으나 Y 자형으로 갈라져 있는 좌, 우 자궁각 어느 부위에 내부 카테터를 삽입하느냐는 다분히 확률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이것이 용이하지 않아 실제로는 자궁체부에서 정액이 주입되어 수태율이 낮은 편이다. 또한, 종래의 것은 외부주입기의 두부의 꼭지부분으로 내부 카테터의 사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카테터가 진행되어 나아갈 때 자궁체벽 조직을 내부 카테터가 손상시킬 수가 있어 출혈 및 염증을 유발하여 수태율 저하의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외부주입기(10)의 두부(30)에 심부주입 카테터(20)가 빠져나올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31)가 두부 선단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Y 자형으로 갈라져 있는 자궁각부분으로 심부주입 카테터를 방향을 조절하여 주입할 수 있으며, 외부주입기가 자궁경 입구까지 삽입되어 자궁경관을 확보하고 있는 상태에서 최소한의 미는 힘으로 심부주입 카테터(20)가 진행되기 때문에 자궁 조직의 손상이 없고 공시축이 스트레스를 안 받고 진정된 상태에서 시술과정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외부주입기 두부(30)에 형성되어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31)가 있는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외부주입기(10)의 다른 말단에 주입방향표시기(11)를 설치할 수 있다. 주입방향표시기(11)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가능한데, 외부주입기의 다른 말단부분에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31)와 같 은 방향에 색깔을 표시한 부분을 만든다거나, 돌기를 형성한다거나, 특정형태를 부조(relief)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난자는 발정주기에 맞추어 번갈아 가며 양쪽의 난소에서 한번씩 배란되어 나오기 때문에 배란된 난소쪽으로 정액을 주입하는 경우에 수태율이 높아지게 되고 정액의 낭비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심부주입 카테터의 진행방향이 예측가능하기 때문에 초음파 진단기 등과 병행 사용하였을 때 좌, 우 양쪽 자궁각 선단에 정액 또는 수정란을 선택적으로 주입가능하여 착상 및 임신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일반 농가에서와 같이 배란된 곳을 예측할 수 없을 때의 경우라도, 양쪽 자궁각 선단 모두에 주입하여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착상 및 임신율이 극대화된다. 자궁체 부분에서 정액이 분사되는 경우에는 정액이 어느 방향으로 흘러 들어가거나 또는 정확하게 흘러들어 갈지 알 수 없으며, 손실되는 정액의 양이 많게 된다. 또한 최근 많이 개선된 내부카테터를 갖는 장치의 경우에도 내부카테터가 어느 방향으로 진행되는지 알 수 없어 불필요하게 한방향으로만 정액이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각각의 방향으로 정액을 의도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어 실질적으로 수태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주입기(10)를 나타낸 것이다. 외부주입기(10)는 심부주입 카테터가 삽입될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 삽입통로(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외부주입기(10)의 선단부분에서는 미세하게 곡선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심부주입 카테터가 빠져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외부주입기 두부(30) 는 일반적으로 앨라스토머 물질과 같은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 자궁경관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왼나사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왼나사 형태의 것은 돼지의 경우 삽입이 더욱 용이하게 되며, 이런 형태는 일반적인 동물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나 시술되는 동물에 따라 다소간의 변화는 가능할 것이다. 외부주입기 두부(30)의 선단 측면부분으로는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31)를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특징적 부분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Y자형으로 갈라져 있는 자궁각의 형태로 인해, 심부주입 카테터가 외부주입기(10)로부터 빠져 나올 때 마찰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는 장점과 아울러 심부주입 카테터의 방향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외부주입기(10)가 자궁경관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즉 종래의 것은 심부주입 카테터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심부주입 카테터가 외부주입기로부터 나오는 위치가 본 발명에 비하여 더 바깥쪽이 되는데, 이는 심부주입 카테터가 자궁경을 지나 자궁체 부분에서양쪽으로 갈라지기 시작하는 자궁각에서 휘어질 수 있는 공간 확보등을 위해서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카테터에 물리적인 힘이 많이 가해지게 되어 카테터의 접힘 현상이 발생하여 자궁각 선단까지 카테터를 삽입하기가 힘들고 자궁 손상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되는 문제이다. 이와 더불어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31)의 방향을 표시하는 부분인 주입방향 표시기(11)를 구비하여 외부주입기(10)를 좌, 우 180도로 방향을 조절하여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31)가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부주입 카테터(20)를 나타낸 것이다. 심부주입 카테터(20)는 외부주입기의 내의 관을 따라 삽입되어 자궁각 선단까지 도달하여 자궁각 선단부분에서 정액이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액을 정액주입구(23)로 주입하여 주입되는 정액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고 카테터 내에 얼마의 정액이 남아있는지를 알수 있기 때문에 카테터의 플러싱(flushing)을 통해 정액을 최종적으로 정액사출구(21)를 통해 자궁각 선단에서 분사한다. 이러한 형태의 것은 정액의 손실량을 줄이고, 정액사용량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 심부주입 카테터는 끝부분에서 정액이 분사되는데, 이 부분이 진행 방향을 이끌기 때문에 자궁내 벽에 부딪히거나 하여 정액의 분사를 막거나 자궁내 벽 조직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심부주입 카테터의 끝부분을 반구형 형태로 둥글게 만든 카테터 선단 캡(22)을 가지고 있어 자궁내벽 조직의 손상 없이 부드럽게 이동이 가능하다. 정액사출구(21)는 카테터 선단 캡(22)의 아래부분에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 형성하여 정액사출구(21)가 막히거나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심부주입 카테터(20) 시술자가 삽입된 카테터의 길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외부에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부주입기와 심부주입 카테터가 한 세트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 말, 돼지, 개, 사슴 등 모든 중 대형 동물에 사용가능한 일체형으로 자궁체벽이나 자궁경관 조직에 손상을 최대한으로 줄여 자궁내막염 등의 질병예방을 하여 수태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인공수정용 이식 기구에 대 한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이용하여 이식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심부주입용 인공 수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 주입기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심부주입 카테터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 : 외부주입기 11 : 주입방향 표시기
12 : 심부주입 카테터 삽입통로 20 : 심부주입 카테터
21 : 정액 사출구 22 : 카테터 선단캡
23 : 정액주입구 30 : 외부주입구 두부
31 :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

Claims (6)

  1.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진 외부주입기 두부를 가지는 외부주입기와, 외부주입기 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를 가지는 심부주입용 인공 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주입기 두부에는 심부주입 카테터가 빠져 나올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가 외부주입기 두부의 선단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주입방향 표시기를 외부주입기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 주입 카테터는 반구 형태의 카테터 선단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 주입 카테터는 그 말단부분에 측면으로 정액 사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삭제
  6. 나사선이 형성되고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진 외부주입기 두부를 가지는 외부주입기와, 외부주입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를 가지는 심부주입용 인공 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주입기 두부에는 심부주입 카테터가 빠져 나올 수 있는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가 외부주입기 두부의 선단 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부주입 카테터 사출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주입방향 표시기를 외부주입기의 일단에 구비하며, 상기 심부 주입 카테터는 반구 형태의 카테터 선단캡을 가지고 있고 시술자가 삽입된 카테터의 길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외부 표시가 있으며, 카테터 선단캡의 하부에는 측면으로 정액 사출구를 일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수정 장치.
KR1020070129537A 2007-12-13 2007-12-13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KR100841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537A KR100841802B1 (ko) 2007-12-13 2007-12-13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537A KR100841802B1 (ko) 2007-12-13 2007-12-13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802B1 true KR100841802B1 (ko) 2008-06-27

Family

ID=3977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537A KR100841802B1 (ko) 2007-12-13 2007-12-13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886A1 (ko) * 2017-06-09 2018-12-13 이순용 돼지 인공수정 정액주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678B1 (ko) * 1994-05-12 1997-05-15 정병현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장치
US6527703B2 (en) 2001-06-14 2003-03-04 Minitube Of America, Inc. Device for sow-intra-uterine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US20040134441A1 (en) 2002-04-03 2004-07-15 Anderson Mark E.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athway in an animal
US7056279B2 (en) 2000-09-05 2006-06-06 Universiteit Gent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of bovines and other anim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678B1 (ko) * 1994-05-12 1997-05-15 정병현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장치
US7056279B2 (en) 2000-09-05 2006-06-06 Universiteit Gent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of bovines and other animals
US6527703B2 (en) 2001-06-14 2003-03-04 Minitube Of America, Inc. Device for sow-intra-uterine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US20040134441A1 (en) 2002-04-03 2004-07-15 Anderson Mark E.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athway in an anim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886A1 (ko) * 2017-06-09 2018-12-13 이순용 돼지 인공수정 정액주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2210B2 (en) Artificial breeding techniques for bovines including semen diluents and AI apparatus
KR101587880B1 (ko) 돼지의 수란관 내에 생식세포, 배아, 또는 임의의 형태의 용액을 주입시키거나 수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MXPA03011493A (es) Dispositivo para inseminacion intrauterina de la puerca y transferencia de embrion.
US9433484B2 (en) Artificial breeding techniques for bovines including semen diluents and AI apparatus
KR100568700B1 (ko) 동물 내부에 주입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주입기 및 멤브레인과 그 주입 경로 생성 방법
US5656010A (en) System for effecting embryo transplant
US5558636A (en) Method of effecting embryo transplant
KR100841802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KR101156231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JP2008206881A (ja) 家畜の子宮深部注入用器具
KR200362902Y1 (ko) 돼지의 인공수정을 위한 정액 주입기
JP4769913B2 (ja) 家畜用胚の移植用深部注入器
KR100655959B1 (ko) 인공수정 장치
KR970007677B1 (ko)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장치
KR20230115541A (ko)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KR200344189Y1 (ko) 인공수정용 동결정자 주입장치
KR200189616Y1 (ko) 돼지 정액 자궁체내 주입장치
KR200293240Y1 (ko)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DIMITROV Postcervical artificial insemination of sows in combination with synthetic seminal plasma (Predil MR-A®)
KR101757161B1 (ko) 가축의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
US20210085441A1 (en) Sperm injection tub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of swine
JP3070292U (ja) 精液注入器
KR20030069423A (ko) 돼지의 자궁내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기구
Chatdarong Various techniques for artificial insemination in felids.
KR950014545B1 (ko)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