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387Y1 - 인공수정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수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387Y1
KR200352387Y1 KR20-2004-0008172U KR20040008172U KR200352387Y1 KR 200352387 Y1 KR200352387 Y1 KR 200352387Y1 KR 20040008172 U KR20040008172 U KR 20040008172U KR 200352387 Y1 KR200352387 Y1 KR 200352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artificial insemination
injection tube
tip
mam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김희정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김 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영 주 filed Critical 김 영 주
Priority to KR20-2004-0008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7Devices for injecting semen into animals, e.g. syringes, guns, probes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에 포유동물의 생식세포를 주사하여 인공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인공수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 형태의 기다란 주입관과, 선단에 주사공을 형성하고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에 삽입하기에 적당한 유선형의 삽입 선단 상부와 삽입 선단 하부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환형홈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삽입 선단부와, 상기 주입관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정액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공을 형성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주입관의 삽입 선단부와 주입부의 사이에서 주입관 바깥에 끼워지는 실린더형의 원통과, 이 실린더형의 원통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생식기 내로의 삽입은 용이하나 생식기로부터의 이탈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는 형상으로 된 이탈 방지부와, 일측에 두개 이상의 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하며 생식기 내로의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와, 상기 원통의 내경을 통해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이동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수정 장치{A devic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본 고안은 인공수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에 포유동물의 생식세포인 정액을 주사하여 인공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인공수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개, 돼지나 소 등 가축의 번식과 육종을 위해서는 자연교미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실적으로 우수한 종류의 가축의 경우 자연교미를 위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과다하고 자연교미에 알맞은 조건에 이르기까지 대기하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사람들이 있는데서 가축이 자연교미를 하는 경우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자연교미에 의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수정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이 인위적으로 개, 돼지, 및 소를 포함한 포유동물의 수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포유동물의 인공수정 장치의 예에는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정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돼지 정액 자궁체내 주입장치, 주사기 형태의 피스톤을 사용하여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장치, 포유동물의 몸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부재를 이용하여 동물 몸체 내부를 관찰하면서 그 내부에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장치 등이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종래의 인공수정 장치 중 생식기 내에 삽입되어 자궁경관 안에까지 삽입되어 정액을 주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궁경관 입구 또는 그 부근에서 정액을 주입하는 인공수정 장치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인공수정 장치는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가축 등 포유동물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같은 종류의 가축 등 포유동물이라 하더라도 생식기의 길이가 달라지는데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조절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자궁경관 입구에 훨씬 못 미치게 삽입되어 인공수정의 성공률이 낮아지거나 반대로 생식기의 길이에 비래 인공수정 장치의 길이가 너무 길어 과도한 힘으로 삽입시 생식기나 자궁경관 입구에 손상을 주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정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돼지 정액 자궁체내 주입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961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돼지 정액 자궁체내 주입장치는, 원형의 관 모양으로 형성되되, 돼지의 자궁경관에 결합되는 부분이 경사로 형성되고, 내부에 내부 주입기(11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02)이 형성된 주입기(100); 상기 주입기(100)의 결합공(102)에 삽입되되, 내부에 정액 주입을 위한 주입관(112)이 형성되고, 주입기(100)보다 길이가 긴, 연성 재질의 내부 주입기(110); 및 상기 내부 주입기(110)의 주입관(112)에 삽입되어 내부 주입기(110)의 종단이 돼지의 자궁 내에 도달할 때까지 밀어주는 철심(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돼지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직접 자궁 내에 정액을 주사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돼지 정액 자궁체내 주입장치에 있어서 주입기(100) 내에 내부 주입기(110)가 삽입되고 그 안에 철심(120)이 삽입되는 등 소요 부품의 개수가 많고 정액 역류 방지를 위해 주입기(100)와 내부 주입기(110)의 사이를 정밀하게 제작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대되며, 또한 과도한 힘에 의한 삽입으로 주입기(100)가 생식기 안에 너무 깊이 삽입되어 생식기 안 또는 자궁경관 입구 등에 손상을 줄 우려도 있었다.
또한, 주사기 형태의 피스톤을 사용하여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3240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사기 형태의 피스톤을 사용하여 주입하는 장치는,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을 위해 우량 종모축의 생식기 내에 종모정자를 삽입시키기 위한 주입관(21)이 포함된 주입부재(20)와 상기 주입관(21)으로 종모정자를 주입시키기 위해 피스톤(11)이 포함된 주입안내부재(10)로 이루어진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을 위한 주입장치(1)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재(20)는 주입관(21) 내부에 미세하게 형성된 또 다른 스트로우관(22)을 수용하여 이중관으로 형성시키되, 상기 스트로우관(22)은 지지부재(36), 지지안내부재(37)와 일체로 구성되어 결합안내부재(32) 내부에 견고히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31)에 형성된 결합공(35)으로 상기 주입안내부재(10)의 주입구(13)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11)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 내부의 종모정자가 상기 스트로우관(22)을 통하여 종모축의 자궁경관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사기 형태의 피스톤을 사용하여 주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주입안내부재(10)와 주입부재(20)를 적절히 연결하여 종자정액의 역류 현상을 막고 작업의 용이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많은 량의 정액이 주입되고 연결부재(30)와 질과의 접촉력이 약할 때에는 연결부재(30)만으로 정액의 역류를 방지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며, 주입관(21) 내부에 미세하게 형성된 또 다른 스트로우관(22)을 수용하여 이중관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등 부품수가 증대되며, 미세하고 정밀한 부품의 제조에 따라 비용이 증대되고, 또한 과도하게 힘을 주어 삽입시 주입기(100)가 생식기 안으로 너무 깊이 삽입되는 경우 생식기 내부 또는 자궁경관 입구 등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었다.
아울러, 포유동물의 몸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부재를 이용하여 동물 몸체 내부를 관찰하면서 그 내부에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의 한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2995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인공수정 장치는, 개의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이를 융해한 상태로 주입기에 의해 삽입하여 인공수정을 행하는 것에 있어서, 원통형의 관 모양으로 형성된 몸체(105); 상기 몸체(105)의 후단에 일정 각도로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관이 형성된 손잡이(160); 상기 몸체(105)의 후단 종부에 외향으로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몸체(105)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뚜껑(140); 상기 뚜껑(140)을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142); 상기 몸체(105)의 전단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안내부(130); 원통형의 관 모양으로 되되, 전방 상에는 구형의 삽입구(210)가 형성되고, 삽입구(210)의 일부에 연장되어 삽입관(22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22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130)에 형성된 구멍보다 큰 지름을 갖는 연결관(225)이 형성되고, 후방 상에는 주사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 보조구(230)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5)의 안내부(130)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삽입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공수정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생식기의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여 개의 자궁에 정액을 주사할 수 있어 적은 양의 정액으로도 높은 수정율을 얻을 수는 있으나, 이 역시 많은 량의 정액이 주입되고 풍선(150)과 질과의 접촉력이 약할 때에는 확장된 풍선(150)만으로 정액의 역류를 방지하기에는 다소 미흡하고, 몸체(105), 손잡이(160), 뚜껑(140), 고정 장치(142), 안내부(130), 삽입기(200) 등 구성 부품수의 증대로 제조비용이 증대되며, 질 내의 상태를 확인하고 정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풍선(150), 제1, 2 공기관(152, 122), 제1, 2 공기주입기(154, 120), 광섬유(114), 발광부(112) 및 전원부(110) 등을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 가격이 더욱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인공수정 장치들은 일단 한번 사용하고 나면 세척 및 소독을 철저히 한다고 하더라도 재사용 시에는 질병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한번 사용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같이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에도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부의 사용자는 일단 한번 사용한 인공수정 장치라도 세척 및 소독하여 재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인공수정 장치는 포유동물의 생식기의 길이가 달라지는데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수정 장치를 제공하여 인공수정의 성공률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중으로 정액의 역류를 방지하며, 주입장치가 가축 등 포유동물의 생식기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생식기 안으로 너무 깊이 삽입되어 생식기 내부 또는 자궁경관 입구 등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구성을 단순화하여 가격을 저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한번 사용 후에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의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수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입구를 통해 팩으로부터 포유동물의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정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고정부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너트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돼지 정액 자궁체내 주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을 위한 주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타입의 인공수정 장치를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인공수정 장치 51 : 주사공
52 : 삽입 선단 상부 53 : 환형홈
54 : 삽입 선단 하부 55 : 삽입 선단부
56 : 주입관 57, 57' : 이탈 방지부
58, 58': 스토퍼 59, 59': 주입부
60 : 금속판 61 : 팩
62 : 손잡이부 70 : 너트
71, 71': 나사체결부 72 : 경사 고정부
73 : 절결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인공수정 장치는, 포유동물의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이를 융해한 상태로 주입기에 의해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삽입하여 인공수정을 행하는 인공수정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형태의 기다란 주입관과, 선단에 주사공을 형성하고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에 삽입하기에 적당한 유선형의 삽입 선단 상부와 삽입 선단 하부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환형홈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삽입 선단부와, 상기 주입관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정액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공을 형성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주입관의 삽입 선단부와 주입부의 사이에서 주입관 바깥에 끼워지는 실린더형의 원통과, 이 실린더형의 원통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생식기 내로의 삽입은 용이하나 생식기로부터의 이탈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는 형상으로 된 이탈 방지부와, 일측에 두개 이상의 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하며 생식기 내로의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와, 상기 원통의 내경을 통해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이동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실린더형 원통의 후단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체결부와, 상기 나사체결부에 연접하여 절결되어 있는 복수의 절결부, 및 상기 나사체결부에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는 나사체결부를 가지고 내면의 일측단에 반경 방향 안쪽으로 테이퍼진 경사 고정부를 형성하여 나사체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절결부를 반경 방향 안쪽으로 눌러 상기 이동부의 주입관에 고정할 수 있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인공수정 장치는 포유동물의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이를 융해한 상태로 주입기에 의해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삽입하여 인공수정을 행하는 인공수정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형태의 기다란 주입관과, 선단에 주사공을 형성하고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에 삽입하기에 적당한 유선형의 삽입 선단 상부와 삽입 선단 하부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환형홈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삽입 선단부와, 생식기 내로의 삽입은 용이하나 생식기로부터의 이탈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며 상기 주입관 상에서 삽입 선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탈 방지부와, 생식기 내로의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주입관 상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스토퍼와, 상기 주입관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정액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공을 형성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주입관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박판의 금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부는 그 단면이 2단 이상의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 또는 외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마개를 가지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부의 형상은 원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삽입 선단부와 이탈 방지부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주입관과 원통과 스토퍼 및 주입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의 도 1 내지 도 5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는 포유동물의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이를 융해한 상태로 주입기에 의해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삽입하여 인공수정을 행하는 인공수정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형태의 기다란 주입관(56)과, 선단에 주사공(51)을 형성하고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에 삽입하기에 적당한 유선형의 삽입 선단 상부(52)와 삽입 선단 하부(54)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환형홈(53)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56)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삽입 선단부(55)와, 상기 주입관(56)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정액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공을 형성하는 주입부(59)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주입관(56)의 삽입 선단부(55)와 주입부(59)의 사이에서 주입관(56) 바깥에 끼워지는 실린더형의 원통(80)과, 이 실린더형의 원통(8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생식기 내로의 삽입은 용이하나 생식기로부터의 이탈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는 형상으로 된 이탈 방지부(57)와, 일측에 두개 이상의 손잡이부(62)를 일체로 형성하며 생식기 내로의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58)와, 상기 원통(80)의 내경을 통해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이동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원통(80)의 내경을 통해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이동부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의 것이라도 무방하나, 실린더형 원통(80)의 후단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체결부(71')와, 상기 나사체결부(71')에 연접하여 절결되어 있는 복수의 절결부(73), 및 상기 나사체결부(71')에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는 나사체결부(71)를 가지고 내면의 일측단에 반경 방향 안쪽으로 테이퍼진(tapered) 경사 고정부(72)를 형성하여 나사체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절결부(73)를 반경 방향 안쪽으로 눌러 상기 이동부의 주입관(56)에 고정할 수 있는 너트(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관(56)의 외면 일측에는 박판의 금속판(60)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금속판(60)의 설치로 인공수정 장치(50)에 정액을 주입하여 사용하고 나서 이 금속판(60)의 부분을 절곡시킴으로써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주입관(56)에 금속판(60)을 설치하지 않고 사용 후 펜치(pincers) 등으로 주입관(56)을 잘라서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주입관(56)이 경질의 재료로 되어 있는 경우 미리 주입관(56)의 외면 일측에 다수개의 요홈을 형성하여 둠으로써 인공수정 장치(50)의 사용 후 이 요홈 부분을 꺾어 부러뜨려 재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공수정 장치의 재사용을 방지하려는 이유는 연질의 재료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사용 후 철저한 세척이나 소독이 곤란하여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부가 세균 등에 의한 질병에 감염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삽입 선단부(55)에 환형홈(53)을 설치하여 삽입 후 질의 수축에 따른 접촉으로 질 벽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정액 주입시 정액의 역류를 막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 방지부(57)의 형상은 원뿔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포유동물의 생식기인 질 내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후에는 상기 환형홈(53) 만으로 방지가 불충분하여 발생되는 정액의 역류를 다시 이중으로 방지하며 질 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단면이 타원형, 반원형, 및 유선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58)는 일측에 두개의 손잡이부(62)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형성되는 손잡이부(62)의 수자는 2개 이상 복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손잡이부(62)를 형성하는 이유는 본 고안의 인공수정 장치(50)를 질 내에 삽입하여 정액을 주입부(59)를 통해 주입 시 한쪽 손으로 동결정액을 내장하는 팩 등을 잡아 짜서 정액을 주입하고 다른 쪽 손으로 손잡이부(62)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스토퍼(58)는 생식기 내로의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으면 그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나, 통상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부(59)는 그 단면이 2단 이상의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포유동물의 생식세포인 정액을 주입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며, 경우에 따라 외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마개를 가지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한편, 포유동물의 생식기는 연약하여 쉽게 상처를 받기 쉽고 일단 상처를 입으면 염증의 발생 등으로 치유되기 매우 어려우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질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 보다는 연질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생식기 내에 삽입되어 직접 접촉하는 삽입 선단부(55)와 이탈 방지부(57)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질로 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관(56) 및 실린더형의 원통(80)은 각각 적당한 강성을 유지하여야 삽입이 용이하고, 스토퍼(58) 역시 적당한 강성을 유지하여야 질 내로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입부(59)도 적절한 강성이 있어야 정액의 주입이 용이하므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재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부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상기 주입관(56)에 설치되는 삽입 선단부(55)와 주입부(59)는 주입관(56)과 재질이 상이하므로 주입관(56)에 대해 분리형으로서 각각 주입관(56)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 설치될 수 있으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주입관(56)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부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상기 원통(80)에 설치되는 손잡이부(62)가 형성된 스토퍼(58)와 이탈 방지부(57)는 원통(80)과 재질이 상이하므로 원통(80)에 대해 분리형으로서 각각 원통(8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원통(8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유동물의 질 내에 정액을 주입하여 인공수정을 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상 인공수정 장치의 정액 주사공이 자궁경관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인공수정의 성공률이 높아지는데,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이동부의 주입관(56)이 고정부의 원통(80)의 내경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인공수정을 하고자 하는 포유동물의 생식기인 질의 길이에 따라 고정부에 대해 이동부를 이동하여 길이를 조절한 후에 너트(70)를 체결하면 너트(70)의 경사 고정부(72)에 의해 복수의 절결부(73)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눌려져 이동부의 주입관(56)에 고정됨으로써 인공수정 장치(5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포유동물의 생식기의 길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인공수정 장치의 길이를 조절하고 나서 한 손으로 스토퍼(58)의 손잡이부(62)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팩을 주입부(59)에 넣고 팩을 짜내면 팩 내의 정액이 주입부(59)와 주입관(56) 및 주사공(51)을 경유하여 질 또는 자궁경관 입구를 거쳐 자궁경관 내로 주입될 수 있어 인공수정의 수태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인공수정 장치(50)는 이탈 방지부(57)의 설치에 의해 포유동물의 생식기인 질 내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후에 상기 환형홈(53) 만으로 방지가 불충분하여 발생될 수 있는 정액의 역류를 다시 이중으로 방지하며 질 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스토퍼(58)의 설치에 의해 인공수정 장치(50)가 과도한 힘을 받아 생식기 내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이방지될 수 있어 생식기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등 인공수정 작업이 끝난 후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재사용으로 인한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의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의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50)는, 포유동물의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이를 융해한 상태로 주입기에 의해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삽입하여 인공수정을 행하는 인공수정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형태의 기다란 주입관(56)과, 선단에 주사공(51)을 형성하고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에 삽입하기에 적당한 유선형의 삽입 선단 상부(52)와 삽입 선단 하부(54)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환형홈(53)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56)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삽입 선단부(55)와, 생식기 내로의 삽입은 용이하나 생식기로부터의 이탈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며 상기 주입관(56) 상에서 삽입 선단부(55)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탈 방지부(57')와, 생식기 내로의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주입관(56) 상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57')의 후방에 위치하는 스토퍼(58')와, 상기 주입관(56)의 후단부에설치되어 정액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공을 형성하는 주입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50)가 앞서 살펴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주입관(56) 상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선단부(55)와, 이 삽입 선단부(55)의 후방에 이탈 방지부(57')와, 이 이탈 방지부(57')의 후방에 스토퍼(58'), 및 이 스토퍼(58')의 후방에 주입부를 설치하되 이동부와 고정부를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어서 길이 조절을 할 수는 없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8')는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손잡이부(62)가 제거된 것만 제외하면 그 재질,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5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탈 방지부(57')의 설치에 의해 포유동물의 생식기인 질 내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후에 상기 환형홈(53) 만으로 방지가 불충분하여 발생될 수 있는 정액의 역류를 다시 이중으로 방지하며 질 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스토퍼(58')의 설치에 의해 인공수정 장치(50)가 과도한 힘을 받아 생식기 내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생식기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의 도 8 및 도 9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 장치(50)는, 주입부(59')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59')는 외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마개를 가지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인공수정 장치(50)의 사용 후 재사용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인공수정 장치에 재사용 방지를 위한 박판의 금속판(60)이나 다수개의 요홈 등을 설치함이 없이 인공수정 장치(50)의 전체 구성요소를 금속 등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게 형성하여 끓는 물에 끓이는 등 철저한 세척이나 소독 등의 절차를 거쳐 재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포유동물의 생식기의 길이가 달라지는데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수정 장치를 제공하여 인공수정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중으로 정액의 역류를 방지하며, 주입장치가 가축 등 포유동물의 생식기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생식기 안으로 너무 깊이 삽입되어 생식기 내부 또는 자궁경관 입구 등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구성을 단순화하여 가격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한번 사용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의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수정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포유동물의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이를 융해한 상태로 주입기에 의해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삽입하여 인공수정을 행하는 인공수정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형태의 기다란 주입관(56)과, 선단에 주사공(51)을 형성하고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에 삽입하기에 적당한 유선형의 삽입 선단 상부(52)와 삽입 선단 하부(54)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환형홈(53)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56)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삽입 선단부(55)와, 상기 주입관(56)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정액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공을 형성하는 주입부(59)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주입관(56)의 삽입 선단부(55)와 주입부(59)의 사이에서 주입관(56) 바깥에 끼워지는 실린더형의 원통(80)과, 이 실린더형의 원통(8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생식기 내로의 삽입은 용이하나 생식기로부터의 이탈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는 형상으로 된 이탈 방지부(57)와, 일측에 두개 이상의 손잡이부(62)를 일체로 형성하며 생식기 내로의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58)와, 상기 원통(80)의 내경을 통해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이동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실린더형 원통(80)의 후단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체결부(71')와, 상기 나사체결부(71')에 연접하여 절결되어 있는 복수의 절결부(73), 및 상기 나사체결부(71')에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는 나사체결부(71)를 가지고 내면의 일측단에 반경 방향 안쪽으로 테이퍼진 경사 고정부(72)를 형성하여 나사체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절결부(73)를 반경 방향 안쪽으로 눌러 상기 이동부의 주입관(56)에 고정할 수 있는 너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장치.
  3. 포유동물의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이를 융해한 상태로 주입기에 의해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삽입하여 인공수정을 행하는 인공수정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형태의 기다란 주입관(56)과, 선단에 주사공(51)을 형성하고 포유동물의 생식기 내에 삽입하기에 적당한 유선형의 삽입 선단 상부(52)와 삽입 선단 하부(54)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환형홈(53)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56)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삽입 선단부(55)와, 생식기 내로의 삽입은 용이하나 생식기로부터의 이탈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며 상기 주입관(56) 상에서 삽입 선단부(55)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탈 방지부(57')와, 생식기 내로의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주입관(56) 상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57')의 후방에 위치하는 스토퍼(58')와, 상기 주입관(56)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정액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공을 형성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56)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박판의 금속판(60)을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그 단면이 2단 이상의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 또는 외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마개를 가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의 형상은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선단부(55)와 이탈 방지부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56)과 원통(80)과 스토퍼 및 주입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 장치.
KR20-2004-0008172U 2004-03-24 2004-03-24 인공수정 장치 KR200352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72U KR200352387Y1 (ko) 2004-03-24 2004-03-24 인공수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72U KR200352387Y1 (ko) 2004-03-24 2004-03-24 인공수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72A Division KR100655959B1 (ko) 2004-03-24 2004-03-24 인공수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387Y1 true KR200352387Y1 (ko) 2004-06-05

Family

ID=4943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172U KR200352387Y1 (ko) 2004-03-24 2004-03-24 인공수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3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915B1 (ko) 2011-01-11 2013-05-13 이장희 역류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정액 주입 장치
KR101326200B1 (ko) 2013-10-07 2013-11-20 정덕수 자궁내 인공수정장치
KR101757161B1 (ko) 2015-09-04 2017-07-14 주식회사 지엠엠씨 가축의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915B1 (ko) 2011-01-11 2013-05-13 이장희 역류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정액 주입 장치
KR101326200B1 (ko) 2013-10-07 2013-11-20 정덕수 자궁내 인공수정장치
KR101757161B1 (ko) 2015-09-04 2017-07-14 주식회사 지엠엠씨 가축의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5080C (en) Devic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nd/or collecting fluids in the inside of an animal uterus
US6860235B2 (en) Apparatus for creating a pathway in an animal and methods therefor
US73438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athway in an animal
CA2490727C (en) Apparatus for creating a pathway in an animal and methods therefor
KR200352387Y1 (ko) 인공수정 장치
AU2003203950C1 (en) Catheter for artificial insemination
KR100655959B1 (ko) 인공수정 장치
US7971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athway in an animal
US81364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athway in an animal
JP2008206881A (ja) 家畜の子宮深部注入用器具
JP4769913B2 (ja) 家畜用胚の移植用深部注入器
JP2001120581A (ja) 動物用胚の移植器具とその移植方法
KR200362902Y1 (ko) 돼지의 인공수정을 위한 정액 주입기
KR101156231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JP2010012247A (ja) 自然膣−子宮経路を通る子宮内移入用器具
KR970007677B1 (ko)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장치
US9615903B2 (en) Non-surgical embryo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KR200194602Y1 (ko) 수정란 이식 및 인공수정용 주입기구
KR200293240Y1 (ko)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JP2562153B2 (ja) 豚への精液注入方法と豚用精液注入器
CS246855B1 (en) Applicator for introducing early embryos
JP2004073024A (ja) 家畜の非手術的受精卵移植に用いる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