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545B1 -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 Google Patents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545B1
KR950014545B1 KR1019930014710A KR930014710A KR950014545B1 KR 950014545 B1 KR950014545 B1 KR 950014545B1 KR 1019930014710 A KR1019930014710 A KR 1019930014710A KR 930014710 A KR930014710 A KR 930014710A KR 950014545 B1 KR950014545 B1 KR 95001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ut
fertilized egg
support
cylindr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723A (ko
Inventor
정병현
정길생
이훈택
Original Assignee
정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현 filed Critical 정병현
Priority to KR1019930014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545B1/ko
Publication of KR95000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4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embryo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제1도는 포유동물인 소의 수정란 발육과정별 위치도.
제2도는 포유동물인 소의 생식기관을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종래의 채란기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종래 채란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채란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절결형 지지대와 몸체 삽입실린더의 록킹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질내의 오염방지수단을 나다낸 종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a)는 초기 상태도.
(b)는 자궁경관을 통과시킨 상태도.
(c)는 몸체를 자궁심부까지 유도시켜 풍선을 팽창시킨 상태도.
(d)는 카테터에서 절결형 지지대의 몸체 삽입실린더를 분리시킨 상태도.
(e)는 자궁심부에 위치된 몸체의 두부를 자궁경관측으로 후퇴시킨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몸체 17 : 두부
18 : 제척액주입통로 19 : 주입구
20 : 세착액 배액통로 21 : 배액구
22 : 풍선 23 : 공기주입통로
24,25,26 : 연결구 27 : 강성체
28 : 원통형지지대 28 : 요입홈
29 : 플랜지 30 : 절결형 지지대
30a,31b : 절결부 31 : 몸체삽입실린더
31a : 돌기 38 : 보조실린더
39 : 비닐캡 39a : 절결홈
본 발명은 우수형질을 가진 가축을 대량 증식하는 가축의 개량수단, 신생리 활성물질을 얻기 위한 새로운 형질 동물을 생산하는 연구수단, 우수동물의 수송비 절감을 위한 수정란의 무역수단 등을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수정란 이식에 필요한 수정된 난자의 회수를 위한 포유동물(소, 말, 면양, 산양, 돼지, 개 등)의 수정란 채란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채란율을 높이고, 채란시술기 자궁내의 오염이나 자극 (damage)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소량의 세척액으로 짧은 시간내에 시술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정란의 자극(damage)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정란이식의 산업적 이용은 우량형질의 가축을 대량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세계각국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유전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의약품에 속하는 생리활성물질의 생산을 위한 형질전환동물의 모델개발등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정란에 유전자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수정란의 대량확보의 이식된 수정란의 수태율 향상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소의 수정란 이식은 1951년 Willett 등이 처음으로 산자생산에 성공한 이래 실용화는 1972년 7월 영국의 Cambridge 대학 T.R R Mann교수가 수정란 이식에 관한 강습회를 개최함과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었다.
또한 1986년 한해동안 미국에서 1,500,000두의 소에 수정란을 이식하여 수태시켰으며, 그후 1987년에서 1988년 사이의 1년 동안에는 100%가 증가한 소에 수정란 이식으로 수태시키는 기록을 세웠다.
[참고문헌: D. Smidt and H. Niemann, Embryo transfer techniques related to application fields, In Biotechnonlogy for Livestock Production, (FAO, UN), pp63-70,1986. Plenum Press NewYork U.S.A]
채란율은 배란을 확인한 난자의 55-65% 정도의 회수율로 공란우 1두당 채란된 평균 난자수는 4.5개[참고문헌: Newcob. R. et al. 1978: Comparition of the fetal Survival rate in heifers after the transfer of an emvryo Surgically to one ute rine horn and nonsurgically to the other, J. Reprod, Fertil.,52,395-397.)로 연구보고 한것을 감안하여 직접 수정란 이식에 공여된 소의 수를 추정한다면 1986년 한해동안 3,000,000두 이상의 수란우(수정란을 받는 소)에 수정란 이식을 실시하였으며 600,000두의 공란우(수정란을 공여하는 소)를 이용 난자를 채란한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1982년 한해동안 미국에서 35,000두에 대한 수태가 성공할 당시에는 미국을 비롯한 캐나다, 뉴질랜드, 일본, 영국등 7개국에서만 수정란 이식을 하였으나 1983년에는 세계 35개국 832개 팀의 수정란 이식단체가 생기게 되었다.
[참고문헌: Dacid A Morow,: Current therapy in Theriogenology(Edition 2).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Michigan State University 1986: page 51-53 ]한국에서의 수정란 이식 기술도입은 1982년으로 발명자가 소속된 연구실에서 처음 시도되었으며 현재까지 약 800두 이상의 소에 수정란 이식을 시술하였고 기술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에서 1993년도 한해동안 수정란 이식을 시술할 예상두 수는 약1000두 정도로 추산된다.
산업동물의 수정란 이식에 있어서 산업성을 결정하는 요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수한 형질을 가진 암컷의 단자에 우수한 수컷의 정자가 결합된 양질의 수정란을 많이 확보하는 것과, 높은 수태율이다.
그러나 수정란의 대량 확보가 용이치 않아 여러 학자들은 1개의 수정란을 208개로 쪼개어 여러마리의 태아를 잉태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란우(단자를 공급하는 소)에서 전처리(호르몬주사)에 의한 과배란을 유기시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난소(1)에서 배란된 α-20개의 난자는 난관팽대부(2)를 지나 난관협부(3)에서 정자와 결합(수정:受精)된 상태에서 난관의 섬모운동 및 연동운동에 의해 난관접합부(4)를 따라 이동하여 자궁각(5) 선단부위에 도달한다.
자궁각선단에 도달한 수정란은 자체 운동성이 없고 자궁의 연동운동도 없으므로 자궁각선단(5a)에서 세포분열 즉 배발달을 하게 된다.
이때 걸리는 시간은 약 72-96시간(3-4일) 정도이며 채란에 가장 적당한 일수는 자궁각 선단에서 배발달(胚發達)을 계속하는 약 5-7일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배란후 8-9일 정도가 되면 수정란의 부하(투명대기 벗겨지는 현상)로 인해 세포덩어리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세포가 흩어질 염려가 많으므로 수정란 이식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소에서 수정란을 채란하는 방법에는 외과적인 방법과 비외과적인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외과적인 방법은 비외과적인 방법보다 채란율이 7-16% 높고 (참고: Newcob, R. et al (1978): Comparltion of the Survival rate in helfers after the transfer of an embryo Surgically to one uterine horn and nonsurgically to the other, J. Reprod, Fertil,52,395-397) 수태율도 악 10-20%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참고 : 金川弘司 北每道大學 獸醫學部 1984: 牛의 受精卵 移直, page 93. )
그러나 외과적인 방법의 단점은 시술하는 과정에서 개복수술을 하여야 되므로 채란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술시간이 비외과적인 방법에 비하여 10배 이상 소요되고, 반복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등의 결점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채란은 대부분(거의 100%)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다. 수정란의 채란은 자궁선단에 내려온 6-7일령의 수정란을 세척액으로 자궁내를 세척하고, 이 세척액을 모아서 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정란을 찾아내는데, 상기 과정을 채란(彩卵)이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채란된 수정란을 수란우(수정란을 받아서 임신하여 분만하는 소)에 한개씩 이식한다.
수정란의 채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채란시기인 수정후 6-7일에 수정란은 자궁각 선단에 모여있기 때문에 수정란이 모여있는 부위까지 채란의 카테터를 가장 가깝게 근접시켜야 된다.
수정란을 채취하는 채란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채란기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15)과 자궁경관(6)을 차례로 통과되어야 한다.
상기 질(15)과 자궁각(5)을 격리시켜 질(15)내의 세균들이 자궁각(5)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자궁경관(6)은 윤상추벽으로 3-4개의 추벽이 심하게 수축 폐쇄되어 있어 2-3mm 직경의 파이프라 할지라도 통과하기 어렵다.
수정란 채취작업은 채란기가 필수적으로 자궁경관(6)을 통과해야 하나 추벽이 심하게 수축되어 있어 고도로 숙련된 시술자가 아니면 통과시키기 어렵게 된다. 또한 숙련된 시술자라 할지라도 개체에 따라서는 자궁경관(6)의 통과가 아주 어려운 경우도 자주 있다.
이에 따라 자궁경관(6)을 통과시키면서 주입기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되면 자궁경관(6)의 점막상피세포가 벗겨져 상처를 유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수축된 자궁경관(6)을 통과시키기 위해 질긴 고무류의 재질로 된 카테터의 몸체내부(세척액 배액구)에 강성체를 집어넣어 자궁경관(6)을 통과시 몸체가 굽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지만, 숙련자라도 자궁경관(6)으로 몸체의 선단부를 통과시키기가 용이치 않게되므로 자궁경관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강성체의 직경을 가늘게 하여야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강성체의 직경이 가늘어지므로 인해 자궁경관이나 자궁각이 천공될 위험성을 내포하게 된다.
종래 채란기의 카테터는 제3도와 같은 형태로서, 몸체(7)의 중심부에 세척액배액 통로(8)가 형성되어 몸체(7)선단의 양측으로 형성된 배액구(9)와 통하여져 있고 상기 세척액배액통로(8)의 일측으로는 세척액주입통로(10)가 형성되어 몸체선단부에 형성된 주입구(11)와 통하여져 있으며 세척액배액통로(8)의 다른 일측으로는 공기주입통로(12)가 형성되어 배액구(9)상부로 형성된 풍선(13)과 통하여져 있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강성체(14)를 몸체(7)의 중심부에 형성된 세척액배액통로(8)를 통해 집어넣어 유연체인 몸체(7)를 자궁각(5)내로 삽입시 몸체(7)가 굽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따라 강성체(14)가 삽입된 몸체(7)의 선단부를 수란우의 질(15)과 자궁경관(6)을 차례로 통과시킨 다음 자궁각(5)내로 최대한 밀어넣은 후 몸체(7)의 후단부에 형성된 공기주입통로(12)를 통해 주사기 등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선단부에 형성된 풍선(13)이 팽창되어 자궁각(5)을 폐쇄시키게 된다.
그후 세척액주입통로(10)를 통해 자궁각(5)내로 세척액을 주입하면 자궁각의 선단부에 달라불어 있던 수정란이 자궁각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액구(9)와 세척액배액 통로(8)를 통해 세척액과 함께 외부로 배액되므로 별도의 작업에 의해 수정란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척액주입구(11)가 없고 세척액배액구(8)로 세척액의 주입과 배액을 동시에 수행하는 2-way로 된 카테터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사람의 방광세척용으로 제작된 카테터를 이용한 것들이다.
Necomb등 (1978년)이 생식기의 손상여부에 관계가 없는 조건하에서 수정란을 채란한 실험적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궁각선단(5a)로부터 0-2.5cm, 2.5-5.0cm, 5.0-10.0cm, 10cm 이상의 지점에 카테터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채란을 실시한 결과 각각 56.2%, 61.3%, 38.4%, 23.5%의 채란율을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Newconb, R.et al. (1978): Non-Surgical recovery of vobine embryos, Vet, Rec,105,432 -434)
이와 같이 자궁각선단(5a)에서 2.5-5.0지점에 몸체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세척하는 것이 채란율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지만 유연성인 몸체(7)의 선단부를 폐쇄되어 있는 자궁경관(6)을 통과시킨 다음 굽어진 자궁각(5)을 통해 자궁각선단(5a)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체(14)인 별도의 지지대가 있어야 한다.
이때 강성체(14)가 직선이기 때문에 굽어진 자궁각(5)을 통하여 자궁각선단(5a)에 몸체(7)의 선단부를 근접시키기 위해 숙련자가 최선의 노력(자궁각에 최소한의 손상을 주는 한도내에서 될 수 있는한 깊이 삽입해야 함)을 할지라도 대부분 자궁각 선단(5a)에서 10cm 이내의 근접이 어려우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첫째, 몸체(7)를 자궁각(5)내로 삽입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강성체(14)는 직경이 약 2-3mm 미만(굵으면 몸체내의 세척액 배액공으로 삽입이 곤란함)으로 가늘고 직선이므로 몸체를 지지하여 자궁경관(6) 또는 자궁각(5)을 통과시 여러가지 형태의 상처를 입히게 된다.
즉, 강성체(14)가 삽입된 몸체(7)의 선단부를 수란우의 질(15)과 자궁경관(6)과 자궁각(5)을 차례로 통과시킥때 자궁경관의 수축으로 인해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므로 몸체(7)의 선단부가 제4도의 (c)와 같이 신장되어 결국(d)와 같이 파멸되고, 이에따라 자궁경관(6)이나 자궁각(5)의 벽을 강성체(14)가 관통하게 된다.
또한 몸체(7)의 선단부가 파열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강성체(14)의 첨단부가 자궁경관(6)에 손상을 입히는것이 불가피하게 되므로 몸체(7)의 삽입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단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에는 자궁경관(6)의 통과시 무리한 힘을 가할 수 있지만 무리한 힘을 가할때 자궁경관(6)의 수축우로 인해 몸체(7)의 선단부가 제4도의(b)와 같이 굽어져 자궁경관(6)의 통과가 용이치 않게됨은 물론 조금의 부주의로도 강성체(14)가 배역구(9)로 노출되어 자궁경관(6)을 관통시키게 되었다.
둘째, 상기 강성체(14)를 세척액배액통로(8)내로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체(14)의 외면에 바셀린과 같은 윤할제를 발라주어야 되었으므로 체란액(세척액)을 오염시켜서 수정란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셋째, 몸체(7)의 선단부에 비교적 큰 2개의 배액구(9)와 1개의 주입구(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질(15)과 자궁경관(6)의 통과시 세균오염의 기회가 많게 되었음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몸체(7)의 삽입시 점조도가 높은 자궁경관 점액이 개구된 배액구(9)내에 차여 세척액의 배액시 자궁경관 점액이 세척액배액통로(8)을 폐쇄시키게 되므로 수정란 회수작업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넷째, 몸체(7)가 자궁경관(6)을 통과하고나면 자궁각(5)내의 관내는 넓어 몸체(7)의 계속적인 삽입시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게 되나, 몸체의 중간부위가 자궁경관(6)에 의해 저항을 받게되므로 반드시 강성체(14)를 전진시켜야만 선단부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강성체(14)는 직선형태로서 형상이 가변되지 않게 되므로 제3도의 (a)와 같이 굴곡된 자궁각(5)의 심부까지 선단부를 유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몸체(7)의 선단부가 자궁각(5)의 중간부위(자궁각 선단에서 약 10cm 떨어진 부위)에 위치되지만 세척액의 역류기능을 방지하는 풍선(13)이 자궁각(5)의 입구를 조금 지난 부위에 위치되므로 세척액의 사용량(400-1000ml)이 많아지게 되고, 이에따라 자궁내에서 수정란의 분실이 많고 회수된 세척액내에 포함된 수정란을 찾아내는 작업이 어렵고 분실율이 높았다.
다섯째, 몸체(7)의 직경은 굵고 강성체(14)의 직경이 가늘기 때문에 유동성이 많아서 자궁경관(6)을 통과시키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축된 자궁경관의 통과시에는 몸체의 선단부가 스스로 자궁경관의 미로를 찾아가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함과 동시에 자궁경관을 통과하고 난후에는 몸체가 자궁각의 형태와 동일하게 변형되어 몸체의 선단부를 자궁각의 선단부 근처까지 위치시킬 수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몸체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두부와, 상기 두부의 끝단에 세척액 주입통로와 통하여지게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몸체 및 두부의 접속부에 세척액 배액통로와 통하여지게 형성된 배액구와, 상기 두부의 근접부에 형성되어 자궁각을 폐쇄시키도록 공기주입통로와 통하여지게 형성된 풍선과, 상기 세척액주입통로 및 세척액배액통로 그리고 공기주입통로와 통하여지도록 두부와 반대측 몸체에 형성된 연결구로 구성된 카테터 , 상기 몸체를 감싸며 삽입시 두부에 걸려 이동이 제어되는 원통형지지대와, 상기 원통형 지지대에 나사끼우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삽입실린더와, 상기몸체삽입 실린더 내에 몸체를 감싸게 결합되어 원통형지지대의 삽입완료시 몸체삽입실린더를 원통형지지대에서 분리시키는 분리관으로 구성된 몸체삽입구로 되어 몸체의 삽입시 두부만 원통형지지대의 선단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몸체삽입구내에 수용되도록 하여서 된 프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채란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8도는 제5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와 몸체삽입구의 2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요소중 카테터는 자궁강(5)내로 세척액을 주입하여 제척액과 함께 수정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연체이고, 몸체 삽입구는 유연체인 카테터를 자궁각의 선단부까지 삽입시킬때 안내역할을 하는 강성체이다.
자궁각(5)내로 삽입되는 카테터는 몸체(16)의 선단에 두부(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부의 끝단에는 세척액주입통로(18)와 통하여지게 주입구(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6)와 두부(17)의 접속부에는 세척액배액통로(20)와 통하여지게 배액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6)의 선단부에 위치되는 두부(17)는 몸체(1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몸체(16)에서 두부(17)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두부(17)의 중심부에서 다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있어 두부(17)가 자궁경관(6)을 통과할때 자궁경관(6)의 윤상추벽의 미로를 따라 두부(17)와 몸체(16)의 연결부위가 굽어지면서 자궁경관의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쉽게 자궁경관(6)을 통과하게 된다.
이는 두부(17)의 적당한 경사각도와 재질의 특성을 잘 조화시킨 결과이다.
그리고 상기 두부의 근접부에는 몸체(16)가 자궁각(5)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테터를 고정시키고 세척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풍선(22)이 공기주입통로(23)와 통하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주입통로(18) 및 세척액배액통로(20) 그리고 공기주입통로(18)의 통하여지도록 두부(17)의 반대측 몸체(16)에는 연결구(24)(25)(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부(17)의 선단에 형성되는 주입구(19)의 크기는 두부(17) 및 몸체(16)의 근접부에 형성되는 배액구(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주입구(19)의 크기를 작게하므로서 강제적으로 공급되는 세척액의 분사속도에 의해 순류와 와루가 형성되도록 하여 자궁각(5)내의 수정란 이탈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탈된 수정란이 비교적 큰 배액구(21)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테터의 몸체(16)는 원형으로 되어있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세척액주입통로(18) 및 세척액배액통로(20) 그리고 공기주입통로(23)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가능한 강성체(27)를 삽입하도록 되어있다.
이는 몸체(16)가 유연성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자궁각(5) 내로의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몸체(16)를 반드시 경도가 높은 유연체로 할 경우에는 반드시 강성체(27)를 삽입할 필요가 없계되며 이 경우에는 자궁각 내에서의 몸체변형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된다.
몸체(16)에 결합되어 몸체의 삽입을 보조하는 몸체삽입구는 몸체(16)의 외경부에 플랜지(29)를 가진 원통형지지대(28)가 끼워져 자궁각(5)내로 몸체(16)가 삽입될때 배액구(21)를 수용함과 동시에 두부(17)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지지대(28)에는 절결형지지대(30)가 나사끼우기로 착탈가능하게 되어있고 상기 절결형지지대(30)내에 삽입된 몸체삽입실린더(31)에는 몸체(16)가 내삽되어 있어 상기 몸체를 전진시킬때 몸체가 굴곡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몸체(16)를 자궁각(5)내로 삽입완료시킨후 원통형지지대(28)에서 절결형지지대(30)를 분리시켜 채탄시술시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l)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이때 나사결합되는 원통형지지대(28)와 절결형지지대(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통형지지대(28)의 플랜지(29) 내부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절결형지지대(3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를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이는 절결형지지대(30)가 원통형지지대(8)내에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절결형 지지대의 외경을 줄여무게를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원통형지지대(28)에 플랜지(29)를 형성한 이유는 자궁경관(6)내로 원통형지지대(28)를 삽입시 플랜지(29)에 의해 삽입깊이가 제어되도록 하여 채란완료후 원통형지지대(28)를 자궁경관(6)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원통형지지대(28)의 플랜지(29) 외주면에 숫나사를, 그리고 절결형지지대(3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이들을 나사끼우기로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몸체(16)를 자궁각(5)내로 삽입완료시킨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지지대(28)에서 절결형지지대(30)를 분리시키기 위해 원통형지지대(28)의 내주면에 요입홈(28a)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삽입실린더(31)의 끝단부에는 상기 요입홈(28a)에 끼워지는 돌기(31a)가 형성되어 있어 절결형지지대(30)를 한손으로 잡고 몸체삽입실린더(31)을 원통형지지대(28)의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요입홈(28a)과 돌기(31a)에 의해 원통형지지대(28)가 회전되므로 원통형지지대(28)에서 절결형지지대(30)가 분리된다.
또,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에는 절결부(30a)(31b)가 형성되어 있어 카테터가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 절결부(30a)(31b)를 통해 몸체(16)에서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을 제거시키게 된다.
이때 절결부(30a)(31b)의 폭이 제6도와 같이 몸체(16)의 직경보다 클 경우에는 몸체(16)의 삽입시 몸체(16)가 절결부(30a)(31b)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염려가 있게되므로 제5도와 같이 절결부(30a)(31b)의 폭을 몸체(16)의 직경보다 작게하고 몸체(16)내에 형성된 세척액주입통로(18) 및 세척액배액통로(20) 그리고 공기주입통로(23)와 통하여지게 몸체(16)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구(24)(25)(26)를 일방향으로 위치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목부위(32)를 절결부(30a)(31b) 보다 작게하여 목부위(32)를 통해 몸체(16)에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를 결합하거나, 또는 몸체에서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6도와 같이 절결부(30a)(31b)의 폭을 몸체(16)의 직경과 동일하게하고 몸체(l6)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구(24a)(25a)(26a)를 몸체에 대하여 횡으로 위치되게 형성하여 몸체를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의 절결부(30a)(31b)를 통하여 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몸체(16)에서 분리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몸체(16)가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의 절결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의 플랜지(30b)(31c)에 록킹수단을 구비하여야 된다.
상기 록킹수단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형지지대(30)의 플랜지(30b)에 체결홈(30c)을 형성하고 몸체삽입실린더(31)의 플랜지(31c) 내측으로는 걸림돌기(31d)를 형성하여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의 휴대시 걸립돌기(31d)가 체결홈(30c)에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이들이 상호 분리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시술시에는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가 헐거운 상태로 끼워지므로 인해 이들의 쉽게분리되므로 절결형지지대(30)의 플랜지(30b)에 중심축방향으로 구멍(30d)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내에 볼(34)과 스프링(35)을 차례로 넣고 스크류(36)로 구멍(30d)을 폐쇄시켜 볼(34)이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몸체삽입실린더(31)의 외측면과 항상 탄력적으로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볼 (34)이 노출되는 구멍(30d)의 끝단부 지름은 볼(34)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여야만 각부품을 분리시켰을때 볼(34)이 구멍(30d)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절결형지지대의 플랜지(30d)에 록킹수단을 구비시킨 이유는 수정란의 채란시에 1사람의 시술자가 한손은 직장을 통해 삽입하여 카테터의 삽입위치를 촉지(觸指)하면서 다른 한손으로는 외음부(33)를 통해 절경형지지대를 삽입하기 때문에 시술작업시 부주의로 절경형지지대를 일측으로 기울이므로서 몸체삽입실린더가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수정란의 채란시 몸체의 선단부(두부)가 질(15)을 통과하게 되므로인해 질내의 세균으로부터 두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첨부도면 제7도는 질부위에서의 오염방지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질(1)부위에서 몸체(16)의 선단부인 두부(17)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결형지지대(30)의 외측으로 두부(17)를 수용하도록 손잡이(37)를 가진 보조실린더(30)가 절결형지지대를 감싸도록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보조실린더(30)의 선단 개방부에는 질(1)내부로 삽입시 개방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엷은 비닐캡(31)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비닐캡(31)은 팁(16)의 선단부(18)에 작동되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열될 정도의 두께를 갖어야되며, 만약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두부(17)이 전진시 파열되도록 방사상의 절결홈(39a) 을 형성하여야 한다.
질(1)내부에서의 세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비닐캡(31)의 고정수단으로는 별도의 캡(40)을 이용하여 비닐캡(31)을 보조실린더(38)에 결합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된다.
상기 비닐캡(39)의 재질로는 연질의 실리콘류, 플라스틱류, 세라믹류, 고무류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수정란 채란이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소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채란기를 이용하여 수정란을 채란하는 일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채란기 몸체(16)의 외측으로 원통형지지대(28)가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어 절결형기지대(30)내에 몸체삽입실린더(31)을 결합하여 절결부(30a)(31b)를 일치시킨 다음 상기 절결부를 통해 몸체(16)의 후단부에 형성된 연결구(24)(25)(26)의 목부분(32)을 통과시킨 후 절결부(30a)(31b)가 상호 반대방향에 위치되도록 몸체삽입실린더(31)를 회전시키면 절결형지지대(30) 및 몸체삽입실린더(31)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절결부(30a)(31b)의 위치를 반대방향으로 하는 이유는 카테터의 삽입시 카테터가 굴곡되어 절결부(31b)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따라 원통형지지대(28)에 절경형지지대(30)를 일치시키고 이들을 나사결합한 다음 한손으로 절결형지지대(3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몸체(16)를 잡아당기면 몸체(16)의 두부(17)가 원통형지지대(28)에 밀착되어 배액구(21)가 원통형지지대(28) 내부에 위치되는 제8도의 (a)와 같은 초기 상태가 된다.
그후 제7도와 같이 원통형지지대(28)에 결합된 절결형지지대(30)의 외측으로 비닐캡(39)이 고정된 보조실린더(38)를 끼워 두부(17)의 선단부가 외음부(33)를 거쳐 질(15)내를 통과할때 질내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채란기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정란을 채취하기 위해시는 시술자가 한손은 소의 직장내로 넣어 몸체(16)의 삽입위치를 촉지할 수 있도록 한다음 다른 한손으로는 몸체(16)의 두부(17)가 원통형지지대(28)와 밀착되도록 한 후 보조실린더(38)를 잡고 외음부(33)로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이 보조실린더(38)이 선단부가 질(15)를 통과하여 자궁경관(6)의 입구에 도달되었음이 직장을 통해 놓은 손에 의해 촉지되면 보조실린더의 손잡이(37) 를 잡고 절결형지지대(30)를 이동시키므로서 연질의비닐캡(39)이 파멸되는데, 이때 비닐캡(39)에는 방사상의 절결홈(39a)이 형성되어 있어 보다 쉽게 비닐캡이 파열된다.
그후 보조실린더(38)의 이동은 중단된다. 몸체(16)의 두부(17)가 질(15)를 통과하여 자궁경관(6)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보조실린더(38)내에 있던 절결형지지대(30)를 밀어넣으면 두부(!7)가 원통형 지지대(28)의 외경보다 약간의 원통형지지대에 지지되므로 두부(17)의 유연성으로 인해 두부(17)가 자궁경관(6)의 윤상추벽을 따라 굴곡되면서 유도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따라 자궁경관(6)의 통과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두부(17)의 유연성은 원통형지지대(28)의 끝단이 두부(17)와 몸체(16)의 연결부를 지지하여 보완하므로 두부(17)가 용이하게 자궁경관(6)을 통과하여 원통형지지대(28)의 플랜지(29)가 자궁경관(6)의 입구측에 닿게됨과 동시에 원통형지지대(28)의 선단부가 자궁경관(6)을 통과하게 되므로 두부(17)는 자궁각(5)의 입구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원통형지지대(28)가 질(15)과 자궁경관(6)을 차례로 통과시 두부(17)와 풍선(22) 사이에 형성된 배액구(21)가 원통형지지대(28) 내에 위치되므로 배액구(21)내에 세균 및 이물(자궁경관 점액)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된다.
두부(17)가 유연성이면서도 자궁경관(6)을 종래의 몸체보다 용이하게 통과되는 이유는 원통형지지대(28)와 두부(17)의 접속부위에서의 역학적인 측면,즉 원통형지지대(28)와 두부(17)의 접속부위는 고정되어 있지않고 유동하게 되므로 자궁경관(6)의 추벽에 의한 두부(17)의 저항이 있을때에는 두부(17)가 자궁경관(6)의 추벽을 따라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스스로 경로를 찾아 자궁경관(6)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두부(17)에 형성된 주입구(19)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주입구(19)의 지름이 비교적 작게 두부(17)의 선단근접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궁경관(6)의 점액등이 주입구(19)내에 유입되어 자궁각(5)으로 이행시킬 확률이 희박하게 된다. 몸체(16)의 두부(17)가 자궁경관(6)을 통과하여 자궁각입구에 진입됨이 촉지되면 절결형지지대(30)에 의한 삽입을 중단하고 몸체(16)의 후단부만을 계속해서 밀어 넣으면 된다.
이에따라 원통형지지대(28)와 몸체삽입실린더(31)내에 삽입된 몸체(l6)는 아무런 저항이 없으므로 자체유연성에 의해 점진적으로 자궁각(5)내로 삽입되면서 두부(17)가 자궁각(5)의 내면과 접촉되어 미끄러지게되므로 몸체(16)가 자궁각(5)의 형상대로 변형되어 자궁각(5)의 선단부위, 즉 수정란이 모여있는 근접부까지 유도된다.
이때 시술자는 직장내로 삽입된 손으로 자궁각의 선단을 접촉하고 있으면 두부(17)가 자궁각(5)의 선단부까지 유도된 상태를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두부(17)가 자궁각(5)의 선단부에 유도되면 주사기(도시는 생략함)를 연결구(24)(24a)에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게 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공기주입통로(23)를 통해 공급되어 풍선(22)을 팽창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제7도의 (c)와 같이 카테터가 자궁각(5)에 고정되므로 세척액의 역류가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테터가 자궁각(5)에 고정된 상태에서 세척액을 주입하여 수정란을 세척액과 함께 배액시킬 수도 있지만, 채란작업에 방해가 되는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를 몸체(16)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몸체삽입실린더(31)의 선탄부에 형성된 돌기(31a)를 원통형지지대(28)의 플랜지(29) 내부에 형성된 요입홈(28a)에 끼운다음 한손으로 절결형지지대(3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몸체삽입실린더(31)를 회전시키면 원통형지지대(28)가 몸체삽입실린더(31)와 함께 회전되므로 나사결합된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 실린더(31)가 상호 분리되고, 자궁경관(6)내에는 원통형지지대(28)만이 남게 된다.
이에따라 질(15)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절결부(30a)(31b)를 이용하여 제6도의 (d)와 같이 몸체(16)로부터 절결형지지대(30) 및 몸체삽입실린더(31)를 제거시키므로서 수정란의 채란시 절결형지지대(30) 및 몸체삽입실린더(31)의 무게로 인해 몸체(16)가 자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후 연결구(25)를 통해 세척액을 주입시키면 주입된 세척액은 세척액주입통로(18)와 두부(17)의 선단부에 형성된 주입구(19)를 통해 자궁각(5) 선단부위로 분사되면서 순류와 와류를 일으키게 되므로 자궁각 선단부위에 모여있던 수정란이 자궁각에서 이탈되어 세척액과 함께 배액구(21) 및 세척액배액통로(20) 그리고 연결구(26)를 통해 외부의 용기에 담기게 된다.
이때 두부(17)를 자궁긱(5)의 선단부위 근접부까지 위치시킬 수 있게되므로 사용되는 세척액의 양을 최소화(50-60ml)시킬 수 있게됨은 물론 세척액 내에 포함된 수정란을 손쉽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정란의 배액을 완료시키고 난후 몸체(16)를 자궁내에 제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부풀어져 자궁각(5)을 폐쇄시키고 있던 풍선(22)에서 공기를 빼낸 다음 몸체(16)를 외음부(33)측으로 잡아당기면 몸체(16)가 자궁각(5)에서 이탈되면서 두부(17)가 자궁경관(6)내에 위치된 원통형지지대(28)와 제6도의 (e)와같이 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부(17)가 원통형지지대(28)에 밀착된 상대에서 계속해서 몸체(16)를 외음부(33)측으로 잡아당기면 몸체(16)가 원통형지지대(28)와 함께 자궁경관(6)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수정란의 채란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살펴본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장점을 갖게된다.
첫째, 몸체(16)의 풍선(22)과 두부(17) 사이에 형성된 배액구(21)가 몸체(16)의 삽입시 원통형지지대(28)내에 수용되므로 질(15)과 자궁경관(6)을 통과할때 세균이나 이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둘째, 몸체(16)의 삽입시 유연성재질로 된 몸체(16)가 원통형지지대(28) 및 절결형지지대(30)내에 수용되어 삽입되므로 종래의 채란기와 같이 강성체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되고, 이에 따라 자궁경관(6) 및 자궁각(5)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강성체의 삽입에 따른 바셀린등의 윤활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되므로 이물에 의해 채란액이 오염될 염려가 없게된다.
셋째, 몸체(16)의 두부(17)가 자궁경관(6)을 통과하고 난후에는 몸체(16)가 몸체삽입실린더(31)와 원통형지지대(28)에 의해 아무런 저항을 받지않고 관상장기인 자궁각(5)내로 삽입되므로 몸체(16)의 후단부를 밀기만하면 두부(17)가 자궁각(5)의 선단부까지 근접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세척액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수정란을 배액시키게 되므로 수정란의 분실을 최소화하게 됨은 물론 세척액 내에 포함된 수정란을 빠른시간내에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넷째 몸체(16)의 선단부에 형성된 두부(17)가 경사지게 되어 있으므로 자궁경관(6)의 미로를 따라 원통형지지대(28)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두부(17)의 선단부에 형성된 주입구(19)를 통해 주입되는 세척액이 순류와 와류를 동시에 발생시키게 되므로 적은양의 세척액을 사용하고도 선단부에 모여있던 수정란을 거의 전부 배액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몸체(16)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두부(17)와, 상기 두부의 끝단에 세척액주입통로(18)와 통하여지게 형성된 주입구(19)와, 상기 몸체 및 두부의 접속부에 세척액배액통로(20)와 통하여지게 형성된 배액구(21)와, 상기 두부의 근접부에 형성되어 몸체(16)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세척액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공기주입통로(23)와 통하여지게 헝성된 풍선(22)과, 상기 세척액주입통로 및 세척액배액통로 그리고 공기주입통로와 통하여지도록 두부와 반대측 몸체에 형성된 연결구(24)(25)(26)로 구성된 키테터; 상기 몸체(16)를 감싸며 자궁경관으로 삽입시 두부(17)에 걸려 두부의 후퇴 이동을 제어시키는 원통형지지대(28)와, 상기 원통형지지대에 나사끼우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결형지지대(30)와, 상기 절결형지지대 내에 몸체를 감싸게 결합되어 원통형지지대의 삽입완료시 몸체삽입실린더를 원통형지지대에서 분리시키는 몸체삽입실린더(31)로 구성된 몸체삽입구로 되어 몸체(16)의 삽입시 두부(17)만 원통형지지대(28)의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몸체삽입구내에 수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2. 제1항에 있어서, 카테터를 구성하는 유선형으로 된 두부(17)와 유연성을 가진 몸체(16)를 일체로하여 외부조작에 의해 몸체를 삽입할때 두부(17)가 안내역할을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채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있어서, 카테터의 재질은 실린콘류,플라스닉류, 비닐류,우레탄류,고무류중 어느 하나로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뭍의 수정란 채란기.
  4. 제1항에 있어서,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의 일측에 몸체(16)의 직경과 동일한 간격을 가진 절결부(30a) (31b)를 형성하여 몸체(16)를 몸체삽입실린더(31)내에 끼운상태에서 절결형지지대(30)의 절결부(30a)(31b)측으로 몸체(16)가 끼워진 몸체삽입실린더(31)를 착탈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5. 제1항에 있어서, 절결헝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의 일측에 몸체(16)의 직경보다 간격이 작은 절결부(30a)(31b)를 형성하고 몸체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구(24)(25)(26)에는 절결부(30a)(31b) 보다 작은 직경의 목부분(32)을 일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목부분을 통해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너(31)를 몸체(16)의 후단부에서 착탈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원통형지지대(28)에 요입홈(28a)을 형성하고 몸체삽입실린더(31)에는 상기 요입홈에 끼워지는 돌기(31a)를 형성하여 자궁각(5)내로 두부(17)를 삽입완료한 상태에서 몸체(16)로부터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를 분리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7. 제1항에 있어서, 몸체(16)와 두부(17) 사이에 형성되는 배액구(21)가 몸체(16)의 삽입시 원통형지지대(28)내에 수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8. 제1항에 있어서, 몸체(16)의 선단부에 위치되는 두부(17)를 몸체(16)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함과 함께 몸체(16)에서 두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두부(17)가 자궁경관(6)의 통과시 윤상추벽의 형상에 따라 좌우로 유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채란기.
  9. 제1항에 있어서, 주입구(19)를 두부(17)의 최선단부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르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주입구(19)의 직경을 배액구(21)보나 작게 형성하여 세척액의 주입시순류와 와류가 동시에 발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1. 제1항에 있어서, 몸체(16)의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6)내에 변형가능한 강성체(27)를 삽입하면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3.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지지대(28)에 플랜지(29)를 형성하여 원둥형지지대(28)가 자궁경관(6)으로 삽입될때 플랜지(29)에 의해 원통형지지대의 삽입깊이가 제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4. 제1항에 있어서, 절결헝지지대(30)에 형성되는 플랜지(30b)에 중심측 방향으로 구성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내에는 볼(34)을 스프링(35)으로 탄력설치하여 채란시술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5.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절결형지지대(30)의 플랜지(30b)에 체결홈(30c)을 형성하고 몸체삽입실린더(31)의 플랜지(31c)에는 걸림돌기(31d)를 형성하여 체결홈(30c)에 걸림돌기(31d)가 끼워져 절결형지지대(30)와 몸체삽입실린더(31)가 일체화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6. 제1항에 있어서, 절결형지지대(30)의 외측으로 두부(17)의 질내 오염방지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질내 오염방지수단으로 손잡이(37)가 고정된 보조실린더(38)를 원통형지지대(28)가 결합된 절결형지지대(30)의 외측으로 감싸지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보조실린더(38)의 선단개방부는 비닐캡(39)으로 폐쇄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캡(39)에 방사상의 절결홈(39a)을 형성하여 절결형지지대(30)에 의해 두부(17)가 전진됨에 따라 절결홈(39a)으로 인해 비닐캡(39)이 파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19. 제17항에 있어서, 비닐캡(39)을 보조실린더(38)의 개방부에 접착제 또는 별도의 캡(40)으로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20. 제17항에 있어서, 비닐캡(39)의 재질을 실리콘류, 플라스틱류, 세라믹류, 고무류중 어느 하나로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KR1019930014710A 1993-07-30 1993-07-30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KR95001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710A KR950014545B1 (ko) 1993-07-30 1993-07-30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710A KR950014545B1 (ko) 1993-07-30 1993-07-30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723A KR950002723A (ko) 1995-02-16
KR950014545B1 true KR950014545B1 (ko) 1995-12-05

Family

ID=1936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710A KR950014545B1 (ko) 1993-07-30 1993-07-30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45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723A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6144A (en) System for introducing a fluid into the uterus of an animal
Holtz Recent developments in assisted reproduction in goats
US5496272A (en) Ar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device
US5360389A (en) Methods for endometrial implantation of embryos
EP0059218B1 (en) Apparatus for artificial embryonation and tissue recovery
CA1240224A (en) Non-surg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human embryo transfer
US8202210B2 (en) Artificial breeding techniques for bovines including semen diluents and AI apparatus
US9433484B2 (en) Artificial breeding techniques for bovines including semen diluents and AI apparatus
KR101587880B1 (ko) 돼지의 수란관 내에 생식세포, 배아, 또는 임의의 형태의 용액을 주입시키거나 수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4326505A (en) Surgical procedure for embryo transplants on animals
KR950014545B1 (ko) 포유동물의 수정란 채란기
Lawson et al. Experiments on egg transfer in the cow and ewe: dependence of conception rate on the transfer procedure and stage of the oestrous cycle
WO20020057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of animals
Mapletoft Embryo transfer for the practitioner
Vijayalakshmy et al. Embryo transfer technology in animals: An overview
KR101938517B1 (ko) 착상 증진용 의료기구
KR970007677B1 (ko) 포유동물의 생식기에 생식세포를 주입하는 장치
JP2001120581A (ja) 動物用胚の移植器具とその移植方法
Hahn et al. Experiences with non-surgical transfer techniques
Mobini Reproductive Technologies Used to Make Goats More Efficient
Murray Embryo transfer in large domestic mammals
MOHD NADZI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IN FARM ANIMALS
CA119475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rtificial embryonation and tissue recovery
Sumar et al. Embryo transfer
JPH04292162A (ja) 牛の受精卵移植ならびに人工授精用注入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