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93B1 - 바이오 인공 눈물관 - Google Patents

바이오 인공 눈물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93B1
KR100840093B1 KR1020070028534A KR20070028534A KR100840093B1 KR 100840093 B1 KR100840093 B1 KR 100840093B1 KR 1020070028534 A KR1020070028534 A KR 1020070028534A KR 20070028534 A KR20070028534 A KR 20070028534A KR 100840093 B1 KR100840093 B1 KR 10084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
artificial tear
tear tube
tube
tourm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6045A (ko
Inventor
전말수
인교진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전말수
인교진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말수, 인교진, 이종수 filed Critical 전말수
Priority to KR102007002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0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72Apparatus for restoration of tear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eye parts, e.g. intraocular lens, corn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기폐쇄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인공 눈물관으로써 재질은 토르말린과 나노 은, 나노 금, 나노 백금과 PP, PE, 파이렉스, PMMA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재질의 인공 비루관은 자체가 병원균에 대한 살균이나 항균력의 작용을 지니고 있고, 또한 원적외선 음이온이 발산됨으로써 기존의 파이렉스 재질의 인공 눈물관을 착용하는 경우보다 인체의 조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관의 형상은 원통의 형상을 주로 이루고 있으나 기존의 인공 눈물관보다는 상부측의 입구가 넓게 형성된 깔때기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고 나아가 외주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거나 외주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누골이나 뼈 조직에 고정할 경우 비강내로 빠지는 기존의 인공 눈물관 형태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안와주변부에 견고히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눈물관, 은나노, 토르말린, 음이온, 원적외선, 금나노, 백금 나노

Description

바이오 인공 눈물관{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깔때기 형상의 바이오 인공 눈물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인공 눈물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인공 눈물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공 눈물관 20 : 돌기부
30 : 나선부
본 발명은 눈의 루관(淚管) 폐쇄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치료용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증, 외상 또는 폐색 등의 원인에 의해 협착 또는 폐쇄된 루관을 대신하여 인공 눈물관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유루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용 의료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증, 외상 및 폐색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하여 누액 배출계가 협착 또는 폐색될 경우, 눈물이 비강내로 배출되지 못하고 눈에 고인 다음, 눈 밖으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를 누액배출계의 협착 및 폐색에 의한 유루증이라 한다. 이러한 유루증은 눈에 고인 눈물을 항상 닦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결막염이나 각막염 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진행되는 경우 시력장애까지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누액 배출계가 협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이런 합병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치료를 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필요하다.
안구의 상하 내측 안검경계부에는 누점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 누소관을 통해 코 내측에 누낭의 형성과 아울러 비강측으로 눈물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누액 배출계에 의하여, 눈물샘으로부터 생성된 눈물은 눈 속에 있는 이물질을 씻어낸 후, 누점의 입구에서부터 비루관을 거쳐 비강속으로 배출되게 된다.
유루증을 호소하는 폐쇄된 눈물기관은 가능한 문제의 눈물기관부위를 원상으로 복구시켜 주는 것이 원칙이지만 고식적인 눈물수술방법으로 유루증을 해소할 수 없다면, 인공 눈물관의 대표적 상품명중 하나인 죤스관을 이용한 수술로 유루증을 치료할 수 있다. 눈물샘에서 만들어진 눈물은 누점, 누소관, 눈물주머니, 코눈물관을 통해 비강내로 배출되지만 이런 배출계의 페쇄나 협착 등으로 눈물이 원할하게 배출되지 않으면 인공적으로 만든 관을 이용하여 눈물을 비강내로 배출하게 된다. 이런 인공 눈물관은 10 내지 40 mm정도의 길이이며, 내경은 0.5 내지 3mm, 외경은 1.1 내지 3.6 mm정도로서, 결막에서 비강으로, 결막에서 눈물주머니로 혹은 눈물주머니에서 비강내로 삽입하게 되는데, 사용 시 인체에 이차적인 감염이나 조직에 대한 독성이 없어야 하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변성이 되지 않고 재질은 반영구적으로 제거 또한 용이해야 한다.
고식적인 유루증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눈물길 수술시 폴 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파이렉스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ylmethacrylate 등의 재질로 제조된 인공 눈물관은 비강 내 혹은 결막부위에 노출되어 항상 세균의 오염 위험성에 놓여져 있기에 눈물주머니나 눈물길의 염증이 초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이유로 기존의 인공 눈물관은 항상 주위조직으로 세균을 전파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해 왔던 죤스관의 재질보다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이 발생되는 재료를 첨가함으로서 항균의 효과를 지니고 있고, 인공 눈물관의 상태가 항상 위생적으로 인체에 삽입할 수 있으며 주위의 안구조직으로 부터 무해하면서 변성이 되지 않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나아가 인공 눈물관의 모양이 눈물길 주변의 조직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는 모양을 지니고 있어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눈물길 수술시 유용하게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인공 눈물관으로 생각되어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누기폐쇄시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공 눈물관의 형태로 토르말린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약어로 PP라 한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인공 눈물관이며, 토르말린은 중량비로 10 ∼ 30%이며, 나머지 성분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약어로 PE라 한다), 파이렉스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ylmethacrylate. 약어로 PMMA라 한다)등의 재질이다.
본 발명은 인공 눈물관에 있어서, 나노 은, 나노 금, 나노 백금 중 어느 하나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울러 토르말린을 첨가한 바이오 비루관이다. 상기 인공 눈물관은 토르말린이 중량비로10 ∼ 30%이며 나노 은 성분은 중량비로 0.001 내지 5%이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은 65 ∼ 89.999 %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 눈물관에 있어서, 상기의 인공 눈물관은 토르말린과 나노 금(Gold)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인공 눈물관이다. 상기 토르말린은 중량비로 10 ∼ 30%이며 나노 금 성분은 중량비로 0.001 내지 5%이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은 65 ∼ 89.999 %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 눈물관(10)에 있어서, 상기 인공 눈물관(10)은 토르말린과 나노 백금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인공 눈물관이다.
그리고 상기 토르말린은 중량비로 10 ∼ 30%이며 나노 백금 성분은 중량비로 0.001 내지 5%이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은 65 ∼ 89.999% 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인공 눈물관의 재료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대신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파이렉스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yl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인공 눈물관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토르말린(Tourmaline)은 육방정계(六方晶系)에 속하는 광물로서 화성암의 일종이며 결정의 양단에 플러스와 마이너스극이 자연으로 발생하고 미약전류가 영구히 흐르는 성질이 있어 전기석(電氣石)이라고도 불리우며 굳기가 7.0-7.5, 비중이 2.98-3.20이며 화학성분은 철, 마그네슘, 알칼리 금속 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규산염으로서 대개는 6각 또는 9각 의 주상(柱狀)을 이루고 있다. 우라늄광, 자철광 등과 같이 지구상에서 스스로 에너지를 갖는 3가지 물질중의 하나로서 에너지를 대량으로 흡수하고 있어 에너지를 반영구적으로 방출하여 인체에 활력을 넣어 주는 건강보석이다.
토르말린 (tourmaline)은 18세기 스리랑카에서 발굴된 광물로서, 19세기 말솔본 대학의 퀴리 형제가 이 결정체에 압력을 가하면 결정체 표면에 전하가 생긴다는 것을 발견하여 일명 전기석이라고도 한다. 토르말린은 다이아몬드와 같이 투명한 것에서부터 핑크, 담녹색, 청색, 적색, 자색 등의 색채가 풍부하며, 브라질, 캘리포니아, 스리랑카, 중국 등이 주산지이다.
토르말린의 특성을 연구한 일본 동경 대학의 나까무라시 및 구보시 등은 토르말린을 3 미크론의 결정체의 양극에 (+)전극과 (-) 전극이 자발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 양극에 백만 볼트에 달하는 전위차가 발생하고 0.06mA 의 미약 전류가 영구적으로 흐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구보시 연구팀은 3 미크론의 토르말린에 전기 전도성이 낮은 세라믹을 혼합 소결하여 직경 3 mm의 구형 파렛트를 만들어 수중에서의 특성 및 기능을 조사하였다. 이에 따르면, (-) 전극으로 물을 전기분해 하여 중성의 pH에 가깝게 하고 (+) 전극에서는 수소 이온을 발생시키면 물에 대하여 계면활성 작용이 부여된다. 또한, 물의 클러스터를 파괴하여 활 성수로 만들어 식물세포에게 침투력을 높이는 등의 사실을 입증하였다.
또한 토르말린은 인체에 좋은 영향을 주는 원소와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피부의 점막관계 및 성장촉진을 돕는 붕소(B), 위장, 간장 등 내면에서의 미용효과를 주는 규소 (Si), 세포의 활성화, 심장강화에 좋은 마그네슘(Mg), 혈액관계, 심장강화 등 미네랄을 활용하여 건강증진 효과가 있는 철(Fe) 및 신경안정효과가 있는 칼슘(Ca) 등을 들 수 있다.
토르말린에는 세포의 활성화와 심장 강화에 좋은 마그네슘, 피부의 점막 관계 및 성장 촉진을 돕는 붕소, 미용에 좋은 규소, 혈액 관계 및 심장 강화 등의 효과가 있는 철 및 신경 안정 효과가 있는 칼슘 등 인체에 좋은 영향을 주는 원소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토르말린의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꾸준히 발생되는 미약한 전류가 인체의 경혈을 자극하여 말초 순환계를 개선하고 혈류를 촉진시켜 고혈압에 효과가 있으며, 다량의 원적외선 방출로 인한 세포 활성화 작용으로 체질개선, 혈액정화 작용 등의 전위 치료 효과가 있고, 혈행과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피로회복, 위장 활성화, 통증과 숙면 및 냉증의 완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토르말린은 수분의 접촉을 통한 전기분해에 의해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므로 항균, 탈취 및 세정 효과가 있으며, 산성화된 체액을 약알카리성 체질로 개선시켜 인체에 안정감을 주는 효능이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은 신경통, 관절염, 요통의 완화, 피부의 진정효과, 당뇨, 변비통, 탈취, 항균, 탈습, 물의 연수화, 공기 청정 등의 작용을 하기에 인 체에는 큰 장해를 초래하지 않는다.
토르말린은 음이온과 원적외선 효과의 상승효과에 의해 모세혈관을 팽창해 체온의 상승과 피부의 활성화,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이 상승효과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로는 인간이 방출한 열을 토르말린이 흡수하고, 다시 인간의 몸으로 돌아가게 한다.
이상과 같이 토르말린은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원적외선의 효과와 함께 부가적인 음이온의 효과로 최근 들어 선진국과 국내에서 관심과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상기한 토르말린의 작용은 미세한 열에 의해 입자가 전기를 발생시켜 미약 전류를 흐르게 하여 인체의 열(체온)과 접촉함으로써 열전달이 되어 보온작용을 하고 경혈을 자극하여 말초순환계를 개선함으로서 혈류를 촉진하며 음이온이 발생되어 항균, 탈취, 세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활성화작용으로 체질개선, 혈액정화작용 등의 전위치료효과가 있으며 또한 광물의 특성상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됨으로써 세포를 깊숙히 덮혀 주고 혈행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고, 나아가 세균에 대한 항균이나 살균작용을 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토르말린은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세포기능, 면역기능 활성화 작용과 혈액정화, 자율신경안정 기능이 있으며, 토르말린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은 인체 혈액의 흐름을 촉진, 발한작용(노폐물 방출) 촉진 등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공 눈물관에 사용되는 은은 가장 강력한 자연 항생제이 다.
은(銀)은 단세포 동물(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류 등)이 그들의 산소소화대사 작용을 하는 특수한 효소에 작용하여 무력화시킴으로써 균들이 질식케하거나 아사케 하는 촉매(Catalyst)제이다.
대부분의 병균은 은 이온(Ag+)의 전기적 충격에 의하여 원형질이 파괴되거나 세포분열을 하는 생식 기관이 손상을 받는다. 이런 은 이온수를 음용했을 때 매독, 콜레라, 말라리아, 감기, 무좀, 습진, 심한 화상 등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은이란 금속은 지상의 거의 모든 단세포 병균을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은과 접촉해 6분 이상 생존하는 세균은 드문 것으로 은이 가진 강력한 항균기능을 극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금속 상태로 병균을 죽이는 것 외에도 이온화된 상태(Ag+)로 물에 방출되면 물속에 있는 세균들의 증식이 억제되는데, 이 역시 살균(殺菌)과 병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항균(抗菌) 기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노 은에 있어서 나노(Nano)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난장이 나노스에서 유래된 말로써 '10억 분의 1'을 뜻하며, 1나노미터는 머리카락 굵기의 1만 분의 1에 해당한다.
나노 은은 Nano-technology 와 은(silver) 의 합성어로 나노 은이라 명명한다. 나노 은은 현재 분말과 용액으로 이루어져 있다. 은(Ag)이 들어간 나노 은은 은이 가지고 있는 여러 특성 중 항균력, 탈취력, 식품의 보존시간 연장 등의 뛰어난 효능을 활용해 제작된 개념이다.
은의 항균 효과성은 입자의 사이즈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입자의 사이즈가 감소함에 따라 항균성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은의 함량과 항균성과의 관계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균성이 비례적으로 증가하는데, 은은 귀금속 중의 하나로써 비교적 고가이므로 경제성을 갖기 위해서는 소량으로써도 큰 효과를 나타내어야 한다.
유기 용매에 분산된 실버 콜로이드는 polyol 공정을 사용하면 얻어질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이 경우는 질산은 중의 은이온을 안정제가 포함된 에틸렌글리콜 용매하에서 120℃에서 reflux하여 얻어진 은미립자를 원심분리등을 통해 분리하여 얻은 다음 이를 알코올 용매에 분산시켜 평균 20∼30nm 분포를 갖는 은미립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실버를 제조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PVP 등의 안정제는 분산의 효과와 더불어 입자 크기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출원번호 99-54938의 특허 '수용액상에서 계면활성 물질을 이용한 미세 금속 입자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미세 은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에탄올을 포함한 유기용매 하에서의 콜로이드 실버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깔때기 형상의 바이오 인공 눈물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외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인공 눈물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 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인공 눈물관의 사시도이다.
토르말린을 섞어 비루관을 제작하는 한 실시 예를 기술하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토르말린을 섞고 이 혼합된 분말을 레진용액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겔 상태로 만든다.
그 혼합비율은 토르말린 1g을 사용하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를 10g을 섞는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분말은 필요에 따라서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토르말린은 10% 이상, 30% 이하로 섞는다.
토르말린의 혼합비율이 10% 이하 미소할 때에는 원하는 효과가 미약하고 토르말린의 혼합비율을 30% 이상 많이 섞으면 색상이 짙어지고 미관이 못해질 수 있다.
이 겔 상태의 혼합물을 석고 형틀에 투입 압착한 후 71℃∼74℃사이에서 1시간 30분정도 가열한 다음 다시 100℃로 30분 더 가열하여 완성된 인공 눈물관을 만든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공 눈물관 전체가 아니고 인공 눈물관의 일부만을 상기 토르말린 성분을 섞어서 제작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인공 눈물관의 일부분을 상기 성분들을 섞지 않고 제작된 인공 눈물관의 나머지 부분에 압착하여 하나의 온전한 인공 눈물관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성분들을 섞어서 제작되는 인공 눈물관의 일부분은 미관을 고려하여 누낭과 비강을 연결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토르말린 성분을 인공 눈물관에 섞어 인공 눈물관을 제작할시 첫째, 비루관 전체에 섞을 수 있고, 둘째 인공 눈물관의 일부분에만 섞어서 제작한 후 그렇게 만들어진 일부분 인공 눈물관을 상기 성분을 섞지 않은 인공 눈물관의 나머지 부분과 압착 결합하여 인공 눈물관을 제작한다.
그리고 토르말린과 나노 은 성분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섞어 인공 눈물관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앞서 토르말린을 섞은 인공 눈물관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인공 눈물관에 토르말린과 나노 은을 섞을 경우에는 토르말린 10 내지 30%, 나노 은 0.001 내지 5%의 사이의 중량비로 섞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나머지 성분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은 65 ∼ 89.999 % 이다.
나노 은이 너무 많이 혼합되면 색상이 짙어지며 가격이 상승하고 너무 적으면 그 효과가 발생되기 힘들며 인공 눈물관의 색상이 인체의 결막에 미치는 모양새가 좋지 못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과 필요에 의해 그 비율을 달리 할 수 있다.
나노 은 분말은 필요에 따라 용액인 콜로이드 실버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미리 인공 눈물관을 완성한 후 마지막 단계에서 상기 토르말린 또는 은 나노를 단독으로 혹은 두 개를 섞어서 인공 눈물관의 외부에 코팅하거나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나노 금이나 나노 백금을 사용하여 인공 눈물관을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나노 금이나 나노 백금을 혼합하여 인공 눈물관을 제조하는 방법은 나노 은의 제작방법과 동일하다.
물론 상기 나노 금이나 나노 백금 역시 액체 상태인 콜로이드 골드와 콜로이드 백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 눈물관에 토르말린과 함께 나노 금이나 나노 백금을 섞을 경우에는 토르말린 10 내지 30%, 나노 금이나 나노 백금 0.001 내지 5%의 사이의 중량비로 섞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나머지 성분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은 65 ∼ 89.999 % 이다.
나노 금이나 나노 백금을 5% 이상 너무 많이 혼합되면 색상이 짙어지며 가격이 상승하고 너무 적으면 그 효과가 발생되기 힘들며 미용상 보기가 좋지 못하다.
적어도 나노 금이나 나노 백금은 0.001% 이상을 섞어야 최소한의 바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할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요청과 필요에 의해 그 비율을 달리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주로 사용되는 나노 금이나 나노 백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은 높은 항균력과 항곰팡이 및 살균 탈취효과 전기적 전도성 및 원적외선 방사율 등이 탁월하여 인체 친화상품에 적용되며 각종 산업재 연구용으로 활용된 다.
신경안정작용과 해독작용, 이온작용,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다. 금은 일반적으로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해독을 하는 효능이 있다.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이 없고 산화현상이 없다.
나노 금은 1 내지 30 nm 크기의 나노 입자 분말형태의 용액으로 생산한다.
색상은 브라운 또는 포도주 색깔이다.
백금은 어느 합성의약품보다 항균효과가 월등하다. 백금 나노 기술의 장점은 무게에 비해 부피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각 단위가 갖고 있는 에너지를 동일면적에 동일효과로 발생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백금 1g을 나노 처리하면 180만 Km의 선을 그을 수 있는 부피가 발생한다.
나노 금속의 가장 큰 장점은 전기적 특성은 물론 어떤 유기계 항균약품보다 탁월한 항균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의 연구결과, ml 당 14만 마리의 세균이 함유된 물에 10PPm 농도로 20mm 크기의 금, 은, 백금, 나노 분말을 투입했을 때 99.9% 이상의 항균력을 보인 것으로 증명됐으며, 이중에서도 나노 백금의 경우 어느 합성의약품보다도 항균, 탈취 효과가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노 백금도 1 내지 30 nm 크기의 나노 입자 분말형태, solution으로 생산한다.
백금의 색상은 거무스름하거나 혹은 카키색(다갈색, 황갈색)색상이다.
그리고 상기 인공 눈물관의 형상은 직선 또는 곡선의 원통형상이 주형상이며, 인체내 누골에서의 견고한 고정과 효율적인 누액의 흐름을 위하여 상부쪽이 넓게 형성된 깔때기 모양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깔때기 형상의 바이오 인공 눈물관을 상부쪽, 구멍이 넓게 형성된 쪽을 눈의 결막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부쪽의 구멍이 좁게 형성된 쪽을 비강내로 나오도록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비루관의 외주면에는 뼈조직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나선을 형성하거나 혹은 돌출부를 만들어 비강내로 빠지는 인공 눈물관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인공 눈물관의 깔대기 모양의 주변테두리에 직선상으로 3시, 9시 부위 혹은 6시, 12시 부위까지 열십자(+) 형태의 직선상 모양으로 "∨"홈을 내어 인공 눈물관의 제거 시에는 반대 모양의 "∧" 모양새 기구를 이용하여 뼈조직에 삽입되어 있는 인공 눈물관을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토르말린, 나노 은 성분을 바이오 인공 눈물관을 제작할 시 혼합하여 인공 눈물관을 제작함으로써 인공 눈물관 자체가 살균, 항균력이 있고 원적외선 음이온이 발산됨으로써 인공 눈물관을 착용하는 사람의 눈 건강에 극히 양호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바이오 인공 눈물관을 다양한 형태로 함으로써 누골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거나 용이하게 삽입 혹은 제거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인공 눈물관(10)에 있어서, 상기 인공 눈물관(1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파이렉스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yl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과 나노 백금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인공 눈물관(10)은 깔때기 형상이며 그 외주면에 돌기부(20) 또는 나선(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인공 눈물관.
KR1020070028534A 2007-03-21 2007-03-21 바이오 인공 눈물관 KR100840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34A KR100840093B1 (ko) 2007-03-21 2007-03-21 바이오 인공 눈물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34A KR100840093B1 (ko) 2007-03-21 2007-03-21 바이오 인공 눈물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412A Division KR20060030075A (ko) 2006-02-15 2006-02-15 바이오 인공 눈물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045A KR20070046045A (ko) 2007-05-02
KR100840093B1 true KR100840093B1 (ko) 2008-06-19

Family

ID=3827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534A KR100840093B1 (ko) 2007-03-21 2007-03-21 바이오 인공 눈물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50B1 (ko) * 2013-03-22 2014-02-28 한국기계연구원 인공눈물관의 미끄럼방지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눈물관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074A (ko) * 2001-06-07 2002-12-18 (주)에이치비메디컬스 체내 이식관
KR200398527Y1 (ko) * 2005-07-30 2005-10-12 양원동 의약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074A (ko) * 2001-06-07 2002-12-18 (주)에이치비메디컬스 체내 이식관
KR200398527Y1 (ko) * 2005-07-30 2005-10-12 양원동 의약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045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44631U (zh) 一种远红外负离子艾绒卫生巾
CN101890150A (zh) 新特立可消
KR10089007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KR20060030075A (ko) 바이오 인공 눈물관
CN100534509C (zh) 一种用于治疗腰椎疾病的中药药栓及制作方法
KR20050106363A (ko) 바이오 의치
KR100840093B1 (ko) 바이오 인공 눈물관
CN110051773A (zh) 一种含有金花茶具有抗菌修复腔道炎症的凝胶及其制法
KR20130128647A (ko) 기능성 샴푸
CN107375744A (zh) 一种泡浴粉及其使用方法
KR100647427B1 (ko) 바이오 콤폼어
KR20060034681A (ko) 바이오 보청기
CN107280083A (zh) 一种能量内裤
KR100647428B1 (ko) 바이오 의안
CN107661535A (zh) 竹纤维卫生巾芯片及竹纤维卫生巾
KR20090124138A (ko) 가구용 마감몰딩
CN105029730A (zh) 一种灵香草天然芳香保健纺织文胸及其制作方法
KR200213939Y1 (ko) 원적외선 방사용 볼이 내장된 파스
KR102437153B1 (ko) 휴대용 좌훈기
US20080262612A1 (en) Bio Artificial Eye and Conformer
KR101967725B1 (ko) 입자에너지 다기능 활성수 제조용 복합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50094774A (ko) 바이오 콘택트렌즈
KR20060013580A (ko) 기능성 의료밴드
KR20190130351A (ko) 탄소 및 토르마린에 의한 다용도 발열 조끼 및 패드
CN107898857A (zh) 抗菌止痒的足浴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