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126B1 - 발열 유닛을 이용한 점자 구현 장치 - Google Patents
발열 유닛을 이용한 점자 구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9126B1 KR100839126B1 KR1020070055594A KR20070055594A KR100839126B1 KR 100839126 B1 KR100839126 B1 KR 100839126B1 KR 1020070055594 A KR1020070055594 A KR 1020070055594A KR 20070055594 A KR20070055594 A KR 20070055594A KR 100839126 B1 KR100839126 B1 KR 1008391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ille
- led
- unit
- diode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 구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자가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의 형태로 구현되고 이를 시각장애인이 감지함으로써 점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을 이용한 점자 구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점자 구현 장치는 소정의 점자를 구현하는 6개의 발열 유닛으로 이루어진 점자 표시부와, 상기 점자 표시부가 복수개 배열된 패널과, 상기 각 점자 표시부가 소정의 점자를 표현하도록 각 발열 유닛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열 유닛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ED, 제어부, 점자, 발열, 패널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인 점자 구현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점자 구현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의 본 발명인 점자 구현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전자식 헬스기구의 제어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LED 200: 전원 버튼 300: 제 1완료버튼
400: 변환 버튼 500: 제어부 600: 외부 입력부
본 발명은 점자 구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자가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의 형태로 구현되고 이를 시각장애인이 감지함으로써 점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을 이용한 점자 구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의 경우는 점자(braille points)로 출력된 특수한 결과물만을 손가락 등의 촉각으로 읽을 수 있는데, 점자는 여섯의 점으로 구성된 한 글자 영역에서 후면에 홈을 내어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문자를 나타낸다.
이러한 점자 인쇄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점판, 점관, 점필을 이용하여 일일이 손으로 여섯의 점으로 구성되는 한 글자의 영역에 홈을 내거나, 특수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대형 인쇄기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어 일반적으로 발행되는 간행물의 경우는 점자 인쇄물로 제작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리고 점자 인쇄물로 제작한다 하더라도 성경의 경우 점자 인쇄물로 제작하면 약 20권 정도로 방대한 양이 되기 때문에 휴대나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급변하는 기술의 발전과 범람하는 정보의 빠른 변화 속에서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점자 인쇄물을 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정보습득을 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점자가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의 형태로 구현되고 이를 시각장애인이 감지함으로써 점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구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점자 구현 장치가 컴퓨터 USB 단자에 연결되어 인터넷의 웹문서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받아 점자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시각장애인이 직접 원하는 글을 입력하여 이를 점자로 표시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구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점자 구현 장치는 소정의 점자를 구현하는 6개의 발열 유닛으로 이루어진 점자 표시부와, 상기 점자 표시부가 복수개 배열된 패널과, 상기 각 점자 표시부가 소정의 점자를 표현하도록 각 발열 유닛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열 유닛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LED로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구현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LED(100)가 수납되어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LED(1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복수개의 수납홈(130)이 구비된 패널(120)과 상기 수납홈(130)에 수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LED(100)와 , 상기 수납홈(130)에 수납된 상기 LED(10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LED(100)가 탄성적으로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140)와, 상기 수납홈(13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LED(100)의 상,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LED(100)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ON/OFF되는 스위치(150)와, 상기 LED(100)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500)와, 외부로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송할 수 있는 외부 입력부(6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갖은 구조를 갖는 점자 구현 장치(10)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패널(120)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수납홈(130)은 6개의 LED(100)로 구성되며 하나의 점자를 나타내는 상기 점자 표시부(110)가 구비될 수 있도록 2×3 단위로 상기 패널(120)상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2×3 단위로 상기 패널(120) 상에 구비되는 수납홈(130)은 상기 패널(120)의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단위로 구비되는데 도 1과 같이 2×3 단위로 4단위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이와 같이 2×3 단위의 상기 수납홈(130)이 4단위로 한 열을 이루면 그 하단에 상기와 같은 열이 또 하나 구비된다.
이는 상기 수납홈(130)에 수납되는 상기 LED(100)가 점자를 나타내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발열하는 경우 미열이 남아있어 사용자가 열을 감지하는 데 있어 혼동을 줄 수 있으므로 열을 바꿔가며 발열하여 상기 LED(100)가 충분히 냉각된 후에 발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상기 수납홈(130)에는 상기 LED(100)가 수납되는데 이러한 상기 LED(100)의 광효율은 대략 20~30%정도이며, 상기 LED(100) 한 개당 소모전력을 1W 정도이다. 따라서 1W의 소모 전력에서 광효율을 30%로 보았을 때, 열로 발생 되는 소모전력 비율은 70%정도이므로 시각장애인이 감지할 수 있는 열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LED(100)의 작동에 관한 기술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납홈(130)에 수납되는 상기 LED(10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상기 LED(100)의 상단부를 잡거나 누를 수 있도록 상기 LED(100)의 상단부가 상기 패널(120) 상단면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는 상기 LED(100)가 구비되는 위치와 발생하는 열을 사용자가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쉽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LED(100)의 상단부를 눌러 점자를 입력하기 위함인데 점자입력에 관하여는 차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패널(120)의 상기 수납홈(130)에 상기 LED(100)가 구비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LED(100)를 발열시켜 점자를 구현시킨다.
글자를 점자로 나타내는 규칙은 국제적으로는 1878년 공인되었으며 국내에서도 1997년 문화체육부에 의해 ‘한국점자규정’으로 고시된 만큼 통일되어 사용되고 있는 규칙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LED(100)를 통하여 점자를 나타내는 방법과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전원 버튼(200)을 눌러 상기 점자 구현 장치(10)를 작동시킨 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점자 구현 장치(10)가 작동이 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LED(100)를 통해 점자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아’를 점자로 나타내고자 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2×3의 상기 LED(100)로 구성되는 상기 점자 표시부(110)에서 1×2, 2×2, 3×1의 위치에 있는 상기 LED(100´)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열시킨다.
상기와 같이 LED(100´)가 발열이 되면 시각장애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또는 검지를 이용하여 상기 LED(100´)의 상단부를 만져 열을 감지하여 ‘아’자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첫째 열에 나타난‘아’,‘야’,‘어’,‘요’,‘우’,‘유’의 점자를 인식한 사용자는 제 1완료 버튼(300)을 눌러 첫째 열에서 점자 인식이 끝났음을 입력하여 둘째 열에서 점자가 나타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완료 버튼(300)이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500)는 둘째 열에 구비된 상기 점자 표시부(110)의 상기 LED(100)를 발열시켜 ‘으’,‘이’등과 같은 점자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상기 둘째 열에서 점자 인식을 한 후 인식이 끝났을 경우 제 2완료 버튼(310)을 눌러 점자 인식이 끝났음을 알리고 첫 째 열에서 다시 점자 표시가 되도록 한다. 장문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기 점자 구현 장치(10)의 작동 및 사용자의 인식이 반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둘째 열에 점자가 나타나는 동안 첫째 열의 상기 LED(100)는 충분히 냉각되기 때문에 둘째 열에 점자를 나타낸 후 다음 점자를 첫째 열에 나타내어도 시각장애인은 상기 LED(100)를 통하여 점자를 인식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 구현 장치(10)는 인터넷상의 텍스트 파일의 점자표시와 사용자에 의한 점자 직접 입력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점자 구현 장치(10)는 외부 입력부(600)을 구비하는데 외부 입력부(600)로는 USB 연결단자 또는 키보드 연결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처럼 상기 패널(120) 외측에 USB 연결단자(600)가 구비되어 외부의 텍스트 파일을 송신 받을 수 있다. 또는 키보드 연결 단자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하거나 제 3자가 키보드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송신 받은 텍스트 파일 또는 제 3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를 점자로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5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510)와 점자 변환부(5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저장부(510)는 외부에서 송신 받은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점자의 내용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점자 변환부(520)는 상기 텍스트를 점자로 변환하거나 점자로 입력된 것을 일반 텍스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점자 변환부(520)는 한글의 경우 자음 14자, 모음 21자에 대한 47개의 글자와 숫자, 느낌표, 쉼표와 같은 특수문자에 해당하는 점자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글자를 점자로 또는 점자를 글자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변환된 점자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상기 점자 표시부(110) 를 통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입력 방법 외에 본 발명에 의한 점자 구현 장치(10)는 시각장애인이 직접 익숙한 점자를 통한 입력도 가능하다.
상기 LED(100)는 상기 패널(120)의 상기 수납홈(130)에 상,하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이 되는데 이는 상기 LED(100)가 사용자에 외력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홈(130) 하단에 구비된 ON/OFF 스위치(15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납홈(130)은 상기 LED(100)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LED(100)의 상,하 이동 안내 가이드 역할을 하며 상기 LED(100)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인 스프링(14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LED(1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LED(100)가 상기 패널(120)의 상단면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LED(100)에 외력을 가해 누를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와 같이 상기 LED(100)가 상기 패널(120)의 상단면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게 되면 사용자는 쉽게 상기 LED(100)에 외력을 가해 누를 수 있고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ON/OFF 스위치(150)는 상기 LED(100)의 하단면과 접촉하여 ON 또는 OFF 되도록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OFF 상태로 유지되다가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상기 LED(100)의 하단면과 접촉하여 ON 상태로 될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ON/OFF 스위치의 ON 상태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감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점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먼저 변환 버튼(400)을 작동시켜 상기 제어부(500)가 점자를 인식할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변환 버튼(400)은 상기 패널 상에 구비되는데 좌,우, 중앙 세 단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좌측에 놓여 지면 상기 LED(100)는 점자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 지고, 우측에 놓여 지면 상기 LED(100)는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중앙에 놓여 지면 상기 LED(100)는 입력된 점자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상기 변환 버튼(400)을 우측으로 놓아 점자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입력한 점자를 저장할 섹터를 설정하여야 하는데 일반인이 사용하는 기기와 같이 복잡하여 질 경우 사용자에게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간단히 버튼을 눌러 점자 저장 섹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개의 버튼(410, 420, 430)을 구비하여 각각의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점자의 저장 섹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제 1저장 버튼(410)을 눌러주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저장 버튼(410)이 눌려져 있는 동안 입력된 점자를 별도로 저장하였다가 저장된 내용만을 다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준다.
점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아’자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할 경우 2×3의 LED(100)로 구성되는 상기 점자 표시부(110)에서 1×2, 2×2, 3×1의 위치에 있는 LED(100)를 순차적으로 눌러주면 된다.
그러면 OFF 상태로 되어 있던 상기 1×2, 2×2, 3×1 위치의 ON/OFF스위치(150)는 ON 상태가 되고 이를 상기 제어부(500)가 인식하고 상기 ON상태가 된 LED(100)의 위치와 대응하는 점자를 상기 점자 변환 테이블과 비교하여 ‘아’자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LED(100)는 ON 상태가 되어 발열 되고 사용자는 이 열을 감지함으로써 올바르게 점자가 입력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점자의 입력이 끝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저장버튼(410)을 다시 한번 눌러 주어 저장을 완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점자는 차후 사용자가 상기 변환 버튼(400)을 중앙에 위치시켜 놓은 다음 상기 제 1저장버튼(410)을 눌러주면 상기 점자 표시부(110)를 통해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되는 점자는 상기 점자 변환부(110)를 통하여 일반 텍스트 파일로 저장되기 때문에 제 3자가 상기와 같이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받은 다음 읽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 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한글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점자의 국제적인 표현 방법에 따라 영어, 일어, 중국어 등과 같이 여러 다른 언어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자 구현 장치는, LED의 발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점자를 인식함으로써 별도의 점자 인쇄물을 제작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이 필요하지 않으며 많은 양의 텍스트도 간단히 LED를 통하여 점자로 표현할 수 있어 휴대와 이용이 간편하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직접 점자를 입력한 후 입력한 점자를 일반 텍스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시각 장애인의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도와 줄 수 있다.
Claims (5)
- 소정의 점자를 구현하는 6개의 발열 유닛으로 이루어진 점자 표시부와;상기 점자 표시부가 복수개 배열된 패널과;상기 각 점자 표시부가 소정의 점자를 표현하도록 각 발열 유닛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상기 발열 유닛은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구현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사용자가 직접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구현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점자 입력부는 상기 패널에 상기 다이오드가 수납되어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기 다이오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복수개의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의 하단에 상기 다이오드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다이어드가 탄성적으로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수납홈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오드의 상,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의 하단 부와 접촉하여 ON/OFF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구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외부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송할 수 있는 외부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구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5594A KR100839126B1 (ko) | 2007-06-07 | 2007-06-07 | 발열 유닛을 이용한 점자 구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5594A KR100839126B1 (ko) | 2007-06-07 | 2007-06-07 | 발열 유닛을 이용한 점자 구현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9126B1 true KR100839126B1 (ko) | 2008-06-19 |
Family
ID=3977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5594A KR100839126B1 (ko) | 2007-06-07 | 2007-06-07 | 발열 유닛을 이용한 점자 구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912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26191A1 (en) * | 2009-09-04 | 2011-03-10 | Robert Dale Caslick | A system for assisting a sight impaired individual |
KR101374036B1 (ko) | 2012-09-14 | 2014-03-1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KR20140055443A (ko) * | 2012-10-31 | 2014-05-09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점자 출력 장치 |
KR20200081651A (ko) | 2018-12-28 | 2020-07-08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점자 입력 장치 |
KR20200082988A (ko) * | 2018-12-31 | 2020-07-08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상태 조절기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66936A (en) | 1978-11-06 | 1981-05-12 | Leonard Rose | Braille display reader |
JPH1074039A (ja) * | 1996-08-30 | 1998-03-17 |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 書き換え可能な点字表示装置 |
KR20000057355A (ko) * | 1996-12-02 | 2000-09-15 | 존 비. 메이슨 | 명확한 점자 입력 및 번역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KR20010063411A (ko) * | 1999-12-22 | 2001-07-09 | 장긍덕 | 맹인용 영상정보 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200311821Y1 (ko) | 1998-12-29 | 2003-07-25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발열소자를 가진 점자돌기 냉장고 디스플레이 장치 |
WO2006108121A1 (en) | 2005-04-06 | 2006-10-12 | Ethan Smith | Electrothermal refreshable braille cell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
-
2007
- 2007-06-07 KR KR1020070055594A patent/KR1008391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66936A (en) | 1978-11-06 | 1981-05-12 | Leonard Rose | Braille display reader |
JPH1074039A (ja) * | 1996-08-30 | 1998-03-17 |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 書き換え可能な点字表示装置 |
KR20000057355A (ko) * | 1996-12-02 | 2000-09-15 | 존 비. 메이슨 | 명확한 점자 입력 및 번역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KR200311821Y1 (ko) | 1998-12-29 | 2003-07-25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발열소자를 가진 점자돌기 냉장고 디스플레이 장치 |
KR20010063411A (ko) * | 1999-12-22 | 2001-07-09 | 장긍덕 | 맹인용 영상정보 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WO2006108121A1 (en) | 2005-04-06 | 2006-10-12 | Ethan Smith | Electrothermal refreshable braille cell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26191A1 (en) * | 2009-09-04 | 2011-03-10 | Robert Dale Caslick | A system for assisting a sight impaired individual |
AU2010291876B2 (en) * | 2009-09-04 | 2012-12-13 | Robert Dale Caslick | A system for assisting a sight impaired individual |
KR101374036B1 (ko) | 2012-09-14 | 2014-03-1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KR20140055443A (ko) * | 2012-10-31 | 2014-05-09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점자 출력 장치 |
KR20200081651A (ko) | 2018-12-28 | 2020-07-08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점자 입력 장치 |
KR20200082988A (ko) * | 2018-12-31 | 2020-07-08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상태 조절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59725B2 (ja) |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 |
US8164570B2 (en) | Condense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 |
US5214428A (en) | Data input grid for computer | |
KR100839126B1 (ko) | 발열 유닛을 이용한 점자 구현 장치 | |
US20090179780A1 (en) | Hand-held thumb touch typable ascii/unicode keypad for a remote, mobile telephone or a pda | |
CN101464779A (zh) | 一种在手持电子设备上切换输入界面的方法及其切换装置 | |
JP2023514778A (ja) | 点字タブレット用ディスプレイ | |
Kuester et al. | Towards keyboard independent touch typing in VR | |
JP3134195B2 (ja) | 情報入力装置 | |
KR100599210B1 (ko) | 데이타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 |
Lee et al. | Designing a universal keyboard using chording gloves | |
US2009024389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alphanumeric data via keypads or display screens | |
RU2214619C2 (ru) | Клавиатура, клавиша, способ вывода и смены символов на клавишах клавиатуры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US20060248457A1 (en) | Input device | |
CN2901408Y (zh) | 键盘鼠标装置 | |
KR100573493B1 (ko) | 문자입력 키보드 | |
JP5417877B2 (ja) | キーボード、キーボード入力方法およびキーボード入力プログラム | |
CN101719023A (zh) | 手持式汉字输入键盘及操作方法 | |
JP7084572B1 (ja) | 識別文字形成体 | |
CN103885605A (zh) | 十按键集合键盘 | |
EP2407857A2 (en) | The method of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and the keyboard for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 |
KR101017744B1 (ko) | 문자 입력 방법 | |
KR101136924B1 (ko) | 문자 입력 방법 | |
CN212257242U (zh) | 一种盲文拼音对照键盘 | |
JP2023042339A (ja) | 操作シート、操作装置および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