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541A -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 Google Patents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541A
KR20230115541A KR1020220012143A KR20220012143A KR20230115541A KR 20230115541 A KR20230115541 A KR 20230115541A KR 1020220012143 A KR1020220012143 A KR 1020220012143A KR 20220012143 A KR20220012143 A KR 20220012143A KR 20230115541 A KR20230115541 A KR 20230115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en
catheter
plug
head
artificial inse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희
현상환
백승홍
Original Assignee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541A/ko
Publication of KR2023011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7Devices for injecting semen into animals, e.g. syringes, guns, pro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8S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되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는, 동결정액을 수용하는 정액팩으로 부터 상기 동결정액을 공급받는 정액주입플러그; 상기 정액주입플러그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상기 동결정액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동결정액을 측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정액분사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Artificial Insemination Deep Injector Gilts}
본 발명(Disclosure)은,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미경산돈 생식기의 해부학적 구조를 기반으로하여, 자궁체까지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및 회수시 생체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동결정액이 분사되는 분사공 막힘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국내 1955년, 양돈 인공수정 기술이 도입되어, 중앙축산기술원에서 암퇘지 10두를 인공수정하여 80%의 수태율을 얻은 이후, 1962년도에 3만두, 1970년도에 11만두로 증가하였다가 그 후 계속 감소하여 ’80년도에 3만 8천두로 감소하여 정체기를 겪은 바 있다.
1994년에 이르러, 국내 양돈 인공수정기술의 산업화가 구축되어, 농림부의 정액 등 처리업의 허가에 관한 축산법 시행규칙에 관한 법령(제20조)에 의해 관련 산업체계가 관리 체계화되면서 실질적인 상업용 돼지 인공수정 보급이 시작되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국가별 식량안보에 따른 종자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국내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 정부 각 관련부처에서 글로벌 종자강국 도약을 위해 만든 R&D사업 골든씨드프로젝트(Golden Seed Project)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3-2016년 1단계 동결정액 생산기술 향상을 위해 연구개발한 바 있다.
이후 2017-2021년 2단계 사업인 동결정액 생산기술의 실용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까지, 돼지 인공수정 기술은 양돈 산업 생산성 개선에 효율적으로 적용되어 왔으며 기존의 인공수정기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양돈선진국 중심으로 아래와 같은 주요 세 가지 요소에 대한 기술개발 사업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 인공수정 시 주입되는 정자 수의 감소
2) 액상 희석액 및 동결기법 개발을 통한 정자 보존 개선
3) 모돈 강건성 유지 및 인공수정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인공수정 주입기/장치 개발
이러한 연구 분야 중 최첨담 혁신제품군인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post-cervical (intrauterine) artificial insemination, PCAI, 자궁경부 인공수정기] 개발을 통하여 양돈 선진국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인공수정에 미치는 영향인자로 웅돈 관리 및 정액 수집, 상태, 보존 방법, 정자농도 그리고 모돈의 발정과 발정주기의 제어가 있다
인공수정 시, 극복해야할 점은 모돈 생식기내 자궁-난관 접합부위에 충분한 정자를 확보해서 난관의 협부(Isthmus)에 정자 저장소가 형성되어야 한다.
자연 교배 시, 자궁-난관 접합에 충분한 양의 정자가 도달할 수 있도록 사정이 되지만, 인공수정 시 정자 농도는 그에 비해 낮고, 이러한 차이는 자궁난관 접합에 도달하는 정자 수가 제한적인 것을 의미하고, 높은 수정율과 생산율을 위해, 높은 농도의 정자 수(100ml, 30억) 및 2회 이상 인공수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유전적 및 생산적 가치가 높은 종돈의 생식기관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최소 정액 용량이 필요하며, 이것은 생산적이고 경제적인 효율성을 가져온다.
기존의 인공수정기(Conventional Artificial Insemination, CAI, 1세대 인공수정기)를 사용하여 정액 주입 시 일반적으로 자궁경에 정액을 주입하는데, 이는 자궁경의 해부학적 구조 때문에 정자 활동을 저해하여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정자수가 감소한다.
또한, CAI 사용하여 정액 주입 시, 정액의 투입량 중 70% 정도는 역류가 되고, 그 중에서 정자의 손실은 25~45%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CAI 방식이 아닌, 개선된 심부주입기를 사용하여 자궁각 (Uterus horns, 2세대 심부주입기)에 주입하는 Deep Intrauterine Insemination (DUI) 방식 또는 자궁체 (Post-Cervical Artificial Insemination, PCAI, 3세대 심부주입기) 방식과 난관(Oviduct)에 주입하는 Intraoviductal Artificial insemination (ITAI)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PCAI는 정자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자궁경을 통과하여, 정액을 자궁체에 주입하기 위해 외부 가이드 카테터 안에 하나의 관을 추가 삽입하여 만든 특수한 장치를 이용한다.
하지만, PCAI를 경산돈에 적용 했을 때는 문제없으나, 미경산돈에 적용 했을 때는 자궁경의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Catheter가 들어가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한계로, Garcia-Vazqurez 등은 스페인 내 미경산돈과 경산돈의 자궁경의 해부학적 특성을 분석한 바 있으며, 이에 국내 미경산돈의 해부학적 특성 분석도 이뤄져야 한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902호(2003.09.13.등록)
본 발명(Disclosure)은, 경산돈에 비해 자궁경관의 통로가 좁아 카테너가 진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생식기 내벽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는, 동결정액을 수용하는 정액팩으로 부터 상기 동결정액을 공급받는 정액주입플러그; 상기 정액주입플러그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상기 동결정액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동결정액을 측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정액분사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서, 상기 카테터는, 외경을 내경으로 나눈 값이 1.4 내지 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서, 상기 카테터는, 외경이 3.55mm이고, 내경이 2.4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서, 상기 정액주입플러그는, 논-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Non Di-Ethylhexyl 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서, 상기 정액주입플러그는, 중공부를 가지는 정액주입플러그몸체와, 상기 정액주입플러그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원형블록을 갖는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동결정액이 공급되는 플러그 입구영역과 상기 카테터의 후단부가 장착되는 플러그 출구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플러그 입구영역 및 플러그 출구영역의 사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중공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서 상기 카테터는, PETG(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서 상기 정액분사헤드는, PC(Polycarbonat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서 상기 정액분사헤드는, 상기 카테터와 결합되어 상기 동결정액이 이동하는 헤드 몸체부와, 상기 주입몸체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결정액이 양측면으로 배출되는 헤드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에서 상기 정액분사헤드는, 상기 헤드 몸체부의 전면 직경보다 후면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며,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1도만큼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방향으로 동결정액을 분사하고 미경산돈의 자궁체까지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정액주입플러그와 정액분사헤드를 카테터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A 영역을 확대하고 정액분사헤드 내부의 티자유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B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카테터의 일부와 정액주입플러그 및 정액분사헤드의 상하방향 단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a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b 영역을 확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정액주입플러그와 정액분사헤드를 카테터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A 영역을 확대하고 정액분사헤드 내부의 티자유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카테터의 일부와 정액주입플러그 및 정액분사헤드의 상하방향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는 정액주입플러그(120), 카테터(110), 정액분사헤드(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액주입플러그(120)는 후단부에 정액팩이 장착될 수 있다.
정액팩(미도시)은 동결정액을 수용하고 정액주입플러그(120)에 체결되어 동결정액을 공급한다.
정액주입플러그(120)는, 예를 들면, 논-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Non Di-Ethylhexyl 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정액주입플러그(120)는, 중공부를 가지는 정액주입플러그몸체(121)와, 정액주입플러그몸체(1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원통형 마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에는 정액팩(미도시)이 장착되는 플러그 입구영역(121a)과 카테터(110)의 후단부가 장착되는 플러그 출구영역(121b)으로 구획되고, 플러그 입구영역(121a) 및 플러그 출구영역(121b)의 사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중공돌출부(121c)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액주입플러그몸체(121)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긴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형태로 제공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부의 후단부에는 정액팩(미도시)으로부터 동결정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삽입 결합되고, 중공부의 전단부에는 카테터(110)가 삽입 결합되며, 그 중단부에는 내경이 중공부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즉, 내측으로 돌출)된 중공돌출부(121c)가 기 설정된 폭만큼 형성될 수 있다.
마개(122)는 정액주입플러그몸체(121)의 후단부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마개연결부(123) 부분에 원형통형으로 구비된다.
정액팩(미도시)의 배출구가 삽입 장착된 후 내부 중공부 및 카테터(110) 내부에 충분한 동결정액이 충진될 경우 정액팩(미도시)이 탈착될 수 있고, 이 후 해당 플러그 입구영역(121a)을 폐쇄하여 내부에 충진된 동결정액이 역류하지 않도록마개(122)로으로 플러그 입구영역(121a)의 개구부분을 막아 중공부 및 카테터를 외부로 부터 폐쇄할 수 있다.
정액주입플러그(120, Plug cap)는 단순한 구조로 소재는 Non-DEHP PVC 소재를 사용하였는데, 정액주입플러그(120) 제작 시 주의할 점은 PVC 소재의 수축률이 대략 1.020-1.022 정도이며, 금형 설계 시 이러한 수축률을 적용하여 금형 제작해야만 하고, 카테터(110, Catheter) 내부에 정액 투여 후 뒤로 역류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정액주입플러그(120)의 치수도 정액 팩의 사이즈(size)를 고려하여 설계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정액팩(미도시)의 배출구 각도가 정액주입플러그(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도 계산을 하여 정액 팩보다 약 1도 정도 각도를 더 주어 설계 적용할 수 있다.
카테터(110, Catheter)은 정액주입플러그(120)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동결정액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직선 튜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ETG(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카테터(110)의 소재 선정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동물용으로 사용하지만 동물 체내에 삽입하여도 무해한 소재를 선정해야 하며, 시험 기관에서 독성시험과 용출물시험이 완료된 소재를 선정해야 하는데, 생산비용을 생각하였을 경우에는 수액세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Non-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PVC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PVC 소재 특유의 냄새와 소재 특성 상 유연하지만 직진성이 없어 TPU 소재인 Pellethane 75D를 사용하여 압출 진행하였다. 여기에서, TPU 소재는 누구나 알고 있으며 검증된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은 소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산비용이 높으며, Pellethane 75D의 소재가 시간이 지날수록 사용하는 곳이 많이 없어서 더 이상 Pellethane 75D 소재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보유하고 있는 업체에서는 단가가 점점 높아지고, 압출 후 제품을 시험한 결과, 유연성은 있으나 그래도 푸쉬능(Pushability)은 부족하여 신규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가장 먼저 ABS로 압출하여 심부주입 테스트(Test)를 진행하였고, 푸쉬능(Pushability)이 좋다는 의견이 있지만, ABS 특성상 투명한 색상이 없어 상품화하기에 어려울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두 번째 소재는 PETG와 PCTG의 소재로 PET 계열의 소재를 압출하여 심부주입 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 PETG는 의료등급(Medical grade)이 완료된 소재이며, PCTG는 PETG와 비슷하지만 경도가 PETG보다 조금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가지의 소재로 각각 압출하여 심부주입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PCTG보다 PETG가 압출하기에는 훨씬 수월하며, 제품도 깨끗하고 경도도 큰 차이가 없어서 PETG로 결정하였다.
색상이 투명하여 카테터(110) 내부에 정액이 잘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도 가능하여 농가에서 안전하게 믿고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110)는 난관까지 삽입되는 것이 아닌 자궁벽까지 삽입되어 정액을 투여하여 정액 스스로 난관을 통해 난자까지 흘러가는 방식의 카테터(Catheter)로 제공될 수 있다.
카테터(110)의 물성적 요소를 최적화하기 위해 돼지의 자궁 전체를 구매하여 직접 카테터(110)를 삽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의 카테터(110)는, 외경을 내경으로 나눈 값이 1.4 내지 1.5이고 바람직하게는 외경이 3.55mm이고, 내경이 2.4mm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는 길고 좁은 생체 조직을 따라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밀침력(Pushability)이 매우 중요한 물성 지표중에 하나이다.
밀침력이 우수하다는 것은, 원위력(distal force)이 근위력(proximal force) 에 근접하여 카테터의 근위점에서 인가된 힘이 원위점까지 손실을 최소화 하여 전달될 수 있음을 뜻한다.
밀침력은 굽힘 저항성으로 달리 규정할 수 있는데, 이는 카테터의 재질과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좁고 긴 생체 조직을 따라 삽입되어야 하는 카테터에서 밀침력이 좋지 못하다는 것은 원하는 곳에 카테터의 원위점을 위치시킬 수 없다는 것이므로, 사용상 매우 큰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에 반하여, 지나치게 밀침력이 좋을 경우에는, 생체 조직에 자상이나 열상, 천공과 같은 외상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자궁목은 벽면에 굴곡이 심하기 때문에, 밀침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자궁목 벽면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출산 경험이 없는 미경산돈은, 새끼 돼지의 산도(birth canal, 産道)가 되는 자궁목과 질이 경산돈보다 좁아서, 굽힘 저항력이 적절해야 한다.
실제 미경산돈의 생식기를 이용하여 카테터의 굵기를 달리하며 자궁체까지 진입하는 시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110)의 외경을 내경으로 나눈 값이 1.4 내지 1.5이고 바람직하게는 외경이 3.55mm이고 내경이 2.4mm이다.
외경과 내경의 비율을 1.4 내지 1.5로 유지하면 돼지의 생식기 생체 조직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정도의 굽힘 저항력을 가진다.
즉, 생식기 내부 벽면에 의해 카테터가 저지될 때 근위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면, 카테터가 스스로 굽혀져서 생식기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한 적절한 굽힘 저항성으로 인해서, 생체 조직의 막힘이 해소되면 선형으로 복원되기 때문에, 적절한 밀침력을 다시 회복할 수 있다.
정액분사헤드(130)는 카테터(110)을 통해 이동하는 동결정액을 측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헤드몸체부(132), 헤드분사부(131)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액분사헤드(130)는 예를 들면, PC(Polycarbonat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정액분사헤드(130)의 소재는 PC인데, PC의 수축률은 약 1.004로써 설계 시 그 수축률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해야만 하고, 양옆 분사 방식으로 정액 주입 시 좌측 및 우측으로 분사되어 카테터(110)이 자궁벽까지 삽입되어 양옆의 난관 방향으로 분사 할 수 있는 양옆 분사 방식의 구조로 진행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정액분사헤드(130)는 카테터(110)과 결합되어 동결정액이 이동하는 헤드몸체부(132)와, 헤드몸체부(132)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동결정액이 양측면으로 배출되는 헤드분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분사부(131)는 측방향으로 동결정액을 분사하는 분사공(131a)를 구비할 수 있다.
정액분사헤드(130)는 헤드몸체부(132)의 전면 직경보다 후면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며,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1도만큼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헤드몸체부(132)의 전면 직경이 φ2.35인 경우 후면 직경은 φ2.21으로 위아래 각각 0.5도로 테이퍼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1도만큼 수평 중심축 방향으로 1도만큼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헤드몸체부(132)는 내부에 일자유로를 갖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며, 카테터(110)의 전단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헤드분사부(131)는 헤드몸체부(13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외경을 갖되, 헤드몸체부(132)의 일자유로와 연통되는 티(T)자유로를 갖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며, 티자유로의 중앙가지가 일자류로와 연통되면서 티자유로의 양측가지가 자궁벽을 향해 양측면으로 개구된 분사공(131a)이 있고, 이에 따라 카테터(110)을 통해 이동되는 동결정액이 일자유로 및 티자유로를 통해 자궁벽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동결정액은 동결팩(110)에 충진하여 장기간 보관하는 중에, 사용(즉, 정액주입플러그(120), 카테터(110) 및 정액분사헤드(130)를 이용한 정액 분사)할 경우 다시 융해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액팩의 전단부에 정액주입플러그을 장착한 상태에서, 그 정액주입플러그에 카테터를 삽입 장착하며, 카테터의 끝단부에 정액분사헤드를 장착하되, 정액팩으로부터 공급되는 동결정액을 정액주입플러그과 카테터를 통해 정액분사헤드로 이동시켜 정액분사헤드의 측면 방향으로 동결정액을 배출하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면서 양돈 생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동결정액을 수용하는 정액팩으로 부터 상기 동결정액을 공급받는 정액주입플러그;
    상기 정액주입플러그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상기 동결정액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동결정액을 측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정액분사헤드;를 포함하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외경을 내경으로 나눈 값이 1.4 내지 1.5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외경이 3.55mm이고, 내경이 2.4mm인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액주입플러그는, 논-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Non Di-Ethylhexyl 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소재로 제조되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액주입플러그는, 중공부를 가지는 정액주입플러그몸체와, 상기 정액주입플러그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원형블록을 갖는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동결정액이 공급되는 플러그 입구영역과 상기 카테터의 후단부가 장착되는 플러그 출구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플러그 입구영역 및 플러그 출구영역의 사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중공돌출부를 구비하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PETG(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로 제조되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액분사헤드는, PC(Polycarbonate) 소재로 제조되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액분사헤드는, 상기 카테터와 결합되어 상기 동결정액이 이동하는 헤드 몸체부와, 상기 주입몸체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결정액이 양측면으로 배출되는 헤드분사부를 포함하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액분사헤드는, 상기 헤드 몸체부의 전면 직경보다 후면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며,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1도만큼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는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KR1020220012143A 2022-01-27 2022-01-27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KR20230115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143A KR20230115541A (ko) 2022-01-27 2022-01-27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143A KR20230115541A (ko) 2022-01-27 2022-01-27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541A true KR20230115541A (ko) 2023-08-03

Family

ID=8756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143A KR20230115541A (ko) 2022-01-27 2022-01-27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5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02Y1 (ko) 2004-07-01 2004-09-22 상 중 김 돼지의 인공수정을 위한 정액 주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02Y1 (ko) 2004-07-01 2004-09-22 상 중 김 돼지의 인공수정을 위한 정액 주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3167B1 (en) Apparatus to reduce the number of sperm used in artificial insemination of cattle
Watson et al. Intrauterine insemination of sows with reduced sperm numbers: results of a commercially based field trial
US5916144A (en) System for introducing a fluid into the uterus of an animal
EP1395198B1 (en) Device for sow intra-uterine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US8202210B2 (en) Artificial breeding techniques for bovines including semen diluents and AI apparatus
US9433484B2 (en) Artificial breeding techniques for bovines including semen diluents and AI apparatus
KR101587880B1 (ko) 돼지의 수란관 내에 생식세포, 배아, 또는 임의의 형태의 용액을 주입시키거나 수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656010A (en) System for effecting embryo transplant
US20150282916A1 (en) Method, apparatus and kit for artificial insemination of bovine
US5558636A (en) Method of effecting embryo transplant
Buchanan et al. Pregnancy rates in mares following a single insemination with a low number of spermatozoa into the tip of the uterine horn
KR20230115541A (ko) 미경산돈 인공수정 심부주입기
US200200381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of animals
KR101156231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KR100841802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KR200362902Y1 (ko) 돼지의 인공수정을 위한 정액 주입기
ES2600378B1 (es) Dispositivo de inseminación intracervical profunda en ganado porcino.
Llamas López Optimization of post-cervical insemination in gilts and development of a new method of deep intra-cervical insemination based on the study of the reproductive system
KR20220104972A (ko) 동결정액 심부 주입기
JP3070292U (ja) 精液注入器
KR20030069423A (ko) 돼지의 자궁내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기구
CN112584794A (zh) 用于人工授精的装置和方法
KR20170029052A (ko) 가축의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장치
GB2399270A (en) Hysteroscopic insemination system
Huinker Diagnosing on-farm problems: heat detection and inse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