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240Y1 -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240Y1
KR200293240Y1 KR2020020007352U KR20020007352U KR200293240Y1 KR 200293240 Y1 KR200293240 Y1 KR 200293240Y1 KR 2020020007352 U KR2020020007352 U KR 2020020007352U KR 20020007352 U KR20020007352 U KR 20020007352U KR 200293240 Y1 KR200293240 Y1 KR 200293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guide member
tube
artificial insemina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피 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피 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피 바이오텍
Priority to KR2020020007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240Y1/ko

Links

Landscapes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입부재와 주입안내부재 및 연결안내부재를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주입부재는 주입관 내부에 미세하게 형성된 또 다른 스트로우관을 수용하여 이중관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스트로우관은 지지부재, 지지안내부재와 일체로 구성되어 결합안내부재 내부에 견고히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상기 주입안내부재의 주입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 내부의 종모정자가 상기 스트로우관을 통하여 종모축의 자궁경관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인공수정시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우량 종모축의 이용범위를 확대시키고, 0.5㎖ + α의 정액 및 2차 희석액을 필요량에 따라 동시에 주입하여 정자의 수태율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The injector for artificial insemination and fertilized egg transplant}
본 고안은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로우관에 동결 수정란 및 정자를 주입시키되, 적정량의 2차 희석제를 함께 투입하고 암가축의 생식기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우량 종모축(種母畜)의 이용범위를 확대시키고 수태율을 향상시켜 가축이나 개의 개량(改良) 촉진 및 생산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자연 교미가 불가능한 개체의 번식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인공수정시 발생할 수 있는 전염성 생식기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수정이라고 함은 난자와 정자가 결합할 때, 자연적인 교미에 의한 방법을 택하지 않고, 인의적으로 소나 말 또는 사슴과 같은 포유 동물 수가축의 정액을 암가축의 생식기내에 0.5㎖ 정도 주입하여 수태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수태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리 동결 보관된 우량의 종자를 발정개시 후 적정시기에 융해시켜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수정법은 우량 종모축의 엄격한 선발을 통하여 특정 경제형질의 이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어 가축개량을 조기에 이룰 수 있으며, 수백두의 암소를 수정시켜 우수한 종축능력을 단기간에 확대 보급할 수 있어 가축개량을 현저하게촉진할 수 있다.
또한, 적은 수의 종축으로서 많은 수의 암소를 수태시킬 수 있으므로 종모축 사육두수를 감소시켜 종모축 사육에 소요되는 사료비 절감, 이에 따른 노동력 절감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어느 종모축의 유전자를 이어 받은 자축이 단기간 내에 많은 수의 자손이 태어나므로 아비의 유전 능력을 조기에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자연교미에 의한 종모축의 직접적인 생식기 접촉으로 전염되는 트리코나므스병, 비브리오병, 브루셀라병 및 질염 등 각종 생식기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수정을 축산에 도입한 최초의 동기는 가축개량보다는 생식기 질병을 예방한다는 목표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성 싶다.
또한, 암소의 한 발정기에 2-3회의 반복수정이 가능하므로 자연교배보다 수태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봄·가을은 정자 생산력이 왕성하고 정액 성장이 양호하여 이 시기에 채취하여 냉동보존한 후 하절기나 동절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모축의 접촉기피 및 후구빈약, 질병 등으로 자연교미가 불가능한 경우, 생리적인 결함이나 생식기 구조의 이상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암소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인공수정 방법은 인공수정 훈련과 교육을 통한 숙련된 인공수정사를 필요로 하며 정액저장을 위한 액체질소통, 수정용 스트로우 주입기 및 절단기 등 수정기구를 갖추어야 함은 물론, 한 번의 교배를 위한 냉동 정액의 융해 조작과 암소의 생식기에 정액을 주입하는 작업에 있어서 자연 교배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기구 세척과 소독 부주의, 정액 처리의 부주의, 기술의 결함 등으로 질병 감염의 우려가 있고, 특히 미숙련자의 기술 숙련도가 낮을 경우 생식기의 손상등으로 질병이 발생할 우려가 높으며 정액 자체의 유전형질이 나쁘거난 질병의 전염원이 있을 경우 암소를 통한 질병의 확산으로 많은 피해가 우려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고자 선출원된 기술로는 실용신안출원 제 2000-214670호인 "가축용 인공수정장치의 주입커버"가 있는데, 이는 크게 인공수정하고자 하는 대상 가축의 질내에 소정 길이 구간 삽입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내에 수용되어 종자정액을 대상 가축의 자궁내로 주입하는 정액주입기로 크게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정액주입기의 주입관이 수용되도록 상기 주입관의 외부에 결합되는 튜브본체와 일측에 상기 튜브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튜브수용공과 상기 튜브수용공의 일측에 상기 튜브수용공과 상호 연통되며 상기 튜브수용공에 비해 축소된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종자정액튜브의 선단이 걸림유지되도록 하는 종자정액튜브수용공과, 상기 종자정액튜브수용공과 상호 연통되며 상기 종자정액튜브수용공에 비해 축소된 반경을 가지는 노즐공과, 상기 노즐공과 상호 연통되며 상기 노즐공에 비해 확장된 폭을 가지는 확장구간부를 가지고 상기 튜브본체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인공수정 대상 가축의 자궁경관내에 삽입되어 종자정액의 주입을 안내하는 액주입안내부재를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장치는 정액의 분출방향을 따라 역류됨이 없이 가축의 자궁내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외부에서 동결 저장된 정액 및 수정란을 주입장치를 사용하여 종모축에 주입하였을 때 연통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적절한 연결부재가 존재하지 않아 복잡한 작업에도 불구하고 수태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트로우관에 동결 수정란 및 정자를 주입시키되, 적정량의 2차 희석제를 함께 투입하고 암가축과 개의 생식기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자연 교미가 불가능한 개체의 번식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우량 종모축의 이용범위를 확대시키고 수태율을 향상시켜 가축의 개량 촉진 및 생산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을 위해 우량 종모축의 질 내에 종모정자를 삽입시키기 위한 주입관이 포함된 주입부재와 상기 주입관으로 종모정자를 주입시키기 위해 피스톤이 포함된 주입안내부재로 이루어진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재는 주입관 내부에 미세하게 형성된 또 다른 스트로우관을 수용하여 이중관으로 형성시키되, 상기 스트로우관은 지지부재 및 지지안내부재와 일체로 구성되어 결합안내부재 내부에 견고히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으로는 상기 주입안내부재의 주입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상기 주입부재가 종모축의 자궁경관내에 삽입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주입장치 10. 주입안내부재
11. 피스톤 12. 실린더
13. 주입구 20. 주입부재
21. 주입관 22. 스트로우관
30. 연결부재 31. 결합부재
32. 결합안내부재 33. 결합안내고정구
34. 나사봉 35. 결합공
36. 지지부재 37. 지지안내부재
38. 분리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도면 또는 상기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발췌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1)는 상기 장치의 일부분이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이 행해질 대상 가축의 자궁경관내에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주입장치(1)는 동결수정란 및 정자의 주입시 이를 일시 보관할 수 있는 주입안내부재(10)와 정액이 올바른 위치에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주입장치(1)의 하부에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대상 가축의 자궁경관 내로 삽입되는 주입부재(20) 그리고, 상기 주입안내부재(10)와 주입부재(20)를 적절히 연결하여 종자정액의 역류 현상을 막고 작업의 용이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안내부재(10)는 통상의 피스톤(11) 형태를 유지하여 적정량의 정액이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되, 실린더(12) 내부에 주입된 유체(정자)의 압력을 받아 피스톤(11)이 실린더(12) 속을 왕복운동하여 원할히 정자들이 주입구(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원판형 또는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구(13)는 결합부재(31)에 연결된 결합공(35)을 통해 지지부재(36)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정란 및 정액의 정확한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주입부재(20)는 원통형으로 이루져 있으면서 투명 또는 반투명 형상의 연질 합성수로 형성되어 있는 주입관(21)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길고 미세한 형태의 스트로우관(22)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피스톤(11)의 작용에 의해 정액이 주입관(21) 내부에 수용된 스트로우관(22)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연결부재(30)는 상기 주입안내부재(10)와 주입부재(20)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주입안내부재(10)의 실린더(12) 속에 들어있는 정액 및 수정란이 피스톤(11)의 작용으로 원할하게 주입부재(20)의 주입관(21)에 내장된 스트로우관(22)으로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우량 종모축의 질 속에 삽입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의 요부인 연결부재의 확대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는 크게 결합부재(31) 및 결합안내부재(32) 그리고 결합안내고정구(33)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결합부재(31)의 나사봉(34)에 결합안내부재(32)를 일체로 연결시키고, 상기 결합안내부재(32)의 하측에 결합안내고정구(33)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주입안내부재(10)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13) 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35)을 형성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결합부재(31) 내에 수용된 주입구(13)는 상기 결합공(35)의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부재(36)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35)이 수용된 결합부재(31)는 둥근 봉에 나사를 낸 것으로, 머리가 달려 있는데 일반적으로 머리 모양은 육각형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정감있고 효과도 탁월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사각형이나 원통형 또는 접시형 등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31)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6)의 내부로 수정란 및 정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재(36)에 지지안내부재(37)를 함께 형성하여 더욱더 안정되고 정교하게 고정되어 상기 수정란 및 정액의 통과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유도된 정액은 상기 지지부재(36)의 하측에 연결된 스트로우관(22)으로 주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1)의 나사봉(34)은 결합안내부재(32)에 의해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안내부재(32)의 하부에 결합안내고정구(33)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안내고정구(33)의 일측에 분리스위치(38)를 별도로 구성하여 주입부재의 분리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을 위한 주입장치는 대상이 되는 우량 종모축의 발정이 개시되는 시기에 정액채취에서 동결융해까지의 모든 조작이 순조롭게 이루어져 생존성이 양호한 정액을 주입시켜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우량 종모축의 이용범위를 확대시키고 수태율을 향상시켜 가축의 개량 촉진 및 생산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대상 가축의 발정이 개시되었을 때, 주입부재(20)를 우량 종모축 질 내의 해당위치까지 필요한 정도로 삽입시키고, 피스톤(11)의 압력과 실린더(12)에 연결된 주입구(13)를 통해 내부로 0.5㎖ + α의 종자정액과 2차 희석액를 삽입시킨다.
상기 주입구(13)를 통해 내부로 주입된 종자정액은 주입구(13)와 지지부재(36)의 연결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지지부재(36)는 지지안내부재(37)에 의해 더욱 더 단단히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입구(13)와 지지부재(36)의 외부에 형성된 결합부재(31)와 결합안내부재(32) 및 결합안내고정구(33)에 의해 시술시 작업의 편의성과 세균으로부터의 감염 방지 및 정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결합안내고정구(33)의 일측에 분리스위치(38)를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연결부재와 주입부재의 분리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는 적정량의 수정란 및 정자와 2차 희석액를 필요량 만큼 종모축의 생식기내의 정해진위치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인공수정시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우량 종모축의 이용범위를 확대시키고 수태율을 향상시켜 가축의 개량 촉진 및 생산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을 위해 우량 종모축의 질 내에 종모정자를 삽입시키기 위한 주입관이 포함된 주입부재와 상기 주입관으로 종모정자를 주입시키기 위해 피스톤이 포함된 주입안내부재로 이루어진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재는 주입관 내부에 미세하게 형성된 또 다른 스트로우관을 수용하여 이중관으로 형성시키되, 상기 스트로우관은 지지부재, 지지안내부재와 일체로 구성되어 결합안내부재 내부에 견고히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상기 주입안내부재의 주입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 내부의 종모정자가 상기 스트로우관을 통하여 종모축의 자궁경관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KR2020020007352U 2002-03-13 2002-03-13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KR200293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352U KR200293240Y1 (ko) 2002-03-13 2002-03-13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352U KR200293240Y1 (ko) 2002-03-13 2002-03-13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240Y1 true KR200293240Y1 (ko) 2002-11-01

Family

ID=7305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352U KR200293240Y1 (ko) 2002-03-13 2002-03-13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2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161B1 (ko) 2015-09-04 2017-07-14 주식회사 지엠엠씨 가축의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
KR20210019781A (ko) * 2019-08-13 2021-0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외수정 자동화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161B1 (ko) 2015-09-04 2017-07-14 주식회사 지엠엠씨 가축의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
KR20210019781A (ko) * 2019-08-13 2021-0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외수정 자동화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243812B1 (ko) 2019-08-13 2021-04-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외수정 자동화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2210B2 (en) Artificial breeding techniques for bovines including semen diluents and AI apparatus
US9433484B2 (en) Artificial breeding techniques for bovines including semen diluents and AI apparatus
Seidel et al. Embryo transfer in dairy cattle
KR200293240Y1 (ko)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Perry et al. Management factors that impact the efficiency of applied reproductive technologies
Hansen Managing the heat-stressed cow to improve reproduction
Vijayalakshmy et al. Embryo transfer technology in animals: An overview
JP4769913B2 (ja) 家畜用胚の移植用深部注入器
US20030008918A1 (en) Method of livestock sex discriminant birth and treating agent to be used therein
KR200362902Y1 (ko) 돼지의 인공수정을 위한 정액 주입기
KR101189738B1 (ko) 수정란 직접채란기
KR101326200B1 (ko) 자궁내 인공수정장치
Senger Fertility Factors: Which Ones Are Really Important?
KR100655959B1 (ko) 인공수정 장치
KR200352387Y1 (ko) 인공수정 장치
KR200194602Y1 (ko) 수정란 이식 및 인공수정용 주입기구
KR100841802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KR100523222B1 (ko) 수정란 이식용 스트로우
Senger Fertility Factors in High Producing Dairy Cows—Which Ones Are Really Important?
SU1711864A1 (ru) Способ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осеменени овец Небогатикова-Маргуса
KR200199954Y1 (ko) 수정란 채집용 폴리카테터
Lukefahr et al. Rabbit reproduction.
Knox Making changes to get to 30 pigs/sow/year.
Phillips Breeding and reproduction.
CN1116040A (zh) 提高家畜雌性率的繁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