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799B1 -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 - Google Patents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799B1
KR100839799B1 KR1020070122915A KR20070122915A KR100839799B1 KR 100839799 B1 KR100839799 B1 KR 100839799B1 KR 1020070122915 A KR1020070122915 A KR 1020070122915A KR 20070122915 A KR20070122915 A KR 20070122915A KR 100839799 B1 KR100839799 B1 KR 10083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eet
printing
resin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최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호 filed Critical 최경호
Priority to KR102007012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4Backc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6Intermediat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2Fillers; Inorganic pigments; Reinforcing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 인쇄용 시트에 있어서, 바탕지(2)상에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85∼91중량%,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타늄 4∼10중량%, 폴리디메틸 실록산 3∼6중량%, 가교제 0.1∼3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제1 수지층(4)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지층(4)상에 인쇄바탕면으로서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이 포함된 제2 수지층(6)이 적층 형성되게 구성한다.
현수막, 인쇄용 시트

Description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PRINTED SHEET FOR PRINTING HANGING SCREEN AND SHEET MATERIAL THEREOF}
본 발명은 아트지, 실크벽지, 깃발, 롤 블라인드들을 포함한 실내나 실외 또는 실내외겸용 가능한 현수막 인쇄를 위한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 현수막과 PVC(PolyVinyl Chloride) 현수막은 환경 유해물질 규제대상에 포함된 메탄올 DOP(Dioctyl Phthalate)를 주용매로 사용하고 있어 향후 생산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리고 기존 PVC나 PU(PolyUrethane) 제품은 현수막이나 깃발과 같은 원단에 인쇄출력 작업시 PVC연소 및 메탄올 DOP유해물질 연소에 따른 유해가스 및 유해성분과 고약한 냄새가 배출하므로 원단 인쇄작업에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현수막은 해상도나 내구성이 떨어지며, 습도에도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수막 인쇄출력시 유해성분이 최소화 배출되게 구성된 친환경성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품질과 터치감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바탕지에 쉽게 접목할 수 있는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현수막 인쇄용이라 함은 실내나 실외 또는 실내외겸용 가능한 현수막의 인쇄용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아울러 이러한 일반적인 현수막뿐만 아니라 제직이나 부직포 섬유원단바탕지나 타포린과 같은 합성수지재질 바탕지를 사용하는 아트지, 실크벽지, 깃발, 롤 블라인드시트들과 그 균등물에 대한 인쇄용도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수막 인쇄용 시트에 있어서, 바탕지(2)상에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85∼91중량%,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타늄 4∼10중량%, 폴리디메틸 실록산 3∼6중량%, 가교제 0.1∼3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제1 수지층(4)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지층(4)상에 인쇄바탕면으로서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이 포함된 제2 수지층(6)이 적층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제2 수지층(6)은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 75∼81중량%, 계면활성제 5∼11중량%, 충진제 9∼15중량%, 물 1∼7중량%를 혼합하여서 형성된 강용제용 2차수지에 의해서 코팅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제2 수지층(6)은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 43∼49중량%, 공중합체수지 43∼49중량%, 디메틸 폴리 실록산 1∼7중량%, 물 2∼9중량%를 혼합하여서 형성된 약용제용 2차수지에 의해서 코팅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수막 인쇄용 시트 제작을 위한 시트원료에 있어서,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85∼91중량%,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타늄 4∼10중량%, 폴리디메틸 실록산 3∼6중량%, 가교제 0.1∼3중량%를 혼합한 수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수막 인쇄용 시트에 있어서, 바탕지(2)상에 물 49∼55중량%, 침투제 1∼8중량%, 비닐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 5∼12중량%, 수성 폴리우레탄 31∼38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인쇄바탕수지층(8)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수막 인쇄용 시트 제작을 위한 시트원료에 있어서, 물 49∼55중량%, 침투제 1∼8중량%, 비닐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 5∼12중량%, 수성 폴리우레탄 31∼38중량%를 혼합한 인쇄바탕수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쇄출력시 유해성분이 최소화 배출되게 구성되어 친환경적이며 품질과 터치감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바탕지에 쉽게 인쇄 출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막 인쇄용 시트(A)의 단면도로서, 바탕지(2)상에 제1수지층(4)과 제2수지층(6)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완성되며, 현수막 인쇄용 시트(A)의 최상부층인 제2 수지층(6)상에는 현수막 인쇄층(10)이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바탕지(2)는 다양한 종류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바탕지(2)로는 섬유원단과 타포린과 같은 합성수지재질 시트를 포함한다. 그중 섬유원단에는 제직원단과 부직포원단으로 종류를 구분할 수 있으며, 제직원단에는 나일론원단, 면원단, 폴리에스터원단, 옥스포드원단 등이 바탕지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탕지(2)상에 도포되는 제1수지층(4)을 구성하는 물질은 1차 수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차 수지는 코팅의 접착력, 터치감, 내수입 등 코팅의 품질을 높이게 해주는 구성물질들로 구성되며 그 주원료로는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poly acrylate ester) 공중화합물이다. 상기 1차 수지는 인쇄면을 확보하는 제2 수지층(6)을 구성하는 2차 수지의 주원료인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inyl acetate - ethylene copolymer water emulsion)과의 분자적으로 상호호환성이 좋으므로 바탕지(2)와의 접착력은 물론이고 상부의 2차 수지층(6)과의 접착력도 아주 강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특징이 있다.
1차 수지는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85∼91중량%, 백색안료(white pigment)인 이산화티타늄 4∼10중량%, 폴리디메틸 실록산(poly dimetheyl siloxane) 3∼6중량%, 가교제(isocyanate) 0.1∼3중량%를 혼합하여서 형성된다.
1차 수지의 주성분인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는 고점도의 액상형으로서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100중량% 대비 고형분이 10∼50중량% 포함되며, 25,000∼40,000cps점도(25℃기준)를 가진다.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의 고형분 포함비율은 바탕지의 밀도가 조밀한 경우에는 낮아지며 바탕지의 밀도가 성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상기한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는 내수도와 접착력이 우수하며, 소프트 터치성을 가지고 우레탄 및 실리콘 수지와의 상용성이 뛰어난 특성이 있다.
1차 수지의 구성성분중에서,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타늄은 바탕지(2)상에 1차수지를 코팅도포시 그 1차수지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바탕지(2)의 종류에 따라 그 첨가량을 달리 할 수 있다. 상기 백색안료는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와의 상용성(miscibility)도 좋다. 폴리디메틸 실록산은 1차 수지의 터치감 조절 즉, 경도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아울러 1차수지층(4)상에 2차 수지를 도포시 평활성을 좋게 해준다. 그리고 가교제는 바탕지(2)와의 접착력과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1차 수지는 기존 PU, PVC수지보다 원단에서의 코팅시 작업능력이 우수하며 경제적 원가측면에서도 우수하다.
상기한 1차 수지의 제조공정을 일예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배합기에 1차 수지의 주원료인 고점도 액상의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poly acrylate ester) 100g을 넣고 믹싱하면서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타늄을 8g을 첨가하여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와 백색안료가 잘 혼합되는 충분한 시간 예컨대, 약 5분정도를 혼합한다. 만약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와 백색안료가 잘 혼합되지 않으면 침전물인 알갱이들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그후 배합기에 디메틸 실록산(poly dimethyl silloxane)을 5g 첨가한 후 점도계로 체크시 점도가 13,000∼15,000cps가 될 때까지 믹싱을 하여준다. 이때의 믹싱시간은 대략 10분정도가 바람직하며, 믹싱시간을 너무 길게 하였을 때는 1차 수지의 점도가 묽어지면서 1차 코팅시 도포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점액상의 1차 수지가 바탕지(2)의 뒷면으로 베어져 나오며 문제와 함께 2차 수지 도포량에도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과정까지의 1차 수지 제조는 바탕지(2)에 코팅하기 하루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수지의 구성성분중 가교제 1g은 코팅 당일에 첨가시켜 2분간 믹싱하여 줌으로써 1차 수지가 제조완성된다. 제조 완성된 1차 수지의 최종 점도는 13,000∼15,000cps가 바람직하다.
한편 제1수지층(4)상에 도포되며 인쇄바탕면을 확보해주는 제2수지층(6)의 구성물질은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중합체 물 에멀젼(Vinyl acetate - ethylene copolymer water emulsion: VAE)이 포함된 2차 수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 수지의 주원료는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중합체 물 에멀젼으로서 1차 수지의 주원료인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poly acrylate ester)와의 분자적 상호호환성이 좋아서 1차 수지층(4)과의 접착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2차 수지는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출력시 유해가스, 냄새 발생이 최소화되며 건조 및 작업성, 인쇄 해상도가 좋도록 해주는 배합성분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쇄층(10)을 형성하는 인쇄액의 종류에 따라 그 구성성분이 다르다. 인쇄액에는 잉크성분은 물론이고 접착제성분과 유기용제가 함께 포함된다.
인쇄층(10)을 형성하는 인쇄액이 냄새가 많이 나는 강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강용제용 2차수지를 사용한다. 강용제용 2차수지는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 75∼81중량%, 계면활성제(Sorbitan Trioleate) 5∼11중량%, 충진제(Non Asbestosform) 9∼15중량%, 물 1∼7중량%를 혼합하여서 형성한다.
그리고, 인쇄층(10)을 형성하는 인쇄액이 냄새가 적게 나도록 약용제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약용제용 2차 수지를 사용한다. 약용제용 2차수지는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AE) 43∼49중량%,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의 점도조절용 공중합체(Copolymer) 수지 43∼49중량%, 디메틸 폴리 실록산(Dimetreyl Poly Siloxane) 1∼7중량%, 물 2∼9중량%를 혼합하여서 형성한다.
2차 수지의 주성분인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은 제1 수지층(4)을 구성하는 1차 수지의 주원료인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와 분자적으로 상호호환성이 좋으므로 하부의 1차 수지층(4)과의 접착력도 아주 강하게 이루어지게 해준다. 또한 잉크의 발색성을 증진시켜 인쇄출력시 인쇄면 해상도가 높도록 해준다.
강용제용 2차수지의 구성성분중 계면활성제는 비닐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AE)과 타 첨가제를 상호 호환 활성화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충진제는 분말형태의 고형제로서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과 함께 두께, 흡습성, 해상도 구현 및 경제적 비용절감과 제품 품질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충진제는 강용제가 포함된 인쇄액이 침투되었을 때 신속하게 흡습하여 줌으로써 냄새 제거는 물론이고 빠른 건조를 보정한다. 그리고 물은 점도 조절용으로 사용된다.
약용제용 2차 수지의 구성성분중에서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AE)은 강용제용 2차 수지에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며, 상기 점도조절용 공중합체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의 점도 조절 역할을 담당하며, 점도조절을 위한 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 아미드, 에틸렌의 단량체들을 포함한다. 디메틸실록산은 기포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며, 디메틸실록산에 물을 첨가하여 희석제를 만들게 되면 디메틸실록산만을 첨가시켰을 때보다 믹서시간을 훨씬 단축할 수 있다.
상기한 2차 수지의 제조하는 공정의 일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강용제용 2차수지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의 일예를 설명한다.
배합기에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AE) 80g을 넣고 믹싱하면서 계면활성제 10g을 넣고 10분정도 믹싱하여서 골고루 혼합되게 한다. 그후 충진제 15g을 소량씩 투입하면서 15분간 믹싱을 한다. 상기한 과정까지의 강용제용 2차수지는 코팅하루전에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점도 조절용인 물 5g은 코팅하기 전에 투입하고 믹싱하여 점도계로 측정한 강용제용 2차수지의 점도가 4,000∼5,000cps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약용제용 2차수지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의 일예를 설명한다.
배합기에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AE) 40g과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의 점도조절용 공중합체(Copolymer) 수지 40g을 넣고 대략 7분정도 믹싱한다. 여기까지의 배합은 하루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용제용 2차수지의 제조 완성은 코팅 당일에 이루어진다. 물 5g과 디메틸 폴리 실록산 3g을 혼합 희석한 희석제를 비닐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AE)과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의 점도조절용 공중합체 수지가 혼합된 배합기에 투입한 후 믹싱하되, 약용제용 2차수지의 점도가 점도계로 측정시 3,500∼4,000cps가 될 때까지 믹싱한다. 상기한 희석제의 투입은 기포를 최대한 억제시키며 점도 조절이 쉽도록 해줌과 아울러 코팅면의 평활성 및 도포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해준다.
도 2는 도 1의 인쇄용 시트(A)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도이다.
지금부터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제조된 1차 수지와 2차 수지를 바탕지(2)상에 차례로 적층 코팅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가교제를 제외한 1차 수지 제조는 바탕지(2)에 코팅하기 하루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수지의 구성성분중 가교제 1g은 코팅 당일에 첨가한다. 이때 1차 수지의 최종 점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13,000∼15,000cps가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한 점도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도포량, 내구성, 접착력 등의 품질에 좋지 않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인쇄용 시트 제조장치(50)는 1차 코팅부(20)와 2차 코팅부(30)로 구성된다.
1차 코팅부(20)는 안내롤러(22)(24)와 제1 건조부(28)를 포함하며, 인입롤러(22)와 제1 건조부(28) 사이에는 평활용 블레이드 나이프(26)가 설치된다. 1차 코팅부(20)의 평활용 블레이드 나이프(26)는 일반 블레이드나이프나 J형 블레이드나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탕지(2)의 종류에 맞춰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건조부(28)의 내부 열풍온도는 120∼150℃를 유지하되, 건조챔버 초입부는 120℃정도, 건조챔버 중간부는 140∼150℃, 건조챔버 말단부는 130℃정도로 유지되도록 설정하여서 건조챔버 내부에서 가열(加熱), 건조, 감열(減熱)이 순차적으 로 이루어지게 한다. 만일 건조챔버 내부의 열풍온도가 150℃를 넘어서게 되면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며 바탕지에 도포된 1차 수지가 끓어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차 코팅부(30)는 안내롤러(32)(34)와 제2 건조부(38)를 포함하며, 인입롤러(32)와 제1 건조부(38) 사이에는 평활용 블레이드 나이프(36)가 설치된다. 1차 코팅부(30)의 평활용 블레이드나이프(36)는 코팅면의 도포량, 평활성을 좋게 하며 인쇄출력시 해상도(선명도)가 좋아지도록 J형 블레이드나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건조부(38)의 내부 열풍온도는 130∼160℃를 유지하되, 건조챔버 초입부는 130℃정도, 건조챔버 중간부는 160℃, 건조챔버 말단부는 140℃정도로 유지되도록 설정하여서 건조챔버 내부에서 가열(加熱), 건조, 감열(減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2차 수지는 무용제 타입으로서 제2 건조부(38)의 내부 열풍온도가 제1 건조부(28)의 내부 열풍온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아야 접착력, 건조성, 평활성이 향상된다.
1차 코팅부(20)의 인입롤러(22)를 통해서 인입되는 바탕지(2)상에는 1차수지 공급부를 통해서 1차 수지(4a)가 부어지고 평활용 블레이드 나이프(26)에 의해서 얇은 막형태로 제1수지층(4)이 바탕지(2)상에 평활코팅된 후 제1 건조부(28)로 진입된다. 제1 건조부(28)에 진입된 시트에 도포된 제1수지층(4)은 제1 건조부(28)의 열풍에 의해서 열풍건조되고 인출롤러(24)를 통해서 배출되어진다.
1차 코팅부(20)에서 1차 코팅된 시트는 2차 코팅부(30)의 인입롤러(32)를 통 해서 인입된다. 시트의 제1수지층(4)상에는 2차수지 공급부를 통해서 2차 수지(6a)가 부어지고 평활용 블레이드 나이프(36)에 의해서 얇은 막형태로 제2수지층(6)이 제1수지층(4)상에 평활코팅된 후 제2 건조부(38)로 진입된다. 제2 건조부(28)에 진입된 시트에 도포된 제2수지층(6)은 제2 건조부(38)의 열풍에 의해서 열풍건조되고 인출롤러(34)를 통해서 배출되어지면서 인쇄용 시트로 제조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인쇄용 시트(A)는 상부에 인쇄층(10)이 인쇄출력되는 과정에서 가열로 인해 일부연소될 때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며 인쇄액에서의 흡습 및 건조해버려서 인쇄출력시 유해성분의 배출이 최소화되어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바탕지에 맞는 품질과 터치감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 바탕지(2)와 제1 수지층(4)와 제2수지층(6)간의 접착력이 강하여 내구성이 좋으며 터치감도 매우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바탕지(2)상에 두개의 수지층들로 적층 형성된 인쇄용 시트(A)에 대해서 언급하였고, 다른 실시 예로서 제1수지층(4)이 없이 바로 인쇄바탕면을 형성하는 제2 수지층으로만 바탕지(2)상에 적층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수막 인쇄용 시트(A1)의 단면도로서, 바탕지(2)상에 도 1의 제1수지층(4) 형성없이 제2수지층으로만 된 인쇄바탕수지층(8)이 형성된다. 인쇄바탕수지층(8)상에는 현수막 인쇄층(10)이 형성될 것이다.
상기 인쇄바탕수지층(8)을 구성하는 인쇄바탕수지는 물 49∼55중량%, 침투제(Poly Oxyetrylene Alkyl) 1∼8중량%, 비닐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AE) 5∼12중량%, 수성 폴리우레탄 31∼38중량%를 혼합하여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인쇄바탕수지는 구성성분들이 모두 수용성 물질로서 유기용제가 전혀 포함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여러 종류의 바탕지(2)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원단이나 폴리에스터원단에 적합하다.
인쇄바탕수지의 구성성분들중 비닐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AE)은 전기에서 언급한 기능을 갖고 있으며, 침투제는 강한 흡습기능을 갖고 있어 상부에 형성되는 현수막 인쇄층(10)의 잉크를 흡수하여 인쇄바탕수지층(8)내 및 하부 바탕지(2)에까지 분포되게 한다. 수성 폴리우레탄은 비닐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과 함께 내세탁성, 접착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분산된 잉크가 바팅지(2)에 고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와 같은 인쇄바탕수지는 언급한 바와 같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 수지이며, 증점제를 추가하면 다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인쇄바탕수지의 제조공정을 일예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교반기에 물을 60g 넣고 교반시키면서 침투제 5g을 투입하여 10분간 교반 한 후,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VAE) 10g을 소량씩 첨가하면서 10분간 교반한다. 마지막으로 수성 폴리우레탄 40g을 넣고 다시 약 10분간을 교반시키면 인쇄바탕수지가 제조완료된다. 만약 상기한 배합순서가 어긋나면 침전으로 인한 알갱이와 같은 침전물을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조자는 그 배합순서를 따라 해야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인쇄바탕수지는 도 2의 2차 코팅부(3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도 4의 인쇄용 시트 제조장치(50A)에 의해서 바탕지(2)상에 코팅처리되어지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바탕지(2)는 인쇄용 시트 제조장치(50A)의 인입롤러(32)를 통해서 인입되며 수지 공급부로부터 인쇄바탕수지(8a)가 부어지고 평활용 블레이드 나이프(36)에 의해서 얇은 막형태로 인쇄바탕수지층(8)이 평활코팅된다. 그 후 인쇄바탕수지층(8)이 평활코팅된 바탕지(2)는 건조부(38)로 진입되어 열풍건조되고 인출롤러(34)를 통해서 배출되어지면서 인쇄용 시트(A1)로 제조완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현수막 제작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막 인쇄용 시트 단면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인쇄용 시트의 개략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수막 인쇄용 시트 단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인쇄용 시트의 개략 제조 공정도.

Claims (9)

  1. 현수막 인쇄용 시트에 있어서,
    바탕지(2)상에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85∼91중량%,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타늄 4∼10중량%, 폴리디메틸 실록산 3∼6중량%, 가교제 0.1∼3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제1 수지층(4)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지층(4)상에 인쇄바탕면으로서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이 포함된 제2 수지층(6)이 적층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인쇄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층(6)은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 75∼81중량%, 계면활성제 5∼11중량%, 충진제 9∼15중량%, 물 1∼7중량%를 혼합하여서 형성된 강용제용 2차수지에 의해서 코팅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인쇄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층(6)은 비닐 아세테이트 -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멀젼 43∼49중량%,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공중합체 물 에멸젼의 점도조절용 공중합체 수지 43∼49중량%, 디메틸 폴리 실록산 1∼7중량%, 물 2∼9중량%를 혼합하여서 형성된 약용제용 2차수지에 의해서 코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인쇄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는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100중량% 대비 고형분이 10∼50중량%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인쇄용 시트.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지(2)는 섬유원단과 합성수지재질 시트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현수막 인쇄용 시트.
  6. 현수막 인쇄용 시트 제작을 위한 시트원료에 있어서,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85∼91중량%,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타늄 4∼10중량%, 폴리디메틸 실록산 3∼6중량%, 가교제 0.1∼3중량%를 혼합한 수지로 된 시트원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의 점도는 13,000∼15,000cps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원료.
  8. 삭제
  9. 삭제
KR1020070122915A 2007-11-29 2007-11-29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 KR10083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915A KR100839799B1 (ko) 2007-11-29 2007-11-29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915A KR100839799B1 (ko) 2007-11-29 2007-11-29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068A Division KR100839802B1 (ko) 2008-03-24 2008-03-24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799B1 true KR100839799B1 (ko) 2008-06-20

Family

ID=3977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915A KR100839799B1 (ko) 2007-11-29 2007-11-29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377A (ko) * 2014-05-07 2015-11-17 (주)지피트리 접착식 교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5840B1 (en) 1998-02-19 2001-06-12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propylene resin-based films and sheets
US6767618B2 (en) 1999-08-04 2004-07-27 Yupo Corporation Multi-layered stretched resin film
KR20070099401A (ko) * 2006-04-04 2007-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재귀 반사성을 갖는 현수막용 원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5840B1 (en) 1998-02-19 2001-06-12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propylene resin-based films and sheets
US6767618B2 (en) 1999-08-04 2004-07-27 Yupo Corporation Multi-layered stretched resin film
KR20070099401A (ko) * 2006-04-04 2007-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재귀 반사성을 갖는 현수막용 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377A (ko) * 2014-05-07 2015-11-17 (주)지피트리 접착식 교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4800B1 (ko) * 2014-05-07 2016-06-29 (주)지피트리 접착식 교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2478B (zh) 墙面材料
CN101942767B (zh) 一种内墙装饰革及其制备方法
CN103534091B (zh) 生物降解性薄片
CN104862966B (zh) 一种宽幅阻燃油画布及其制备方法
CN101122164B (zh) 具有水性底涂层的合成非织造壁布
CN103717395B (zh) 具有发泡层的生物降解性薄片
CN105804352B (zh) 自带胶黏剂的环保墙布及其制备方法
CN101215787B (zh) 水性聚氨酯乳液复配彩色涂层艺术油画布及其生产工艺
CN109594347A (zh) 一种铝系防水高光油画布及其制备方法
CN106103123A (zh) 可印刷介质
CN107848223A (zh) 玻璃毡强化
KR100839799B1 (ko)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
CN101648789A (zh) 一种轻质彩泥及其生产方法
KR100839802B1 (ko) 현수막 인쇄용 시트 및 그 시트원료
HU225429B1 (en) Gluing, sealing and coating compound
TW400401B (en) Air-permeable sheet structural material, leather-like sheet structural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2119408A (ja) タイル調カーペットの加工方法
CN107580557A (zh) 可印刷介质
CN109414944A (zh) 织物印刷介质
US6805912B2 (en) Process and device for coating a support using a crosslinkable silicone composition
WO2003097754A1 (en) Plastisol ink for textiles
JPH1192712A (ja) O/w型生分解性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組成物
CN108948908B (zh) 一种发泡喷绘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610771A (zh) 一种白墨浆料及其在壁纸中的应用方法
US2887403A (en) Adhesive shee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