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627B1 -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627B1
KR100841627B1 KR1020020038419A KR20020038419A KR100841627B1 KR 100841627 B1 KR100841627 B1 KR 100841627B1 KR 1020020038419 A KR1020020038419 A KR 1020020038419A KR 20020038419 A KR20020038419 A KR 20020038419A KR 100841627 B1 KR100841627 B1 KR 10084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electrode
liquid crystal
common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663A (ko
Inventor
홍형기
정진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627B1/ko
Priority to US10/423,040 priority patent/US6876420B2/en
Priority to CNB031364047A priority patent/CN1288491C/zh
Publication of KR2004000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663A/ko
Priority to US11/090,942 priority patent/US7639336B2/en
Priority to US11/601,628 priority patent/US778243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7Straps; Buckles; Attachment of headba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4Eyes or part of the face surround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는 복수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와, 각각의 화소내에 형성된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화소내에 배치된 공통라인 및 화소전극라인과, 상기 공통라인 및 화소전극과 접속되도록 데이터라인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횡전계를 발생하는 복수의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2개의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이 화소내에서 대응되게 오버랩되어 제1축적용량 및 제2축적용량을 형성하며, 상기 제1축적용량 및 제2축적용량은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이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날 경우 동일한 양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일정한 양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횡전계모드, 공통전극, 화소전극, 오버랩, 축적용량, 대칭

Description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IN 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기본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 공통전극 또는 화소전극에 오정렬이 발생하는 경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 : 공통전극 107 : 화소전극
110 : 데이터라인 111 : 박막트랜지스터
112: 소스전극 114 : 드레인전극
116 : 반도체층 118 : 게이트전극
120 : 게이트라인 122 : 공통라인
124 : 화소전극라인 130,140 : 기판
132 : 게이트절연층 134 : 보호층
142 : 블랙매트릭스 144 : 컬러필터층
150 : 액정층 d1,d2,d3 : 오버랩영역
본 발명은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소내에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을 대칭으로 오버랩시킴으로써 개구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축적용량의 불균형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경박단소용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이유로 인해 현재에는 액정표시소자(LCD)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소자는 액정분자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표시모드가 존재하지만, 현재에는 흑백표시가 용이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구동전압이 낮다는 장점때문에 주로 TN모드의 액정표시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TN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기판과 수평하게 배향된 액정분자가 전압이 인가될 때 기판과 거의 수직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액정분자의 굴절율 이방성(refractive anisotropy)에 의해 전압의 인가시 시야각이 좁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시야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 광시야각특성(wid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을 갖는 각종 모드의 액정표시소자가 제안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횡전계모드(In Plane Switching Mode)의 액정표시소자가 실제 양산에 적용되어 생산되고 있다. 상기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전압을 인가했을 때 평면상의 횡전계를 형성하여 액정분자를 평면상으로 배향함으로써 시야각특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도 1에 그 기본적인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S모드의 액정패널(1)에서는 공통전극(5)과 화소전극(7)이 화소내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화소전극(7)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신호의 입력이 없을 때) 액정분자(3)는 상기 공통전극(5) 및 화소전극(7)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엄밀하게 얘기하자면, 상기 액정분자(3)는 공통전극(5) 및 화소전극(7)의 연장방향과는 일정한 각도로 배향된다. 액정분자(3)가 공통전극(5) 및 화소전극(7)과 완전히 평행하게 배향되는 경우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일정하게 되지 않게 되므로, 화소전극(7)에 중간계조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액정층 전체에 걸쳐서 액정분자의 배향이 불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실제 액정분자(3)는 공통전극(5) 및 화소전극(7)과 일정한 각도로 배향되어야만 하지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액정분자(3)가 공통전극(5) 및 화소전극(7)과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액정분자(3)가 공통전극(5) 및 화소전극(7)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액정패널(1)의 화소전극(7)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을 인가하면(즉, 신호를 인가하면), 공통전극(5)과 화소전극(7) 사이에는 액정패널(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횡전계(9)가 발생하며, 액정분자(3)는 상기 횡전계(9)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액정분자(3)는 횡전계(9)를 따라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액정분자(3)의 굴절률 이방성에 의한 계조반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IPS모드가 적용된 실제의 액정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a)는 액정패널의 한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1)의 화소는 종횡으로 배치된 데이터라인(10) 및 게이트라인(20)에 의해 정의된다. 도면에는 한화소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액정패널(1)에는 상기한 데이터라인(10)과 게이트라인(20)이 각각 n개 및 m개 배치되어 액정패널(1) 전체에 걸쳐서 n×m개의 화소를 형성한다. 상기 화소내의 데이터라인(10)과 게이트라인(20)의 교차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1)는 게이트라인(20)으로부터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전극(18)과, 상기 게이트전극(18) 위에 형성되어 주사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채널층을 형성하는 반도체층(16)과, 상기 반도체층(16) 위에 형성되어 데이터라인(10)을 통해 화상신호가 인가되는 드레인전극(12) 및 소스전극(14)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액정층(50)에 인가한다.
화소내에는 데이터라인(1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제3공통전극(5a∼5c)과 제1 및 제2화소전극(7a,7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소의 중간에는 상기 제1∼제3공통전극(5a∼5c)과 접촉하는 공통라인(22)과 제1 및 제2화소전극(7a,7b)과 접촉되는 화소전극라인(24)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5a∼5c)과 화소전극(7a,7b)은 동일 평면에 형성되지 않는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전극(5a∼5c)은 투명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하부기판(3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화소전극(7a,7b)은 게이트절연층(32) 위에 형성된다. 한편, 공통전극(5a∼5c)과 화소전극(7a,7b)은 각각 공통라인(22)과 화소전극라인(24)에 접속되기 때문에, 상기 공통라인(22)과 화소전극라인(24) 역시 하부기판(30) 위와 게이트절연층(32) 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18)은 기판(3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층(16)은 게이트절연층(32)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스전극(12) 및 드레인전극(14)은 상기 반도체층(16) 위에 형성되어 있다. 화소영역내에 형성되는 공통전극(5a∼5c)과 화소전극(7a,7b)은 각각 박막트랜지스터와는 다른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통전극(5a∼5c)은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18) 공정시 형성되고 화소전극(7a,7b)은 소스전극(12) 및 드레인전극(14) 공정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정패널(1)에서 게이트라인(20)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로 주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온되어 데이터라인(10)을 통해 화상신호가 화소전극(7a,7b)으로 입력되어 상기 공통전극(5a∼5c)과 화소전극(7a,7b) 사이에 기판과 실질적으로 수평한 횡방향의 전계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전계방향을 따라 액정분자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화소전극(7a,7b)에 화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계는 공통전극(5a∼5c)과 화소전극(7a,7b) 사이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화소전극(7a,7b)과 데이터라인(10a,10b) 사이에도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화소전극(7a,7b)과 데이터라인(10a,10b)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는 화소내의 전체 횡전계를 왜곡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신호 인가후의 액정분자가 완전하게 기판과 수평으로 배향되지 않게 되어, 그 결과 수직방향으로의 크로스토크(cross talk)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공통전극(5a)과 제3공통전극(5c)을 각각 상기 제1화소전극(7a)과 데이터라인(10a) 사이 및 제2화소전극(7b)과 데이터라인(10b) 사이에 배치하여 데이터라인(10a,10b)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계를 차단(shielding)해야만 한다. 이 경우, 전계의 효율적인 차단을 위해서는 상기 제1공통전극(5a)과 제3공통전극(5c)을 각각 데이터라인(10a,10b)에 근접하게 배치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통전극(5a)과 데이터라인(10a) 사이의 영역 및 제3공통전극(5c)과 데이터라인(10b) 사이의 영역은 매우 작게 되는데, 실제적으로 이 영역은 액정표시소자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상부기판(40)상에는 화소내의 박막트랜지스터 영역 및 화소와 화소 사이에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42) 및 실제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기판(30)과 상부기판(40) 사이에 액정층(50)이 형성되어 IPS모드의 액정패널이 완성된다. 블랙매트릭스(4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라인(10a,10b) 뿐만 아니라 그 근 방의 제1공통전극(5a)과 제3공통전극(5c)까지 연장되어 공통전극(5a,5c)과 데이터라인(10a,10b) 사이의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IPS모드의 액정표시소자는 TN모드의 액정표시소자에 비해 저개구율을 갖는다. 그 이유는 TN모드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액정층에 신호를 인가하는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이 모두 투명한 금속인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반면에 IPS모드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공통전극(5a∼5c)과 화소전극(7a,7b)이 모두 불투명한 금속(게이트금속 또는 소스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공통전극(5a∼5c)과 화소전극(7a,7b)이 형성되는 영역 만큼 개구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특히, 데이터라인(10a,10b) 근처에 공통전극(5a,5c)을 형성하기 때문에 하나의 화소내에 배치되는 공통전극의 수가 화소전극의 수 보다 많게 되며, 그 결과 개구율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소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일부를 오버랩시켜 광투과영역을 증가시킴으로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2개의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대응되게 오버랩시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설정위치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오버랩영역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화소내에 항상 일정한 축적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 시소자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각 화소내에 배치된 구동소자와, 상기 화소내에 배열되어 제1축적용량을 생성하며, 화소를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라인 및 제2라인과, 상기 화소내에 상기 데이터라인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화소내에 횡전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제1오버랩영역 및 제2오버랩영역을 형성하여 제2축적용량을 생성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라인은 공통라인이고 제2라인은 화소전극라인이며, 제1전극은 공통전극이고 제2전극은 화소전극이다. 상기 제1오버랩영역 및 제2오버랩영역은 화소내에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항상 일정한 오버랩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진식각공정시 마스크의 오정렬에 의해 공통전극 또는 화소전극이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도 화소내에는 항상 일정한 축적용량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는 복수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와, 각각의 화소내에 형성된 구동소자와, 상기 화소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횡전계를 발생하며, 적어도 2개가 오버랩되어 서로 대응하는 제1오버랩영역 및 제2오버랩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전극 및 제2전극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IPS모드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의 영역으로 광이 투과한다. 이러한 투과영역은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형성 갯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통상적으로 이 투과영역은 블럭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는 각각 3개의 공통전극과 2개의 화소전극 형성되어 있으며,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영역은 4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투과영역이 4개 형성된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를 통상적으로 4블럭 액정표시소자라 칭한다. 이러한 명칭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액정표시소자의 특정 구조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4블럭이나 6블럭 혹은 8블럭 IPS모드 액정표시소자 뿐만 아니라 모든 블럭의 액정표시소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정 블럭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광이 투과하는 투과영역, 각 블럭의 영역을 넓힘으로써 전체적인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개구율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일부를 겹치게 형성함으로써 개구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이 겹치는 영역에는 축적용량(stroage capacitance)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공통라인과 화소전극라인을 화소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하여 축적용량을 형성한다. 따라서, 설정된 축적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통라인과 화소전극라인이 오버랩되는 영역을 일정 영역 이상으로 해야만 하며, 그 결과 공통라인과 화소전극라인이 일정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축적용량의 일부가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겸침에 의 해 형성되기 때문에, 공통라인과 화소전극라인이 겹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통라인과 화소전극라인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국 액정표시소자의 개구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오버랩에 의해 하나의 블럭이 감소하게 된다. 예를 들어, 4개의 블럭이 형성되는 종래 4블럭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경우에는 블럭이 한개 감소하여 3블럭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로 되며, 6개의 블럭이 형성되는 6블럭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5블럭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광투과영역인 블럭이 한개 감소하는 대신에 다른 블럭의 광투과영역은 증가한다. 이때, 광투과영역의 증가분은 감소된 블럭의 광투과영역 뿐만 아니라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오버랩영역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 전체적으로 광투과영역이 증가하는 것으로, 결국 개구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통라인과 화소전극라인을 대응되게 오버랩시켜 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공통라인과 화소전극라인의 오정렬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대칭적인 오버랩에 의한 좌우측의 데이터라인과 화소전극 사이의 거리차에 야기되는 플리커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4블럭 액정표시소자이다.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도 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블럭 액정표시소자인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 액정표시소자와 마찬가지로 4블럭 액정표시소자로 칭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는 복수의 데이터라인(110) 및 게이트라인(120)이 배치되어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상기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지 하나의 화소만을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라인(110a)과 게이트라인(120)의 교차점에는 박막트랜지스터(111)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111)는 게이트라인(120)으로부터 연장된 게이트전극(118)과, 상기 게이트전극(118) 위에 형성된 반도체층(116)과, 상기 데이터라인(110)으로부터 연장되어 반도체층(116) 위에 배치되는 소스전극(112) 및 드레인전극(114)으로 구성된다.
한편, 화소내에는 3개의 공통전극(105a∼105c)과 2개의 화소전극(107a,107b)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제3공통전극(105a∼105c)은 화소내에 배치된 공통라인(122)과 접속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화소전극(107a,107b)은 화소내에 배치된 화소전극라인(124)과 접속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3공통전극(105a∼105c)은 유리와 같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판(13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화소전극(107a,107b)은 제1기판(130)에 형성된 게이트절연층(132)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기판(130) 위에는 박막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전극(118)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절연층(132) 위에는 반도체층(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134) 위에는 소스전극(112) 및 드레인 전극(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공통전극(105a∼105c)과 게이트전극(118)은 제1기판(130)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Cu, Al, Al합금과 같은 금속을 스퍼터링(sputtering)이나 증착(evaportaion)방법에 적층하고 에칭한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때, 상기 공통전극(105a∼105c)과 게이트전극(118)은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일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소전극(107a,107b)과 소스전극(112) 및 드레인전극(114)은 각각 반도체층(116) 및 게이트절연층(132) 위에 형성된다. 상기 화소전극(107a,107b)과 소스전극(112) 및 드레인전극(114)은 Cr, Mo, Cu, Al, Al합금 등의 금속을 스퍼터링이나 증착방법에 의해 적층하고 에천트에 의해 에칭된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동일한 물질을 동일 공정으로 적층 및 에칭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물질을 다른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기판(130)과 대향하는 제2기판(140)에는 화소와 화소사이 또는 박막트랜지스터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142) 및 실제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층(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사이에 액정층(150)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액정층(150)의 형성은 진공주입법에 의해 합착된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 사이에 액정을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상기 제1기판(130) 또는 제2기판(140) 상에 액정을 직접 적하한 후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의 합착에 의해 기판 전체에 걸쳐 분포시키는 액정적하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4블럭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공통전극(105a∼105c)과 2개의 화소전극(107a,107b)이 화소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3개의 공통전극(105a∼105c) 중 2개의 공통전극, 즉 제1 및 제3공통전극(105a,105c)은 데이터라인(110a,110b)과 근접하여 배치되어 데이터라인(110a,110b)으로부터의 전계영향을 최소화한다. 특히, 본 발명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인접하는 화소의 데이터라인(110b) 근방에 배치되는 제3공통전극(105c)과 제2화소전극(107b)의 일부를 오버랩(overlap)되게 형성한다. 상기 제3공통전극(105c)과 제2화소전극(107b)의 오버랩에 의해 2개의 블럭이 하나로 합쳐져서 종래의 4블럭 액정표시소자가 실질적으로 3블럭 액정표시소자로 변경되며, 해당 오버랩 영역만큼 개구율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전극(105c)과 화소전극(107b)의 오버랩에 의해 광투과영역이 확장되므로, 종래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 비해 개구율이 향상된다. 이때, 공통전극(105c)과 화소전극(107b)의 오버랩 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상적으로 데이터라인(110a,110b) 근방에 배치되는 제1 및 제3공통전극(105a,105c)은 각각 제1 및 제2화소전극(107a,107b)과 데이터라인(110a,110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110a,110b)이 제1 및 제2화소전극(107a,107b)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3공통전극(105c)의 적어도 일부가 제2화소전극(107b)과 데이터라인(110b)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상기 공통전극(105c)과 화소전극(107b)은 서로 완전히 오버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의 수가 화소전극의 수보다 하나 많게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서 제1∼제3공통전극(105a∼105c) 및 공통라인(122)은 기판(130) 위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화소전극(107a,107b)과 화소전극라인(124)은 게이트절연층(132) 위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공통전극(105a∼105c)과 공통라인(122) 및 화소전극(107a,107b)과 화소전극라인(124)은 제1기판, 게이트절연층, 보호층과 같이 가능한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록 제3공통전극(105c)과 제2화소전극(107b)만이 오버랩되어 있지만, 이러한 전극의 오버랩 역시 특정 전극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통전극(105c)와 화소전극(107b)의 오버랩은 축적용량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공통라인(122)과 화소전극라인(124) 사이 뿐만 아니라 오버랩된 공통전극(105c)과 화소전극(107b) 사이에도 축적용량이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화소에 필요한 축적용량이 특정값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버랩된 공통전극(105c)과 화소전극(107b) 사이의 축적용량을 차감한 축적용량만이 공통라인(122)과 화소전극라인(124)에 의해 생성되면 된다. 이것은 공통라인(122)과 화소전극라인(124)에 의해 생성되는 축적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국 상기 공통라인(122)과 화소전극라인(124)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공통라인(22)의 폭이 t1인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공통라인(122)의 폭의 약 t2로서, 결국 t1-t2 만큼의 폭 감소효 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화소전극라인(124)의 폭 역시 감소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화소전극라인(124)은 공통라인(122) 보다 작은 폭이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화소전극라인(124)이 공통라인(122)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화소전극라인(124)의 폭 역시 감소할 것이다. 이러한 공통라인(및 화소전극라인)의 폭 감소에 의해, 광투과영역이 더욱 확장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화소의 우측에 배치된 제3공통전극(105c)과 제2화소전극(107b)만이 오버랩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의 화소전극(107a)과 데이터라인(110a) 사이의 거리 및 우측의 화소전극(107b)과 인접하는 화소의 데이터라인(110b)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비록 화소의 좌우측에 제1공통전극(105a) 및 제3공통전극(105c)이 각각 데이터라인(110a,110b) 근방에 배열되어 상기 데이터라인(110a,110b)에 의한 전계효과를 차단하기는 하지만, 실제적으로 상기 전계효과를 완전하게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데이터라인(110a,110b)에 의해 화소내에 형성되는 횡전계에 미세한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제1공통전극(105a)과 데이터라인(110a) 사이의 거리 및 제3공통전극(105c)과 데이터라인(110b) 사이의 거리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화소 좌우측에서의 횡전계에도 차이가 발생하여, 결국 화면상에 플리커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조의 액정표시소자의 각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박막트랜지스터(111), 게이트라인(120), 데이터라인(110), 공통전극(105), 화소전극(107) 등은 사진식각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사진식각방법은 금속과 같은 물질을 적층한 후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적층된 물질을 원하는 패턴으로 에칭해야만 한다. 상기 마스크를 이용한 에칭공정에 의해, 예를 들면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118), 게이트라인(120) 및 공통전극(105∼105c)이 동시에 형성되고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112)과 드레인전극(114), 데이터라인(110) 및 화소전극(107a,107b)이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에칭공정시 마커(maker)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정렬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형성해야만 한다. 이때, 마스크의 정렬은 일정 범위의 오차를 용인하여 상기 범위내에서 제작된 액정표시소자는 품질기준을 통과한 것으로 인정하지만, 마스크의 정렬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각 구성요소들이 설정된 위치에서 액정표시소자 자체가 불량된다.
그러나, 마스크의 오정렬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화소내에 배열되는 화소전극(107a,107b)이 설정된 위치에서 미세하게 벗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제3공통전극(105c)과 제2화소전극(107b)이 오버랩되는 영역이 도 3에 도시된 오버랩영역 보다 감소하거나 증가하게 된다. 도 4에 마스크의 오정렬에 의해 형성된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마스크의 오정렬에 의해 제3공통전극(105c)과 제2화소전극(107b)의 오버랩영역이 축소된 것으로(즉, d1>d1'), 이러한 오버랩영역의 축소에 의해 제3공통전극(105c)과 제2화소전극(107b)에 의해 생성되는 축적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화소내의 축적용량은 특정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축적용량은 공통라인(122) 및 화소전극라인(124)에 의해 형성되는 축적용량 과 공통전극(105a∼105c) 및 화소전극(107a,107b)에 의해 형성되는 축적용량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3공통전극(105c)과 제2화소전극(107b)의 오버랩영역이 축소되어 축적용량이 감소하게 되면, 화소내에 형성되는 전체 축적용량이 설정된 축정용량 보다 작아지게 되며, 그 결과 액정표시소자에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 구조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상기한 축적용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도 3에 도시된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와는 공통전극(205a∼205c) 및 화소전극(207a,207b)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공통전극(205a∼205c) 및 화소전극(207a,207b)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통라인(222) 및 화소전극라인(224)을 중심으로 상하영역을 A영역 및 B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공통라인(222)과 화소전극라인(224)을 중심으로 구분된 A영역 우측의 제3공통전극(205c)과 제2화소전극(207b) 및 B영역 좌측의 제1공통전극(215a)과 제1화소전극(217a)의 일부가 각각 오버랩되어 각각 d2 및 d3의 폭을 갖는 제1 및 제2 오버랩영역(208,218)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오버랩영역(208,218)은 도 3에 도시된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 형성되는 오버랩영역(108)과는 실질적으로 동 일한 면적을 갖기 때문에, 역시 동일한 축적용량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A영역 및 B영역에서 오버랩되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좌우 위치를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영역의 오버랩영역에서 공통전극이 왼쪽에 위치하고 화소전극이 오른쪽에 위치한다면, B영역의 오버랩영역에서는 공통전극이 오른쪽에 위치하고 화소전극이 왼쪽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오버랩영역이 화소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좌측에 배열된 화소의 데이터라인(210a)과 B영역의 제1화소전극(217a) 사이의 간격과 우측에 배열된 인접 화소의 데이터라인(210b)과 A영역의 제1화소전극(207b)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라인(210a,210b)의 전계에 의한 영향이 동일하게 화소전극(207a,217b)에 미치게 되어 결국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 플리커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진식각공정시(특히 화소전극이나 공통전극 공정시) 마스크의 미세한 오정렬이 발생하는 경우, 화소전극이나 공통전극이 설정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오버랩영역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마스크의 오정렬에 의해 제작된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마스크의 오정렬에 의해 화소전극(207a,207b,217a,217b)이 설정된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상기 화소전극(207a,207b,217a,217b)이 왼쪽으로 이동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소전극(207a,207b,217a,217b)의 이동에 의 해 A영역의 제3공통전극(205c)과 제2화소전극(207b)은 d2'의 폭을 갖는 제1오버랩영역(208)을 형성하고 B영역의 제1공통전극(215a)과 제1화소전극(217a)은 d3'폭을 갖는 제2오버랩영역(218)을 형성한다. 이때, d2'는 왼쪽으로의 화소전극(207b)의 이동에 의해 도 4(a)의 d2 보다 작게 되지만(d2'<d2), d3'는 d3에 비해 더 크게 된다(d3'>d3). 그런데, 상기 화소전극(207a,207b217a,217b)은 화소내에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제1오버랩영역(208)의 폭 감소분(d2'-d2)은 제2오버랩영역(218)의 폭 증가분(d3'-d3)과 같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의 오정렬에 의해 화소전극(또는 공통전극)이 미세하게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1오버랩영역(208)과 제2오버랩영역(218)의 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즉, d2+d3=d2'+d3'), 상기 오버랩영역(208,218)에 의해 생성되는 축적용량 역시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화소내의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좌우측에서 대응되게 오버랩시킴으로써 데이터라인과 화소전극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데이터라인에 의한 전계의 영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식각공정시 마스크의 오정렬에 의해 화소전극 또는 공통전극의 위치에 변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축적용량을 형성함으로써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소내에서 오버랩되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은 특정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내에서 오버랩되는 영역이 대응되게 형성될 수만 있다면, 화소내에 배열된 어떠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도 오버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공통라인(322) 및 화소전극라인(324)을 중심으로 구분된 A영역 및 B영역에 각각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오버랩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와는 달리 A영역에서는 제2공통전극(305b)과 제2화소전극(307b)이 오버랩되어 제1오버랩영역(308)이 형성되며 B영역에서는 제2공통전극(305b)과 제1화소전극(307a)이 오버랩되어 제2오버랩영역(3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오버랩영역(308)과 제2오버랩영역(318)은 화소내에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진식각공정의 마스크 오정렬시에도 항상 일정한 축적용량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대응되게 오버랩되는 IPS모드 액정표시소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4블럭 액정표시소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오버랩영역이 대응되게 형성된다면 6블럭 액정표시소자나 8블럭 액정표시소자와 같이 어떠한 블럭의 액정표시소자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화소내에 배치되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오버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화소내에 광투과영역을 증가시키며 그 결과 액정표시소자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오버랩되는 영역을 화소내에서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화소 전체에 걸쳐서 데이터라인의 전계효과를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되어,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 플리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IPS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공통전극이나 화소전극의 형성 위치에 변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오버랩영역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화소내의 축적용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
    각 화소내에 배치된 구동소자;
    상기 화소내에 배열되어 제1축적용량을 생성하며, 화소를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라인 및 화소전극라인; 및
    상기 화소내에 상기 데이터라인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화소내에 횡전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공통라인과 화소전극라인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제1오버랩영역 및 제2오버랩영역을 형성하여 제2축적용량을 생성하는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되는 제1오버랩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오버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되는 제2오버랩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오버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오버랩영역과 제2오버랩영역은 상기 화소전극라인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버랩영역과 제2오버랩영역의 합은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설정위치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버랩영역에서의 제2 축적용량과 제2 오버랩영역에서의 제2 축적용량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데이터라인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화소전극보다 한개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소자는 박막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기판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
    상기 게이트전극이 형성된 기판 전체에 걸쳐 적층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형성된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형성된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및
    상기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이 형성된 기판 전체에 걸쳐 적층된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기판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은 절연층 또는 보호층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13. 삭제
  14. 복수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
    각각의 화소내에 형성된 구동소자;
    상기 화소내에 배치되고, 각 화소를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하면서 공통라인과 서로 오버랩된 화소전극라인; 및
    상기 화소내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공통라인과 화소전극라인에 각각 접속되어 횡전계를 발생하며,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제1오버랩영역 및 제2오버랩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되는 제1오버랩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오버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되는 제2오버랩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오버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오버랩영역과 제2오버랩영역은 상기 화소전극라인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15. 삭제
KR1020020038419A 2002-06-25 2002-07-03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841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419A KR100841627B1 (ko) 2002-07-03 2002-07-03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US10/423,040 US6876420B2 (en) 2002-06-25 2003-04-25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B031364047A CN1288491C (zh) 2002-06-25 2003-05-15 面内切换模式液晶显示器件
US11/090,942 US7639336B2 (en) 2002-06-25 2005-03-28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1/601,628 US7782434B2 (en) 2002-06-25 2006-11-20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419A KR100841627B1 (ko) 2002-07-03 2002-07-03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63A KR20040003663A (ko) 2004-01-13
KR100841627B1 true KR100841627B1 (ko) 2008-06-27

Family

ID=3731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419A KR100841627B1 (ko) 2002-06-25 2002-07-03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99B1 (ko) * 2004-06-22 2014-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100680510B1 (ko) * 2004-12-31 2007-02-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282A (ko) * 1997-06-25 1999-01-15 윤종용 평면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KR19990060948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횡전극구동 모드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282A (ko) * 1997-06-25 1999-01-15 윤종용 평면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KR19990060948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횡전극구동 모드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63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2434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86863B1 (ko) 멀티도메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675635B1 (ko) 대조비가 향상된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218697B1 (ko) 액정표시소자
US6894756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016525B1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100895017B1 (ko) 개구율이 향상된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928921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JP2003270627A (ja) 半透過・反射型液晶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40038355A (ko) 개구율이 향상된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841627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20040025472A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899625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928923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20080003085A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195B1 (ko) 고개구율 액정표시소자
KR100919185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789456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885841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0928920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1067966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198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20040105470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3484A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20040042050A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